본문
디-워에 '괴물'의 합동분향소는 없다.
디-워 현상에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애국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이다. 한국에서 애국주의란 아주 오래된 습관이며, 언제나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새삼 여기서 문제가 된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디-워의 엔딩 크레딧에 실린 심 감독의 '간증'을 듣고 불쾌해 했던 사람들이 대부분 '애국주의'가 싫었다고 하는 점을 보면 오히려 애국주의는 적절하게 비판받고 있고, 이전보다 약화되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자본주의이다. 사람들이 디-워에 열광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리고 쇼박스와 심감독이 가장 심혈을 기울여 홍보한 내용은 바로 '성공 스토리'였다. 우리는 IMF이후 이 '성공 스토리'들을 여기저기서 만날 수 있다. 역경을 딛고 일어난 장애인, 노숙자가 되었다가 성공하여 CEO가 된 사람, 심지어 로또복권으로 횡재한 경우까지. 어려움과 무시를 딛고 (어떤 수단을 통해 되었든 간에) 성공해서 부와 명예를 가진 사람이 된 이야기들이 난무하고 있고, 이 이야기들은 비판받지 않은 채 우리의 자본주의적 감성을 자극한다.
이런 성공 스토리의 악람함은 그것이 낮는 소외에 있다. 왜 디-워와 심감독이 충무로와 언론-비평가 권력에 의해 부당하게 핍박을 뚫고 성공했다고 찬사를 보내는 이들은 그 누구보다도 충무로와 언론-비평가 권력을 그동안 비판하며, 이 권력 외부에서 열심히 영화를 만들고 있는 독립 영화인들에 대해서는 한 마디 하지 않을까. 유능한 독립영화 감독 이송희일을 향하여 왜 그토록 섬뜩한 비난을 퍼부었을까. 그것은 그들이 '성공'한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충무로'의 거대 자본 중 하나인 쇼박스가 배급을 맡은 디-워를 애써 충무로 영화와 대립각을 새우는 건, 그래야 대중의 '성공스토리'에 심감독 스토리가 추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원하는 건 그들의 비판을 통해 자본-언론-비평가 동맹이 해체되고, 좀 더 자유롭고 활기찬 새로운 영화판이 그려지는 것이 아니다. 이들 스스로가 성공 스토리의 참여자가 되어서 심 감독을 그 자리에 올려놓는 것이다. 그들은 이 '성공 스토리'를 통한 대리만족을 즐기면서 '자본주의에서도 계급이동이 가능하다'는 착각을 재생산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자본주의는 강화된다.
그러나 이 자본주의에서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이 '성공 스토리'들로 인해 철저하게 소외된다. 장애인으로 남아 있는 장애인, 노숙자로 남아 있는 노숙자, 독립영화인으로 남아 있는 독립영화인들은 성공 스토리의 이면에서 더욱 소외된다. "넌 왜 그렇게 되지 못하니? 능력도 참 없구나." 만약 이들이 현재의 상태를 바꾸기 위해 투쟁으로 돌입한다면 비난은 더욱 거세진다. "못 배우고 능력 없는 것들이 역시 거칠군. 경찰은 뭐 하나~"
인터넷 세계는 결국 민주주의의 세계가 아니었다. 자본과 권력은 누구보다도 인터넷 세계의 대중들이 가진 박탈감과 분노를 효과적으로 조직하여 성공 스토리에 대한 찬사와 소수자에 대한 분노라는 동전의 양면같은 정서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 다음은 파시즘일까.
p.s. 나는 2002년의 '노무현 현상'도 결국 디-워 사태나 황우석 사태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한다. 떴던 건, 찬사를 받았던 건 노무현 뿐이었다. 그리고 이 노무현 정권 아래에서 대중들이, 혹은 네티즌들이 "늘어난 민주적 권리"를 향유하는 사이 여기에 포함되지 못하는 소수자들은 가혹한 나날들을 보내고 있다.
댓글 목록
qnseksrmrqhr
관리 메뉴
본문
...여기에 포함되지 못하는 소수자들은 진정한 자유의지를 가지고 대한의 앞날을 걱정하시는 분들 입니다...진정한 가치를 인정 받지 못하는 가혹한 나날들의 시련을 어찌하셔야 좋을까요?...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