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10/04/08

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04/08
    체증처럼 마음 속에 쌓여있는 답답함과 분노와 아픔
    씨앗(산길)
  2. 2010/04/08
    전화 한 통
    씨앗(산길)
  3. 2010/04/08
    [펌] 속이 쓰라리다
    씨앗(산길)

체증처럼 마음 속에 쌓여있는 답답함과 분노와 아픔

--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걷고, 기록하고, 마음에서 잊지 않는 것 밖에 ---

 

아픈 마음으로 만난 4대강 현장... 영산강을 따라 걷다
10.03.09 21:46 ㅣ최종 업데이트 10.03.10 21:55  dmsdlv)

 
 
한동안 잊고 있었습니다. 말로는 4대강 사업을 반대하면서 마음 속에서 잠시 치워두었던 것은 그 사안을 떠올릴 때마다 마음이 답답해왔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다가 몇 달 전 백수가 되어 시간이 많이 생겼습니다. 그러다보니 신문을 열심히 구독하게 되었고 하루 걸러 한 번씩 4대강의 문제점을 깊이 다룬 기사들을 보게 됐습니다.
 
점차 내 마음 속에 지금의 공사상황에 대한 궁금증과 답답함이 커지게 됐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메일을 확인하다가 영산강 도보순례에 대한 내용을 보았고 '그래 영산강으로 가자' 결심했습니다.
 
  
▲ 신성리 이장님의 말씀을 듣는 참가자들 주민으로서 겪은 피해와 앞으로 우려되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주셨습니다.
ⓒ 김하나
4대강

 

보트로만 탐사했을 뿐 내 발걸음으로 영산강과 만나본 적은 없던 터였습니다. 지난 1일, 나주시 다시면 석관정에 도착하니 광주환경운동연합 회원들과 실무자, 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 성당 신도들이 출발 채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오전 10시가 조금 넘어 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강의 상황만큼이나 날씨도 좋지 않았습니다. 끊임없이 내리는 비를 맞고 걸으며 강변을 둘러보니 덤프트럭 10-20대 가량 움직이며 쉴 새 없이 흙을 실어나르고 있었습니다. 물길 우회 공사, 준설 작업, 작업한 토사를 야적하기 위해 덤프트럭 여러 대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모습은 마치 영화 속에서 보았던 로봇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 죽산보 공사 현장 물막이 공사와 물길 우회공사가 진행중이다.
ⓒ 김하나
4대강

 

비가 오는 날도 공사는 멈추지 않는다고 합니다. 참가한 사람들은 나주시 죽지마을에서 점심을 먹고 오후 1시 30분경 죽산보 공사현장에 다다랐습니다. 죽산보에서는 보를 건설하기 위해 물길을 돌리고 물막이공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강을 이렇게 헤집어놓을 줄 상상하지 못했기에 눈 앞에 펼쳐진 공사현장은 충격이었습니다.

 

정부에서는 홍수예방, 물 확보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실제 강 옆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말은 이와 배치됩니다. 참가자들은 신석리 이장님으로부터 지역 주민 입장에서 보는 공사의 문제점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얼마 전에도 보리밭이 침수피해를 입었고 공사가 진행되고 나면 수위가 높아져서 피해가 더 커질 것입니다. 그리고 물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국민이라면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일일 터인데 정부의 눈에는 이 침수피해에 대한 것이 그저 간과해도 될 하찮은 일일까요? 정부가 내세우는 목적과 다른 진짜 목적은 수심 6m 확보와 수로 폭 확보 즉, 운하 건설을 위한 기반을 만드는 것입니다. 아래로 수심을 확보하기 위해 무자비한 준설을 진행하고, 위로 수심을 확보하기 위해 보를 만드는 것이지요.

 

  
▲ 논길을 걷는 참가자들 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천주교 신도, 광주환경연합 활동가 및 회원, 시민들이 강을 바라보며 걷고 있습니다.
ⓒ 김하나
4대강

 

강을 살리기 위해서는 강을 틀어막아서는 안 되고 흐르게 두어야 할 터이지만, 지금 우리 눈 앞에 펼쳐지는 광경은 그러한 상식을 송두리째 뒤흔드는 것입니다. 4대강 사업에 투입되는 총 예산은 22조이며 이 중 영산강에 투입되는 예산이 2조8천억이고 죽산보 공사는 영산강 공사현장 중 가장 규모가 큰 곳으로 1500억이 투입된다고 합니다.

 

4대강 사업은 전국적으로 내년까지 제반 공사를 마쳐 이명박 대통령 임기 내에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보를 건설하게 되면 수위는 홍수 발생시 지금보다 2-3m 정도 높아져 침수피해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 승촌보 공사현장 보를 만들기 위한 작업으로 먼저 물막이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 김하나
4대강

 

현장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는데 광주환경운동연합 임낙평 의장의 말에 따르면 이것은 다른 지역 공사현장과 속도를 비교해서 독촉하려는 목적에서 설치한 것이라고 합니다. 공사를 하기 전 환경영향평가와 수리모형실험을 거쳐야만 하는데 이것을 생략하고 강행하고 있는 것 또한 졸속으로 진행된다는 증거입니다.

 

걷는 내내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한 사람으로서 걷고 있는 것이 이렇게 부끄러울 수 있을까요. 영산강을 걷는 걸음은 그 후로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7일에는 광주환경연합 소속 소모임인 광주천 지킴이 모래톱 회원들의 승촌보 공사현장~영산포 구간 답사에 동행했습니다. 

 

4대강 사업 일환으로 영산강에 설치되는 보는 2개로 각각 죽산보와 승촌보인데 이날 걸은 곳이 바로 승촌보 공사현장을 포함한 구간입니다. 오전 9시경 용산마을에서 출발하여 승촌마을로 들어서니 미나리꽝이 펼쳐지고 그 곳에서는 어머니, 아버지들께서 물장화를 신고 한창 작업 중이었습니다.

 

  
▲ 미나리 채취 중인 마을 어머니들 이 곳은 광주지역에서 유통되는 미나리의 70%를 생산하는 곳이라고 한다. 하천에 인접한 곳이기 때문에 미나리를 재배하기 좋은 조건으로 생산량도 많고 마을의 안정적인 소득원이다.
ⓒ 김하나
4대강

 

이곳에서 생산되는 미나리꽝은 광주 지역의 70%이며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해주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공사가 시작되면 이 곳도 침수될 계획이며, 승촌마을은 저지대이기 때문에 공사를 통해 수위가 높아지면 침수피해를 당할 수밖에 없어서 마을과 강 사이에 제방을 높게 설치할 것이라고 합니다. 강과 단절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뿐 아니라, 곳곳에 만들어진 하중도도 물에 잠겨버립니다. 마을주민들은 대부분 반대하고 있으나 무서워서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현하지는 못한다고 합니다.

 

승촌보 공사현장 역시 죽산보 현장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보를 건설하고, 2500톤급 바지선이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기본 수심을 4.5m로 유지하고, 수위를 11~12cm 정도 유지할 계획으로 공사를 진행 중이므로, 이름만 보일뿐, 규모는 댐에 가깝다고 합니다.

 

걷는 내내 마음이 콱콱 막혀 왔습니다. 다시는 볼 수 없을지 모르는 풍경들을 마음에 새기며 한 걸음 한 걸음 걸었습니다. 광주땅을 지나 나주에 들어서서 걷다보면, 아름다운 하중도를 만날 수 있습니다.

 

  
▲ 나주지역 강변에 조성된 하중도와 유채꽃밭 강 가운데에 있는 하중도에는 나무가 자라고 있다. 그리고 아래쪽에는 나주시에서 조성한 유채꽃밭이 있다.
ⓒ 김하나
4대강

 

강 가운데에 만들어진 하중도에는 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강변쪽에는 나주시에서 유채꽃밭을 조성해 놓았지만 공사가 계속 진행되면 내년이면 이곳도 볼 수 없게 된다고 합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광주하수종말처리장 인근의 습지도 없어지게 될 것이고, 멀게는 영산강 상류 담양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은 물만 흐르는 곳이 아니라 그 물에 깃들어 물고기와, 풀과 나무, 새들이 살아가고 있는 하나의 공동체입니다. 사람이 셀 수 없는 시간 동안 흘러 만들어온 공동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다시 살려내기 어려운 것입니다. 

 

현재 4대강별로 각각 공사중지가처분 신청이 진행 중이며 지역 주민들과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현장답사, 소송, 시민홍보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라지고 난 후 미래 세대들에게 어떤 자연을 남겨줄 것인지. 어떠한 말과 글로 이 아픈 마음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을까요.

 

덧붙이는 글 | 4대강 막고 싶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화 한 통

오마이뉴스에서 전화를 받았다. 글을 써달란다

그런데 주말 근무가 있는 날이다.그리고 행사 취재장소가 서울이다.

그래도 가 보고 싶다.

물론 내 글이 별로 수준높을 것 같진 않다. 지금 쓰는 것은 트레이닝 수준이니까.

하지만 이렇게 전화도 오고 어딘가에 실린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인데...

 

제길..물론 그 전에 일하던 곳에서도 주말 행사는 많았지만...

다른 것 필요없으니 제발 주말을 보장해주던가...지금은 괜히 이런 생각이 든다.

게다가 행사 때문에 낙동강 1박 2일 순례도 못 간다. 공연이 중심인 그 행사보다는 1박 2일 순례가 더 가고 싶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서 나는 가지 않겠다고 한 번 말해볼 생각이다.  

 

차라리 백수의 길을 선택하는 게 나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종종 한다.

아니, 그랬다면 집에서 벗어나기 어려웠겠지. 흠....

그래서 주말은 바쁘다. 4대강 생각에...

내일 이사하고 주말에 쉬고 싶지만,, 다녀오지 않으면 내내 마음이 편치 않겠다. 지금껏 주중에 그랬던 것처럼...

차라리 월급을 조금 줄이고, 근무날짜를 줄일 수 있다면 좋을텐데...

그게 더 원활한, 오래갈 수 있는 진짜 운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여기 오고 나서야, 그래, 백수로 4대강에 중심적으로 짱박혀 있는 게 좋았을 뻔했다는 생각을 한다.

기록.. 기록... 진짜 기록....

 

어차피좋은 글 못 쓰고 어차피 서울 못 갈텐데 속이 쓰리네... 풀리기는 할까?

꼭 전라도 닷컴에 내 후배 취직됐다는 이야기 들었을 때처럼 ^^:; 그건 금방 풀렸지만 ^^

그리고 나중에 전라도 닷컴에서 내 기사를 싣고 싶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꿈같았다.

 

그래도.. 이제 곧 오마이뉴스 기자원고료가 50,000원을 돌파하면 현금으로 받을 수 있다.

오늘은 영광여성의전화에서 땅의 여자를 상영하니 보고 와서 원고를 정리해봐야겠다.

너무나 보고 싶던 그 다큐멘터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펌] 속이 쓰라리다

[화보]지율스님이 영상으로 기록한 낙동강 파괴현장
이 아름다운 곳을 어찌 흩뜨리려합니까 …
 
2010년 03월 31일 (수) 15:09:03 미디어오늘 ( media@mediatoday.co.kr)
 
지율스님, 오늘의 잘못 되돌릴 훗날 위한 기록

천성산의 도룡뇽을 살리겠다며 목숨을 건 단식투쟁으로 맞섰던 지율 스님(사진)이 4대강 개발사업으로 무너져 가는 낙동강에 다시 몸을 던졌다.

지율 스님은 지난해 봄부터 낙동강 순례를 계속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1천 500명의 시민이 그 고행의 길을 함께 따라나섰다. 참혹하게 파헤쳐진 시뻘건 황토길을 따라 걷는 그 길이 고행일 수 밖에 없는 건 한번 파괴한 자연을 영원히 되찾을 수 없다는 걸 너무나도 잘 알기 때문이다.

굽이굽이 휘몰아치는 강변을 굴삭기가 한바탕 뒤집어 엎고 나면 반듯하게 깎인 콘크리트 제방이 들어선다. 그것은 마치 전국을 거대한 인공 연못, 청계천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 지율스님 ⓒ이치열기자 truth710@  
 
환경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자행되는 이 무시무시한 파괴의 현장에서 지율 스님은 피를 토해내는 심정으로 낙동강의 풀 한 포기, 햇살 한 줄기, 바람 한 점을 사진으로 담아냈다. 토건주의의 욕망이 저지른 만행은 처절하다 못해 참혹하고 끔찍하다.

불교환경연대는 지율 스님의 사진을 모아 30일 하루 동안 서울시 종로구 불교역사문화기념관 나무갤러리에서 ‘낙동강 비포 앤 애프터 사진전’을 개최했다.

전시회는 전국을 순회하면서 개최될 예정이다.

미디어오늘은 지율 스님이 엄선한 사진을 제공 받아 이를 지상중계한다. 각각 개발 이전(B)과 이후(A)의 사진들이다.



   
  하빈고개 무성하던 야생버드나무 숲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공사현장.  
 
   
  칠곡보현장강을 통째로 막은 뒤 보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낙단보현장 강을 통째로 막은 뒤 보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본포나루터 노래를 좋아하는 주모가 살던 주막이 없어진 자리에 인공제방 쌓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낙동둔치 낙단보 부근의 둔치에 경작중이던 논이 완전히 파헤쳐졌다.  
 

 

 

영산강 가까이 살지만 영산강보다 더 심하다.

사실 영산강은 낙동강에 비하면 경치가 그리 아름답지는 않다.

그렇다고 해서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낙동강의 변화된 모습을 보는 것은 영산강과는 또 다른 차원이었다.

 

이것은 ....

망하자는 이야기나 다름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