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2007/06/22 11:35

나도 거절할 줄 알아요

(거절의 의미 이해 및 거절의 중요성 인식하기)


가. 친구관계에서 거절이 필요한 때는 이런 때입니다.

    ☞ 친구의 표정이나 말투가 나의 자존심을 침해할 때

    ☞ 자신의 감정을 배려해 주지 않고 강요할 때

    ☞ 비도덕적이고 부당한 일을 요구할 때

    ☞ 나의 시간, 학용품, 소지품 등을 마음대로 할 때


나. 거절하지 못했던 나의 경우는 어떠했습니까?

    ☞ 친구에게 어떠한 부당한 일을 부탁 받았나요?

   ☞ 부탁을 거절하지 못했을 때의 심정은 어떠했나요?


다. 적절한 거절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의 경우, V표)

 ☞마음에 없는데 청을 억지로 들어주면 스트레스가 쌓인다............(     )

 ☞내 사정에 관계없이 친구의 요구를 들어줌으로써 나의 생활이 무질서해진다.(     )

 ☞나 자신을 억누르고 친구의 요구를 들어줄 때 심리적, 신체적으로 힘겨워진다.(     )


라. 내가 ‘거절하기’를 못하는 요인은 무엇이었습니까?

    ☞의리를 지키기 위해서................................(     )

    ☞인정받고 싶어서.....................................(     )

    ☞거절 방법을 몰라서..................................(     )

    ☞친구들이 욕하거나 따돌리는 것이 무서워서............(     )

    ☞거절해 본 적이 없어서...............................(     )

    ☞습관적으로..........................................(     )


   ♥ 거절 방식  (나는 어떤 거절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까?)


 ☆회피적 거절 ⇒ 상대방의 말을 못들은 척 피하고 묵살하여 거절합니다.

 ☆공격적 거절 ⇒ 상대방이 모욕감을 갖게 큰소리와 욕을 하며 거절합니다.

 ☆일방적 거절 ⇒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만 밝힙니다.

 ☆핑계대는 거절⇒ 어쩔 수 없이 거절할 수밖에 없다는 다른 핑계를 댑니다.

 ☆배려하는 거절⇒ 상대방의 감정을 배려하고, 나의 사정을 자세히 말하며 이해시키고 거절합니다.(바람직한 거절 방법)


마. 거절하는 방법 : 상대방의 감정을 배려하고, 나의 느낌과 상황을 이해시키며 거절

   (1) 문제에 대한 판단에 의하여 “예”, “아니오”를 결정할 것

       : 만약 금방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생각할 시간을 가진 후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2) 대답은 간단히 : 많은 변명은 필요 없으며, 될 수 있는 한 간단히 합니다.

   (3)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창피 주는 말은 하지 않습니다.

   (4) 거절하는 이유를 남의 탓, 외부로 돌리지 않고 나의 욕구나 권리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우리 오락실 가자!” : ‘나는 그것을 하고 싶지 않아.’,

                            ‘나는 다른 계획이 있어.’,  ‘그건 내게 필요 없어.’ 등)

   (5) ‘미안하다’는 말은 꼭 필요할 때만 씁니다.

   (6) 상대가 나의 거절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에는, 거절의 표현을 정확히 하고,

       내가 원하는 때에 대화를 마칩니다.

   (7) 조용하지만 단호한 목소리와 몸짓으로 또박또박 힘있게 말합니다.

   (8) 때로는 대안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바. 현명하게 거절하는 행동 연습하기


   (1) 듣는 자세 : (가) 따뜻하고 부드러운 시선으로 마주 보기

                                -외면하거나 땅을 보거나 노려보거나 곁눈질하지 않기

                         (나) 아무렇지도 않은 듯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자세

                         (다) 겁을 먹지 않은 진지한 태도

                         (라) 말을 중간에 자르지 않기


   (2) 목 소 리 : (가) 크고 또렷하게 말하기

                       (나) 우물거리지 않기


   (3) 상대방의 말 이해하기 : 상대의 말을 따라 하면서 내용을 확인, 요약하기

                  (가) 떡볶이 먹으러 가자구? 

                  (나) 내 도시락을 네가 먹겠다구?

                  (다) 지금 내 옆구리를 찌르고 있는 거니? 


   (4) 마음 알아주기 : 상대방을 이해하고 있다는 표현하기

                  (가) 네가 지금 배가 고픈 모양이구나.

                  (나) 내 도시락이 맛있어 보이는 모양이지? 

                  (다) 너, 지금 장난치고 싶구나?


   (5) ‘나 전달법’으로 거절하며 내 의견 전하기 : 상대방을 비난하지 않으며 나를 표현

                  (가) 싫어. 나는 배 고프지 않아.

                  (나) 안돼, 이건 내 점심도시락이야. 내가 먹어야 돼.

                  (다) 이 손 치워! 난 지금 장난칠 기분이 아냐.


   (6) 그래도 계속 추근댈 때 : 강한 눈빛과 거부의 몸짓으로 단호하게 큰소리로

              “나는 싫어!, 하지 마!” 라고 반복하고 그 자리를 떠납니다.


♥ 거절하기 연습 (두 명씩 짝지어 앉아 대화식으로 주고 받아봅니다)


      1. 너, 돈 있지? 오백 원만 빌려 줘! 


     2. 나하고 오락실 가자.


     3. 그 운동화 나랑 바꿔 신자.


     4. 내 필통 네가 잃어 버렸지? 필통 대신 돈으로 줘!


     5. (머리를 툭툭 치며) 너 사오정이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6/22 11:35 2007/06/22 11:35
TAG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soist/trackback/173
  1. 흐린날 2007/07/03 13:0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ㅋㅋㅋ 멋지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