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ober 15, 2010, Commentary No.291

아프가니스탄: 어느 누가 부담을 지고 싶어할까?
("Afghanistan: Does Anyone Want the Burden?")

 

 




아프가니스탄을 누가 통치할지를 둘러싸고서 많은 국가들 간에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는 건 전혀 비밀이 아니다. 그리고, 지난 30년에 걸쳐, 많은 나라들에서는 아프간에 저마다 선호하는 통치 형태가 자리잡도록 군병력이나 군사무기 아니면 거액의 돈을 보냈다.

 

이랬던 나라들이 실제로 거둔 성과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을 확인하기란 어렵지 않다. 지원국들의 입장에서 보면 향후 전망도 좋지 못하다. 지원 주체들 사이에선 그간의 적극적 개입을 줄일 수도 있다는 데 대한 공감대가 차츰 두터워지고 있다. 침입(내지 간섭)이란 방식은 크게 수지 맞긴 어려울 듯한 부담을 유발한다.

 

소비에트사회주의연방공화국은 1980년대 내내 아프간에 호되게 데이고선 결국 전군을 철수시켰다. 소련 스스로는 든든히 받쳐주고 있다고 판단했던 아프간 대통령은 그같은 호의를 고마워하던 주민들에 의해 공개 처형됐다. 미합중국한테 지원받으며 소련의 개입에 맞섰던 이슬람무장게릴라조직 무자히딘('전사'라는 뜻의 아랍어)은 ‘알 카에다’('기지'란 뜻의 아랍어로, 뉴욕 쌍둥이빌딩=세계무역센터 공격을 주도한 국제 이슬람게릴라 네트워크)라는 이름의 운동을 육성·지원함으로써 미국에 사의를 표했다. 알 카에다는 이제껏 미합중국과 이 나라와 동맹을 맺은 모든 국가/세력을 상대로 지하드("생활 전반의 나아짐"을 향한 분투, 또는 이슬람공동체인 '움마'를 적으로부터 지키는 데 필요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뜻하는 아랍어)를 벌이는 데 온 힘을 쏟아왔다.

 

둘 이상의 세력들 간에 벌어진 아프간 내전이 동일한 시기에 걸쳐 끊임없이 계속됐다. 주요 내전 세력 중 하나인 탈레반은 전쟁 동안 나름의 부침을 겪었다. 탈레반은 지금 다시 상당한 세력을 발휘중인 듯싶다. 파키스탄을 제외하고서 거의 모든 간섭 국가/세력들은 탈레반에 관해 부정적인 견해를 무작정 되풀이하지만, 여지껏 탈레반이 보여온 지속 역량 및 입지확보 능력에 힘입어 모든 관련 개입국가들 사이에선 대놓진 않아도 전향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어디가 됐든 “우리가 계속 아프간과 엮여야 하는 걸까?”라는 질문이 의제로 떠오르는 중이다.

 

아프간 북서부의 인접국가들, 다시 말해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러시아, 그리고 이란은 모두 (러시아의 경우 국경을 맞대고 있진 않아도) 아프간과 관련이 있다. 이들 국가에선, 대체로 파슈툰 족 출신인 전투적 성향의 탈리반이 통치 권력을 장악하길 원하지 않는다. 이들의 우려는, 십중팔구 기우가 아닐 텐데, 탈리반이 아프간 국정을 장악할 경우 자국 영토와 종족적으로 연계돼 있는 지대들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압박하게 되리라는 데 있다. 그러나 이들 국가 중 어느 쪽도 지상군을 보낼 채비가 안 돼 있는 듯싶다. 이들 국가에서 하나 같이 비중을 두는 건 따라서 아프간을 사이에 둔 정치적 타협으로, 북서부 지대들에 대해 상당 정도의 보호 조치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미국은 현재 아프가니스탄에 대규모 군병력을 배치해 놓은 상태다. 원칙적으로 이들 병력을 철수시키기로 한 시점은 2011년 7월부터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국 행정부가 원칙적으로 희망하는 바는, 하미드 카르자이 현 대통령이 이끄는 공식 합법정부 치하에서 탈레반 세력의 패배 또는 최소한 포섭이 이뤄지고 아프간 정규군의 힘이 한층 더 강해지는 것이다.

 

미군은 몇몇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에서 보낸 나토군의 지원을 받고 있다. 미국이 2011년 중반기까지 군 철수를 기다리는 중인 반면, 나토 회원국 대부분에선 철군 시기를 더 앞당기거나 지금이 바로 철군할 절호의 시기임을 공론화하는 데 열심이다.

 

미국의 경우, 철군은 내부적으로 정치적인 문제를 던진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에 대한 지지가 철군 결정으로 더 떨어질지 아니면 그 반대 결정으로 더 떨어질지 저울질하는 중이다. 여론 조사에 따르면, 머나먼 곳에 있다는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기들이 알기론 이길 수 없는 전쟁에 신물난 유권자들의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내 예측으로는, 고립주의자들이 내는 목소리가 개입주의자들의 목소리에 대해 정치적으로 승리를 거두게 될 것이다.

 

이제 남아있는 국가는 둘인데, 파키스탄과 인도다. 물론 이들 두 나라는 오랜 동안 지속돼온 정치적(이고 곧잘 군사적) 쟁투에 서로 붙들려 있는 상태다. 그리고 어느 쪽 할것없이 아프간 내부 상황을 그것이 양국간 쟁투에 대해 지니는 함축과 관련시켜 바라본다.

 

파키스탄은 육군정보기구인 ISI를 통해 전 시기에 걸쳐 탈리반을 지원해왔다. 요즘은 이같은 지원 사실이 미국을 열받게 한다는 이유로 그에 대해 부인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말에 넘어갈 사람은 아무도 없다. 파키스탄은 아프간의 탈리반을 통제할 수 있다고 여기며, 카불에서 다시 들어설 탈리반 정권이 인도에 대해 방파제 역할을 하게 되리라고 본다.

 

인도 정부는 지난 10년 간 카르자이 정권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왔다. 그렇게 하는 게 아프간 내에서 파키스탄계가 지닌 영향력을 근절하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이란 및 러시아산 에너지 자원 획득에 필요한 사회기간시설을 갖추는 데도 보탬이 돼줄 길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지금으로선 인도와 파키스탄 모두, 저마다 취한 선택지를 재고하는 중일지도 모른다. 적어도 인도에선, 아프간에서 발을 빼고 파키스탄에게 아프간을 떠넘기면 이로써 파키스탄의 활력과 군사자원들이 말라붙는 독약먹이기 효과가 생길 거라고 판단하는 정부측 분석가들이 상당수 있다. 이 분석가들이 기대고 있는 건 아프간인들, 그중에서도 파슈툰계가 지닌 가공할 독립성인데, 이들은 아프간인들이 소련과 미국의 통제에 대해 그랬다시피 파키스탄의 통제도 용납하지 않으리라고 본다.

 

그럼 파키스탄은 어떨까? 탈리반은 아프간뿐만이 아니라 파키스탄에서도 아프간 쪽과는 일정 정도 별개로 활동중이다. 파키스탄 ISI는 아프간 쪽 탈리반의 가치를 알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겠지만, 아프간 탈리반한테서 지역적 다양성에 대한 열성을 찾아보긴 힘들다. 파키스탄으로선 자국 내 탈리반을 다뤘다가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인도를 다루기 힘들어질 수가 있다. 아프간에 대한 과도한 관여로부터 발을 뺄 경우, 국가 내적인 긴장은 어느 정도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아프간에서 지속중인 내전으로부터 한 가지 상정 가능한 결과로, 한 5년쯤 이내에, 모든 국가에선 아프간 내정 관여에 따른 부담을 버거워 하면서 아프간을 그냥 내버려 두게 될 수 있다. 아프간인들끼리 속된 말로 지지고 볶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모두가 떠나버린 아프간은 어떻게 될까? 그걸 알긴 굉장히 어렵다. 그곳은 제일 밥맛 떨어지는 판본의 샤리아(원래는 꾸란과 무함마드 어록 등에 바탕해 체계화된 이슬람공동체의 율법을 뜻하는 말) 법이 아프간 주민 전체에 끼칠 해악과 더불어, 흉측한 모습을 띨 수도 있다. 아니면, 우리 모두 깜짝 놀랄 만한 상황과 마주할지도 모르는데, 아프간의 역사에서 상당 기간 그랬다시피, 말하자면 상대적이나마 ‘너도 살고 나도 사는’ 종류의 형세가 펼쳐질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든 간에, 나머지 세계에서 이런 상황에 신경을 쓸까? 향후 5년에서 10년에 이르는 동안, 우리는 세계 어디 할것없이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혹독한 시절을 겪게 될 게다. 아프가니스탄에 대해 걱정할 시간이나 정력 같은 건 아예 없을지도 모르겠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원문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0/17 08:40 2010/10/17 08:40
https://blog.jinbo.net/redivy/trackback/164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