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아둘 글 - 2006/08/21 07:04

민주노총 CUG에 올라왔던 글]
민주노총의 최명아 조직1부장님이 지난 2월 11일 정리해고 문제와 노사정 합의 문제 등으로 노동계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속에서 쉴틈없이 일하시다가 과로로 쓰러져서 서울대병원으로 옮겨졌었는데, 2월 24일 끝내 이 세상을 떠나셨다고 하니 슬프고 안타까운 마음 그지 없습니다.
최명아님은 정말 꾸밈없이 아름다운 여성 노동운동가였습니다. 이화여대를 졸업한 후 곧바로 노동현장에서 뛰어들어 여러 공장에서 노동운동을 하고 민주노총의 조직1부장을 맡아 활동하기까지 "다시 태어나도 노동운동에 헌신하겠다"던 정열적인 노동운동가였습니다. 그렇게도 귀한 분이 우리를 위해 일하시다가 먼저 떠나시다니 못내 죄송하고 한스럽습니다.
최명아님이 과로로 순직하신 것에 대해 우리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책임져야할 점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최명아님을 비롯한 민주노총 직원들은 우리 민주노총 조합원들과 노동해방을 위해서 일하시는 분들이고 그분들의 월급도 바로 우리 조합비에서 지급되고 있으니 그분들의 사용자는 바로 우리 민주노총 조합원 전체가 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우리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직원들의 노동조건과 보수에 대해서 애정을 가지고 책임있는 결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조합원들은 자신들의 근로조건 개선과 임금수준에 대해서는 누구 못지않은 관심과 정성을 보이고 있으면서도 정작 우리를 위해서 일해주는 민주노총 직원들의 근로조건에 대해서는 그동안 무심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노동운동을 하는 그분들은 「자기희생」을 각오하고 그 일을 보람으로 느끼며 평생을 헌신하고 있지만, 그 분들로 인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는 우리들은 그 분들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민주노총의 주인인 우리 조합원들은 민주노총 직원들이 밤을 세워서 일을 해도 시간외 수당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투쟁을 지원하기위해 자기 돈을 들여가며 이 곳 저 곳을 돌아다녀도 교통비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월급은 비슷한 연배의 우리 조합원들보다 형편없이 낮게 지급합니다.
-상급단체일수록 월급이 적습니다.- 심지어는 과로로 인해 쓰러진 분에게「산업재해」에 상응하는 대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껏 적선하는 듯한 「모금운동」만 벌여 왔을 뿐입니다.
우리 조합원들은 자신들의 사용자인 회사측의 조그마한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분노를 참지 못하고 투쟁하면서, 정작 우리의 노동자들인 민주노총 직원들의 근로조건에 대해서는 관심조차 갖지않으며 사용자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부당노동행위를 하고 있는 셈입니다.
최명아님이 전화를 받느라 쉴 새 없이 바쁘게 움직이셨던 그 책상 위에는 "현장의 조합원들께서 민주노총 직원들이 전화를 제 때 잘 받지 않는다는 불만의 소리가 높습니다. 우리 모두 전화를 잘 받읍시다!"라는 공지문이 있었습니다. 바로 우리의 조그마한 불만을 해소해 주기위해 최명아님은 당신의 몸을 송두리째 던진 것입니다. 우리가 진작에 "왜 민주노총 직원들은 전화를 제 때 받지 않느냐?"고 따지기에 앞서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제 때 전화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적정한 인원과 시간을 배정해 줄 수 있었을까"를 고려했더라면, 조합원들의 근로조건 개선만큼이나 직원들의 근로조건에 관심을두었더라면, 아마도 최명아님은 좀 더 우리 곁에 오래 머물러 계셨을 것입니다.
아! 우리들은 그 분들의 희생을 이용만 할 줄 알고 고마워 할 줄은 모르는 못 된 고용주들인 것입니다.
부디 우리 민주노총의 주인인 조합원들의 민주노총 직원들에 대한 부당노동행위(?)가 하루빨리 근절되기를 바랍니다. 민주노총과 함께라면 정말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는 순결하고 헌신적인 민주노동운동가들인 그분들에게 우리 조합원들의 작은 정성이 더욱 힘이되고 뜨거운 동지애도 그만큼 더 커질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한번 해방의 그날까지 최명아님이 편안히 잠드시기를 삼가 기원하면서 어서빨리 그 날이 오기를 간절히 소원해 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8/21 07:04 2006/08/21 07:04
TAG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soist/trackback/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