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횔더린 - "Hälfte des Lebens"에 관한 몇가지 단상 7

몇가지 관찰.

1.
„Hälfte des Lebens“의 첫 행에 왜 „mit gelben Birnen“이라고 했는지 이해가 안간다. ‚노란 배’라고 하는데 그림이 잘 안 그려진다.  호루병 모양의 독일산 배가 노랗지 않기 때문이다. 잘 읶어도 누렇지 노란색은 아니기 때문이다. ‚노란 꽃’이라고 했다면 그냥 넘어갔을 텐데 ‚노란 배’라고 하니까 한참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마리 루이제 카쉬니쯔의 추측이 맞다면 횔더린은 이 시에서 보덴제 호수 근방의 전경을 묘사하고 있는데, 최근 가서 본 결과 배보다 사과가 더 많다 (횔더린 당시엔 배가 더 많았을 수 있지만). 암튼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만든 표현이다.

그래서 그랬나? 이 시가 처음 출간될 땐 ‚mit gelben Blumen’(노란 꽃)이었다고 한다. 근데 Nobert von Hellingrath가 이것이 잘못되었다고 분석하고 „mit gelben Birnen“으로 바로 잡았다고 한다. (시 세개를 하나로 엮고 첫 두행을 새로 창작하고 거기다 제목을 „Die letzte Stunde“에서 „Hälfte des Lebens“로 바꾼 것을 볼 때 이 시의 출간이 시운 일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이리저리 생각하다 다시 음률을 분석해 보면서 이 시의 첫 두행이 현실전경을 묘사하는 것도 아니고 목가적인 전경을 묘사하는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 몇자 적어본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첫 두행이 묘사하는 전경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제도된(konstruiert) 전경이다.

첫 두행은 약강이 엇갈리는 약강격으로써 각 3개의 강(Hebung)을 가지고 있다. 이 강을 따로 표기해 보면 다음과 같다.

e (gelb-en) – i(Bir-nen) – ä(häng-et)
o (voll) – i(wild-en) – o(Ros-en)

다시 나는 소리에 따라 음성기호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Ɛ – i – Ɛ
o – i – o

일정한 규칙성이 엿보인다. 끝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마치 원과 같이 갇힌 구조다.

이렇게 보니 첫 두행이 그리는 전경이 그저 목가적이지 않다. 뭔가 썰렁하다. 그리고 „mit gelben Birnen“이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합법칙성에 따라 선택된 표현이라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2.

Und trunken von Küssen
Tunkt ihr das Haupt

 이 대목에서 일종의 수행적 자기모순이 엿보인다.

백조가 하는 행동을 보면 입맞춤에 만취하여 머리를 굽혀 물에 적시는 하향동작이지만 소리는 그렇지 않고 대려 상향한다. „trunken“의 u에 따르는 ü는 반음 정도가 더 높고 다음 행 „tunkt“의 u는 다시 반음 더 올라가 „trunken“의 u 보다 한음이 더 높다. 여기서 수행적 자기모순을 읽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리고 읽을 수 있다면 이게 내가 이 시를 이해하고자 하는 맥락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아직 명료하지 않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