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교대제와 노동강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교대제와 노동강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손미아


1. 교대제가 어떻게 노동강도를 증대시키는가?


자본이 교대제를 도입하게되는 가장 큰 이유는 불변자본의 절약이다. 즉, 기계를 놀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교대제가 노동강도를 증대시키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이다. 교대제는 본질적으로 야간노동시간을 증대시키므로 절대적 노동일을 증대시켜서 절대적 잉여가치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하나는 교대제로 인하여 야간노동시간에 주간과 동일한 업무의 하중을 가지거나 또는 더 많은 하중이 주어지게 됨으로써 상대적 잉여가치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교대제는 노동과정에서 절대적 상대적 잉여가치의 증대경향을 더욱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야간노동은 인간의 신체기능을 거스르는 것이며, 생체리듬을 파괴하면서 각성도를 유지해야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신체적 상황이 무시된 채 지금까지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야간노동시간과 주간노동시간이 동일하다. 즉, 주야간 노동시간이 동일하다는 뜻은 상대적으로 야간노동시간에 육체적하중이 심화되고 노동강도가 세진다는 뜻이다.


2. 교대제와 노동강도가 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우리나라의 예


<표7-1>교대제 근무로 인한 노동력 재생산의 순환구조

   

      

   


기아자동차공장에서 교대제로 인한 노동강도강화는 크게 절대적 노동일의 연장으로 하루 휴식시간의 절대적 감소와 야간노동으로 생체주기가 파괴되는 야간시간에 업무량이 주간과 동일하거나 오히려 주간보다 더 많을때도 있어서 노동강도강화가 증폭된다는 데 있다.


노동시간의 사용이란 노동시간 동안 판매된 노동능력이 지출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지표는 노동강도이다. 노동강도는 노동시간 내에서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여유시간의 길이와 단위 시간에 노동능력이 지출되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여유시간이 줄어들고 노동능력 지출 속도가 증가하면 생산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노동능력의 재생산을 위해 필요한 피로의 회복이 노동시간 밖에서 이루어져야 한다.1) 하지만 노동력 재생산을 위해 필요한 절대적 시간이 부족하고, 다른 일반사람들과 생활주기가 틀림으로 인하여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없는 주․야 2교대제 노동자들은 여유시간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밤근무 때 가장 근무하기 힘든 시간은 졸음과 피로가 가장 많이 오는 새벽 3시를 전후한 시간이다. 인간이 노동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장 적응하기 힘든 취약시간인 새벽시간에 노동은 노동자를 더욱 쉽게 피곤하게 만든다. 또한 생체리듬이 미쳐 적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새벽시간에 이루어지는 점심식사는 위장장해뿐만 아니라 식곤증을 유발시킴으로써 노동자들로 하여금 더욱 힘든 노동을 하게 만든다. 이런 피로와 조음은 몽롱해지거나 주의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새벽시간에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야간근무때 피로와 졸음을 배가시키는 것은 휴식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교대제 근무로 생체리듬이 변하면서 낮 시간에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한 노동자들에게 낮근무와 같은 노동강도와 휴식시간은 노동자의 피로도를 더욱 높인다. 


“밤근무시 가장 힘든 시간은 새벽시간..., 두시부터 힘들죠. 아침 7시30분까지니깐..., 그 시간에 사실은 사람들이 자야 되는 시간이니깐..., 끝나는 시간까지 힘들다. 보통 야간 끝나고 차 한번 가보면 아시겠지만..., 차에 타면 다 자여..., 저절로 자여..., 시체처럼 자여...,2) 저같은 경우 가까우니깐..잠도 못자요..., 가까이 사는 사람의 경우는 옛날에..., 저도 있었지만..., 조암에서 내려야 되는데.. 발안까지 갔다오고..., 돌아오고.... 코 고는 사람이라도 있으면..., 그것 때문에 신경도 날카로워 지고..., 거의가 잔다고... ” id 12


“작업속도도 벌써 피곤하니까 차를 빨리빨리 빼주어야 되는데 아무래도 늦어지죠. 평상시 걷는 것보다, 그리고 실수 아까처럼 검사 실수도 많이나고, 졸음도 오고, 판단능력도 “에이 쯧 피곤하고 그러니까 한 이 정도면 되겠지” 뭐 이런 것들이죠.“ 품질관리부


“주간에는 그래도 이 정신력이 살아나잖아요? 그런데 야간에는 그 야간에 잘 시간에 일을 하니까. ..., 불량을 찾아야 할 때 시간이 좀 더 걸린다는 것과 정확성은 떨어져요.” id 115




2) 미국의 한 석유공장의 예


석유공장의 노동자들에게 과도노동시간과 휴식시간의 감소는 야간노동시간에 육체적 하중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소견은 새벽 2-4시사이에 인간의 조절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또한 사고가 노동력의 유연화로 노동인력이 감소된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교대제 노동자들의 과로노동은 노동강도, 수면, 피로, 짧은주기의 회복, 장기적인 건강문제, 사회적, 가정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노동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는 일의 스케쥴에도 영향을 미치게되어, 휴일수가 감소하게되고, 피로도가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노동강도(육체적 하중)이 교대제 해결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특히 야간노동시간에서의 노동강도가 문제이다.


3.교대제와 노동강도의 해결방법:


1) 근본적인 방법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야간노동시간이 없어지거나 줄어드는 것이다. 즉, 자본에 의해서 놀고있는 불변자본을 절약할 목적으로 기계를 밤에도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는 노동자들은 노동자의 주도적인 단결력에 의해서 야간노동시간을 없애야 한다. 한편, 사회적으로 야간노동이 반드시 필요한 산업분야에서도 야간노동의 업무의 하중을 줄이거나 야간노동시간을 줄여나가므로써 반드시 필요한 시간만을 야간노동시간으로 투여할 수 있도록 노동자의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2) 교대체계를 만들 때, 과도노동, 과도노동시간, 야간노동시간, 노동인력, 휴일수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교대스케쥴을 짤 때, 주간노동과 야간노동시의 노동강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1) 안정옥. 2002, 「현대 미국에서 “노동시간을 둘러싼 투쟁”과 소비적 현대성: 노동, 시간과 일상생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필자 강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4 인도 뭄바이 세계사회포럼보고 - 노동자건강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2004 인도 뭄바이 세계사회포럼보고 - 노동자건강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한노정연, 한노보연, 노힘 손미아


사회포럼장의 간략 스케치: 사회주의는 무엇인가?


뭄바이 사회포럼은 인도, 남아시아, 남미 등의 각 비정부조직(NGO), 지역공동체, 운동단체들의 총화로 약 8만-10만이 모인 큰 행사였다. 16일 행사가 시작된 첫날부터 행사장인 뭄바이 과학센터에는 각 지역에서 모인 사람들이 각자의 삶의 터전에서 즐기던 놀이문화를 보여주면서 매우 흥겨워했다. 아,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는 것이었구나! 이게 첫 느낌이었다. 이 포럼에 모인 수 많은 단체들, 수많은 공동체들에서 주장하는 인간의 활동을 보면서 운동! 이것을 고민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사회포럼의 한계는 많이 있었다. 포럼기간동안 내내 ‘이 모든 집단들에서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는 모든 형태의 운동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겠는가? 이 포럼의 모토인 또 다른 사회가 가능하다 (Another world is possible!)에서 또 다른 사회라는 것을 도대체 어떻게 그리고 있는 것인가?, 사회주의에 대한 상을 어떻게 잡아나가야 하는 가?’가 주된 고민으로 다가왔다.


맑스주의운동은 과연 어떻게 발전되어야 하는가? 이 포럼에서 주로 느껴지는 분위기는 남아시아에서 다양하게 결합된 운동의 경험들, 맑스주의, 마오주의, 인도의 간디즘 등이 결합된 형태같았다. 운동의 주체가 누구인지 어떤 것이 이슈인지 이런 것들과 관련해서 다양한 주최와 다양한 견해와 다양한 상들이 그려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러한 양상은 각종 세미나에서 각종 결의문에서도 드러났다. 예를들면, Socialism Today에서 각국의 공산당 간부들이 나와서 사회주의는 만들어져야한다 내지는 사회주의는 필요하다라는 주장을 했지만, 정작 사회주의에 대한 구체적인 상을 그리지는 못하고 있었다. 현재의 사회속에서 사회주의의 상을 그리는 것이 쉽지는 않으므로, 발제의 내용도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쿠바나 중국 베트남 등 현 공산당체제하의 발제자들은 그들 나라에서 현재 하고 있는 “사회주의”를 소개하고 설명을 하고 들어갔는데, 아무도 현재의 중국이 사회주의를 대표한다고 말하지 않고, 아무도 현재의 중국의 자본주의를 사회주의 경제개혁이라고 부르지 않겠건만, 이들 공산당 대표들은 그들 나라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사회주의로 소개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배운점은 사회주의 거대담론을 구성해서 추상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사회주의에 대한 상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노동과 건강세미나 활동보고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세계사회포럼에 노동자의 건강관련 세미나를 참석하고 돌아왔다. 노동자 건강관련해서 참가한 세미나는 총 세 개였다.


첫세미나는 1월 19일 오전 9-12시 사이에 열린 것으로 포럼제목은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Fundamental Right of Workers”였고, 주최자는 Centre for Education and Communication였다. 참가인원은 약 200명정도 였다. 이 세미나에서는 산업보건의 문제, 즉 노동자의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최근 아시아지역, 즉 인도, 재미중국동포, 필리핀, 한국, 타이완, 인도주변국가 등에서 석면, 실리카(규소), 화학물질, 등이 진폐증, 석면폐증, 폐질환 및 직업병을 유발하는 사례등을 폭로하고, 산업재해의 증대와 산업재해가 보상받지 못하는 문제등을 논의하였다. 주로 인도지역에서 온 발제자들은 건축과정에서 석면에의 폭로로 인한 석면폐증, 유리세공과정에서 돌가루의 흡입에 의한 규폐증, 화학물질에 폭로로 인한 직업병, 산업재해의 증가경향을 폭로하였다. 주로 인도주변국가들은 최근 산업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인한 중금속과 유기용제등의 유해물질들에의 폭로의 심각성을 폭로했다. 한편, 재미중국동포들의 단체 (Chinese staff and workers' association)에서 온 한 활동가는 미국에서 전지구화와 노동자건강의 문제를 이야기했다. 타이완에서 온 단체상근 의사는 재해발생시에 보상이 안되는 문제와 재해보고가 안되는 문제등을 거론했다. 한국에서 온 발제자 (손미아)는 경제위기의 시기에 노동강도와 노동자의 건강장해의 문제를 자동차공장, 조선제조공장, 철도, 금속산업체들을 중심으로 발제를 하였고, 한국에서 노동강도강화에 맞서서 싸운 대우조선 노동자들의 사례를 보고했고, 그이후에 금속산업체들에서 노동강도강화에 대항하여 노동자 주도로 노동과정을 재편한 사례 (두원정공)등을 소개하면서 국제적 연대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전체적인 세미나의 주된 기조는 현재 노동자 건강문제를 폭로하고, 노동자 건강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산업안전보건문제가 노동자의 기본적인 권리임을 천명하면서 기본적인 노동자권리를 위해서 노동자들이 나서서 싸울 것을 제안하면서 이를 위해 국제적 연대를 만들 것을 주창한 세미나였다. 특이한 것은 인도나 아시아 남쪽 나라들에서는 노동자 건강문제가 주로 석면, 규소, 유기용제 등 눈에보이는 위해물질을 중심으로 문제제기되고 있어서 그 나라의 산업의 발전정도에 따라 유해물질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노동자건강부분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인도, 필리핀, 타이완 등지에서는 국제적 연대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었다. 한노보연/노힘/한노정연에서는 이미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을 남아시아의 나라들과 공유하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서로 공유해 나가도록 하면 좋겠다고 느꼈다. 이 세미나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노동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연구자체는 아직 미진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노동자의 힘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부분 동의를 하고 있었고, 국제적 연대의 틀을 만들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들이 있었다. 국제적 연대의 넷웍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참석했던 한국의 발제자도 이러한 분위기에 고무되어서 노동의 소외, 노동강도의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해방을 위한 국제적 연대의 틀을 만들 것을 주장하였다. 세미나의 끝부분에는 어떻게 국제적 연대의 틀을 만들것인가?가 주로 논의되었다. 주최측은 참가자 모두에게 메일주소을 받았고, 국제적 연대의 틀의 내용은 노동과정에서 발생되는 건강문제를 모두 포괄하자는 제기도 있었고, 추후 국제연대를 구성해서 서로 회람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동의를 하고 세미나는 12시 반쯤 막을 내렸다. 보건의료와 관련해서 국제적 연대의 가능성이 보인 하루였다.


두 번째 세미나는 1월 19일 오후 1-4시사이에 여린 “Poverty or inequities? Inequities! That is the question”였다 (주최는 스위스의 Graduat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참가인원은 약 50명정도이었으며, 주로 유럽쪽과 인도에서 참여하였다. 이 세미나에서는 가난과 불평등의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문제제기하면서 가난의 문제와 불평등의 문제가 서로 떨어진 문제가 아님을 강조하였다. 가난과 불평등의 해결방법에 관해서 Jean-Michel Servet 교수는 가난과 불평등의 문제를 미시재정(microfinance)의 문제로 해결하려는 경향 (즉, 지역사회의 재원확보나 재정보조등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시도들)을 비판하고, 문제를 인식한 집단의 조직화와 주체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 세미나는 주로 학자들이 중심이 된 세미나이었고 철학적이고 추상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내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불평등의 문제를 제기하는 학자들이 주로 불평등의 존재 자체를 제시하거나, (건강)불평등문제를 국가정책(공공복리정책(공리주의, 벤덤), 자유주의정책 (자유주의자의 견해), 공평성의 획득(egalitarianism(최근유럽의 견해))등으로 해결하려는 점에 비해서 (소외된)집단에서 스스로 자각을 하고 조직화를 통해서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은 매우 신선한 것이었다. 특히 이 포럼에 참가한 대부분이 NGO에서 참가하고 있음을 볼 때, 이들 주체측의 주장은 결국 소외된 집단에서의 조직화와 단결이 가장 중요한 문제임을 주장한 것이어서 기존의 여러 학자들의 논문속에 쓰여져 있는 불평등문제를 현실로, 현실의 투쟁의 장으로 끌어오려고 노력하는 집단이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세미나는 향후 (건강)불평등의 주제를 단지 수량적, 또는 존재자체를 제시하는 차원이나 국가정책에서 무언가를 바라는 태도에서 벗어나, 소외된 집단의 조직화와 연결시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을 세우는 중요한 근거를 제시해주고 있는 점이 배울만한 점이었다. 향후,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가지고, 조직화와 투쟁의 근거를 만들기위한 노력을 한국에서도 해야할 것이다.


세 번째 세미나는 1월 20일 오후 1-4시사이에 열린 “Globalisation, neoliberalism, work intensity and workers' struggle against intensified work in Asia”였다. 이 세미나는 한노보연 (Korean Institute of Labour Study and Health)주관으로 이루어진 세미나였다. 참가인원은 약 15명이었다. 이 세미나는 신자유주의와 전지구화에 따른 노동강도의 증가경향과 노동강도강화에 맞서서 싸우고 있는 아시아 지역의 상황을 공유하고자 한 것이었는데, 의외로 남아시아 각 지역의 노동조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활동가들이 관심을 갖고 이 세미나를 찾아주었다.


이 세미나의 주된 발제는 한국의 손미아가 자동차, 조선, 철도, 금속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경제위기이후에 노동강도심화현상을 발제하였고, 이러한 노동강도강화에 맞서서 투쟁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노동강도강화에 맞서서 노동자들의 조직화와 투쟁, 그리고 국제적 연대가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이어서 각국의 노동조합센터에서 산업보건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에 대해서 각각 발표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말레이시아에서 온 노총 서기장은 최근 노총에서 산업보건문제를 의제로 삼아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고 이야기했고, 필리핀에서 온 Raquel은 필리핀에서 노동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동조합과 노동자들의 노력, 그리고 정부와의 갈등을 문제제기하였다. 인도네시아의 Aghni는 특히 여성문제와 직업적 스트레스 문제를 제기하였다. 몽고에서 온 Damdinjavin는 한국과 일부 연대를 하고 있다고 하였다. 솔로몬에서 온 Barry는 노동조합에는 모든 종류의 산업체가 같이 들어가 있으며, 매우 작은 나라임을 이야기하였다. 인도의 Neeraj 는 특히 한국의 노동강도강화에 대해서 관심을 표명하면서, 몇 번 노동강도관련헤서 나온 한국의 글을 인용하여 책을 썼다고 하였다. 인도에서도 그러한 경향이 보이고 있다며, 인도의 노동강도강화문제에 관심이 많다고 하였고, 향후 자료를 부탁하였다.


이러한 토론의 과정을 거친후에, 서로 메일주소를 주고받고, 메일링 리스트를 만들어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의식을 공유해나가자는 제안을 하였고, 이 제안에 모두 찬성하였다. 세미나가 끝난 이후에 모인사람들이 얼마 되지는 않으나, 남아시아의 각 나라에서 노동자조직의 핵심에 있는 사람들이 주로 모여서 밀도있는 논의가 되었으며, 향후 이들과 함께, 각 나라의 문제를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점에서 이 세미나는 성과가 있었다고 본다.


노동강도와 건강문제를 세미나로 제기했을 때, 역시 가장 관심있게 찾아온 사람들은 각 노동조합 총연맹등에서 활동을 하는 노동활동가들이었다. 향후 남아시아에서도 노동강도강화의 문제가 더욱 문제가 될 위험이 있음을 이야기해주는 것이 아닐까? 이 세미나를 통해서 남아시아와 국제적 연대의 틀을 마련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 노동관련세미나에 참석한 단체와 참가자들 명단 (혹시 서로 연락을 취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소개합니다.)


1. “Globalisation, neoliberalism, work intensity and workers' struggle against intensified work in Asia”에 참가한 토론자들


Damdinjavin NARMANDAKH: Vice-president, Confederation of Mongolian Trade Unions, E-MAIL: cmtu@mongol.net 


Aghni Dhamayanti, Woman Committee, Central Board, Indonesian metal workers' union, E-MAIL:


Raquel DC Arpojia, Executive director, Federation of free workers, philippines, E-MAIL: rdarpojia@edsamail.com.ph


Kumar. general secretary of Labour Union, E-MAIL: kumarceupm@yahoo.com


Neeraj JAIN, INDIA, E-MAIL: neerajjain_61@yahoo.co.in   


2.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Fundamental Right of Workers” 주최자들


Pranjal Jyoti Goswami, Programme Officer, OSH and HIV/AIDS, Centre for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mail  =150pt 


3. “Poverty or inequities? Inequities! That is the question” 주최자들 및 토론자들


Dr Pascal van Griethuysen, GRADUAT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Geneva, SWITZERLAND), E-MAIL: Pascal.VanGriethuysen@iued.unige.ch


Jean-Michel Servet, GRADUAT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Geneva, SWITZERLAND), E-MAIL: Jean-Michel.Servet@iued.unige.ch


Eric Adja, Development Innovations and Networks, Geneva, SWITZERLAND, e-maiL: eric.adja@ired.or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철도 교대체계의 원칙에 대하여

 

철도 교대체계의 원칙에 대하여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손미아



1. 철도(화물열차, 승객열차, 통근열차):


- 교대근무와 교대근무사이에 최소한 8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근무시간이 최소한 11:59분까지여야 한다. 휴식이 있는 교대길이는 최대한 4시간으로 한다. 화물열차는 주로 밤에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 승객열차는 계속 깨어 있어야 하며, 여행동안에 활동적이어야 함을 감안.


2. 일단 교대제의 근무개선을 위한 원칙들을 다시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야간 노동일(시간)을 줄이는 것이지만, 총 노동시간, 총 야간노동시간을 줄이는 방안으로 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근의 정세상 노동인력을 늘리는 방향(특히 정규직 인원을 확보하는 것)으로 가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일단 인원을 확보하면, 현재보다는 야간노동시간이 줄어들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대원칙하에서 어떠한 방식을 채택하는 가는 노동자들의 요구도에 달렸다고 봅니다.


3. 8시간과 12시간 교대제에 대한 제안


항목

8시간 교대제

12시간 교대제

1.연속적인 야간근무일수

-최대 2-4일(BEST지), 또는 2-3일(KUND)이상되면 안된다.

-장시간 근무를 하므로 휴식시간도 더 길어야 한다. 그러므로 연속적인 야간노동일수는 더 적어야 한다.

(2-3일, 또는 1-2일)

2.연속적인 오후교대근무

-사회생활을 원할히 하기위해서 연속적인 오후교대를 오랜기간해서는 안된다.

-장시간근무는 매우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므로, 휴식시간이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교대주기가 짧아야 한다.

3.연속적인 오후근무와 야간근무일수

-오후교대와 야간교대를 모두 포함한 기간이 4일이상 연속되어서는 안된다.

-오후교대와 야간교대기간이 더 짧아야 한다.

4.연속적인 노동일수

-연속적인 노동일수가 6,7-8일이상되어서는 안된다.

-연속적인 노동일수가 더 적어야 한다.

5.연속적인 노동일사이에는 48시간의 휴일

-최소한 2일 연속적인 휴일이 보장되어야 한다.

-휴일이 더 길어야 한다.

6.연속적인 밤근무후의 휴식기간

-밤근무 끝난 후의 휴식기간은 얼마나 야간에 수면장해가 오는 가에 따라 달려있다.

-47시간으로 보통 알려져 있다.

-수면장해가 오지 않도록 휴식기간을 설정해야한다.



==> 미국에서 나온 문헌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이것을 응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을 3교대제(8시간교대, 예 4조 3교대 등), 12시간 2교대((예)3조 2교대등) 24시간교대제의 고수 등에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현재의 교대제에서 24시간 1일 맞교대근무를 8시간 3교대체계나 12시간 2교대체계로 바꾸려면, 현재의 인원으로는 안되고, 인원을 늘려서 교대근무사이에 휴식일을 증대시키는 것을 관철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만약 8시간 3교대로 한다면 4조나 5조 3교대로 교대근무일정을 짜면서 휴식기간의 증대와 노동시간의 단축 및 인력보강을 해야하고요, 12시간 교대제로 한다고 하더라도 아마 3조 2교대, 4조 2교대 등을 도입하여 인력보강, 노동시간감축, 휴식시간증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될 것 같습니다. 먄약 현재의 24시간 교대체계를 유지하시려면, 1조를 더 만들거나 하여 하루 24시간 근무하고, 2일을 쉬어야 합니다..



4. 노동자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교대제근무개선체계를 만들기 위한 질문사항들입니다. 단협안을 만들기전에 일단 이것을 가지고 노동자의 요구도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1) 노동자의 요구도 파악을 위한 질문들 (기관사에 대한 질문)


① 한 스케쥴에 며칠이 포함되어 있습니까?

② 어떤 업무를 해야합니까? 업무의 내용이 무엇입니까?

③ 몇 번의 근무동안 “나뉜교대근무”입니까? (교대근무기간동안 2시간이상 잠을 자야하는 경우)

④ 12-13시간이상 근무하는 노동시간을 가진 업무들은 몇번이나 됩니까?

⑤ 한 스케줄표에서 며칠동안  “나뉜교대근무”를 합니까?

⑥ 한 스케줄표에서 며칠동안  “밤근무”를 합니까?

⑦ 1주동안 며칠동안 “나뉜교대근무”를 합니까?

⑧ “나뉜교대근무”는 몇 %입니까?

⑨ 업무길이의 표준편차는?

⑩ 업무의 모든 세세한 내용을 적어보세요.

⑪ 하루에 임금노동을 한 시간이 시간입니까?

⑫ 하루에 부기관사로 임금노동을 한 시간이 몇시간입니까?

⑬ 전체 업무스케쥴에서 1인승무를 한 시간이 몇시간입니까?

⑭ 기관사일을 하실 때 전체 업무스케줄에서 대기시간은 얼마나 됩니까? (임금받는 대기시간, 임금 받지 않는 대기시간)

⑮ 얼마나 긴시간동안 연속적인 휴가일입니까?

⑯ 업무의 시작시간이 한시간에 3회이상 축적되는 시기가 있습니까?

⑰ 업무의 끝나는 시점에서 한시간에 3회이상 축적되는 시기가 있습니까?

5. 교대제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일반적인 해결방법의 예


1. 우선순위의 결정


우선순위가 결정되어야 한다. 무엇이 가장 큰 문제가 되는가? 야간노동인가? 연령이 문제인가? 가정생활이 문제인가? 등등


2. 무엇이 교정되어야 하는가? 4가지 기준


기준 1: 정상적인 스케쥴을 따라잡지 못할 때.. 즉 노동자의 수가 충분하지 못하여 과잉노동없이는 예상업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없을 때, 노동자들은 과로노동을 하게된다. 이에 더하여 주중 휴식일이 계획되지 않으면 피로는 누적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주당 노동시간, 노동력의 크기, 노동자의 다기능, 주간교대동안의 업무할당, 스케쥴을 위한 업무할당 등이 주로 고려되어야 한다. 


기준 2: 수면장애와 피로도를 고려해야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야간노동의 스트레스로부터 오는 문제, 확장된 교대제의 효과를 줄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기준 3: 교대제가 연령과 연관됭 건강악화를 촉진시키는 문제를 고려해야한다.


기준 4: 계획표가 노동자의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저하시키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3. 업무스케쥴 짤 때 고려할 기준점(미국 석유공장 노동자를 중심으로)


1) 00:00-06:00사이의 일을 최소화한다. 이 시기에 노동강도를 최대로 줄인다.

2) 노동자들로 하여금 교대제에 폭로되는 기간을 줄인다. 1년중 전체의 기간을 교대근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3) 밤근무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단한개의 좋은”해결방법은 없다. 여러 가지 방법들을 조합하고, 같이 모색해야 할 것이다.

4) 노동자들이 돈이 아니라 시간을 보상받아야 된다는 것을 고려해라.

5) 새로운 업무스케쥴을 짤때, 노동인력, 개인의 특징, 실제 일의 내용(일의 성격, 작업조건, 각 부서간, 부서내 다양성)을 고려해라

6) 시간관리와 팀웍, 개인적인 관리, 업무량등을 고립되게 고려해서는 안된다, 같이 고려해야한다.

7) 어떤 교대제이든지 장단점이 있다는 것을 항상 고려해라

9) 한쪽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면 다른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고려해라



모든 해결책은 그러므로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해서 나오는 것이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 노동자의 의견이다.


1) 현재의 업무 스케쥴을 검토하기

2) 모든 현장의 노동자들이 이 교대제 개선에 참여해야한다.

3) 교대제의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해서 현장 노동자들에게 설명해라

4) 안전, 건강, 육체적 회복력에 대해서 최소한의 기준을 파악하라. 가장 좋은 것은 노동자의 우선순위에 맞추어서 선택을 하는 것이다.

5) 노동조건과 개인적인 요구를 검토하라.


4. 새롭게 업무스케쥴을 짤 때 고려해야 할 문제들


1) 23개의 지침참조 (뒤에 수록함)

2) 휴식기간과 졸음기간: 피로도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밤근무길이, 낮근무동안의 심한 육체적 하중, 자발적인 휴식기간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휴식시간의 길이는 현장노동자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3) 짧은 교대주기이냐? 긴 교대주기이냐? 최근에은 장기간의 교대주기보다는 짧은 교대주기를 선호하고 있다. 장기간의 교대주기의 경우 완전하게 다시 밤근무에 적응했다가 다시 낮근무로 적응하는 물리적인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스케쥴은 짧은 교대주기를가지면서 교대휴식기를 확장하는 것이다. 

4) 노동자의 수를 조정하지않고서는 과량의 낮교대근무를 해소하기는 어렵다. 전통적으로 교대제 해결을 위해서는 밤근무의 하중을 줄이고, 낮교대근무때 업무를 더 많이 하게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5. 23개의 권장안 검토


권고1.1 주당노동시간의 길이: 프랑스에서는 교대근무노동자들이 주당 35시간 일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캐나다 쾌백에서는 37.1/2시간 (54일 낮근무 교대제 끝에 3일간의 휴식을 취하는 것)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장단점을 살펴본다.

조건

장점

단점

1. 최소한 주당 42시간

-고임금

-회사입장: 비용감소로 인한 높은 이윤

-노동자들에게 교대근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노출됨

-과도노동비용

2. 주당 37.1/2시간

-노동자들은 매 두달마다 장시간의 휴식기(9일)를 가질수 있다.

-회사는 신입노동자에게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을 선호함

-새로운 노동력비용

3. 주당 35시간

-교대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덜 폭로됨. 노동주의 기간이 줄어들거나, 8주가 아닌 매 6주마다 9일간의 휴식일을 확보할 수 있다.

-새로운 노동력비용

-노동자들: 저임금
























권고1.2 고정밤(또는 낮)근무이냐? 교대근무냐?

조건

장점

단점

1.영구적인 낮근무이거나 밤근무

-낮근무노동자에게는 이상적이나, 밤근무노동자에게는 장점이 전혀없다. 왜냐하면, 신체는 완전히 야간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밤근무에 적은 수의 노동자할당

-낮은 노동력비용(회사입장)

-개인생활조직이 쉽다.

-밤근무로 인한 스트레스에 영구적으로 폭로됨.

-밤근무노동자들이 사회적 전문적인 격리

-만선수면질환증대, 밤근무노동자들의 각성도저하, 불건강상태증가, 노동자의 책임감감소

2.교대근무

 

-많은 사람에게 밤근무의 부정적안 효과가 분포되는 경향이 있으나, 개인의 강도는 적어짐.

-수면,가정생활,여가생활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다.

-짧은교대주기를 한다면, 생체주기의 재조정과정으로 인한 건강과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밤근무와 교대근무를 하는 노동자수가 증대함

-스케쥴변동으로 개인적인 생활을 조직하기 어렵다.

-장시간의 교대제가 채택된다면, 순환과 비순환과정모두 불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높은 노동력비용

3.두개의 결함: 1년중 일부는 낮교대근무, 나너지는 밤교대근무

-고정낮근무자에게는 이상적임

-순환교대제의 장점: 2번의 장점

-순환교대근무의 단점: 2번의 단점

-높은 노동력비용

4.일부 고령의 노동자들은 주간근무만 하고, 나머지는 교대근무를 하는 체제

-교대근무의 연령을 고려하게 됨.

-장점: 1번(고정주간), 2번(교대근무자)

-단점: 밤근무단점(1번), 교대순환의 단점(2번)

-높은 노동력비용
















권고1.3 교대주기, 순환체계

조건

(D:DAY, O:OFF, N:NIGHT)

(f-s-s: Fri-Sat-Sun, m-t:Mon-Tue, w-t:Wed-Thurs)

장점

단점

1. 2일간의 교대제

(DD OO DD OO NN OO NN OO)

-수면장해가 감소함

-생체주기의 재구성으로 인한 문제가 감소함

-짧은 교대주기로 인하여 개인생활유지하기 어려움, 가정생활의 파괴

-생산이 끊기는 문제

2. 2일간의 교대제, 밤근무사이의 긴주기

(DD OO NN OO DD OO NN OO)

-휴식-일주기가 정상적인 생체주기를 따름

-가정생활파괴

3. 한주를 3부분으로 나누어서 (3-2-2)근무

DDD OO NN OOO DD OO

(fss  mt  wt  fss  mt  wt)

-자유로운 주말이 더 많다. 정상적인 주중근무상태로 느낄수 있다

-금-토-일 밤근무후에 2일간만 휴식일이 됨.

-주중 휴식시간이 적다.

4. 주간근무후 2일 휴일, 야간근무후 4일 휴일

DDD OO NNN OOOO DDD OO NNN OOOO

-휴식이 더 잘됨

-팀간 소통이 잘됨

-현재체계가 없어짐

5. 24일 주기에서 6일동안 밤근무를 집중함

NNNNNNOOOOOODDDOOODDDOOO

-18일동안 야간근무가 없다.

-자유시간이용이 증가함.

-사회,가정생활을 잘 조직할 수 있다.

-밤근무끝에 수면부족이 측적됨.

-건강위해가 증가함.

-생체주기가 부분적으로만 회복됨.












권고1.4 주말: 자유로운 주말의 수, 금-토-일 교대

조건

(D:DAY, O:OFF, N:NIGHT)

(f-s-s: Fri-Sat-Sun, m-t:Mon-Tue, w-t:Wed-Thurs)

장점

단점

1.교대주기의 변형: 한주를 3부분(3-2-2)로 나누고, 노동일, 주간비번의 변형

DDD OO NNN  (fss mt wt)

OOO DD OO   (fss mt wt)

NNN OO DD   (fss mt wt)

OOO NN OO   (fss mt wt)

-더 자유로운 주말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정상적인 주를 살아가는 느낌이 듬

-금-토-일 밤근무이후나 이전에 2일간의 휴식

-주중에 더 적은 휴식시간

2.주말교대팀을 3밤근무(fss)와 2일주간근무 (ss)를 포함해서 영구화함

-교대제노동자들의 많은 수가 주말노동의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로와짐

-금-토-일동안 더 자유로운시간

-사회적 가정생활의 요구도에 따라, 노인의 요구도에 따라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다.

-두집단사이에 접촉의 한계가 있다.

-금-토-일 노동자들이 그들의 일과 생활에서 주변화됨.

-결근을 관리하기어렵다.

-주중에 두 번째 직장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금-토-일의 피로와 일의 하중이 가중됨.

















권고1.5 교대 시작과 끝나는 시간

조건

장점

단점

1.조기:06:00-18:00

-낮교대근무:저녁에 가족이나 사회생활을 더 많이 함.

-밤교대: 일찍 마치므로 하루수면이 만족할 수 있다.

-노동자들이 일찍 깨어야 함(새벽 04:30분)

-낮교대근무자들도 밤교대처럼 영향을 받는다. 04:00 dip in biological rhythms.

2.늦은교대: 

07:00-19:00, 07:30-19:30, 08:00-20:00

-주간교대근무자에게는 진정 주간교대를 할 수 있게됨.

-주간교대:저녁에 가족,사회생활이 어려움

-밤근무:낮동안수면에 들어가는 시간이 늦어짐.

3. 짧은 밤근무시간, 긴 낮근무시간

 

 

4. EXTENDED SHIFT RELIEF

 

 





















권고1.6 낮과 밤근무의 기간

조건

장점

단점

1. 24시간을 2교대주기이상으로 나누는것: 12시간 주간, 6시간 저녁, 6시간 밤근무

-야간교대기간이 줄어듬

-00:00-06:00사이의 일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폭로된 노동자들의 빈도가 감소함.

-출퇴근시간이 증가

-자유시간간격이 감소

-3*8교대제의 몇가지단점을 포함함.

2. 10시간 주간, 14시간 야간교대

-주간교대가 짧아지고, 교대노동자들이 더 스트레스를 느낌.

-피로의 원천이 되는 밤근무가 길어짐

-밤근무노동자들의 수면과 회복시간이 감소됨

3. 14시간 주간, 10시간 야간교대

-수면, 건강, 가정생활문제의 주범인 밤교대근무가 짧아짐.

-주간교대가 길어짐-주간교대근무자의 사회,가정생활이 희생됨.























권고1.9 Number of teams (shift crews)

조건

장점

단점

1. 4팀

-없다

-주당 168시간을 오직 4팀이 작업하므로 과도노동에 대한 해소가 안된다.

-결근, 주간비번등에 인원대체를 해야하므로 과도노동이 더 심해짐.

2. 5팀

-주당노동시간을 37,1/2로 할 수 있다.

-영구적으로 순환교대체계를 만들 수 있다.

-낮동안에 비번없이 회의등에 참석하기 어렵다.

-인원대체를 유지하기 어렵다.

3. 6,7,8팀,

-주간교대근무수가 증가함.

-야간근무수가 감소함.

-노동자들이 다른 업무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정상시간에 회의를 할 수 있어 결합력이 증가함.

-결근이 감소함.

-더 많은 낮동안의 휴일과 방학기간이 가능함.

-밤을 새는 근무를 피할 수 있다(고령자의 경우)

-더 많은 사람들이 야간근무에 노출이 됨.

-야간교대근무자의 하중이 증대함.

-더 복잡한 스케쥴을 갖게됨.

-낮동안에 흥미있고 보상받을만한 업무를 가지고 업무를 진행하기 어렵다.

-교대제로 인한 장점(조기퇴직, 임금)이 사라질 수 있다.



















권고 2.1 Inter shift interval

조건

장점

단점

1. 짧은 교대제사이간격 (12시간이내)

-밤근무를 연속적으로 수행한 후에 휴식이 허용됨, 이러한 휴식기는 생활습관, 이완, 여행 및 다른 활동의 변화를 가져와 정상생활로 돌아가게 함.

-교대근무사이에 휴식시간의 감소로 회복이 불가능하고 피로가 축적된다. 사회,가정생활의 장애

2. 16시간이상의 교대제사이간격

-더 회복의 기회증대, 피로가 덜 축적됨, 수면부족이 줄어듬.

-가정, 사회, 여가생활이 분절화 됨(fragmented).

3. 22:00-06:00사이에 밤휴식시간이 없는 24시간 주기

-계획을 세우고 관리하기 쉽다.

-수면과 건강에 좋지않은 결과를 가져옴.

4. 22:00-06:00사이에 밤휴식시간이 있는 24시간 주기

-수면과 건강을 위해서, 22:00-06:00사이에 최소한 한번의 휴식시간이 있어야 한다.

-a fragmented life를 느낌

5. 최대로 가능한 주말휴식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이 촉진됨.

-더 복잡한 계획

6. 교대노동자에게 6주연속의 연간휴식기

-교재제로 인해서 파괴된 생체기능이 회복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 보장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보고중 일부:

국가인권위보고중 일부: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 보장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2003년도-2004년도 연구팀일동 

 

Ⅰ. 비정규직 노동자의 실업 - 취업 반복의 악순환 해결 방안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는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과잉노동인구의 양산과 이들의 실업자군으로의 새로운 편재이며, 실업-취업의 반복 고리 속에서 노동자의 삶이 파괴되는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노동자들은 상대적 절대적 저임금, 노동조건악화와 노동강도 강화, 일생을 통한 고용불안, 노동자끼리의 경쟁구조로 인하여 점차로 노동력가치의 하락과 재생산구조의 파괴 및 삶의 파괴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등과 같이 비정규직 노동자등 불안정노동과 실업에 대한 사회적 안정망 등이 부족한 곳에서는 실업과 동시에 거리로 내몰리는 상황에서 물질적 빈곤과 건강의 황폐화 및 가족과 사회생활이 황폐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 구체적인 계기, 동기, 경로는 어디서부터인가? 왜 1998년도 경제위기이후 비정규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는가? 그 고리는? 구체적인 경로는?  왜 특히 우리나라에선 비정규직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는가? 지금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의 확대는 국가와 기업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는 ‘노동력 유연화’정책으로 인한 것이다 (한노정연 등, 구조조정과 현장통제전략 1999). 비정규직 노동가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배경에는 법적 제도적 근거들, 즉 정리해고제, 근로자파견제, 변형근로시간제들이 기업들의 입장에서 볼 때 노동력의 유연화를 완성하기위한 필수적인 요구였다. 

경제위기이후 비정규직 확산의 경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로로 분류해볼 수 있다 (한노정연 등, 구조조정과 현장통제전략 1999). 첫째: 비정규직 확대경로로써 가장 흔한 것이 구조조정을 명분으로 하여 정규직을 비정규직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이다. 정규직을 해고하고 그 사람을 비정규직으로 다시 채용하거나 계약서만 비정규직으로 바꾸는 경우이다. 둘째: 워크아웃(분사 및 소사장제 도입)과 외주하청 및 용역화이다.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이 기업의 비용절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일반화된 형태가 분사(한공정을 분리시키는것), 소사장제(공정마다 사장을 두어 독립채산방식으로 운영하게 하는 것)을 통하여 기존의 정규직 노동자들이 하루아침에 사외하청 혹은 사내하청노동자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규모 제조업체의 경우, 용역직을 고용하고 있는데, 용역, 외주하청을 통해서 비정규직 노동자를 급격하게 증대시키고 있다. 셋째: 비정규직으로 결원을 보충하거나 인턴사원제를 도입함으로써 비정규직 노동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넷째: 작업장 내부의 구조재편을 통한 인원축소 및 비정규직 확대이다. 제조업체의 대부분 사업장에서는 작업장내부의 체계를 재편하면서 인력축소를 해오고 있는데, 이러한 정규직의 감소는 비정규직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자동차산업에서의 모듈화와 플랫폼 통합, 노동강도강화로 여유인원줄이기, 신차종개발로 인한 라인변경, 조직축소와 통폐합, 아웃소싱, 공공부문의 민영화(공공부문에서는 사업본부제, 소사장제와 민간경영위탁등으로 민영화의 절차를 밟아가고 있다.)등으로 대량의 정규직의 감소와 일부인원의 비정규직으로의 대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총괄요약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과 건강권확보를 위한 연구조사로써, 우선 비정규직의 유입-노동과정-유출경로를 통해서 불안정노동의 악순환고리가 무엇인가?를 대안마련을 위한 근거를 파악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유입경로에서 나타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 건강권 실태


우리나라에서 왜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이 악화된 채로 있게 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권과 건강권의 근본고리와 기전은 어디에 있는가? 이 연구조사에서 나타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시장에의 유입경로는 크게 3가지로 첫째, 1998년 경제위기이후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의 도입으로 각 사업장에는 정규직 노동자들을 채용하는 구조 자체를 없애버렸고, 노동자들은 할수없이 비정규직 노동자로 입사할 수 밖에 없었던 경우; 둘째, 1998년 경제위기이후 저임금 상태에 고통받는 일부 노동자들이 일시적으로나마 임금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비정규직으로 전환한 경우; 셋째, 저소득층 자녀들이 대다수의 산업예비군을 형성하면서 이들이 갈곳이 없어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취업을 하게 된 경우이다. 결국 한국사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수의 증가는 사회구조적으로 강요되고 강제된 비자발적인 과정이었다. 특이할 만한 것은 이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1년중 또는 일생을 통하여 수없이 많은 빈도를 거쳐서 직종과 사업장을 바꾸어가면서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는 구조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취업과 실업의 반복구조는 특히 98년 경제위기이후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이전에는 일정한 산업예비군이 실업자군을 형성하고 있었다면, 이제는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기 때문에 1년을 평균적으로 보아 취업되어있는 기간이 노동력을 재생산하고 생활을 유지해 나가야 하는 기간보다 작아 총체적인 저임금구조와 취업되어 있는 기간동안의 노동강도의 강화, 실업과정에서의 고용불안정의 심화를 겪게 되었다 (그림 7-1참조).

        [그림 7-1]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시장에의 유입기전: 취업과 실업의 반복고리

가. 노동법에 의해 법적노동자로 인정이 되지 못하는 비정규직 노동자: 파견노동자와 계약직노동자

1) 노동계약서를 쓰지 못하는 파견 노동자: 현행 파견법1)의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현재 대부분의 파견직의 비정규직 노동자가 노동시장에 들어올 때 가장 처음 겪는 것은 파견 노동자와 사용사업주간에 ‘노동계약서’를 쓰지 못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법적인 노동자‘로 인정되지 못한다는 것이다2).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겐 ’노동계약서‘에 의거한 합법적이고 형식적인 노동자의 권리마저 보장받고 있지 못하는 것이다. 현재 이 사회의 사업주들은 비정규직노동자들을 노동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파견형태로 고용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작업장에서 원청(사용)사업주의 통제와 관리하에서 노동을 해야하지만, 노동의 댓가로 받는 임금은 하청(파견)사업주에 의해서 받아야 하는 이중의 고용구조3)하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존 정규직 노동자의 절반의 임금구조가 성립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정규직 파견 노동자의 임금은 사용사업주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직 하청(파견)사업주의 손에 의해서만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최대의 노동강도보다도 두배 세배이상으로 일을 해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노동계약서에 의한 임금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임금을 주는 것이 사업주들의 입장에서 보면 당연한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그들의 입장에서 볼 때도 정규직 노동자들의 1/2의 임금을 받고 사니 현 사회에서 법적으로도 정당하게 인정된 노동자도 아니다. 어디서부터 문제가 생겼는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동계약서”를 쓰지도 못하는 상태가 된 것은 특히 “파견근로”의 확산이후 더 확대되고 있다. 1998년 7월 1일 파견법4)(소위 “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이 도입되면서 노동자들은 정식으로 법에 의하여 합법적인 보호를 받고 합법적인 계약에 의해서 고용되던 관계에서 이런 노사관계가 깨지게 됨에 따라, 기존의 노사관계에서의 정부와 자본이 힘의 우위를 차지하게 되고 노동자들의 힘이 급격하게 약화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2)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계약직노동자5)

한편,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노동자의 경우 계약기간이 끝나면 사용주가 노동법의 제약을 받지 않고 마음대로 해고를 할 수 있다6). 또한 노동자의 계약기간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사용주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사용하면서 인건비를 줄이는 비용절감효과와 열악한 근로조건과 노동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노동자를 고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동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 경우에도 저임금과 고용불안을 인한 자발적이면서도 강제적인 노동강도강화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7).


나. 비정규직 노동자의 저임금구조의 악순환 고리

1) 절반의 임금, 그 시초는?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1998년 7월 1일 파견법(소위 “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이 등장한 이래 작업현장에 비정규직노동자의 양산이 본격화되었다. 바로 여기서부터 비정규직이 양산되었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 절반이 된 시초가 되었다. 불법파견구조가 똑같은 노동자를 동일한 노동현장에 투입시키고 임금을 절반으로 깍아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이제 한 공장에는 하청업주와 원청사업주라는 이중의 사업주가 있다. 원청사업주가 하청업체에게 낮은 금액으로 도급을 주고, 하청업주는 개별 비정규직 노동자에 매 작업시마다 임금을 결정해서 주는데, 이때 우선 작업반장과 기능공의 일당이 결정되고, 조공과 일반공은 그에 따라 60-70%의 수준에서 임금이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되는 임금은 통상적으로 정규직노동자에게 주었던 임금의 절반수준에서 결정된다.


<비정규직 임금구조: 이중의 착취구조, 불법파견에 의한 이중의 착취구조>

원청업체------------------(도급액의 삭감)---------------->하청업체

                         ⇑ (촉진요인: 원청의 도급해지, 재계약중단위협)

하청업체(협력업체)----(임금의 중간착취)------------->개별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절반의 임금

                         ⇑ (촉진요인: 고용불안조성)


우리나라의 불안정노동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저임금구조이다. 현 사회에서 사용주나 기업주가 불안정노동, 비정규직 노동자를 사용하게 되는 가장 큰 근거는 이 “저임금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 때문이다. 이 이중의 고용구조로 인한 저임금구조야말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을 정규직의 2/1 내지 1/3로 줄이게 되는 결정적인 것이 되고, 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간에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결국, 이러한 저임금구조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저임금구조뿐 아니라 장차 정규직 노동자의 임금도 감소시키는 바탕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저임금구조는 비정규직 노동자들로 하여금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생활을 강요하고, 카드빚이나 가계부채를 가지고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도록 강요한다. 대부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가족들은 거의 생활전선에 나가 있다. 본인은 물론, 부인과 자식들까지 모두 돈을 벌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가계소득을 모두 합쳐도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된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여수 건설 노동자의 경우, 저임금구조와 불안정한 고용기간으로 인한 상대적 생활임금의 저하에 시달리고 있었고,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생계형 가계부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생활임금의 실질적인 저하상태에 있는 노동자에게 아이들 교육이나 가족의 질병으로 인하여 교육비나 의료비등이 과도하게 지출되어야 할 경우에는 부채를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 이 저임금구조는 또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단결권과 단체행동권을 막는 하나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저임금구조이니, 생활이 안되고, 마땅하게 다른 곳으로 이동할 직장도 구하기 어렵다. 그러니, 가능하면 조용하게 있으면서 근근히 먹고살아가는 것에 만족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공장 울타리 밖에는 산업예비군들이 그들이 퇴출될 때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 이중의 착취(고용)구조: 중중하도급구조

비정규직 노동자의 원청과 하청사업주에 의한 이중의 고용구조는 최근들어 점점 노골화되고 있다. 임금계약은 하청업체와 하고, 작업장의 통제는 원청관리자에 의해서 통제를 받는 구조. 이러한 구조역시 비정규직 노동자의 존재근거의 부당성의 근본적인 원인이다8). 특히 건설이나 조선업종의 경우 중층의 하도급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중충하도급구조를 통해서 직접적인 임노동-고용관계가 회피되고, 간접고용형태를 띠면서 계약관계가 모호해져버리는 양상을 띠고 있다.

현 자본주의사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는 저임금구조와 고용불안에 의해서 강박적으로 노동강도를 높여서 잉여노동을 증대함으로써 잉여가치를 시키는데, 이렇게 형성된 잉여가치는 결국 원청사업주와 하청사업주가 모두 가져가는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원청사업주와 하청사업주에 의한 이중의 자본가에 의한 이중의 착취를 당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계약은 하청업주와 원청 사업주가 해놓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실제적인 통제는 원청사업주가 하며, 여기에 더하여 하청업주에 의한 첨가된 이중의 통제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중층의 하도급구조는 하청노동자의 잉여노동을 중층으로 줄서 있는 자본가들이 다 나누어서 가져가게 되므로 하청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 더 낮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중층의 하도급구조는 하청업끼리의 경쟁, 하청노동자끼리의 경쟁을 유발하고, 산업예비군을 상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중층하도급구조하에 들어오는 노동자들은 모든 악조건의 고용조건과 노동조건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조건이 된다. 이 자체가 노동통제의 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고용문제와 생존의 문제가 더 크기 때문에 노동환경이나 노동강도는 오히려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상황이 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겐 ‘아무리 힘들어도 좋다. 먹고 살 수 있는 일자리만 있어다오’하듯이 가장 절실한 문제는 고용과 생존의 문제인 것이다. 결국 근본적으로 고용불안 때문에 노동강도가 강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고용문제와 노동강도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라. 노동시장에서 선택적 제외

1) 채용시 신검에서 선택적 제외

채용시 신검제도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공장에 들어가는 문을 더욱 좁은 문으로 만들고 있다. 본 채용시 건강진단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면 ‘노동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질병자나 질병위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노동자’에게 미리 취업의 기회를 박탈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본래의 목적이 전도되어 있다. 이러한 채용시 신검제도는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취업의 문을 더욱 좁게 만들고 있으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자신의 질병력이나 재해력으로 인하여 재취업의 기회가 박탈될 것을 염려하여, 질병력과 재해력을 숨기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이렇게 채용시 건강진단이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권과 노동할 권리마저 침해한다면 이 제도는 바뀌어져야 한다.


마. 사업주에 의한 복지의 배제

우리나라에서 1인 이상의 사업장에 근무하는 모든 노동자는 사대보험에 가입되게 법으로 정해져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이러한 규정이 지켜지고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의 경로 속에서 실제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사회적 배제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특히 파견형식으로 사업장에 들어오게 된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임금을 포함한 모든 사회적 복지는 하청(파견)사업주의 책임하에 있다 (각주 4 참조). 파견사업주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기간의 비정규성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책임을 거의 회피하고 있다. 현재의 사대보험의 법제도상의 요건의 틈바구니를 하청(파견)사업주는 가장 잘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수건설 노동자의 경우를 예를 들면, 고용보험의 경우 ‘1월 미만  적용제외규적’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일용직 노동자가 적용에서 누락되어 있다. 또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의 경우에도 1개월 미만동안 고용되는 경우에는 직장가입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가입으로 되어 있다. 지역가입의 경우, 사업자부담금이 없기 때문에 지역에 소속된 비정규직 노동자는 직장가입자에 비해서 보험료를 더 납부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조선업종 노동자의 경우 비공식 하청에 해당하는 노동자의 경우 정식으로 근로계약을 맺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4대 보험으로부터 완전히 배제당하고 있다.



2. 노동과정: 노동강도 강화기전


가. 서론: 노동강도 강화와 건강악화의 기전

이 연구조사에서, 인터뷰의 결과,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자신들이 건강함을 자신하고 있었다. 그런데 실제 설문조사결과를 보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건강장해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장시간의 노동시간, 노동강도의 증가경향, 고용의 불안정성(이직횟수, 직업이동의 증대, 실업의 우려 등), 비정규직 노동자로써 느끼는 차별의식 등이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악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있어서 저임금구조가 가장 열악한 노동조건을 만들어내는 근본적인 요인이라면, 노동강도 강화는 가장 열악한 건강상태를 초래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이다. 이 보고서의 본문에서는 저임금과 고용불안이 자발적이고도 강제적인 노동강도 강화의 기제로 작용한다는 것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게 있어서 한마디로 노동강도란 ‘인간이 할수 있는 최대의 육체적 한계까지 일을 하는 단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규직 노동자와는 달리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있어서 노동강도 강화는 저임금과 고용불안의 노동조건에 밀려서 생계보다는 덜 급박한 문제처럼 여겨지기도 하고, 또 상대적으로 강도 높은 노동을 견뎌내야 하기에 건강이 최대의 무기가 되며, 이러한 경향은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상대적 건강노동자효과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의 수행동안에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건강이 안 좋아 보인다, 몸이 안 좋아 보인다’ 라는 말은 가장 듣기 싫은 말이라는 것이다. 몸뚱이 하나로 버텨온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몸이 아프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더 이상 살 가치가 없다고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몸이 아픈 것도 참고 일하고, 절대 몸이 아프다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자신의 노동력상품가치가 하락되는 것을 막아보고자 하는 처절한 몸부림이다. 실제, 노동과정에서 심한 노동강도로 인해서 조기퇴출된 노동자들은 거의 영구퇴출된 상태이다. 즉, 다른 업무를 하거나, 반실업의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강도 강화기전의 핵심은 무엇일까? 이 연구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의 근원인 저임금구조에서부터 시작하여, 저임금구조하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왜 노동밀도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없고, 장시간의 노동을 할 수 밖에 없는지, 그리고 왜 고용불안이 노동강도를 강화시키는 촉진제가 되는 가를 요약한다.


1) 노동강도 강화의 근원: 저임금구조의 필연적인 결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의 근원은 저임금구조이다. 저임금구조하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노동밀도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없고, 장시간의 노동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노동강도를 강화시키는 촉진요인은 고용불안이다.

어느 한 사업장에서 자본가는 말한다. ‘오늘까지 차를 다 만들어내야 하므로 오늘 철야를 해야한다’...... 실제 그렇게도 절박하게 차를 만들 필요가 있는가? 절대 아닐 것이다. 관리자들은 생산이 급하다는 말로써 작업속도를 의도적으로 높인다. 한편,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어떤가? 그들이 “야리끼리”로 받는 임금이 적기 때문에 노동시간을 최대로 늘려서 총임금을 높이려고 하고, 또한 작업속도를 최대한 빨리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임금을 높이려고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공장에 들어올 때 임금은 이미 결정되었다면, 이 결정된 저임금을 조금이나마 보충하기위해서 한 사업장에서 노동강도를 가능하면 강화하여 빨리 일을 마친 후에, 나머지 시간에 또 다른 곳으로 가서 일을 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하루를 보건데, 쉬는 시간도 없이 일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저임금구조는 지금 시기에 있어서 노동자들에게 내일당장 쓰러지더라도 오늘당장 그들의 육체를 최대한 소진할 때까지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각 사업장에서 저임금구조가 어떻게 노동강도를 강화시켰는가?

여수건설 노동자의 경우, 원청건설회사는 하청업체들간에 경쟁시킴으로써 그 하청업체에 소속된 노동자들로 하여금 다음번 입찰을 위하여 다음번 일자리를 위하여 저임금에 강도 높은 노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조선업의 경우, 저임금구조로 인한 노동강도강화의 기전은 저임금체계하에서 장시간 노동을 통해서 임금을 많게 하려고, 만성적인 고용불안과 임금의 불안정성으로 최대한 수입을 확보해두려고, 정규노동시간만으로는 생활을 하기 어려우므로, 고용을 유지하기위해서 하청사업주의 장시간의 노동요구를 따르는 경우, 노동강도를 높이려는 하청사업주의 유인책을 따르는 경우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철도 노동자의 경우,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의 절반인 약 54%가 100만원이하의 임금을 받고 있다. 이에 비해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전 업무에 소속되어서 작업을 하게 됨에 따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위험성이 없는 업무를 부여한다’는 지침은 공문구가 되었고, 철도의 위험한 작업환경에 더하여 24시간 주기의 맞교대등으로 인한 야간노동시간의 증대는 실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강도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2) 노동강도강화의 근원: 인력감축과 고용불안

노동강도강화의 또 하나의 기전은 정규직 노동자의 감축과 원래 정규직 인원보다 더 적은 인원으로 채워지게 된 비정규직 노동자로부터 발생한다. 이렇게 정규직 노동자를 대신하여 들어오게 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짤리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최선을 다해서 자발적으로 노동강도를 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수건설 노동자의 경우, 상대적 과잉인구로 취업시에 노동자끼리의 경쟁을 유발하게 되어 노동강도가 증가하게 되었다. 조선업의 경우, 우리나라 전체 조선산업현장에는 2002년 정규직 노동자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더 많은 비율로 일을 하고 있는데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비율은 111.7%), 이는 1996년 비정규직 노동자가 정규직대비로 50%이상에 진입한 후에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이렇게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대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일의 연장과 작업속도의 증대로 전반적인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가 증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철도 노동자의 경우, 1995년 ‘국유철도의 운영에 관한 특례법’의 도입, 1998년 경제위기로 전체 노동자의 약 25%이상이 감축되고, 비정규직 노동자가 증대하게 됨에 따라, 20대의 청년실업자들과 50대이상 명예퇴직한 노동자들이 다시 비정규직 노동자로 들어오게 되었다. 이들 노동자들은 초기에는 단순업무에 한정되었으나, 이후 전 직무에 비정규직이 증가되면서 비정규직 노동자와 정규직 노동자의 업무가 실제로 동일하게 됨에 따라 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과정속에서 위험한 작업환경으로 인한 노동강도강화와 철도시설의 특성 때문에 새벽시간등을 위시한 한정된 시간동안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밀도가 증대하는 결과를 낳았다. 


3) 장시간의 노동시간: 철야, 주말노동이 일상화된 비정규직 노동자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기본적으로 장시간 노동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기본급이 저임금구조이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철야근무나 주말근무를 선호하며 실제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한달에 하루정도의 휴일을 갖고 나머지의 모든 기간에 일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장시간의 노동시간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를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실제 이 연구에서 경제위기이후, 여수건설, 철도, 조선업종의 노동자 모두 저임금구조로 인해서 주말근무와 특근을 하는 노동자들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건설노동자의 경우 주당 65-70시간 (2003년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건설노동자의 65.9%가 휴일근로 (2002 건설연맹)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수건설노동자의 경우, 2002년 단체협상을 통해 ‘8시간  노동제’를 공식화하고 있기는 하나, 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연구자들은 여수건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밤 10시까지도 잔업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조선업종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에는 하루 평균 12-14시간, 월 평균 320-380시간, 주말특근, 월 1회이상의 철야근무를 하고 있다.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에는 잘 알려져 있지 못하고 있으나 실제 장시간의 노동시간을 하는 사업장이다. 특히, 시설, 차량, 역무에 있는 24시간 주기 맞교대근무 노동자들의 경우 하루 17-18시간, 2주 60시간을 노동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주 63시간, 월 273.75시간, 년 3285시간을 일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장시간의 노동은 노동강도강화의 가장 근본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4) 작업속도 강화기제들: 야리끼리, 물량때리기

작업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노동강도를 강화시키는 것은 현 자본주의의 생산방식의 대표적인 것으로 테일러즘과 포디즘의 결합된 형태이다. 노동강도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건설, 조선같이 라인작업이 아니고, 기계화가 덜 된 곳에서는 “야리끼리”라 하여, 노동자들은 어느 기간내에 얼마의 물량을 끝낼 것을 요구받는다. 자동차공장의 라인작업과 같은 곳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투입되는 인원이 줄어든다. 이러한 형태가 조선업이나 건설업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더욱 심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건설노동자의 경우, 원청회사는 하도급체를 서로 경쟁시키고, 이 하도급업체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일자리보존을 위해서 노동자끼리 경쟁을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는 더욱 단축되고, 노동강도는 증가하게 된다. 건설현장에서는 또한 야리끼리가 있어 하청업체와 미리 작업공정을 정해놓고 들어가서 그 기간 안에 일을 다 마치는 작업을 하다보니 작업속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여수건설노동자들의 경우, 경제위기이후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한 스스로의 단결과 투쟁으로 노동시간을 과거의 9-10시간이상에서 8시간 노동제로 정착을 시켰으나, 공기단축으로 작업속도는 빨라지고 작업밀도가 증가되었다. 조선업의 경우 정규직 노동자들은 반장에 의한 물량때리기로 물량배분에 의해서 작업을 많이 해야 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반면, 조선업종 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에는 물량에 따라서 작업속도가 정해진다. 조선업의 하청업주가 임금을 임의로 결정하는 상황 속에서 하청업주들은 ‘야리끼리’라고 하여 주어진 물량을 최대로 빠른 시간 내에 완수하면 근무시간을 올려서 계산을 해주는 방식으로 주어진 짧은 시간 내에 물량을 완수하도록 유도하게 되고, 노동자들은 중간에 휴식시간도 식사시간도 없이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고 있다. 철도산업의 경우, 철도의 특수성을 들면서 제한된 새벽시간대에 단전을 하고 노동자들에게 일정시간동안에 모든 작업을 마쳐야 한다는 부담감을 주면서 단위작업시간동안 작업속도를 매우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


5) 강화된 노동에 가중되는 위험한 작업공정과 유해물질에의 노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대부분 공장 내에서 위험공정을 담당하고 있다. 여수건설산단의 경우, 가동중이었던 공장을 유지 보수하는 작업을 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담당하게 된다. 이때, 자본(사업주)의 입장에서는 생산 공정을 중단시키고 유지보수를 하는 것이므로 생산중단으로 인한 비용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공정을 최대한 단축할 것을 노동자들에게 요구하게 되고, 노동자들은 제한된 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기위해서 모든 것을 희생해야하는 상황이 된다. 셧다운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보통 하루에 16시간씩 노동을 하게 된다. 더 위험한 것은 시설을 유지 보수하는 이 기간에는 유해물질에 집중적으로 노출되는 시기가 되는 것이다.


6)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 기전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의 기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수건설노동자의 경우를 보면, 건설지역 노동자의 건강장해에 가장 심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시간의 노동시간과 직업의 불안정성으로 이 두가지의 문제해결이 건설 노동자의 건강장해를 막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건강상태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면, 1주 노동시간이 45시간이상인 경우 40시간이하인 경우보다 3.93배 (신뢰구간: 1.27-12.36), 직장이직을 한 경우가 안한 경우보다 3.85배(신뢰구간 0.73-20.36), 직종을 바꾼 경우가 아닌 경우보다 3.72배(신뢰구간 1.01-13.73) 더 높게 나와, 노동시간과 직업과 직종의 불안정성이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노동강도와 직무스트레스요인이 노동자에게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건강영향을 파악하고자 작업일과 휴식일 동안 심박동수변이측정을 통한 생체주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노동강도와 직무스트레스요인이 교감신경-부교감신경으로 대표되는 생체주기를 파괴 시킬 수 있는 요인임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24시간 생체주기의 파괴현상은 작업직후의 노동강도가 심한집단과 심한 직업적 스트레스가 있는 집단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여수지역 건설 노동자들의 건강권을 위하여 노동강도강화저지, 불안정노동철폐등이 중요한 핵심고리임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업종 노동자의 경우에는 정규직 노동자보다 노동강도가 더 세고, 더 힘든 일과 위험한 공정에서 일하고, 또 더 위해물질을 취급하기 때문에 건강장해위험이 더 크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조사결과, 비정규직 노동자들(33.5%)이 정규직 노동자들(9.1%)보다 더 고긴장성집단에 속해 있었다. 스트레스 증상도 정규직 노동자들(19.7%)에 비해 비정규직 노동자들(26.2%)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선업종 노동자의 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 전체를 분석했을 때,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업불안정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어 비정규직 고용형태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철도 노동자의 경우에는 우선 철도의 전반적인 작업환경이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고, 중량물, 반복작업, 불편한 작업자세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의 위험도 매우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강장해는 24시간 주기 맞교대근무체계의 장시간 노동시간과 심야노동의 증대, 인원감축으로 인한 작업량의 증가, 새벽, 야간작업시의 작업밀도의 증대등으로 건강장해의 위험이 심각하다. 철도 노동자의 일상적인 건강장해여부를 보면,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직무자율성이 더 떨어지고 있으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수행하는 직무는 낮은 직무요구도와 낮은 직무자율성으로 특징지울수 있는 매우 수동적인 특성을 띄고 있다. 이러한 수동적인 직무수행은 자신의 노동에 대한 통제를 상실하게 하여 각종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근골격계증상등 각종 건강장해도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역사무소와 20대 젊은 연령층에서 근골격계증상유병률이 더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었다. 철도 노동자의 건강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과 건강장해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철도 노동자의 직업의 불안정성 요인들과 가장 연관이 깊은 건강장해는 근골격계질환, 결근율, 정신신체증상, 피로도이었다. 즉,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업의 불안정성이 증가할수록 육체적 정신적 건강장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철도 노동자의 노동강도요인 (장시간의 노동시간 및 육체적 하중과 주관적인 노동강도강화요인)과 가장 연관이 있는 건강장해는 근골격계질환과 결근율이었다. 철도 노동자의 건강상태(근골격계질환)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들은 1주당 노동시간, 한달특근일수, 직장이직, 직종이직, 직업의 불안정성, 주관적인 노동강도 (Borg scale)들 이었다. 특히, 건강상태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변량분석을 통하여 주요요인들을 색출한 결과, 1주 노동시간이 45시간이상인 경우, 직장이직을 한 경우, 직종을 바꾼 경우에서 더 높게 나와, 노동시간과 직업과 직종의 불안정성이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철도 노동자의 건강장해에 가장 심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시간의 노동시간과 직업의 불안정성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평소 비정규직으로 일하면서 모욕감을 당하거나, 부당한 일을 당하거나, 차별대우를 받는다고 느끼거나, 노동강도가 더 세다고 느끼는 집단에서 직무스트레스요인, 정신신체장해, 피로도가 매우 증가하고 있어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면서 인권차별을 받을수록 정신적인 건강장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철도업무가 24시간 생체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각 철도 직무별 24시간동안 심박동수변이의 분석결과를 보면, 주간근무노동자와 교번근무 노동자에 비해서 24시간 주야 맞교대 근무 노동자의 경우에는 자율신경계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24시간 생체주기의 파괴가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24시간 생체주기의 파괴현상은 노동강도가 심할수록, 각성도가 감소할수록, 즉 심하게 졸리운 집단일수록 더욱 심하게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요약하면, 여수건설, 조선업종, 철도 노동자들의 경우 직업불안정성이 건강장해 (근골격계질환, 직업적 스트레스, 스트레스증상, 피로도, 결근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어 직업의 불안정성, 비정규성이 노동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강화된 노동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노동강도가 심한 집단일수록 건강장해가 심하고, 자율신경계의 파괴를 통한 24시간 생체주기의 파괴가 더 심하여, 이 연구결과는 비정규직 노동을 하면서 노동강도가 심한 집단이 가장 건강장해가 심한 집단임을 보여주고 있다.


7) 결론: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강화와 건강장해의 기전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강화기전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저임금구조와 불안전한 고용구조가 비정규직 노동자로 하여금 장시간의 노동과 노동밀도가 촘밀한 노동을 통하여 강화된 노동을 하게 강요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동강도강화로 인하여 사망사고, 재해, 근골격계질환증대,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도의 증대, 일상생활에서의 건강장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특히 노동강도가 심한 집단일수록 건강장해가 심하고, 자율신경계의 파괴를 통한 24시간 생체주기의 파괴가 더 심하여, 비정규직 노동을 하면서 노동강도가 심한 집단이 가장 건강장해가 심한 집단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7-2]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와 건강장해 기전



나. 노사관계: 비정규직 노동자의 계약당사자는 누구인가? 누구의 지시와 통제를 받는가?

노동자들에게 부딪히는 또 하나의 벽은 노동자와 자본가간의 계약관계가 명확하지 못하여 중층하도급구조의 노동자와 사업주와의 관계설정이 명확하지 못한 것이 그것이다. 이것은 불평등 계약관계를 더욱 심화시키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문제를 사업주가 회피하게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현재 중층하도급 사업주가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대화조차 기피하는 현상은 법적 제도적으로라도 해결되어야 한다.



3. 유출경로: 실업과 취업의 순환고리


가. 유출경로: 퇴출이 어떻게 되는가? - 건강장해문제, 장해, 퇴출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자발적인 퇴출보다는 강제적 퇴출경로(노동강도가 너무 세거나, 임금이 너무 약하거나, 재해를 당하여 강제 퇴장)를 통하여 퇴출되고 있으며, 자신의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데 영구적 손상이 생기면 영구퇴출을 당하게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유사직종으로 이동하면서 노동시장을 이동하면서 실업과 취업을 반복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퇴출의 근본적인 이유는 사업주의 노동력비용감축일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퇴출당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표면상의 이유가 있다. 그중의 하나가 산업재해로 인하여 노동력을 손상당한 노동자들을 퇴출하는 것이다.

현재의 사회는 실업과 과도노동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 불안정노동상태에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이 두가지의 악순환의 고리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노동자계급 중 취업자들의 과도노동은 노동인력의 감원을 가져와 궁극적으로 상대적 예비군을 증대시키며, 거꾸로 예비군의 경쟁이 취업자들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취업자들은 과도노동을 할 수 밖에 없으며 사업주의 명령에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현재의 자본주의사회는 노동자계급 일부에게 과도노동을 시킴으로써 나머지의 부분을 강요된 나태에 빠지게 하고, 또한 그 반대로 실업자를 양산함으로써 고용되어 있는 노동자들에게 노동강도가 강화되는 양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개별사업주에게는 잉여가치의 축적으로 인한 엄청난 부의 축적이 되며, 동시에 사회적 축적의 진전에 대응하는 규모의 산업예비군의 생산을 촉진시킨다9).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는 대를 이어서 재생산되는 경향이 있다. 즉, 부모의 사회계급구조가 자식들에게 영향을 주어서 자식들의 사회계급의 형성에 기여를 하고, 낮은 사회계급의 생산수단과 기술확보가 안된 노동자는 정규직이 될 수 없는 구조속10)에서 열악한 노동조건을 감내하고, 장시간의 노동시간, 저임금구조, 노동강도강화, 불평등의 고용조건속에서 고용불안을 느끼면서 일을 해야한다. 이러한 과정은 결국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빈곤(물질적 결핍으로 나타남)의 심화, 사회적 불평등 (임금, 노동조건, 사회적 분배(실업수당이 작다), 주거환경, 사회생활, 가정생활에서의 열악한 생활)의 심화, 건강악화와 건강불평등이 발생하며, 이것이 바로 실업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되고 있다. 즉, 불안정노동상태는 인간의 개개인의 권리에 위협을 가할 뿐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존엄성도 침탈당할 위험에 처해 있다. 결국 불안정상태에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실업군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고통을 당하고 있다.


나. 가정생활 사회생활에서의 삶의 질 저하

사회에서 무시당하는 집단

이 보고서는 건설, 조선,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노동과정이외의 가정생활이나 일상생활에서도 건사회적으로 무시당하고 차별받는 것을 현실적으로 느끼고 있고, 이것이 직무스트레스, 정신신체장해, 결근율의 증대, 피로도의 증대 등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일하는 것은 사회에서도 주눅이 들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불안정 노동상태에 있다는 것은 사회의 오명을 쓰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또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일수록 친구들과의 연결망도 적고, 사회적 지지도도 낮다. 불안정노동에 있는 노동자일수록 친구관계가 분리되는 과정을 겪는다. (Jahoda, 1972).


실업상태에서의 스트레스의 증가

이 연구보고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항상 실업에 처하게 될 불안감에 싸여있으며, 실업을 당했을 때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건설 노동자의 경우, 1년에 상시적으로 몇 개월씩 실업상태로 지낸다. 철도와 조선업종에서도 일정한 계약기간이 끝나면 사업장을 나와야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몇 개월씩 실업상태로 지내는 기간은 피가 마르는 기간이 된다. 불안정 노동상태에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실업상태에 있을 때는 주로 수동적인 활동에 빠지거나 구직을 위해 찾아다니는 시간으로 보낸다. 즉 일을 안하는 시간이 여유있게 여가생활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일을 위해서 찾아다니는 시간이 되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매우 크며, 이 스트레스로 인해서 실업기간에는 제대로 여가활동을 하는 것은 고사하고, 전화통을 붙잡고 구직을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거나, 원거리로 직업원정을 가야한다. 어떤 경우에는 해외로 원정을 가기도 하는 것이다.


가족들과의 관계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가족에게 퍼붓지 않는지?: 불안정 노동상태인 비정규직노동자의 가족들은 그 구성원이 거의 모두 동시에 일을 해야 가계가 꾸려지고 있다. 즉, 남편이 비정규직 노동자이면 부인도 비정규직이거나 스스로 벌어서 먹고 사는 자생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더 가족하체의 위기에 직면해있다. 가장이 한두달 쉬게 되면 바로 가계의 부채와 연관이 되고, 이를 견디지 못하여 가족해체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지금까지 실업과 결혼파기상태와의 연관성의 증거들이 많이 보고 되고 있는데, 직업을 잃음 (재정적,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가난(불완전한 고용, 재정적인 고통, 불만족한 주거상태)등이 이혼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이 되고 있어서 결혼 후의 실업이 매우 중요한 이혼의 원인이 된다(Richard Lam, 1994). 불안정노동을 하는 비정규직노동자와 실업자군은 더 가정생활에 몰두를 하고 사회 생할을 하려고 하나, 고용집단에 비해 동일한 만족감을 갖지 못한다. 그 이유는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통해서 실업이 주는 스트레스를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사회생활도 가정생활도 실업이 주는 정신적 황폐(결핍)상태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Jahoda, 1972).


사회생활을 하기에 너무나도 부족한 물질적 결핍

이번 조사에서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한달임금과 1년 중의 임금총액이 낮을수록 건강장해 발생률이 증대하고 있어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물질적 결핍과 건강장해가 밀접하게 연관이 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취업-실업의 순환고리에서 실업의 상태가 되면, 결국 다시 취업이 될 때까지 아무런 사회적 활동을 할 물질적 근거가 없이 집에서 사회에 의한 강제적 구속되어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11). 비정규직 노동자의 물질적 결핍상태가 사회생활을 하는 데 지장을 주게 되는 것이다.



4. 소결론 및 요약 : 불안정노동과 빈곤의 재생산과정: 신자유주의와 구조조정-비정규직 노동자의 불안정노동-빈곤-계급불평등-건강불평등악화의 악순환고리


비정규직의 문제는 신자유주의 구조조정-->불안정노동의 심화->노동강도의 강화->빈곤의 심화->사회계급의 불평등심화->건강불평등의 심화->노동의 질과 삶의 질의 저하의 연속 악순환 고리를 끊어야 하는데 있다. 개개인의 노동자들이 이 악순환의 구조를 벗어날 수 있는가? 없다. 오히려 노동자의 고용조건이 나락처럼 떨어지고, 점점 하향평준화되어가고 있다. 노동의 질의 저하12)되고 있으며, 국민의 삷의 질, 노동의 질, 생활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 결국 노동권과 건강권의 문제이다. 결국 인권의 문제이다. 사회정책의 근간으로써 노동의 질과 삶의 질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수 있는가? 가장 중요한 것은 불안정 노동에 처해 있는 노동자들와 정규직 노동자들이 서로 단결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일 것이다. 국가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제반 노동권과 건강권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든 법적 조치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이것만이 노동자와 전체 국민의 삶을 보장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림 7-3]  불안정노동, 빈곤, 계급불평등, 건강불평등과의 관계


















Ⅱ. 비정규직 노동자의 요구



아래의 표는 노동시장에의 유입-노동과정-유출과정에서 가장 심각하게 대두되는 문제가 무엇이며, 비정규직 노동자의 가장 심각한 문제와 그것에 대한 요구를 정리한 것이며, 이에 반해 국가정책의 미비함을 정리하였다.

정부는 1993년 10월 근로자 파견제에 대한 제한적 합법화를 목적으로 한 [근로자파견법안]을 국회에 제출하였으나 노동계를 중심으로 하는 반대론에 부딪혀 입법화에는 성공하지 못했었다. 이후 1998년 2월 20일에는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법률 제5512호, 이하 ‘파견법’이라한다]을 제정하여 근로자 파견사업을 합법화하였다 (강성태 2000). 이때 파견법이 제정된 데에는 1998년 2월 9일에 이루어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협약’ (노사정합의: 이하 ‘사회협약’이라 한다)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강성태, 2000).

2004년 9월이후 정부가 추진하려고 하고 있는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개정안은 ‘파견허용업무를 현행 26개업무에서 전면 자유화’, ‘파견허용기간을 현행 2년에서 3년으로 연장’, ‘파견사용기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 경우 신설’, ‘파견기간 초과시 직접고용간주조항을 사용사업주의 의무조항으로 약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한 정부가 입법예고하고 있는 [기간제및단시간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에서는 기간제 고용을 무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열어준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사실상 모든 업무에서 상시고용을 대체하여 기간제고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은 것이다(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정책국, 2004). 결국 정부의 입법예고안은 상시적 업무에서 비정규직을 확대하고 정규직 일자리를 대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기간제고용과 파견제에 관한 최소한의 규제마저 없애버림으로써 비정규직의 확산과 남용을 막을 수 있는 장치를 없애버렸다. 이 법개정안은 사용자의 고용형태 선택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노동자간 경쟁이 심화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3권이 무력화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정책국, 2004).     한편, 민주노총은 2004년 7월 비정규직 보호법안(비정규직 사용제한, 동일노동 동일임금보장, 파견법 폐지와 불법 파견근절,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권 보장, 명예근로감독관제도입등 비정규직 사용업게와 부당한 차별 철폐를 위해 관련법을 개폐하는내용)을 국회에 발의를 하였다 (표 7-4). 현재 2004년 9월이후, 정부의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개정안 추진이 진행되자, 노동자들은 전면 총파업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면이다.

표 7-1,2,3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시장과 노동과정(유입-노동-유츌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노동자의 요구와 정부정책의 한계를 정리하였고, 표 7-4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법과 관련하여 각 계의 견해를 정리하였다.  









<표 7-1>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시장과 노동과정(유입-노동-유츌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노동자의 요구 - 유입과정에서의 문제

유입과정

(노동계약과정)

심각한 문제점

노동자의 요구도

국가정책(현재)

1.일할권리도 

없다?

 

-일을 하고싶어도 못한다.

-고용의 차단-> 비인간적인 길로 접어드는 첫 번째경로

-실업과 고용의 반복적인 순환(실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노동시장구조로의 전환됨)

 

“세상에 태어난 인간들은 모두 일을 할 권리와 책임이 있다”

=> 노동권의 보장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에 대한 문제제기

-적극적인 고용정책(고용안정센터마련)

-일자리창출

-노사가 함께하는 평생직업능력개발체계마련

2.고용계약시

-단기계약직,임시,일용근로직

-불법적인 계약구조(근로계약서 없슴, 불법파견근로, 부당노동행위)

 

 

3.부당고용

-부당약구조가 나타나는 사례들

 

-철폐의 방법들

-근기법의 적용

 

4.불법파견

-불법파견근로 (도급형태를 띠나 실제 원청 사업주가 직접 도급노동자를 관리함.)

-파견된 노동자의 부당해고

-간접고용철폐

-파견법철폐

-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제정

=> 이법은 오히려 비정규직노동자를 확산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함.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

5.중층하도급

-중층하도급으로 인하여 비정규직노도자의 노동조건과 고용조건이 열악한 상태로 계약됨. 하청업체들끼리의 경쟁구조와 노동자들의 고용위기로 노동자들에게는 노동강도가 강화되고, 안전시설미비등에 대한 문제제기를 못하게 됨.

-다중착취구조

-하도급구조를 통한 하청업체수준에서의 경쟁, 과잉인력에 따른 고용위기라는 외부적 조건을 활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통제함.

-원청과 하청 사업주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이중적인 착취구조의 철폐

 

6.채용시신검

-노동자를 선택적으로 고용하며 부당해고의 원인을 제공함

-채용시신검을 남용한 고용불안조장하는 사업주의 처벌강화

 

7.저임금/임금체불

-정규직의 1/2~1/3정도의 수준임.

-저임금구조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지속시키는 구조가 되며, 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수준도 평균하향으로 저하시킴으로써 전체 노동자의 생활을 저하시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혁신

-저임금구조를 철폐하고, 최저임금제가 아닌, “생활임금제도”로 바뀌어야 함.

-취약근로자 보호

-저임근로자 보호강화를 위한 최저임금제를 개선

8.사회복지분배의 실패

-휴가, 퇴직금, 상여금, 4대보험(산재, 연금, 고용, 건강)를 받지 못함

-건강검진 못받음

-고용보험전면보장

-산재보험제도를 노동자중심으로 개혁

-사회보험의 실질적 적용확대 및 내실화




<표 7-2>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시장과 노동과정(유입-노동-유츌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노동자의 요구 - 노동과정에서의 문제

노동과정

가장심각한 문제

노동자의 

요구도

국가정책(현재)

1.노동시간

-장시간의 노동시간

-기존의 장시간의 노동시간에 더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저임금구조 때문에 야간, 철야작업이 더욱 증가하는 경향임(조선)

-24시간 격주교대근무제로 인해 장시간 노동시간에 시달림(철도)

-휴일날 특근/주말근무등으로 휴식시간의 부재(노동력재생산시간의 부족)

-장시간노동시간의 근본원인인 저임금구조의 개선

-야간노동철폐

 

2.노동강도

노동강도의 강화

-상대적 과잉인구(산업예비군)

-중층하도급구조로 인한 하청업체간의 경쟁

-단위시간에 공사를 빨리 마치려는 하청업체 사업주의 요구

-기존의 위험노동환경에 비정규직 노동자가 들어옴으로써 노동강도가 점점 더 심화됨.

-노동환경이 높거나 산재발생위험이 높은 업무에 비정규직이 배치됨.

-중대재해시 사업자 처벌강화

-노동강도강화저지

 

 

3.노동통제

중층의 통제구조

-중층하도급구조를 통한 중층의 통제구조

-원청과 하청사업주의 이중적인 착취구조 철폐

 

4. 차별

-고용형태의 차이로 인한 인간적인 차별

받음.

(소모품, 시설이용, 복지, 임금, 노동강도강화, 육체노동자로써의 인간적 차별받음)

-차별철폐

-고용상 차별해소 및 비정규직 남용규제

-취약근로계층에 대한 보호,지원강화














<표 7-3>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시장과 노동과정(유입-노동-유츌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노동자의 요구 - 유출과정에서의 문제

 

가장심각한 문제

노동자의 요구도

국가정책(현재)

유출과정

 

 

 

1.부당해고

-고용위기의 극심한 형태

-부당해고철회

 

2.재해자의 축출

-재해자의 축출

-산재를 당한 것이 고용의 불이익으로 돌아옴.

-산재노동자의 일할권리, 원직복귀 보장

 

3.폐업

-고용위기의 형태

-부당폐업신고시 사업자에 대한 처벌강화

 

4.실업의 반복, 정규직으로 전환의 불가능

-안정적인 정규직으로의 전환의 불가능.

-실업과 취업의 반복과정

-“현실단가에 맞는 정규직화!”

 

5.실업상태로 삶의 질저하

-가족해체, 사회적 무시받음, 삶의 질 피폐화

-노동조건을 개선

 


<표 7-4>  비정규직 보호입법과 관련한 각계의 견해정리

구분

민주노총, 민주노동당안

노동부안

경영계안

차별폐지

-고용형태이유, 차별금지

-동일노동 동일임금 명문화

-불합리한 차별금지원칙규정

-동일노동동일임금 명문화반대

-차별구제위(노동위원회)설치

-동일노동동일임금규정반대

임시직 사용제한

-객관적,합리적 사유없는 임시직 사용제한

-사용기간제한(1년)

-사유제한반대

-2년까지 기간제 사용

(2년초과시 해고제한)

-사용제한반대

-사용기간 3년으로

파견제

-파견법폐지

-불법파견시 직접고용

-도급/파견 구분기준강화

-사용자범위확대

-상용형파견 전제로 파견업종 확대(네가티브 리스트 방지)

-특정일자리 교체사용 제한(휴지기 도입)

-파견업종 확대

특수고용 노동자

-군기법상 노동자로 인정

-노동3권 보장

-노사정위 논의로 유도

*노사정위(공익안):유사근로자로 유사2권(단체조직권,교섭체결권)보장등

-노동자인정반대

-경제법상으로 규율가능

범 실효성 확보

-명예근로감독관제도 도입

-위법상승 사용자 가중처벌

없음

없음

시간제노동자

(단시간노동자)

-시간제 노동자 정의 엄격히(소정노동시간의 70%미만)

-협정시간외 초과수당지급

-초과근로제한

없음




Ⅲ. 정책대안을 위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 건강권 확보방안



1. 전제 3가지

전제1: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결과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실업과 취업의 반복적인 폐쇄고리속에서 저임금, 노동강도, 고용불안, 해고, 계약해지, 폐업등으로 인한 취업과 실업의 반복이동속에서 불건강과 노동조건의 악화가 재생산되고 있고,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소외됨에 따라 비정규직 노동자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제를 상실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원․하청 사업주의 이중적인 고용구조로 인하여 원․하청 사업주의 책임회피는 노동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찾아가야할 고용주를 만나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불안정노동 증가의 문제는 비단 비정규직 노동자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정규직 노동자들, 나아가 전체 국민들에게 가해지는 삶의 질의 파탄을 강요당하고, 인간적인 삶을 포기당하는 기제인 것이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일부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단체행동을 통하여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기는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사업주에 의해서 단체행동자체가 거부당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여수지역 건설 노동자들은 여수지역건설노동조합을 형성하여, 집단으로 형성된 사업자단과 일정한 주기별로 단협 및 임금협약을 만들어가고 있다. 여수건설노동조합은 1988년 노동자 대투쟁의 영향과 임금인상과 복지개선등 자발적인 투쟁과 함께 설립되었으나, 노조에 대한 탄압으로 소강상태에 빠졌다가, 다시 2002년 현장경력 및 숙련공을 중심으로 노동조합 집행부를 구성해 나갔고, 2002년 수개월의 파업투쟁의 결과, 여수건설 노동자들이 실질적인 노사관계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반면, 조선업종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비정규직 노동조합이 사업주로부터 많은 탄압을 받고 있으며, 노동조합원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거명하는 것조차 힘들다. 바로 노동조합에 가입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겐 바로 해고의 위협과 함께 블랙리스트에 올려져서 이후의 취업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독자적인 노동조합이 없이 정규직 노동조합에 속해 있기는 하나, 실질적인 힘으로 형성되어있지는 못하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이미 노동권과 건강권에 더하여 인권마저 파괴된 상태로 만들어 놓은 지금의 시점에서, 국가의 정책이 ‘국가의 시혜’의 차원에서만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거론해서는 안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삶의 질과 인간다운 삶을 포기하게 만드는 기제가 바로 지금까지 정부와 자본가의 정책이었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비정규직에 대한 시혜적인 접근’이 아니라, 현재 그들에게 박탈하고 있는 노동의 기본권을 정당하게 보장하는 것이 문제해결을 실마리이며, 자기 직업에 대해 스스로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당연한 노동의 댓가로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불안정노동의 해결의 주체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어야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단결과 노동조합활동을 보장하고, 인권을 위해 해결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경로를 보장해주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국가적 차원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고용과 동시에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방안,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산업별 노동자조직의 구성을 보장하는 방안 등이 있을 것이다. 


전제2: 비정규직 노동자의 요구, 즉,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고통 받는 지점’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과 노동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요구에 근거한 해결점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비정규직 노동자와 관련된 노동정책들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요구가 전혀 반영되지 못했다. 이 연구결과는 여수건설노동자의 경우, 조사당시의 가장 큰 요구는 ‘불법파견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피해 받는것’에 대한 불법파견의 근절과 ‘셧다운(공장폐쇄후 청소작업)시에 유해물질폭로에 대한 조사’이었다. 조선업종 노동자들의 경우에는 저임금과 노동강도(작업속도, 장시간의 노동시간), 위험한 작업공정, 건강검진 및 산재처리에서의 누락등이 주된 문제였다. 철도노동자들은 저임금과 장시간의 노동시간, 계약이후의 고용불안등이 주된 문제였다. 결국, 비정규직 노동자의 현실적인 가장 큰 요구는 ‘고용불안의 문제’이고, 그 다음에 저임금, 장시간의 노동시간, 노동강도, 위해요인에의 폭로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정책은 2004년 9월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의 개악법이 것이다. 국가는 지속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당면한 요구를 파악하는 체계를 만들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요구에 근거한 정책대안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전제3: 노동권과 건강권은 동전의 양면이다

이 연구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조사였으나, 연구결과, 결국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건강조건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것을 파악하였다. 어느 한가지라도 따로 떨어져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고리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고용불안이나 직업의 불안정성에 직면했을때, 또는 직업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생계의 위협을 받게 되었을 때는 자신의 건강을 돌 볼 여유조차 갖지 못한다. 그래서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환경조건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노동강도강화와 노동자 건강장해의 증대로 귀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방안은 고용불안과 건강권확보를 어떻게 동시에 해결할 것인가? 또는 어떻게 고용불안을 해결해나가면서 노동강도의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의 관점속에서 고민해야한다.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건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모든 노력이 역시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지킬 수 있는 지름길이다.



2. 총체적 정책대안


이 연구보고서는 위의 3가지 전제를 토대로 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안은 크게, 첫째,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를 막고, 정규직 노동자를 증대하는 방안 둘째,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본권을 준수하고, 노동기준을 전반적으로 상승시키는 방안 셋째,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확보방안이다.



 

비정규직노동자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정책대안

 

 

 

 

 

 

 

 

 

 

<전제 3가지>

전제1,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주체가 되는 구조를 만들자

전제2, 비정규직 노동자의 요구도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자

전제3, 노동권과 건강권은 동전의 양면이다

 

 

 

 

         ↓

 

 

 

 

 

 

 

 

 

 

 

 

 

 

 

 

 

 

 

대안1: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를 막고, 정규직 노동자를 증대하는 방안

 

 

대안2: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본권을 준수하고, 노동기준을 전반적으로 상승시키는 방안

 

대안3: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확보방안

 

 

 

 

 

 

 

 

 

 

 

1)비정규직 노동자 증가 양산을 억제하는 법적 제도적 방안

2)중층하도급구조에 의한 간접고용상의 문제점 해소 방안

3)비정규직 노동자의 일할권리 보장 : 일할권리, 적법하게 일을 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권리 마련 방안

 

1)최저 노동기준의 상향조정: 최저임금 상향조정과 장시간 노동시간구조의 개선 방안

2)4대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의 가입 및 적용확대 방안

 

 

1)노동강도강화저지방안

2)산업안전보건관리체계의 수립방안

 

 

 

 

 

 

 

 

 

[그림 7-4]  비정규직노동자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정책대안



가. 대안1: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를 막고 정규직 노동자를 증대하는 안

가장 큰 대안의 원칙은 비정규직 노동자 양산을 막는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양산은 비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건강 및 삶의 질을 파탄시키고 있으며, 전체 국민의 생활수준을 저하시키는 핵심적인 고리가 된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 양산을 막는 정책이 필요하다.


1) 비정규직 노동자 증가 양산을 억제하는 법적 제도적 방안

가) 파견법(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 철폐 방안

불법파견과 원청사업주의 부당노동행위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는 파견법을 철폐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2004년 9월 이후 현 정부가 추진하려고 하고 있는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개정안은 개정유보차원을 넘어서서, 이전의 파견법의 개악부분도 동시에 철폐되어야 마땅하다. 현 정부가 개악하려고 하는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개정안은 파견업무를 전면 자유화하는 것이며,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등에 관한 법룰]은 사업주에게 기간제 고용을 무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 것이어서 사실상 모든 업무에서 상시고용을 대체하여 기간제고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다. 이러한 파견법은 비정규직 노동자를 직접적으로 증대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서부터 시작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저임금, 노동3권의 부재 및 노동조건의 열악함, 노동강도의 강화, 강제유출 및 실업상태, 비정규직 노동자로써의 재취업등의 반복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과 건강권의 확보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국가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원과 노동권을 가로막는 관련개악안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등에 관한 법룰] 철회의 의지이다. 또한 국가는 간접고용을 철폐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국가는 간접고용과 파견을 철폐하고, 부득이 간접고용과 파견에 의해서 수행될 수 밖에 없는 업무들은 사회적 공공기관의 업무들로써 법적으로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하도록 한다.


나) 간접고용, 중층의 하도급제도 폐지 방안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원․하청 사업주의 이중의 고용구조가 폐지되어야 한다. 현재 노동강도와 저임금 및 장시간 노동시간의 핵심적인 고리를 담당하고 있는 중층 하도급구조를 폐지해야한다. 특히 건설, 조선업종 노동자의 경우, 도급이 과도하게 중층화되어 있어, 이러한 중층의 하도급구조는 건설업의 수요의 불안정성 및 단절성에 의해 초래되는 위험부담을 하청업체와 건설노동자들에게 전가시키고, 이윤율을 높이는 방안으로 적극적으로 악용되고 있다. 원청건설사는 하청업체끼리의 과도한 경쟁을 유발시켜 저가낙찰, 공기단축을 유도함으로써 공사부실, 노동조건의 열악, 안전시설설치의 미비, 건설노동자들의 노동강도강화, 임금인상억제등 수많은 폐해를 낳고 있다. 국가는 중층 하도급구조를 폐지하고, 하도급 구조에 대한 새로운 제도와 감시제도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2) 중층하도급구조에 의한 간접고용상의 문제점 해소 방안

가)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

원청 사업주의 책임을 강화시켜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점차 정규직 노동자화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원청사업주와 하청사업주의 이중의 통제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해서 요구를 할 때, 양측에서 모두 사업주이길 거부하는 일들이 많다. 특히 이 보고서는 국가가 공식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원청(사용)사업주에게 의무부여를 강화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노동법상 사용자의 책임을 강화, 근로기준법에서 원청사업주의 책임을 강화해 나가는 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하청(파견)사업주와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이 분리되어있다. 그러나,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 있는 하청(파견)사업주의 책임내용을 대부분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으로 바뀌어야 한다. 특히 근로계약, 임금, 재해보상부분은 반드시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으로 바뀌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을 보면, 우선 근로계약서 작성시 원청 사업주와 작성하도록 한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계약기간을 1년이상으로 하도록 하며, 1년이 지난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원청 사업주가 정규직화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원청사업주 및 하청사업주와의 교섭권 부여해야한다. 한 공장에서 임금협상에 들어갈 때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동시에 원청과 하청사업주를 만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표 7-5>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하청(파견)사업주와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의 분배

사용자책임의 소재

적용되는 근기법규정

이연구보고서의  제안

파견사업주

(파견법 제34조). 파견사업주의 업무를 보면, 근로계약(근기법, 이하 모두 같은법 제22-36조), 사용자증명서(제38조), 임금(제40-47조), 연장, 연장 및 휴일근로(제55조), 연차유급휴가(제59조), 최저연령과 취업인허증(제62조), 연소자의 연소자증명서, 근로계약 및 임금청구(제64-66조), 귀향여비(제74조) 및 재해보상(제81-95조)등에 관한 사항은 파견사업주가 부담한다고 되어있다.

현재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상태인 하청(파견)사업주와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의 분배형태를 없애고, 사업장의 실질적인 책임자인 원청(사용)사업주가 1차적으로 모든 책임을 지는 형태로 법과 제도를 개정한다.

  

 

사용사업주

사용사업주의 업무를 보면, 근로시간과 휴일, 휴게(제49-54), 근로시간계산의 특례, 월차유급휴가 및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의 특례(제56-58), 유급휴가의 대체(제60조), 근로기준법 제4장과 제5장의 적용제외(제61조), 연소자의 근로시간, 여자와 연소자의 야업금지, 여자의 시간외근로, 갱내근로금지, 생리휴가, 산전후 휴가, 육아시간(제67-73조) 및 연소자의 교육시설(제75조) 등에 관한 규정은 사용사업주가 그 업무를 부담한다고 되어 있다.

양자의 연대책임

다만 연대책임의 부담에는 파견근로자의 임금에 관한 규정(제42, 66조)에 있어서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가 연대책임을 부담하며(파견법 제34조 제2항), 근기법위반의 근로자파견계약에 있어서는 두 사업주를 모두 사용자로 본다(파견법 제34조 제4항).


나) 중층하도급구조의 억제와 감시 및 관리감독의 강화 방안

국가는 정부는 중층 하도급구조가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야하며, 중층하도급구조의 폐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현재 중층하도급구조에서 임금의 중간착취구조는 시급히 근절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위해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동일노동 동일임금이 적용되어야 하며, 원청(사용)사업주가 직접 임금을 지불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또한, 위장도급, 불법도급에 대한 형사처벌조항을 신설하고 노동자공급사업의 범위와 내용을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처벌을 강화해야한다. 불법도급감시단을 만들고, 덤핑심사를 강화하고, 적절한 공사비의 책정과 안전관리의 확보를 위한 감시가 이루어져야하며, 안전관리비의 사용실태 및 우선순위결정과정에서 노동조합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3) 비정규직 노동자의 일할권리 보장 : 일할권리, 적법하게 일을 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권리 마련 방안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일시적이고 노동력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일자리 창출정책”이 아니라 인간답게 일할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실업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노사정합의에 의해서 실시되고 있는 “일자리 창출정책13)”은 근본적인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 나눔과 함께 임금저하를 강요함으로써 전반적인 노동의 질과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일자리가 만들어지되 임금이 낮아지는 것은 노동자의 삶을 더욱 비참하게 파탄으로 몰아가는 일이다. 그러므로 일자리를 창조하면서 임금은 생활임금수준으로 확보되어야 마땅하다. 

우리나라의 정부와 노사정위원회에 의해서 제안되어지고 있는 일자리 창출정책도 결국은 고용에 대한 일시적인 방편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현재의 문제는 질적으로 저하된 일자리를 전전하고 다니면서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쇠진되는 불안정노동상태의 노동자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지, 값싼 노동력으로 질적으로 저하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그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가장 중요한 일은 노동의 질과 삶의 질을 보장하고, 개인의 요구도에 근거한 일자리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일자리 창출방법은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일을 만들어내고, 표준노동시간을 감소시키며, 사회(국가)가 여기에 그 노동의 댓가를 지불해주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14)15).

첫째: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의 개념을 확대하자. 사회적인 노동을 창출하자. 이러한 예에는 공공업무, 국가사업, 전체 국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일 등이 있을 것이다. 국가는 국민에게 일자리를 부여할 정책을 펴야한다. 이렇게 하기위해서도 공공기관의 확대강화가 요구되는 것이다.

둘째: 노동자들의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업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국가와 모든 기업체의 의무사항으로 되어야 한다. 국가와 기업체는 노동자를 고용하면서 그들이 재생산구조를 넓힐 수 있는 기술가 업무능력을 강화, 계발시키는 것이 의무사항으로 들어가야 한다. 또한 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형태의 생산물의 발전과 새로운 형태의 고용창출의 길을 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피고용인들의 경력증진기회를 늘리기, 여러 가지 문제해결능력 키우기,  피고용인들이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피고용인들이 다른 사람들과 다른 여러 가지 업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교육체계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등이 중요하다.

셋째: 노동자의 요구도에 근거한 수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노동자의 요구도가 높은 직업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나. 대안2: 비정규직 노동자의 기본권을 준수하고, 노동기준을 전반적으로 상승시키는 방안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현재 노동자의 기본권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노동기준의 열악함에서부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노동기준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려서 노동자의 노동권과 건강권 및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법과 제도들의 문제점들을 바꾸어 냄으로써 노동자의 기본권을 준수하고 노동기준을 전반적으로 상승시키는 방안이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1) 최저 노동기준의 상향조정: 최저임금 상향조정과 장시간 노동시간구조의 개선 방안

가) 저임금구조 철폐;  최저임금을 생활임금수준으로 상향조정방안

① 사회적 평균노동시간에 따른 생활임금보장

이 보고서결과에 의하면, 여수건설노동자의 경우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체협상을 통하여 최저임금하한선을 설정하고, 최저임금선 이상에서는 사용주와 노동자가 자율적으로 임금을 결정하고 있다. 여수건설노동자들의 경우에는 단체협상을 통하여 임금의 하한선을 조정하고 있다. 반면, 조선업종 노동자의 경우에는 원청노동자는 임금의 총액만을 하청업체에게 지급하고, 이것을 받은 하청업체는 공식적으로는 하청노동자의 임금을 개별적, 임의적으로 결정하며, 비공식적으로는 각종 수당 등을 지급하지 않거나 중간에 착복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실제 노동자의 사회적 평균노동시간에 따른 임금과 재생산을 위해 필요한 재생산비용이 고려되지 않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원청사업주와 하청사업주의 자의적이고 일방적인 결정에 따라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결정 폐단을 극복하고자, 현재 각 단위 사업장별, 개개의 노동자집단별로 이루어지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을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을 내리는 방안으로 만들어야 한다. 국가적 차원에서 현행 최저임금제에 따른 최저임금의 최저하한선을 하루 노동력 재생산이 가능한 생활임금수준으로 대폭 상향조정하여, 사회적 평균노동시간에 따른 생활임금을 보장함으로써, 실질적인 생계임금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여, 노동자의 노동력의 가치를 높이고, 노동의 질과 삶의 질을 확보하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16). 또한 하루노동시간뿐 아니라, 실업상태에서의 노동력재생산비용도 감안하여 평균적인 실업일수, 실업기간을 감안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 상향조정되어야 한다.


②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명문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국가가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노동조건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못했다고 보여지는 가장 큰 증거중의 하나는 1998년 경제위기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에 관한 법적제도나 규칙을 만들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 여파는 매우 컸다. 결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결정에 대한 아무런 법적 제도적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원청 하청 사업주는 동일한 노동을 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을 정규직 노동자의 절반의 수준으로까지 하락시켰던 것이다.

유럽의 여러나라에서는 이미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지키지 않고 있는 사업주에게는 처벌의 규정마저 마련해놓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을 시급하게 명문화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전반적인 저임금구조를 노동조건을 개선해야한다. 구체적인 방안을 보면 다음과 같다.
















<표 7-6> 유럽과 여러나라의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 에 관한 규정과 우리나라에 도입방안

각국의 입법사례

동일노동 동일임금원칙”에 관한 규정

이연구보고서의  제안

1.유럽연합이사회:

97.12 파트타임근로지침, 99.6 기간제근로지침을 채택하여 차별대우금지원칙 및 시간(기간)비례적용원칙을천명하고, 02.3 파견근로지침안을 제출하여 차별대우금지원칙 및 기간비례원칙을 밝힘.

-차별금지원칙, 시간비례적용원칙, 파트타임근로기회등의 원칙, 연쇄적 기간제고용계약 남용방지를 위한 조치등을 천명함.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산정시 사회적 평균 노동시간에 따라 시간비례적용을 한 임금을 산정하는 방안

2.프랑스: 93년 노동고용 및 직업훈련에 관한 5개년법, 02년 사회현대화법

-기간제노동에 대한 보호조치를 강화하여 동일노동 동일임금 지급원칙을 위반한 경우 사용자에 대한 벌금 및 처벌강화

-동일노동 동일임금 지급원칙의 규정과 이를 위반한 사용자에 대한 처벌강화방안

3.독일: 01 단시간근로 및 기간제근로에 관한 법률

02.12 임금지급을 골자로한 새법안

-차별대우금지법칙: 단시간노동자는 객관적인 이유없이 비교가능한 상용근로자에 비하여 불리하도록 대우받아서는 안된다.

-파견근로자에 대해 상용근로자와 같은 수준의 임금지급을 해야한다.

-동일노동 동일임금 지급원칙의 규정과 이를 위반한 사용자에 대한 처벌강화방안

4.영국: 00.5 파트타임근로자차별금지법

-비교가능한 전일제 노동자에 비해 임금등의 균등한 대우를 약속함.

-시간비례적용을

한 임금산정


나) 장시간의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방안

① 변형노동시간제도 폐지 - 야간노동, 잔업 철야등 장시간 노동시간 감소

이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건설, 조선업종, 철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고용이 불안정하고 자신이 원하고 있지 않더라도 고용주기가 짧고 고용계약기간이 끝남에 따라 취업과 실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생기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저임금구조 때문에 가능하면 취업해 있는 동안 하루하루를 장시간의 노동시간을 통하여 일하지 않으면 안된다.  사업주의 입장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계까지 장시간의 노동을 시켜서 이윤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므로, 사용주의 입장에서나 비정규직 노동자의 입장에서나 장시간의 노동시간이 실제 작업현장에서 작동되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실제 건설 노동자들은 주당 65-70시간, 조선업종 노동자들은 66-84시간 (1달 320-380시간), 철도 노동자들은 59-63시간 (1달 258-274시간)의 일을 하고 있다. 현재 근로기준법과 노동법에서 규정한 하루 8시간 주 40시간 주 5일제 근무와는 거리가 매우 멀다. 혹자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지금 하루 8시간의 노동시간이 법적으로 규정되고 있고, 주 5일제가 법적으로 마련되지 않았는가? 법이 이렇게 있을 진대, 실제 법에 의한 보호도 못받는 다면,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정말로 차별을 받고 있는 셈인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국가는 불안정노동상태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장시간 노동의 원인이 되는 탄력적 노동시간제도, 변형노동시간제도를 폐지하고, 이러한 변형노동시간을 적용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장기적인 노동을 시키는 사업주에게 법적인 처벌을 강화하는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국가는 국가적 차원에서 현재의 노동시간한계를 대폭 줄이고, 야간, 잔업, 철야등 노동유연화로 인하여 변형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장시간 노동시간증가기제를 막는 구조를 법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또한 국가는 하루노동시간, 주당 노동시간, 한달노동시간, 1년노동시간등에 법적 제한을 두고 이 제한을 넘을 경우, 사업주에게 법적 제제를 가함으로써 장시간의 노동시간을 막아야 한다. 국가의 지방, 지역사무소는 각 사업장의 순회방문 및 서베이등을 통하여 실제 노동시간을 파악하고, 장시간의 노동을 강제하는 사업장에 대해서 법적인 처벌을 강화하는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② 노동시간 감소와 임금보전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법적으로 정해진 노동시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장시간의 노동을 하게 되는 궁극적인 원인은 바로 저임금구조 때문이다. 노동시간단축은 임금보전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시간을 줄이는 일은 임금감소와 동시에 일어나서는 안된다. 가장 중요한 일은 임금감소없는 노동시간의 감소이다. 노동시간관련 현재의 추세들을 보면, 많은 경우에 있어서 “노동시간모델”에 혁신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시간조직을 형성하는 비용을 더 값싸게 대체함으로써 임금비용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예를들면, 정규직 노동자들을 비정규직 노동자들로 대체함으로써 말이다. 결과, 노동은 더욱 강도 높아지고, 결근율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노동력을 작은 단위로 세분화되고, 수요에 맞게 유연화되었다. 과도노동에 대한 지불은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주말노동과 수요가 있을 때의 노동이 매우 쉽게 조직할 수 있게 되었다. 부분노동노동자들의 임금이 정규노동자의 임금보다 적게 되었다(OECD, 1995).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법적 노동시간의 한계가 주당 40시간이며, 변형근로를 했을 경우 하루 52시간을 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뒤에 나와있는 변형근로를 했을 경우 하루에 52시간을 넘기지 않는다라는 조항 때문에 앞의 주당 40시간이라는 노동시간의 제한이 무색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불안정노동을 하는 비정규직의 경우, 시급제이므로 노동시간이 작아지는 것은 바로 저임금과 직결된다. 그러므로 노동시간을 줄이는 것은 저임금을 없애는 방안과 동시에 진행하지 않으면 안된다17). 노동자의 재생산능력과 삶의 질을 보장한 임금보전을 전제로 한 실질적인 사회적 평균노동시간의 대폭적인 감소가 요구된다. 


다) 비정규직에 대한 근로기준법 적용 의무화방안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부당해고, 실업수당, 임금, 성차별, 퇴직금, 보너스, 복지 수당 등에서 근로기준법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최소한의 근로기준법에 해당되는, 노동계약조건의 적법한 준수가 요구되는 것이다. 국가는 근로감독을 강화하고, 사업주를 규제하는 방안을 확대 강화해야한다. 국가는 불법파견, 불법해고를 하는 사업주에 대해서 엄중하게 처벌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국가는 불법파견, 불법해고사례를 모으는 신문고제도를 마련하고, 사업주에 대한 규제강화방안, 신고제등을 만들어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부당해고에 대해서 엄중하게 다루도록 해야 한다.

현재 근로기준법은 원칙적으로 상시 5인 이상의 노동자를 사용하는 사업에만 적용되고 있다 이 근로기준법이 모든 사업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파견근로자보호에관한법률 (제 34조)에서는 “파견 근로자의 임금에 관한 규정(제42, 66조)에 있어서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가 연대책임을 부담하며(파견법 제34조 제2항), 근기법위반의 근로자파견계약에 있어서는 두 사업주를 모두 사용자로 본다(파견법 제34조 제4항)”라고 되어 있고, 실제 파견근로에서 부담하여야 할 업무가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에 따라 다른데18), 이러한 법의 내용은 철폐되어야 한다. 또한 근로기준법 전체를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도 적용하는 형태로 바뀌어야 하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원청사업주, 즉 사용사업주의 책임성이 모든 부분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근로계약서 작성을 의무화해야한다.


라)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3권 보장(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방안

①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하는 제도의 마련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3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보장해야한다. 이 연구결과에서도 보여주듯이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는 원청 사업주가 간접고용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노동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여수지역 건설노동자들은 2002년 노동조합을 새롭게 복구해서 스스로의 단결을 도모했는데도 불구하고, 원․하청 사업주로 하여금 임금협상과 단체 협상등 협상테이블에 오게 하기위하여 수많은 날들을 파업투쟁으로 싸웠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조선업종의 경우는 더욱 심각했다. 연구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공식적으로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정규직 노동조합원임이 밝혀질 경우에 해고될 위험 때문에 연구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이름도 묻지도 못한 채 회사에서 외떨어진 곳에서 인터뷰조사를 해야 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단결권은 고사하고, 공식적으로 노조원인 것조차 공개적으로 알릴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철도의 경우는 더욱 심하다. 철도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사회에 첫발을 내딪는 20대의 젊은층과 철도업에 종사하다 퇴직한 후 생계의 문제로 다시 비정규직으로라도 취업을 한 상태여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스스로 노동3권을 만들어 나가는 데에 한계가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현재 노동3권이 없는 상황에서 각각 개별화되어서 노동조건과 고용조건 및 노동환경의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고, 개별화되어 있는 노동조건과 고용조건으로 인한 고용불안과 열악한 노동환경은 역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단결권 등 노동3권을 확보할 수 없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선 이 고리를 끊는 장치가 국가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즉,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3권의 확보가 법적 제도적으로 실질적으로 확보되지 않는다면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과 건강권악화의 악순환의 고리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법적으로 적법한 노동자권리를 부여하고, 노동계약서노동3권을 보장해야한다. 현재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단결권/단체행동/단체교섭권의 보장을 통하여 기존의 노동조합의 특성에 따라 동일하게 포함되거나 독자적 노동조합의 형태를 가지되, 단체가입과 단체행동/단체교섭/단결권을 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차원에서 권리와 보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현행의 근로기준법은 모든 노동자들은 노동3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현행의 근로기준법으로는 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3권은 지켜지지 않는가? 그렇다면 현행법의 근로기준법의 법체계를 보완하는 실행 규칙 등의 체계를 만들고, 법을 지키지 않는 사업주의 처벌강화를 해야 한다.


②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합활동을 보장

현재 비정규직 노동조합 활동이 법적으로 제한되고, 여러 원인을 들어서 제약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것이 노동자들로 하여금 분신에 이르게까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청 사업주의 경우, 원청 사업주의 눈치를 보아야 하므로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결성을 강력하게 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서 2003-2004년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외치며 분신 사망한 근로복지공단 비정규직 노조원 이용석씨와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박일수씨를 비롯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노동3권 보장(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막는 현실에 대해서 죽음으로써 항거하였던 역사가 있다.

국가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권보호의 차원에서 볼 때,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합설립이나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보호해야한다. 또한 국가는 노조설립시에 폐업조치를 취하는 사업주들에 대해서 법적으로 처벌규정을 두고, 책임처벌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단결권을 가로막는 사업주들을 무기명으로 고발할 수 있는 고발제도를 만들고, 여기에 신고된 사업주들에 대해서는 국가의 감시와 감찰을 통해서 책임 처벌하는 제도를 도입해야한다. 또한 국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합활동을 보장해야한다. 국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가입을 권장하고, 원청 하청 사업주에게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합가입을 허용해야한다. 그 방법은 첫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비정규직 노동조합과 사내하청지회로의 집단가입을 허용해야한다. 둘째: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활동을 법적으로 보장해야한다.


2) 4대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의 가입 및 적용확대 방안

이 연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4대보험법이 공식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배제하고 있지는 않으나, 고용기간, 사업장규모, 근로계약유무 등에 따라 제한을 해 놓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4대보험에서 제외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수건설노동자의 경우, ‘1개월미만 고용되는 자에 대한 적용제외’규정에 인하여 대부분의 건설노동자들이 고용보험적용에서 누락되고 있다. 한편,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건설노동자의 경우 역시 ‘1개월미만 고용되는 자에 대한 적용제외’규정에 의하여 직장가입이 안되고, 지역가입으로 되어 있는데, 지역가입의 경우 직장가입에서 사업주부담금이 없고, 비정규직 노동자가 보험료 전액을 지불해야하므로 실제 보험료 납부를 더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재보험의 경우, 그러나 실제 여수건설노동자들을 보면, 산재보험은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되도록 하고 있으나, 실제 대부분의 하청업체는 산재보험에 가입하지 않거나 노동자들의 산재보험적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재보험 적용의 부분에 있어서 적용하청사업주는 자신이 속해있는 하청업체가 산재사고를 낼 경우에 이후 공사입찰을 받는데 문제가 있으므로 산재처리를 안하거나, 비정규직 노동자는 산재처리를 할 경우에 산재처리한 전과가 이후에 고용과정에서 불이익으로 다가올 것을 우려하여 산재처리를 꺼리는 경향 때문에 산재처리를 기피하고 있다. 또한 조선업종 노동자의 경우, ‘존재자체가 비공식적이기 때문에, 정식으로 근로계약을 맺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4대보험으로부터 완전해 배제당하고 있다. 철도 노동자의 경우는 철도청의 지침은 ’4대보험을 관계법령에 따라 빠짐없이 가입할 것‘을 지침으로 내리고 있으나, 실제 각 사무소별 4대보험현황을 살펴본 결과, 일부 사무소, 일부 지역관리지역에서는 4대보험을 엄밀하게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4대보험의 가입 및 적용을 확대해야한다.


가) 고용보험제도: 구직급여의 수급조건 완화방안

현재의 고용보험제도의 문제는 고용기간이 짧은 노동자에게는 고용보험에 가입될 수 있는 기간도 제한되어 있다. 현재의 고용보헙법에 의하면 구직급여의 수급조건이 “이직일 이전 18월간(이하 "기준기간"이라 한다) 제32조의 규정에 의한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이상일 것”으로 명시해 놓고 있다. 이는 실업되기전 18개월동안 적어도 6개월동안은 고용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수급조건이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실질적으로 실업수당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또한 실업수당을 받는 기간이 3개월밖에 안되어 실질적인 생활보장이 되지 못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고용보험제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우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나 실업자에게 고용보험가입과 혜택의 폭이 넓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고용보험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보험가입을 할 수 있도록 사업주에게 의무화 하여야 한다. 둘째: 실업수당의 혜택(기간과 금액)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고용보험과 퇴직금 공제제도의 보장성을 확대하여 노동자들의 실업기간 동안의 생활안정을 해 주어야 한다. 정부와 사업주는 노동자들의 실업동안의 생활안정을 위한 재정부담을 확대한다. 넷째: 저소득 노동자들에 대한 실업수당의 가중치를 부과하여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해주도록 해야 한다.

나) 국민연금제도의 개선

현재 국민연금제도에서는 “의무가입 대상은 법인인 경우는 대표 이사 등 상근임원과 종업원을 합해서 5인 이상이고, 개인인 경우는 대표자를 제외한 근로자가 5인 이상인 때에 당연적용사업장19)이 되어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19조의 규정에 의하여 국민연금에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임원· 종업원이 4인 이하의 사업장 근로자 및 농·어민, 자영업자, 일용근로자, 주부 등은 신청에 의하여 가입할 수 있다.”

현재 국민연금에 가입대상 사업장이 5인 이상 고용사업장이 되므로, 5인 미만의 사업장에 소속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국민연금에 사업장가입자로 되기 어렵다. 특히, 중도 하도급체제에서 하청사업주가 국민연금에 가입되지 않을 경우, 비정규직 노동자도 국민연금에 사업장 가입자로 가입되기 어렵다. 실제 대부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국민연금에 가입되어있지 못하거나, 지역으로 가입되어 있다. 현행 국민연금 직장가입자를 5인 이상 사업장에 소속된 사업장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1인 이상의 모든 사업장에 확대 적용해야한다.


다) 건강보험제도: 기존 의료이용체계의 개선 방안

비정규직 노동자의 의료이용체계를 개선해야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취업시에는 직장의료보험에의 가입을 했다가 실직시에는 바로 직장의료보험에서 탈퇴를 당하고 지역의료보험에 가입되어야 하는데, 실직과 취업이 번갈아서 이루어지는 불안정 노동상태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이 과정에서 중도 탈락되는 경우가 많고 의료이용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구조에 놓여 있다. 현재의 의료이용체계를 직장과 지역단위로 편재되어 있는 체계를 바꾸어서 해당 국민의 총소득에 비례한 의료보험체계를 만들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세금에 근거한 의료이용체계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그리하여 저소득층에서 의료이용의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중요하다. 


라) 산재보상보험법: 산재은폐를 강력히 처벌하고, 산재보험적용에서의 제한과 불평등을 개선해 나가는 방안

재해보상을 받을 권리 (산재보상보험법의 실질적인 적용의 문제) 보장방안

현재 산재보상보험법은 ‘노동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에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노동자를 1명이라도 고용한 사업주는 보험료를 납부해야하며, 노동자는 산재보상보험의 혜택을 받게 되어 있다.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사업이 수차의 도급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는 원수급인(도급인으로부터 처음 도급을 받은 사람)이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주’가 된다 (근기법 제 93조 제 1항). 다만, ‘원수급인이 서면계약으로 하수급인(원수급인으로부터 다시 도급을 받은 사람)에게 보험료의 납부를 인수하는 경우에 원수급인의 신청에 의하여 근로복지공단이 이를 승인한 때에는 그 하수급인을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의 사업주’로 본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 9조 제 1항). 이 법조항에의하면 원수급인(첫번째 하청업주)이 재해보상의 책임이 있으나, 도급을 준 원청사업주에게 재해보상의 1차적 책임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현재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고용불안”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산재보상보험신청을 꺼리고 있으며, 또한 하청사업주나 원청 사업주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산재보상신청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법은 있으되, 제대도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어떻게 해야하는가?

첫째: 원청 사업주에게 산재보상보험의 실질적 책무를 의무화해야 한다. 국가는 원청사업주에게 산재보상보험의 실질적 책무를 의무화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현행법에서 원청사업주가 하청사업주에게 산재보상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주로 일임하는 내용을 수정해야한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원청사업주가 노동자의 재해발생시에 1차적 책무가 있어야 하며, 2차적으로 하청사업주에게 책임이 부가되어야 한다.

둘째: 비정규직 노동자뿐 아니라 모든 노동자들의 산재신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비정규직 노동자뿐 아니라 모든 노동자들의 산재신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현재에는 산재보상신청을 본인이 신청할 수 있으나, 사업주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노동자가 산재보상신청을 할 때에는 사업주의 동의없이도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세째: 산재요양급여에 대해 비정규직/저소득 노동자에 대한 탄력적인 혜택을 부여한다. 저소득/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산재요양급여를 더 높은 비율로 적용함으로써 저임금 노동자가 산재요양중 생계유지가 가능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네째: 산재와 직업병인정기준의 폐기와 직업관련성 포괄적 적용을 위한 조건을 마련한다. 협소한 업무상 재해 및 질병인정기준을 폐기하고, 직업관련성의 포괄적 적용을 위한 조건을 만든다.

다섯째: 산재이후, 작업장 복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재활프로그램을 강화하며, 산재보상이후, 노동자의 업무복귀가 반드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다. 대안3: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확보방안

이 연구결과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노동강도 강화를 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수건설노동자, 조선업종 노동자, 철도노동자들의 경우 저임금구조와 고용불안을 개별적으로 또는 취업해있는 단기간 만회해보려고 무리하게 장시간의 노동시간증대와 작업속도의 증대를 감내하는 것과, 원․하청사업주에 의한 이중의 고용구조 속에서 원․하청사업주들의 이윤율증대의 욕구가 결합하여 작업 과정중에 노동강도가 강화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에서는 면접, 설문조사, 객관적인 측정(심박동수, 심박동수변이)을 통하여 이러한 노동강도 강화로 인한 건강장해의 증거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면접조사와 설문조사에서는 여수건설, 철도, 조선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건강장해에 가장 심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장시간의 노동시간과 직업의 불안정성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여수건설노동자와 철도노동자의 경우, 노동강도가 심할수록, 직업적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각성도가 감소할수록(즉, 작업도중 심하게 졸리움을 호소할수록) 신체의 자율신경계가 교란되고, 24시간 생체주기가 파괴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현행 산업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점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된 내용들, 즉, 작업과정에서 위험물질폭로에 대한 감시, 감독, 폭로측정, 예방, 작업환경측정, 직업병색출을 위한 특수검진과 일반검진제도가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는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채용시신검제도의 경우, 사업주들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선택적으로 고용하기위한 장치로써 사용될 정도로 법체계가 악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작업거부권, 산업보건위원회 및 명예감독관제도 등이 있어 노동자들이 위험작업이나 위급한 상황에서는 집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도가 있으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이러한 법조차 적용되고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핵심적인 두가지는 첫째: 노동강도강화를 저지하는 방안과 둘째: 현행 산업안전보건관리체계를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확대하는 방안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 



1) 노동강도강화 저지방안

가) 장시간의 노동시간과 작업속도를 줄이기 위한 법과 제도적 규제마련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강도강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이 연구결과에서도 보여주었듯이 단위사업장에서의 한 사업주의 이윤증대의 목적으로 행해지는 작업과정 중에서의 강도 높은 노동때문만이 아니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비정규직 노동자 전체집단이 직면하고 있는 저임금구조와 불안정고용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제의 해결도 단위 사업장에서의 문제보다는 우선적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즉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강화를 저지하기위한 국가적인 법과 규제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정책대안으로는 첫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강도강화의 근본적인 기제인 장시간의 노동을 막는 법적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하루 노동시간의 법적 허용한계, 한달, 1년 노동시간의 법적 한계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도 적용이 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조치가 필요하다. 즉, 국가는 하루노동시간, 한달노동시간, 일년노동시간의 허용한계를 만들어야 한다(부록 각국나라의 허용노동시간 참조). 우리나라에서는 하루 8시간 노동시간, 1주 40시간, 4시간마다 30분씩 휴식시간을 정해놓고 있다. 이러한 법적 허용기준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둘째: 비정규직 노동자의 단위시간에 증가되는 노동밀도의 증대와 작업속도를 줄이기위해서는 하루 평균 작업량에 대한 한계량설정, 하루 평균 휴식시간의 설정 및 휴식보장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위의 노동시간의 법적 허용기준을 지켜나가는 것과 함께, 노동강도가 심한 공정들, 즉 건설노동자, 철도 시설노동자, 조선업 노동자들과 같이 작업중의 심박동수가 평균 110이상을 넘는 공정에서는 하루의 노동시간과 휴식시간이 법적 허용기준보다 더 적어야 한다.

위의 법과 제도가 만들어진 후에도 각 단위사업장에서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원․하청사업주의 이윤추구의 목적에 의해서 법과 제도가 유명무실화되고 있지 않은 지를 감시하고, 관리감독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위의 법과 제도가 실제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집단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용인해주는 체계와 적용거부사업장에 대한 원․하청사업주의 책임과 처벌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나) 노동강도강화의 근본원인인 차별적인 저임금구조 철폐방안

이 보고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 강화의 기전은 저임금구조와 고용불안에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경우, 저임금을 노동자 스스로 극복하기 위한 “자발적인 장시간의 노동으로 인한 노동강도강화”와 고용불안으로 인한 “자발적인 노동강도강화”경향은 노동강도강화의 근본 원인이 되는 저임금구조와 고용불안을 동시에 해결하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는 고리이다. 그러므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강화는 고용과 임금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고용안정과 임금보전을 전제로 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강화를 막아야 한다. 또한 고령의 노동자에게는 노동시간의 감소, 노동강도의 감소와 함께 동일임금을 적용하는 것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 노동강도강화를 증대시키는 요인인 고용불안 해소방안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강도강화를 증대시키는 또 하나의 가장 큰 요인은 고용불안, 즉 “언제 작업장을 그만둘지도 모른 다는 불안감”이다. 결국 노동강도강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불안을 해소하는 노동정책들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 단기적으로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기간 안정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 사업장에 직접 고용되었다면 직접 고용의 경우 일정기간내에 정규직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원청사업주의 간접고용을 제한하고, 간접고용시에 원청사업주가 간접고용 노동자의 고용기간을 보장해주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산업안전보건관리체계의 수립방안

가) 주체적 활동보장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한 단결권, 단체행동권 보장 방안

① 작업중지권, 단체행동권보장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스스로 안전에 위협을 느꼈을 때’도 고용문제에 불이익을 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작업중지권은 고사하고, 작업이 건강에 미칠 위험성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3장 여수건설노동자 보고서 참조).

국가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단결권을 보장하여 노동환경문제를 노동자 주체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권한을 주어야 하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작업중지권이나 단체행동권을 주장했을 때, 고용위기나 고용에 불이익을 당하는 사례가 없도록 조치를 해야 한다.


② 명예산업감독관 제도의 도입과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설립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노동환경을 보장할 수 있도록 노동자가 주도적으로 구성하는 산업보건위원회제도와 명예산업감독관제도를 도입한다. 산업보건위원회제도와 명예산업감독관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어 있는 제도로써, 대부분의 대규모의 정규직 노동조합에서는 산업보건위원회제도와 명예산업감독관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이러한 제도조차 실행되기 어려운 현실이다. 여수 건설노동조합에서는 여수건설 노동자들에 의해서 산업보건위원회제도와 명예산업감독관제도가 일정하게 운영이 되고 있는데, 건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어느 사업장에 어느 기간동안 작업을 하러 들어갈 때, 동일기간에 동일한 사업장에 일을 시작하는 노동자들이 모여서 직접선거에 의해서 산업보건위원회와 명예산업감독관을 구성한다. 비록 이 제도는 작업의 기간에 따라서 한시적이라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노동자들이 주체적으로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긍정적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국가는 이러한 기존의 사례들을 적극 활용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도 어떠한 형태로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주체가 되는 산업보건위원회제도와 명예산업감독관제도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이 제도가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는 실질적인 기구로 발전시켜야 한다. 단 하루를 일하더라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일을 시작하는 그날 아침부터 당장 주체적으로 산업보건위원회와 명예산업감독관을 구성하고, 작업장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구조 및 구체적 시행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나) 원청사업주의 책임강화

비정규직 노동자의 안전보건관리를 위해서 원청사업주에 대한 감시감독을 강화하고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현행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일반적인 안전보건조치로서 ‘도급사업에서의 안전, 보건조치’조항20) (산안법 제 29조, 30조)을 보면, 원청 사업주와 마찬가지로 하청사업주에게도 동일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장소나 작업환경이 원청사업주의 소유하에 있는 만큼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조치는 원청사업주가 주된 책임을 지도록 법과 제도가 바뀌여야 한다. 원청 사업주가 도급과 하청 노동자를 사용했을 때의 책임이 정규직 노동자만을 사용했을 때의 책임감보다 더 커야 실제 도급과 하청노동자의 증대를 막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한편,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재해발생위험이 있는 작업에서의 안전, 보건조치를 보면, ‘도급사업의 사업주는 그의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가 노동부령이 정하는 산업재해 발생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노동부령이 정하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산안법 제29조 제2항)’고 되어있다. 산안법에서 명시한 “재해발생위험이 있는 작업”에 대한 규정을 확대강화해야 한다. 또한 도급사업의 사업주는 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 그의 수급인 및 그의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와 함께 정기 또는 수시로 작업장에 대한 안전, 보건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산안법 제29조 제3항)21)고 되어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위의 법이 작업현장에서 시행되고 있지 못하는 문제이다. 하청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작업장에 대한 실질적인 안전보건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청사업주를 강제하는 법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다) 유해작업에 대한 도급제한 및 안전시설강화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유해작업의 도급제한22)이 있으나, 도급금지사업외에 유해물질이나 유해환경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 제도적 안전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유해환경이나 유해물질에 폭로되었을 경우, 원청사업주의 무관심으로 작업장에서의 안전시설의 부재, 안전보호구의 부재등이 지속되어 더욱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유해물질과 유해작업공정의 도급제한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제한을 위한 법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라)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업병의 진단과 유해요인예방을 위한 방안

노동강도강화로 발생되는 직업병의 예방과 유해요인개선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노동자들의 참여하에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해야한다. 또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근골격계유해요인 조사를 정부차원에서 확대강화하여, 산업안전공단이나 노동사무소에 비정규직 노동자 대책반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원청 사업주로 하여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직업병 예방과 유해요인대책을 세우도록 법적으로 강제한다.


마) 위험작업장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방안

산업안전공단과 노동사무소는 위험물질에의 고농도 폭로작업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평가를 위한 재정과 관리의 책임을 져야한다. 측정계획의 수립, 측정과정, 결과보고, 향후 대책수립과정에서 노동자들의 참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바)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현실화: 채용시 건강진단제도, 일반/특수건강검진제도 방안

①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산업안전보건법의 적용 실제화 방안

파견근로자보호에관한법률중 산업안전보건문제를 보면, 파견중인 근로자의 파견근로에 관하여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를 다같이 근로기준법 제15조에서 정한 사용자로 보아 동법을 적용하고 있다(파견법 제34조). 다만 부담하여야 할 업무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에 따라 다른데, 파견중인 근로자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의 적용에서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업무는 원칙으로 사용사업주가 부담하고 (파견법 제35조 제1항), 일반건강진단 실시와 같이 고용기간 중 지속적으로 강구하여야 할 조치에 관하여는 파견사업주가 그 의무를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파견법 제35조 제3, 4항).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포괄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명시해 놓지도 않았지만,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포괄되지 않았을 경우에 법적 조치에 대한 규정도 없기 때문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산업안전보건법은 있으나 실제 지켜지지 않는 법이 되어버렸다. 즉, 현재 가장 큰 문제는 산업안전보건법이 있으되, 실제로 실행이 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도 산업안전보건법의 적용을 실제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 실제화 방안중의 가장 핵심적인 고리가 바로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성을 강화”하여 원청(사용)사업주로 하여금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도 정규직 노동자들과 동일한 산업안전보건법의 조항들을 지켜나갈 것을 법과 제도적으로 명시화해야하고, 국가는 실제 사업장의 감시감찰 및 원청(사용)사업주의 처벌을 통해서 실제화 하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② 채용시 건강진단제도의 개선방안

작업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말살하는 또 하나의 행위가 “채용시 신체검사”제도이다. 채용시 건강진단이라 함은 사업주가 노동자를 신규로 채용하는 때에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말한다. 이 제도가 현재에는 노동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적정 작업장소에 배치되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주들에 의해서 취업을 원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 중에서 불건강한 노동자를 골라내서 미리 고용을 못하게 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채용시 건강진단이 노동자의 취업을 가로막는 제도로 되고 있는 현 상황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노동자들에게 시행되어지는 채용시 건강진단은 “채용이후 업무 분담을 위한 검진 또는 채용 후 주기적인 정기건강검진”등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③ 동일사업장에 대한 동일위해요인조사와 건강진단조사

현재는 동일한 사업장에서 근무를 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그나마 산업안전보건법에 명시되어 있는 유해요인조사 및 건강진단조사도 실시되고 있지 못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동일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에게는 동일한 유해요인조사와 동일한 건강진단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하여, 동일한 사업장에 대해서 “유해요인 조사사업”과 함께 일원화하고, 유해물질에의 노출과 직업관련성 건강장해와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감시체계의 감시자는 국가가 되어야 하며, 사업장에서의 책임담지자는 원청(사용)사업주가 되어야 한다.


<표 7-7>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과 관련된 현행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현행법

 

 

1) 건강관련법

문제점(무엇이 문제인가?)

개선방안

(1)산재보상보험법

 

-비정규직 노동자가 산재보상신청을 할 경우, 사업주로부터 불이익을 당하는 상황

-원청사업주의 책임을 강화하기, 어떠한 경우에라도 원청사업주가 산재보험료납부와 산재발생시 보상의 1차적 책임이 되어야 한다.

-산재보상신청시 사업주의 동의없이도 할 수 있어야 한다.

-산재보상이후 업무복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2)산업안전보건법

-채용시 건강진단이 사업주에 의해 비정규직 노동자를 선별 취업시키는 제도가 되고 있는 상황

-채용시 건강진단을 이용하여 노동자의 취업을 미리 막는 제도를 바꾸어야 한다.

(3)산업안전보건법

유해물질과 유해작업공정을 도급과 비정규직 노동자가 주로 작업해야하는 상황

유해물질과 유해작업공정의 도급제한을 확대강화해야한다.



<표 7-8>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방안

큰항목

세부항목

구체적인 대안

노동권

 

 

대안I.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를 막고 정규직 노동자를 증대하는 안

1)비정규직 노동자 증가 양산을 억제하는 법적 제도적 방안

가)파견법(파견근로자보호등에 관한 법률)을 철폐하고, 간접고용을 철폐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나)중층하도급구조의 폐지방안을 마련한다.

다) 비정규직을 양산시킨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중단한다.

 

2)중층하도급구조에 의한 간접고용상의 문제점 해소 방안

가) 원청(사용)사업주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

나) 중층하도급구조의 억제와 감시 및 관리감독의 강화 방안

 

3)비정규직 노동자의 일할권리 보장 : 일할권리, 적법하게 일을 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권리 마련 방안

가)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의 개념을 확대하자

나)노동자들의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업무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국가와 모든 기업체의 의무사항으로 되어야 한다.

다)노동자의 요구도에 근거한 수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대안2.비정규직 노동자의 기본권을 준수하고, 노동기준을 전반적으로 상승시키는 방안

1)최저 노동기준의 상향조정: 최저임금 상향조정과 장시간 노동시간구조의 개선

가) 저임금구조 철폐;  최저임금을 생활임금수준으로 상향조정방안

나) 장시간의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방안

다) 비정규직에 대한 근로기준법 적용 의무화방안

라)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3권 보장(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방안

 

2)4대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의 가입 및 적용확대 방안

가) 고용보험제도: 구직급여의 수급조건 완화방안

나) 국민연금제도의 개선

다) 건강보험제도: 기존 의료이용체계의 개선 방안

라) 산재보상보험법: 산재은폐를 강력히 처벌하고, 산재보험적용에서의 제한과 불평등을 개선해 나가는 방안

마) 위험작업장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방안

바)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현실화: 채용시 건강진단제도, 일반/특수건강검진제도 방안

 

대안3: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확보방안

1) 노동강도강화저지방안

가) 장시간의 노동시간과 작업속도를 줄이기위한 법과 제도적 규제마련

나) 노동강도강화의 근본원인인 차별적인 저임금구조 철폐방안

다) 노동강도강화를 증대시키는 요인인 고용불안 해소방안

 

2) 산업안전보건관리체계의 수립방안

가) 주체적 활동보장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한 단결권, 단체행동권 보장 방안

나) 원청사업주의 책임강화

다) 유해작업에 대한 도급제한 및 안전시설강화

라)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업병의 진단과 유해요인예방을 위한 방안



3. 각 사업장별 정책대안


각 사업장의 특성에 따른 정책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여수비정규직건설노동자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대책

1) 정부의 노동유연화정책 중단과 사회보험 보장의 확대

97년 IMF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이에 발맞추어 정리해고제, 파견근로법, 변형근로제를 법제화시킨 이후 노동은 더욱 불안정해지고 있다. 현행의 근로기준법은 불안정노동을 용인해주고 있으며23) 최근의 파견법개악은 이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 노동의 유연화는 노동법상 사용자의 책임을 회피하게 하고,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최소한의 근로기준법의 보호도 박탈하고 있다. 그 결과 대다수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는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 그리고 사회보험으로부터의 배제 현상이 일반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생산적 복지’24)라는 사회복지제도의 방향성은 노동자들의 실업이나 산재와 같은 불행한 일이 발생했을 때 실업과 산재기간을 최소한으로 축소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짐으로써 노동자의 생존권을 보장해주지 못하고 있다. 여수비정규직건설노동자들의 경우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러한 조건 속에서 고통을 받아왔다. 따라서 노동유연화 정책을 중단하여야 하며 간접고용을 줄이고 직업의 안정성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수비정규직 건설노동자들의 경우 사업주가 수시로 바뀌어서 노동법상 기본적인 사용자의 의무가 책임소재의 불명확성으로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동법상 사용자 개념을 확대 적용하여 여수비정규직 건설노동자에게도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가) 중층적 노동관계의 단기간 계약직 노동자에게 근로기준법과 노동3권의 실제적 보장

- 노동법 상의 사용자의 개념을 확대하고 직업안정법을 강화해야 한다.

- 우선적으로 메인(main)노동자들의 경우, 이들에 대한 간접고용을 상시고용 및 직접고용      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 여수산단의 사업주들은 여수비정규직건설노동자의 의료보험과 국민연금보험의 직장가입      에 비용부담을 수용해야한다.


나) 산재보험,고용보험은 비정규직노동자들에게 탄력적인 혜택 부여

 - 저소득/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산재시 휴업급여와 실업시 실업급여를 정규직에 비해 더      높은 비율을 적용함으로써 저임금노동자의 생계비 보장을 현실화해야 한다.

- 단체협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재휴업급여 평균임금 산정 시 여수건설노동자들에게      ‘일용직에 대한 통상근로계수’를 적용하는 근로복지공단의 방침은 즉각 시정되어야 한다.

- 협소한 업무상 재해 및 질병 인정기준을 폐기하고, 직업 관련성의 포괄적 적용을 위한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2) 노동조합의 활동의 적극적 보장

지금까지 여수건설노동조합은 장기간노동을 개선하고, 단체협상을 통해 근로기준법상의 권리를 하나하나 쟁취해나갔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3개월 이상인 신설공사의 경우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하여 작업현장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벌여왔다. 노동자의 개별적인 노력으로는 작업환경개선을 커녕 산재인정조차도 어려웠음을 감안한다면, 집단적 대응을 가능케 한 노동조합의 활동과 투쟁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실제로 지금까지 여수건설노동자들의 노동조건 및 건강상의 개선점이 있다면 이는 모두 여수건설노동조합의 힘에 근거한 것이었다. 따라서 전체건설노동자들의 보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노동조건 개선과 노동자 건강을 위해 투쟁하는 노동조합의 활동은 적극적으로 옹호되어야 한다. 그러나 건설노동자들의 경우 고용상의 특수성 및 노사관계의 불명확성 및 다면성 때문에, 노동3권과 근로기준법의 적용에 있어 불리한 조건에 처해왔다. 이는 모든 불안정노동자 혹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공통된 사항이기도 하다. 즉 노동3권과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더라도, 보장받거나 활용할 수 없는 조건에 처해있어서 형식화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된다.


가) 여수산단의 건설노동자를 고용하는 사업주들의 단체교섭에 대한 성실한 대응

-여수산단의 사업주들은 사업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여 여수건설노조와의 단체협상     에 성실하게 응해야 한다. 특히 계전분회 사업주들의 경우 해년마다 단체협상을 의도적     으로 회피하고 있는 바,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관계당국의 제재조치가 요구된다.


나) ‘일반적 효력확장제도’의 적용 확대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의하면 단체협약이 성립되면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사용되는 다른 동종의 근로자에 대하여도 단체협약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25) 이는 노     조로 조직되기 힘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에 의한 단체협약으로 비정규직 노동     자들의 권익을 확보해나갈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다. ‘일반적 효력확장제도’가 제대로     적용되도록 사용주에 대해 관계당국의 감시가 필요하며, 비정규직의 권리 옹호를 위해      보다 폭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여수비정규직건설노동자의 직업병과 산업재해의 개선대책

가) 작업환경 유해요인 개선대책의 수립과 적극적 추진

-비정규직건설노동자에게도 노동환경에 대한 유해요인조사와 개선을 가능케 하는 법적요    건이 만들어져야 한다.

-shut-down 공정에서의 고폭로, 각종 유해화학물지의 유해성 평가 등 여수산단의 특성에     맞는 특성화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조합의 참여 하에 근골격계 직업병 등 각종 직업병과 산업재해에 대한 정기적인 유     해요인 조사 실시해야 한다.26)


나) 여수비정규직건설노동자에게 일반건강검진과 특수건강검진 실시

-개별적인 병력이 사업주에게 유출되어 노동자들에게 고용상의 불이익이 생기는 일이 발     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수비정규직건설노동자들의 직업병이 산재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어야 한다.


다) 비정규직건설노동자들이 산재를 인정받는데 방해되는 장벽 해소

-협소한 업무상 재해 및 질병 인정기준을 폐기하고, 직업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적용해야한     다.

-산업재해를 은폐하고, 산업재해 후 작업환경개선조치에 소홀한 사업주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라) 유해요인조사와 대책수립과정에서 노동조합의 참여 보장

-각종 유해요인 조사에 노동조합의 참여를 보장해야하며,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    이 유사직종 및 관련 산업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건설공사 안전관리체계에 노동자들이 주도로 구성하여 활동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위원     회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나. 조선산업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건강권 확보방안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증대하면서 사회문제로 등장한 비정규 노동에 대한 개괄적인 규모와 분포 등에 대한 조사연구 자료는 현재 시점에서는 어느 정도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노동실태와 건강실태에 관한 자료는 흔하지 않다. 다른 산업의 비정규직에 대해서도 거의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지만, 조선산업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실태, 그리고 건강실태에 대한 조사자료는 더욱 극히 미약하다. 그동안 조선산업에 종사해온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조선산업에의 유입과 유출에 대해 명확하게 조사된 적이 사실상 없었기 때문이다. 적절한 조사자료들이 부재한 관계로 특히 노동실태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 노동자에 대한 직접 면접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조선산업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과 건강 실태에 대한 실제적인 조사가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을 만큼 사각지대였음을 드러내주고 있다.

조선산업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일상적인 고용불안에 처해 있지만, 실직을 우려하여 무리한 작업량과 작업강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내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은 노동강도의 극대화로 이어져 근골격계 질환 등의 직업병과 각종 재해 및 사고를 증가시키지만, 이에 대해 어떠한 보호도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법제도적인 비정규직 보호장치들이 일정하게는 구비되어 있지만 그것을 실제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적용받는다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보다도 어려운 것이 실정이라는 것은 조사결과로 볼 때 명확하다.

실제로 하청 노동자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제도를 통해 안전보건 기본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하청노동자들은 물량에 따라 사업장 이동이 잦기 때문에 산안법에 따른 작업환경측정, 건강진단의 주기가 돌아오기 전에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가 있다. 설령 평가에 포괄된다고 하더라도 질병이나 재해로 건강이 나빠진 노동자들이 이미 퇴출되고 건강한 노동자들만이 남아있기 때문에(이것을 일명 ‘건강 노동자 효과’(healthy worker effect)라고 한다) 건강진단을 통해 하청 노동자들의 안전보건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기조차 쉽지 않다.

전통적으로 조선소에서 일하는 여러 직종은 대부분 여러 종류의 직업병에 걸리기 쉬운 고위험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위험들은 하청 노동자의 만성적인 고용불안과 저임금 구조, 노동조합 등 조직적 대응력의 부족, 그리고 법․제도적 보호 장치의 미비함으로 인해 한층 증폭되어, 조선소의 하청 노동 과정은 ‘안전보건의 무법지대’가 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선산업 하청 노동자들은 주로 물량이 많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투입되는데다가 저임금과 고용불안 때문에 자의반 타의반으로 장시간 고강도 노동을 하는 경향이 있어 유해 요인에 집중적으로 폭로될 위험이 크다. 실제로 유기용제, 분진, 소음 등 노동 과정상의 유해 요인들에 장시간 폭로되고 있다. 결국 조선산업 비정규직(사내하청)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건강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고강도의 장시간 노동, 불안정한 고용, 법제도적 보호에서의 배제이다. 저임금 구조와 만성적인 고용불안은 고강도 장시간 노동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중층 하청 구조 속에서 노동 조건에 대한 사업주의 책임이 은폐되어 있으며 노동자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노동 3권이 전혀 보장되어있지 못하여 위의 문제들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따라서 조선산업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권과 노동권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고용안정성 보장, 노동시간 단축 및 노동강도 완화, 원청사업주의 책임성을 강화한 상태에서의 노동안전과 건강 관련 장치들의 제도적 보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조선산업에서 비정규노동자들은 원청과의 직간접적이고 중층적인 하청구조 속에서 이중삼중의 불이익을 받고 있다. 원하청 관계가 복잡하고 중층적이어서, 1차 하청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는 사내하청 노동자들 이외에 2차, 3차 하청관계에 있는 노동자들에 대한 노동조건 개선과 건강보호장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시급한 과제들을 적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원청 사업주의 책임성 강화

무엇보다도 있는 법제도만이라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사업장에 종사하고 있는 노동자들이라면 그 종사상 지위를 막론하고 동일한 처우가 실현되도록 원청사업주의 책임성을 대폭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1998년 근로자파견법이 제정되고부터는 사용사업주와 고용사업주간의 책임영역이 나뉘어 짐으로써 각기 그 책임성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은 각기 그 책임성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를 낳고 있다. 파견법상의 고용사업주(하청)가 있음으로 해서 오히려 실제적인 사용사업주(원청)가 법률상의 책임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되고, 고용사업주는 문제가 드러나면 사업물량을 획득하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여 문제를 은폐하기에 열중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비정규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조건을 감내하면서 건강과 인권의 사각지대에서 노동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사업장에서 실제적인 사용자인 사용사업주인 원청사업자가 사용하고 있는 노동자의 임금 및 작업환경 등 전반적인 노동조건에 대하여도 책임을 지도록 하는 법률적 강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개선에서 기본이라고 하겠다.

중장기적으로는 사용사업주가 아닌 형태의 고용사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근로자 파견업이라는 파견법상의 업태는 인력을 공급하는 취업알선기관 정도의 위상을 갖기 어렵다. 이점을 고려한다면 근로자파견법 제정을 통하여 사용-고용이 괴리되는 것을 정당화하고 그 책임을 일차적으로 고용사업주가 지게 한 것은, 조선산업처럼 ‘사내하청’을 통하여 이미 불법파견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업종에서 사내하청 노동자들을 포함한 2,3차 하청 노동자 및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처우개선 필요성을 외면한 것이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2) 임금 등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과 하청사업주의 착복 감시처벌 강화

개발독재 시대의 특징이었던 저임금 장시간 노동이 전국 전산업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여전히 강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조선산업에서 그 양상은 더욱 선명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산업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유입유출 구조를 보면, 전반적으로 사회 전체의 고실업과 비정규직화에 따라 그 이전보다도 더욱 열악한 형태의 노동조건을 감내하면서 취업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조선산업의 호불황에 따라 철도나 건설 등 다른 산업으로의 노동이동도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전반적인 노동조건의 개선은 인권의 사각지대에 처해 있는 제조업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가장 절실한 요구이다.

먼저, 저임금 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 아래 정규직과의 차별을 축소해 나가야 할 것이다.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개별적 임금 결정방식을 개선하는 차원에서 임금 수준 및 산정 방식에 대한 지침 및 규제가 필요하다.

다른 한편, 시간급 중심의 임금 산정방식도 개선되어야 한다. 원청 기성금 변경에 대한 사전 허가제 등을 통해 하청 노동자의 임금 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하청 사업주에 의한 불법 착복 감시 및 처벌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3) 고용상태 개선을 위한 고용보험제도 개선 및 제도적 보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상태 안정을 위해서는, 근로 계약의 최소 단위를 설정한다거나 구직급여를 통한 생계유지가 가능하도록 고용보험제도를 개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비공식 하청과 불법파견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 비정규직의 일자리 불안정성을 제거하는 것도 장기적으로는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저임금-고강도-불안정 노동을 유발시키고 있는 불법파견 하도급 구조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동일작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비정규직 투입 금지, 사용사업주의 책임성 강화 조치가 따라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스스로 자신의 노동권과 건강권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동조합 활동과 노동 3권을 보장함으로써 그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조선산업 내 불법 폐업 및 부당노동행위 특별 감독, 인권 침해 사례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 및 처벌, 조선소 사업장 내에서의 노동조합 활동 보장 등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4) 건강권 확보 방안

우선,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관리 감독 및 처벌 기준을 강화하고, 건강검진, 작업환경측정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채용시 건강검진으로 인한 고용차별 및 산업재해 보상 과정의 불이익(고용 무효화) 사례 조사 및 감독과 함께 건강검진 및 작업환경측정 제도 개선을 통해 하청 노동자가 누락되거나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다. 철도 비정규직 노동권, 건강권 확보방안

1) 비정규직 확대 중단

먼저 정원과 현원간 괴리된 부족인원을 정규직으로 충원해야 한다.27) 철도에서 비정규직 확대는 실제 필요인력에 반해 중앙정부가 예산 및 정원을 통제하는 데에 1차적 원인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 2004년 2월 현재 철도정원은 30,119명이지만 현원은 29,531명으로 588명이 부족하다. 철도에선 정원을 책정해 놓고도 현원은 정원을 크게 미달하는 경우가 몇 년째 계속되어 오고 있다. 철도청은 이 부족인원에 대해 비정규직으로 채워왔고, 이후에도 계속 확대하려는 방침인 것이다. 둘째, 또한 신규사업에 필요한 인원을 정규직으로 충원해야 비정규직 남용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철도청은 신규사업에 필요한 인원을 비정규직과 외주화를 통해 해결하려 하고 있다. 철도는 2004년 4월 고속철도를 개통했고, 호남선 구간을 전철화 했다. 이러한 신규사업에는 상당수의 인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철도청은 일반철도 인력으로 대체하거나, 비정규직 도입, 외주화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 이미 고속철도 여승무원은 외주업체인 홍익회에서 채용하여, 투입하고 있고, 호남선의 전철구간 점검도 외주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철도에서 비정규직 확대를 막기 위해서는 정원과 현원 사이의 부족인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신규사업에 필요한 인원도 정규직으로 충원해야만 한다. 그 방안만이 더 이상의 비정규직 양산을 중단할 수 있다.



2) 비정규직 축소를 위한 방안

먼저 직접고용 상시업무 비정규직은 정규직화해야 한다. 철도 직접고용비정규직 중 계절인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일시적 결원과 한시업무에 고용되는 것이 아닌 상시업무라고 할 수 있다. 계약도 1년마다 반복갱신을 하고 있다. 간접고용비정규직의 업무도 궤도 건설이나 중보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상시업무이다. 상시업무를 비정규직으로 계속 고용한다면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경계는 끝이 없게 된다. 상시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들은 정규직화하거나 정규직으로 채워져야 한다. 둘째, 더 이상의 외주화를 중지하고, 간접고용 비정규직의 업무가 상시업무의 경우 직접고용으로 전환해야 한다. 철도의 민간위탁, 외주화 범주는 그 폭이 상당히 넓고, 그 업체에 종사하는 노동자도 상당히 많을 것이 분명하다. 차량내부청소와 비품관리를 담당하는 업체의 경우 고용규모가 1천명을 넘는 경우도 있고 수도권광역전철인 4호선 및 경원선의 경우 많은 역사가 민간위탁 되어 있다. 이들 외주업체 노동자나 위탁업체 노동자 모두 철도 건물 내에서 철도 시설물을 사용하며 상시적으로 철도업무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철도노동자이다. 이들의 업무는 당연히 상시업무로, 이들을 직접고용 비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은 비정규직의 문제해결을 위해 꼭 필요한 방안이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2004년 들어 철도는 외주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환경관리(청소)업무와 구내기관사를 외주화 했고, 고철 여승원도 외주업체에서 채용했다. 고속철도 전기업무에도 외주업체가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철도청이 직접고용비정규직에 대한 외주화와 신규사업 외주화를 중단하지 않고서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요원할 것이다.


3) 비정규직 차별 폐지

가) 임금 개선 방향

첫째, 저임금 구조를 폐지해야 한다. 철도 직접고용비정규직의 월급여는 정규직의 1/2 수준이고, 연급여는 1/3 수준이다. 또한 비정규직 가계 년총수입이 철도정규직의 연봉에도 미치지 못한다. 같은 업무를 하고서도 비정규직이라는 이유 하나로 저임금 등 부당한 차별을 받고 있는 것이다. 비정규직의 저임금 구조를 없애기 위해서는 먼저 최저임금을 생활임금 수준에서 책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최저임금은 환경미화원, 건물관리 업무 등에 종사하는 비정규직의 임금 책정의 기준이 되고 마찬가지로 철도에서도 환경관리(청소)업무의 경우 최저임금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에서 책정된다. 이들 직종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적용 등으로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하지 않는다면 저임금을 벗어날 길이 요원하다. 또한 동일노동에 종하는 경우 동일임금을 적용해야 한다. 동일한 업무를 하면서도 비정규직이라는 이유 때문에 차별받는 구조는 없어져야 한다. 최근 정부에서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동일노동일 경우 비정규직의 임금을 80% 수준까지 올린다는 발표도 있었다. 이런 발표가 허언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법제화 등의 후속작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임금지급시 경력을 인정해야 한다. 정규직은 임금인상과 별도로 호봉승급을 인정함으로써 경력을 인정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은 임금인상이 거의 없으면서 경력도 전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10년 근무자나 오늘 처음 출근한 자나 일급여가 동일하게 적용되는 모순이 발생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차이는 해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비정규직에게도 경력을 인정해서 이직도 방지하고 일에 대한 자부심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비정규직 일부 직종에 적용되는 포괄임금제를 폐지해야 한다. 차량, 급유, 연료인부 등 1주야 맞교대를 하는 비정규직의 경우 포괄임금제를 적용하여 연장노동과 야간노동 등 법정수당의 일부를 미지급하고 있다. 앞에서도 지적했지만 철도차량 일근자와 1주야 맞교대자의 노동시간과 임금을 비교할 때 1주야맞교대자의 시급이 500원 가량 적다는 계산이 나왔다. 그러나 1주야맞교대자에게는 포괄임금을 적용하기 때문에 이런 사실이 은폐될 수 있었다. 법적 수당 미지급으로 활용되는 포괄임금제는 마땅히 폐지되어야만 한다.


나) 비인간적 근무체제 및 장시간 노동 폐지

이번 조사에 의하면 정규직의 46.9%, 비정규직의 37.28%가 1주야맞교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주야맞교대는 철도 창설 이래로 지속되어온 비인간적 근무체제로 철도노동자들의 전근대적 노동조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정규직, 비정규직(직접, 간접고용 모두 포함) 모두에게 장시간노동을 강제하는 1주야맞교대제라는 비인간적 근무체제개선은 철도노동자들의 가장 절망적 조건이고 가장 절실한 요구이기도 하다.


다) 복리후생 차별 금지

먼저 비정규직 내부의 복리후생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 비정규직 중 매표, 개집표, 기관사 등의 직무는 교통비, 식대, 직무수당 등을 적용받고 있고, 차량, 시설 등 다른 직무들은 이런 수당을 전혀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철도청이 비정규직에 대한 통일적인 운영방침을 갖지 못하거나 관리 감독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보여진다. 이런 비정규직 내부 차별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상여금 지급, 학자금 지원 등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차별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차별은 비정규직의 사기저하와 차별의식 고착화 등으로 비정규직의 생활을 더욱 피폐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시급히 시정되어야 한다.


4) 정규직 노동조합의 역할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철도노동조합 정규직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비정규직 문제는 노동자연대 관점에서도 용납할 수 없는 일이고, 비정규직 확대는 정규직의 고용축소와 정규직의 노동조건 저하로 귀결될 것이기 때문에 정규직 스스로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철도에서 비정규직 남용은 안전사고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철도서비스 질 저하로 귀결될 것이 예상된다. 비정규직 스스로 주체가 되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올바름에도, 이는 비정규직의 조건상 지난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규직이 주체로 나서기 이전까지는 정규직의 선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2004년 금호타이어 정규직 노동조합이 사내하청노동자 정규직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노사합의를 이루기도 했고, 2003년 철도노동조합이 병점차량기지 외주화를 철회시킨 적도 있다. 그러나 철도노동조합은 정규직 자신들의 문제해결에 급급하여 비정규직 문제해결에는 손을 놓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2003. 4.30 단체협약 체결시 비정규관련 사안을 합의해 놓고도 이를 지키는 데는 여전히 부족하다.  최근 철도노동조합은 비정규직 담당자를 선정하는 등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한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 관심이 비정규직 문제해결의 실질적 노력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5) 편법적인 법적용 금지

비정규직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서 법적용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지만 이런 문제제기가 결코 비정규직의 노동조건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긴다. 즉 포괄임금제를 폐지하라는 주장에 대해 1주야 맞교대자의 수당을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일근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방향으로 개악할 수도 있고, 비정규직 내부 차별을 폐지하라는 주장에 대해 혜택을 받고 있는 직종의 수당을 폐지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우려가 드는 것은 이미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철도의 경우 2003년 유급휴가 부여라는 법적용을 위해 급여를 삭감한 적이 있다. 급여삭감으로 노동자들은 한달에 10-30만원 가량을 손해를 입었으나 철도청은 유급휴가를 부여했다는 옹색한 주장을 하고 있다. 법적용이 결코 노동조건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은 사례이다.


6) 비정규직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방안

철도 비정규직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들이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도 내의 전반적인 작업환경과 노동조건 개선이 동시에 병행되어야 한다. 철도 노동자들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막론하고 열악한 작업환경과 노동조건으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열차접촉에 의한 사망사고, 전기에 의한 감전사고 등 생명을 위협하는 각종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중량물 작업, 반복작업, 불편한 작업자세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 또한 매우 높다. 열차 소음은 그 자체로 소음성 난청과 같은 건강장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의사 소통을 힘들게 해서 사고의 위험을 높인다. 이러한 건강장해는 전근대적인 24시간 맞교대 근무와 같은 장시간 노동 및 심야 노동, 인원 감축으로 인한 작업량 증가 등 노동조건의 악화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장시간 노동 및 심야 노동은 각종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과로사를 증가시키는 건강장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환경과 노동조건은 철도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에게도 대부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철도 비정규직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도 내의 전반적인 작업환경과 노동조건을 개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수행하는 직무 내용, 노동시간 및 임금 등 노동조건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건강장해를 예방할 수 있다.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수행하는 직무는 낮은 직무요구도와 낮은 직무자율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대단히 수동적인 특성을 띄고 있다. 이런 수동적인 직무 수행은 자신의 노동에 대한 통제를 상실하게 하여 각종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증상 등 각종 건강장해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특히 지역사무소 비정규직의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건강장해가 발생하더라도 장시간 노동으로 인해 병원에 갈 시간이 없거나, 회사의 눈치를 보느라 병원을 가지 못하거나, 진료비 부담 때문에 병원 진료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동조건 개선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 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도 내에서 제한적이나마 적용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제도에서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이 해소되어야 한다. 철도는 2002년부터 각종 산업안전보건제도가 조금씩 적용되기 시작하여 현재 조금씩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이 존재한다. 정규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각종 건강검진 과정에서 배제되고 있고, 보호구를 포함한 각종 소모품들을 지급받지 못함으로 인해서 작업환경 위험요인에 여과없이 노출되고 있다. 또한 안전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사고의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산업재해 보상제도의 현실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비정규직 노동자의 10% 정도가 작업중에 사고나 재해를 경험하였으나 이중 산재로 치료받았다고 응답한 노동자는 6명에 불과했다. 철도 내 규정상 비정규직 노동자들 대부분 산재보험에 가입되어야 하지만 설문조사 상에서 실제 가입되어 있다고 응답한 노동자는 43%에 지나지 않았다. 상당수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가입여부 자체를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산재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재고용에 대한 불안감, 산재 발생율이 소속 사무소의 경영 평가와 성과급, 소속장의 근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정규직 노동자 스스로 재해 발생을 은폐하고 있다. 이는 정규직 노동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산재, 직업병 발생 노동자에 대한 부당한 재고용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소속 사무소의 경영 평가나 성과급, 소속장의 근평에 산재 발생률이 반영되는 것을 차단하여 노동자들이 스스로 재해 발생을 은폐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1) 사업적 파견근로와 관련된 노동법상의 가장 큰 문제는 다음 두가지이다. 하나는 사업적 파견근로를 합법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합법화한다고 할 때 사업주 책임은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보다 정확하게는 제삼자(사용사업자)의 노동법상 책임을 어느정도까지 인정할 것인가하는 것이다 (강성태, 2000)


2) ‘근로자 파견’의 핵심적인 개념요소는 ‘근로계약관계와 지휘명령관계의 분리’이다. 즉 ‘근로자 파견’에서는 근로계약관계는 파견사업자와 파견근로자간에 존재할 뿐이고, 실제로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사업자와 파견근로자간에는 원칙적으로 아무런 계약적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사용사업자는 파견사업자와 체결한 근로자파견계약서에 기해 파견근로자에 대해 사실상의 지휘명령권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근로계약상의 각종의 사업주책임은 원칙적으로 파견사업자만이 지게 되고, 사용사업주는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다 (강성태, 2000).


3) ‘근로자 파견법상 파견사업자와 사용사업자간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규율은 역시 노동보호법규 예를들어 노동기준법, 노동안전위생법, 진폐법, 작업환경측정법 등의 적용에 있어서 누가 사용자로서 책임을 지는가에 관한 것이다 (제 44조 내지 제 47조). 이중에서 노동기준법상의 사용자 책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견사업자와 사용사업자가 모두 사용자로서 책임을 지는 것은 균등대우, 강제노동의 금지, 도제의 폐해의 방지 등이다. 둘째, 파견사업자만이 사용자책임을 지는 것으로는 남녀동일임금, 근로계약의 체결과 해지에 관한 사항, 임금에 관한 사항 전부, 근로시간에 관한 사항중 삼육협정, 할증임금 및 연차유급휴가에 관한 사항, 연소자에 관한 사항중 취업연령과 증명 및 귀향여비, 여자근로자에 대한 산전후휴업, 기능공양성에 있어 도제의 폐혜방지를 제외한 모든 사항, 취업규칙, 기숙사, 근로자명부, 재해보상등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사업자만이 사용자책임을 지는 것으로는 근로시간에 관한 사항중 파견사업자가 책임지는 것이외의 모든 사항, 연소자의 근로시간, 야간근로, 유해위험작업, 갱내근로, 산전후휴업을 제외한 여자근로자에 관한 모든 사항 등이다 (강성태, 2000)


4) 정부는 1993년 10월 “근로자파견법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는데, 이 법에 의한 근로자 파견이란 ’자기가 고용한 근로자를 당해 고용관계하에서 타인의 지휘˙명령을 받아 그 타인을 위하여 근로에 종사하게 하는 것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5) 기간이 정해져 있는 노동자의 경우 노동법상의 가장 큰 문제는 기간의 만료로 인해서 근로관계가 자동으로 종료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는 기간만료후에도 계속고용을 원하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의 기대가 사회적으로 합리성이 있을 때, 이를 어떻게 법적으로 보호하여 줄 것인가하는 문제이다 (강성태, 2000).


6) ‘사업주(사용자)가 계약기간을 정하여 노동자를 채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비용절감에 있다 (강성태, 2000). 사용자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를 고용함으로써 우선 노동법상의 엄격한 해고제한법규의 제한을 받지 않고 경기변동등에 따라 고용량을 수시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약기간을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써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에 대해서 정규근로자에 비해 퇴직금등 각종 수당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측에서의 장점은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에게는 그대로 단점으로 작용한다. 즉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는 근로관계상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며 근로조건 또한 나쁘다. 특히 기간의 만료시 계약갱신에 관한 주도권이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있기 때문에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는 계약의 존속여부에 관해 사용자에게 강한 종속성을 가지게 된다’ (강성태, 2000).


7) 저임금구조 때문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할수 있으면 최대한의 시간동안 최대로 빠른 속도로 작업에 매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임금을 보충하려고 한다. 즉, 임금이 미리 배정된 일량에 따라 결정된다면, 노동자는 작업속도를 증대하여 노동시간을 최대한 단축함으로써 작업이 끝나자 마자 다른 일을 해서 저임금을 보충하려고 한다. 또한 임금이 시급이나 일당으로 주어진다면, 노동자는 잔업이나 특근등 휴일근무를 함으로써 부족한 임금을 보충하려고 한다. 또한 고용불안은 이러한 노동강도를 자발적으로 더욱 증대하게 만드는 또하나의 요인이다.


8) 며칠전 한 금속산업 노동현장에서 노동강도를 측정하기위하여 공장에 들어가서, 어느 곳을 지나려니 갑자기 와르르 사람들이 모여서 비오듯이 흐르는 땀을 씻어내지도 못하고, 정말 쉴틈없이 일을 하는 장면을 목격하였다. 여기에서는 중량물을 옛날 농부들이 쌀자루 지고 나르듯, 거의 80kg에 해당하는 의자철골구조물을 순식간에 노동자 두 세명이 들어서 올리고 있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었다. ‘정말 저러다가 허리가 뿌러지는데...’ 하고 있는 사이, 그들이 일하는 이 부산한 작업현장에는 가끔 아주 말쑥하게 차려입은 00팀장이라는 명찰을 단 원청 관리자들이 나타나서는 “시간내에 다 못끝내면 철야야!”하면서 지나간다. 작업장내에서 보이는 계급구조이다. 차례로 한명씩 나타난다. 원청 관리자가 와서 실제적인 감독과 관리를 하고 있다. 하청업주는 보이지도 않는다. 결국 동일한 자본가와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감독을 받으면서 도대체 왜 비정규직이라는 이름으로 고용이 되었는가?


9) 현대 자본주의의 축적과정은 자본의 축적과 집중이 유기적구성의 변동 (자본의 불변적 부분에 대한 가변적 부분의 가속적 감소)를 가져오게되고, 이 자본의 가변적 구성부분이 축소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과잉인 노동인구를 끊임없이 생산해 내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잉인구는 경제주기와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는 데, 호황, 활황, 공황, 침체로 이어지는 10년을 1주기로 하는 경제주기에 따라서 산업예비군 또는 과잉인구가 끊임없이 형성, 다소간 흡수, 재형성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과잉노동인구가 축적의 필연적 산물 또는 자본주의적 토대위에서의 부의 발전의 필연적 산물이라면, 이번에는 이 과잉인구가 자본주의 측적의 지렛대로 심지어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생존조건으로 되고 있다.


10) 그들은 왜 비정규직이 되어야만 하는가?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으로 밀린 사람들 - 경력없고, 나이든 노동자, 새로 구직을 하기 어려운 사람들 - 몸밖에 아무것도 없다, 좀 더 돈을 벌어보고 싶었으나 결국 비정규직으로 가버림등으로 자발적인 비정규직이 거의 없고 거의 모두 비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이 되고 있다


11) 실업자들의 경우 사회생활을 유지하기위한 물질적 결핍상태로 사회활동능력이 매우 낮으며, 여사생활도 비용이 드는 것보다는 비용이 덜 드는 것을 하고 있다 (Jahoda, 1972).


12) “현재 자본주의사회의 문제는 생산을 위한 비용에 대한 고려를 안한다는 것이다. 직업불안정성, 노동강도, 재해로 인한 불구등의 위험을 간과함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 상품위주의 경제체제하에서는 삶의 질과 관련된 비용이 무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결과, 삶이 파탄이 나고, 노동과정동안의 삶의 질이 과로노동의 위험과 직업불안정성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Robert Karasek, 1999).”


13) 다른 나라에서 일자리 창출의 문제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은 “2002년 3월 29일 정부 (후생노동장관), 사용자(일본 경단련), 노동조합 (렝고)의 3자간에 ‘일자리 나누기에 관한 노사정 합의’가 처음으로 성립하였다. 합의안은 일본에서의 ‘일자리 나누기’에 대해서 ‘고용의 유지, 창출을 목적으로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고용, 임금, 노동시간의 균형을 재조정하는 노사간의 합의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영채, 2004). 이러한 일자리나누기의 기본구상은 과잉 고용된 부분 만큼 노동시간을 단축하여, 그것에 상당하는 임금을 삭감하여, 고용을 유지하면서 총액인건비를 억제하겠다는 논리이다 (이영채, 2004). 이러한 일자리 나누기는 노동통제를 정당화하려는 자본측의 의도를 그대로 드러내는 것 이상이 아닐 것이다 (이영채, 2004).

독일의 경우를 보면, 슈트랙 (2001)은 독일에서 ‘일자리를 위한 연대’의 지지부진함은 변화된 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하기보다는 아직도 고용창출에 대한 케인즈 주의적 공급모델에 미련을 갖고 있는 독일 노동조합에 더 책임이 있다고 평가한다 (이승협, 2004.2). 문제는 독일 노동조합에서 신자유주의적 합리화의 공세속에서도 ‘지속가능한 고용창출’의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데 있다 ( (이승협, 2004.2).

프랑스의 경우를 보면, 실업감소정책은 노동질정책의 하나의 예로, 1997년 프랑스정부는 단순재분배정책의 하나로, ‘노동주를 대폭 줄이면서 일자리나누기’정책을 사용하였다. 이것의 위험은 개별 공장들의 경우에, 사회계약이 매우 약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동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노동자들을 보충하지 않을 수 있다. 1980년대에 이러한 노동강도의 증가로 인하여 사회의 오랫동안 장해자들의 비용이 거대했다. 이탈리아나 미국의 경우에는 유연성을 증가했으나, 사회적 평등은 증가하지 못한 상태이다 (Robert Karasek, 1999).

스웨덴의 경우, 몇몇의 학자들은 개인들의 기술훈련을 통해서 실업주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Klaus Schomann은 기술훈련이 더 많은 직업을 창출할 것이라고 한다. Schomann은 실업자를 교육시키는 것이 아니라, 현재 고용된 사람들을 교육시키는 것이 더 좋다고 한다(Lena Skiold, 2000). 스웨덴에서는 ‘activity guarantee'를 주장한다. Fredrik Jansson은 이 모델에서, 실제적인 일의 경험과 경력충고자(careers advisor)의 개인적인 감독 및 년동안의 교육과정을 제안했다. 이 activity guarantee은 1990년동안 스웨덴의 노동시장에서 고용과 실업주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제도는 최소한 2년동안 실업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지만, 또한 오랫동안 실업자로써 지속될 위험이 있는 사람들, 즉, 이민자들이나 장애자들도 대상으로 했다(Lena Skiold, 2000). Rune Aberg 교수는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과잉경력을 가지고 있다는 데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어떤 직업의 수가 증가했을 때, 그 자체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까지 이동을 하는 것이다(Lena Skiold, 2000).”


핀란드에서 실업에 대항한 노동시장정책을 보면, 핀란드의 노동시장은 1960년부터 임시고용법이, 1963년부터 고용법이 마련되어, 비정규직노동자의 보상을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1987년에는 고용법에서 고용서비스(employment service)의 효율을 증대시키기위해서 정부와 민간기업의 모든 사업주는 모든 빈 일자리공백을 보고하기로 동의하였다. 또한 1987년 고용법에 의해서 노동시장에서 “노동시장교육‘을 증대시켜 젊은이들과 장기 실업자들을 찾으려고 하였다(Reija Lilja 1990). Selective employment programmes: 1987년 공용법은 젊은 연령과 장기간의 실업자에 대한 정책을 강화하여 municipalities가 3개월이상 실업상태이면서도 고용서비스를 통하여 직업을 찾지 않으려는 집단에게 일이나 교육(훈련)을 할 의무를 지게 했다(Reija Lilja 1990).


14) 사회의 유용한 활동들은 사회에서 가치있는 경제활동의 범위로 확장되어질 수 있다. 이것이 불안정노동과 실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할 것이다(Robert Karasek, 1999).


15) 노동시간의 감소, 완전고용대신 부분고용, 교육시간을 늘이고 조기퇴직시킴으로서 노동기간을 짧게 하는 것 등의 부분으로 재분배고용을 하는 것이 합당하다(Reija Lilja 1990).


16) 실업자들이나 가족들이 현재 생활수준에서 완전히 살 수 있도록 표준생활수준을 마련해주는 일 (Michael White. 1991)이 중요하다. 모든 사회의 구성원들이 그들의 노동조건이나 노동환경에 관계없이 최저기본임금을 받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일은 기본임금을 유지하는 일이다.Michael White. 1991


17) 핀란드의 노동조합은 최근에 “day-shift system"체제를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20년전 Paavo Seppanen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모든 사업장들은 매일 12시간 가동이 가능하며, 노동자들은 2교대체계로 하루에 6시간씩 일을 하는 것이다. 산업노동자들은 주당 30시간을 일할수 있고, 추가노동에 대해서는 협상에의해서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정상적인 노동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노동력을 이용하는 능력이 증가될 것이다. 노동력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고, 실업을 감소시킬 것이다(Reija Lilja 1990).


18) 사내하청”이 ”파견근로“와 유사한 성격의 것이라면, 파견근로자보호에관한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파견근로에 있어서의 근로기준법의 적용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파견근로에서는 부담하여야 할 업무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에 따라 다르다(파견법 제34조). 파견사업주의 업무를 보면, 근로계약(근기법, 이하 모두 같은법 제22-36조), 사용자증명서(제38조), 임금(제40-47조), 연장, 연장 및 휴일근로(제55조), 연차유급휴가(제59조), 최저연령과 취업인허증(제62조), 연소자의 연소자증명서, 근로계약 및 임금청구(제64-66조), 귀향여비(제74조) 및 재해보상(제81-95조)등에 관한 사항은 파견사업주가 부담한다고 되어있다. 사용사업주의 업무를 보면, 근로시간과 휴일, 휴게(제49-54), 근로시간계산의 특례, 월차유급휴가 및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의 특례(제56-58), 유급휴가의 대체(제60조), 근로기준법 제4장과 제5장의 적용제외(제61조), 연소자의 근로시간, 여자와 연소자의 야업금지, 여자의 시간외근로, 갱내근로금지, 생리휴가, 산전후 휴가, 육아시간(제67-73조) 및 연소자의 교육시설(제75조) 등에 관한 규정은 사용사업주가 그 업무를 부담한다고 되어 있다. 다만 연대책임의 부담에는 파견근로자의 임금에 관한 규정(제42, 66조)에 있어서는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가 연대책임을 부담하며(파견법 제34조 제2항), 근기법위반의 근로자파견계약에 있어서는 두 사업주를 모두 사용자로 본다(파견법 제34조 제4항).


19) 당연적용사업장이란 “국내에 거주하는 3월 초과하여 계속 사용되는 18세이상 60세미만의 근로자(외국인 포함)와 사용자의 수가 5인이상 사업장”이다.(다만, 공무원연금법, 군인연금법, 사립학교교원연금법의 적용을 받는 자 및 일용근로자, 3월이내의 기한부로 사용되는 근로자, 비상임이사, 시간제 근로자, 산업연수생인 외국인등은 제외(국민연금법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


20) 동일한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의 일부를 도급에 의하여 행하는 사업주는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와 그의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 생기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주간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작업장의 순회점검 등 산안법 제29조 제1항에서 정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 안전 보건에 관한 사업주간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2) 작업장의 순회점검 등 안전, 보건 관리, 3) 수급인이 행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교육에 대한 지도와 지원 및 4) 기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 등의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산안법 제29조 제1항).


* 산안법 제29조(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 보건조치)

제1항 : 동일한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의 일부를 도급에 의하여 행하는 사업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의 사업주는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와 그의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에 생기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1996. 12. 31. 본문개정)

 1. 안전, 보건에 관한 사업주간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2. 작업장의 순회점검 등 안전, 보건관리

  3. 수급인이 행하는 근로자의 안전, 보건교육에 대한 지도와 지원

  4. 기타 산업재해예방을 위하여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1996. 12. 31. 본호 개정)


그리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30조에는 작업장의 순회점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바, 도급인인 사업주는 산안법 제29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작업장을 2일에 1회 이상 순회 점검하여야 한다(제1항). 수급인인 사업주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도급인인 사업주가 실시하는 순회점검을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하여서는 아니 되며 점검결과 도급인인 사업주의 시정요구가 있는 때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제2항). 도급인인 사업주는 산안법 제29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여 수급인인 사업주가 행하는 근로자의 당해 안전, 보건교육에 필요한 장소 및 자료의 제공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제3항).


21) 산안법 제29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도급인인 사업주가 안전, 보건점검을 행할 때에는 다음 각호의 자로 점검반을 구성하여야 한다. 즉 1) 도급인인 사업주(동일 사업 내에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업장의 최고책임자), 2) 수급인인 사업주(동일 사업 내에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업장의 최고 책임자), 3)도급인 및 수급인의 근로자 각 1인(수급인의 근로자의 경우에는 해당 공정에 한한다) 등이다(제1항).


22) 도급금지작업은 동일한 사업장 내에서 공정의 일부분을 도급하는 경우로써 1) 도금작업, 2) 수은, 연, 카드뮴 등 중금속을 제련, 주입, 가공 및 가열하는 작업, 3) 산안법 제38조의 규정에 의한 제조 또는 사용허가 물질을 제조 또는 사용하는 작업(디클로로벤지딘, 디클로로벤지딘을 함유한 제제 기타 근로자의 보건상 특히 해롭다고 인정되는 물질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및 4) 기타 유해 또는 위험한 작업으로서 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작업을 말한다(산안법 시행령 제26조).


23) ‘1년이하의 단기간 근로계약’(근로기준법 제 23조 근로계약기간 중)의 존재는 자본측에 의해 악용되고 있으며, 그 결과 1년단위로 임시직을 계속 재고용하는 일이 관례화되고 있다. 그리고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개념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종속되어 있는자에게만 한정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형식적인 고용주와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통제를 받는 파견, 용역, 하청노동자들과 형식적으로 도급/위탁계약을 맺고 있는 노동자들은 노동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와 노동의 위기-불안정노동연구』, 문화과학사 , 2000, 130쪽


24) ‘생산적 복지’는 빈곤층의 ‘복지의존성’을 강조관리에도 신경쓰지 않는 보수주의와는 구별된다. 하지만 실업과 불안정노동을 제거하지도 않으며 노동자 대중의 빈곤을 제거하지도 않는다. ‘생산적 복지’를 주장하는 신자유주의는 보수주의와는 달리 빈민이나 실업자의 문제를 도덕적 문제가 아니라 경제적 재분배의 문제로 이해하지만, 복지의존성에 대한 보수주의의 비판을 수용하여, 복지가 아니라 투자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따라서 ‘생산적 복지’는 복지의 수혜자들에게 어떤 열악한 환경에도 일하려는 의사를 가지며, 사회적 불만세력이 되지 않겠다는 의사를 가진다는 것을 표방하도록 강제한다. 그러한 조건 속에서만 ‘제한적인’ 노동력 재생산비용이 지불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략은 노동대중이 소수의 일자리를 놓고 지속적으로 경쟁하도록 만든다.

사회진보를 위한 민주연대, 『신자유주의와 노동의 위기--불안정노동연구』, 문화과학사 , 2000, 96쪽,132쪽


25)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 35조(일반적 구속력)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 반수 이상이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된 때에는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사용되는 다른 동종의 근로자에 대하여도 당해 단체협약이 적용된다.

일반적 효력확장제도가 적용되기 위한 요건은 ①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②상시 사용되는 ③동종의 근로자 중 ④반수 이상이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상시성과 동종성이다. ‘상시사용’은 단기간의 계약직 또는 일용직 노동자라고 하더라도 반복갱신되어 일정기간 이상 고용되어 있었다면 여기에 포함된다. ‘동종의 근로자’는 ‘단체협약의 적용범위’라는 기준을 채택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한 노동법해설』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법률위원회, 2004


26) 2003년 7월에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에 대한 실시와 개선에 대한 사업주의 의무에 대해 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건설노동자의 경우 많은 근골격계 증상자들이 있고, 유해요인의 여부도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유해요인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27) 정원 문제는 각주2에서 밝힌 대로 노조의 문제제기가 있는 지점이다. 노동조합 측은 계속된 신규사업 증가에 따라 정원을 확대해야 함에도 청측이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 밝히고 있는 정원과 현원 간의 괴리는 그 폭이 훨씬 확대될 여지가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우리나라에서 사회계급지표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들과 방법들의 고찰

 

사회역학연구회 워크숍


우리나라에서 사회계급지표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들과 방법들의 고찰


손미아


1. 사회계급의 정의와 사회계급지표들


1) 사회계급의 정의


사회계급이란 사람들 사이에 독립적인 경제적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집단을 구분한 것이다. 이들 관계는 한 사회의 재산의 형태, 소유권, 노동과 상품, 서비스, 정보들의 생산, 분배, 소비를 통해서 이들 재산, 소유권, 노동과의 연결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노동자계급, 자본가계급 등 계급이라고 언급될때, 계급은 이들 사이의 상호규정성과 상호 관련성속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계급이란 개인들의 소유가 아니라 사회에 의해서 창조된 사회관계인 것이다 (Krieger et 등 1997).


사회적 관계로서의 계급을 개념화하는 것은 건강과 부에 있어서 사회적 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첫째 이러한 개념은 왜 그리고 어떻게 사회계급의 구성원들이 그들의 경제적 사회적 부를 축적하며, 왜 그리고 어떻게 한 계급의 부가 다른 계급들의 결핍(deprivation)과 연관이 깊은 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자본주의사회에서 이윤추구를 위해서 자본가가 어떻게 하고 거기에 대응해서 노동자들은 어떻게 하는 지를 보라. 또한 세금, 정부 규정, 정부의 비용들과 관련하여 계급과 연관된 갈등들은 어린이들, 퇴직자들, 실업자 개인과 가족들 모두를 포함하여 공공재원에 의해서 도움을 받고 살아가는 실업자의 사회경제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관계로서의 계급을 이해하는 것은 소득, 부, 건강에서 사회적인 불평등을 유발하는 경로의 생산, 분포와 지속과정에 영향을 준다 (Krieger 등 1997)..  


사회계급은 사회적 관계로써 이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직업, 소득, 부, 교육 그리고 사회적 지위의 분포의 정도보다 더 중요하다. 그런데 계급지위와 연관된 이러한 다양화 된 경제적 사회적 부들을 언급하기 위해서 우리는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posi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




2) 구체적인 사회계급지표의 종류와 정의들 - 구분방법들


① 개인단위 지표


㉠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 (Social class based on occupation)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의 분류는 영국에서 전통적으로 시행되어왔다. 1851년부터 영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직업과 산업에 의해서 인구집단을 분류하기 시작했다. 1911년에 와서 처음 인구센서스조사에 직업과 산업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을 넣기 시작했고, 1911년도 영국의 통계청 보고서 (The Registrar General's Annual Report) 에 의하면, 직업관련 정보를 모아서 ‘social grades’라고 발표하고 있다. 이후에 이것이 ‘social classes’라고 언급되기 시작했고, 사망률 분석에 활용되었다2). 1990년에 와서는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Social class based on occupation)’으로 새롭게 명명되고 있다. 즉 영국의 통계청의 직업분류체계(Registra General's class scheme)은 사회가 직업에 근거한 계급조직에 따라서 나뉘어 질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다. 영국에서는 지금까지 사회계급을 5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있고3), 1997년 ESRC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and Economic and Social Research)에 의해서 새로운 계급구성이 제안되고 있다4).


Black report (1982)에 의하면, 직업에 근거한 사회계급지표는 여러 서로 다른 집단의 생활수준이나 생활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되어오고 있고, 또한 사회계급을 대표해서 사용되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변수는 임노동의 경제적 상태에서 벗어나 있는 집단들 (가사일 돌보는 사람, 실업자, 어린이, 병자, 퇴직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고 인종과 성별에 따른 노동조건과 생활조건의 차이를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Krieger 등 1997, Black report 1982).


직업변수 한계의 극복방안들로 여러 학자들은 지역에 기초한 물질적 결핍(deprivation)변수 (Black Report 1982, Castairs와 Morris 1989a 1991, Townsend 등 1986), 지역과 개인적인 측면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자료 (Davey Smith 1998), 사회계급과 다른 사회경제적 지위들 (예: 소득, 가난, 물질적 결핍, 부, 그리고 교육수준), 개인적, 가구단위, 이웃이나 지역단위에서의 자료 (Krieger 등 1997) 등을 제안하고 있다.


㉡ 최근의 시도들


Wright (1989)와 Erikson and Goldthorpe (1992)는 새로운 분류방법을 시도하였다. Wright (1989 1996)는 사회계급을 세가지 요소들, ① 생산수단의 소유여부 ② 관리통제기능의 소유여부 ③ 기술/기능의 소유여부에 의해 측정하고자 하였고, 사회계급을 ① 자본가 계급 (capitalists) ② 소규모 경영자 (small employers) ③ 소 부르조아 (pette bourgeois) ④ 임노동자 (wage labourers)로 나누었다. Wirght에 의해 제안된 사회계급 분류방법은 다음 표 1과 같다. Wirght의 분류의 장점은 이 분류체계가 전체 인구집단에게 적용이 된다는 것이다.


표1의 질문1a의 질문내용은 관리직을 최고위, 상위, 중간, 하위직으로 구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육수준과 직업자율성에 대한 질문들 (“귀하의 직업이 귀하 자신의 일의 중요한 측면을 설계하는 데 요구되고, 귀하의 생각이 실행에 옮겨질 수 있는 것입니까?”)을 통해서 표 2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표 1. Wright's Social Class Typology (short version)

질문1

다음중 귀하의 사업이나 기관에서 귀하의 위치를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관리자, 감독자, 관리감독자가 아닌 직위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관리직

2. 감독직

3. 관리자도 감독자도 아닌 직위

질문1a

질문1의 직위가 최고, 상위, 중간, 하위직 중 어느것입니까?

1. 최고위직

2. 상위직

3. 중간직

4. 하위직

질문2

다음 질문은 귀하가 일하는 공간(작업실)에서 정책결정과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생산물과 서비스의 이동, 전체 고용원의 숫자, 예산 등등의 관리하는 부분에 대해서입니다. 귀하는 이러한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거나 제안을 할 수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질문3

귀하의 주요 직업에 대한 공식적인 부분으로써, 귀하는 다른 고용원들을 관리감독하거나 고용원들에게 업무를 지시합니까?

1. 예

2. 아니오

Wright의 코딩지침

 

질문1 위계질서(직위)

질문2 정책결정

질문3 감독

1. 관리자

관리직

2. 감독자

감독직

아니오

3. 노동자

관리자가 아님

아니오

아니오


















표 2. Criteria for operationalization of exploitation-asset concept of class structure

I. Assets in the means of production

 

 

Self employed

Number of employees

1 Bourgeoisie

 

Yes

10 or more

2 Small employers

 

Yes

2-10

3 Petty bourgeoisie

 

Yes

0-1

4 Wage-earner

 

No

 

II Assets in organisational control

 

 

Directly involved in making policy decisions for the organisation

Supervisors with real authority over subordinates

1 Managers

 

Yes

Yes

2 Supervisors

 

No

Yes

3 Non management

 

No

No

III Assets in scarce skills/talent

 

Occupation

Education

Job autonomy

1 Experts

Professionals

 

 

 

Professors

 

 

 

Managers

B.A. or more

 

 

 

 

 

2 Marginal

School teachers

 

 

 

Craft workers

 

 

 

Managers

Less than B.A.

 

 

Technicians

 

 

 

Sales

B.A. or more

Autonomous

 

Clerical

B.A. or more

Autonomous

 

 

 

 

3 Uncredentialled

Sales

Less than B.A.  or

Non-Autonomous

 

Clerical

Less than B.A.  or

Non-Autonomous

 

Manual non-crafts

 

 

Source : adapted from the book, classes, written by Wright (1989a), p150


















한편, Erikson과 Goldthrope (1992)는 직업, 고용상태, 생산규모(establishment)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① 고용주냐 고용원이냐? ② 고용형태가 서비스에 대한 고용형태이냐? 아니면 임노동자 형태의 고용이냐? ③ 육체적 노동이냐? 비육체적 노동이냐? ④ 농업이냐? 비농업분야이냐? 등의 요소들에 의해서 아래와 같이 구분을 하고 있다. 이 분류체계는 명확하게 사회계급 (Social Class)의 개념이기 보다는 사회경제적 계급 (Socio Economic Slass)의 개념에 가깝다. Erikson과 Goldthrope (1992) 분류체계의 한계는 이 분류는 직업과 관련된 분류이므로 Wright (1985)분류보다는 덜 포괄적이다 (Rose and O'reilly 1997).



Erikson과 Goldthrope (1992)의 분류체계:

 

 Erikson and Goldthorpe (1992) divide social class into seven categories:

1.higher grade professionals, managers in larger industries, and large proprietors;

2.Lower grade professionals higher grade technicians, managers in small industries, and supervisors in non-manual employees;

3.Routine non-manual employees;

4.Small proprietors (employers) and farmers;

5.Lower grade technicians and supervisors in manual workers;

6.Semi- and un-skilled manual workers;

7.Agricultural and other workers in primary production





















그림 1 Erikson과 Goldthrope (1992)의 분류체계


② 가구(household)


가구단위의 분류방법에는 ㉠ 성별과 관계없이 가구단위에서 가구 구성원중 가장 주도적인 개인의 계급을 따르는 방법 (Dominance approach), ㉡ 모든 남성 (결혼했건 안했건 상관없이)과 결혼안한 여성은 그들의 직업분류에 따르나 결혼한 여성은 남편의 직업분류에 따르는 방법 (Conventional approach), ㉢ 가구주의 계급과 불일치할 경우 직업이 있는 여성은 자기직업으로, 직업이 없는 여성은 남편의 직업으로 따르는 방법(Cross class approach)이 있다 (Krieger 등 1997). 이 가구단위를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은 남편의 직업구조를 가지고 측정했을 때 여성들의 건강의 계급적 차이가 과소평가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이 가구단위의 분류방법은 아직 많이 연구된 바가 적다.




③ 이웃과 지역 (Neighborhood)


미국의 경우 지역단위의 지표로 센서스5)와 우편번호등을 활용하고 있다. 지역단위의 지표를 사용했을 때의 한계는 첫째, Ecologic fallacy로 어떤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들이 어떤 집단으로 묶였을 때, 그 집단을 묶는 변수에 의해서 혼란(confounding)이 생기는 경우이며, 이때 대개 사회경제적 효과를 과대평가하기보다는 과소평가 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둘째, Individualistic fallacy로 단지 개인적인 수준에서만 측정을 했을 때, 흥미있는 결과의 집단적인 경향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피하는 방법으로는 다 수준 분석6)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지역단위의 지표를 사용했을 때의 장점 다음과 같다: ㉠ 개인이나 가구단위에서 측정되지 못하는 사람들의 생활수준에 따라 특징지울 수 있다. ㉡ 지역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측정방법은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될 수 있다. ㉢ 변덕스러운 소득이나 고정적인 교육수준보다 더 안정적으로 인구집단의 경제적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 센서스에 기초한 지역사회계급을 이용하여, 센서스를 분모자료로 이용했을 때, 사회계급에 따른 인구집단의 발생률, 사망률, 유병률을 구할 수 있다. ㉤ 지역에 기초한 측정방법으로 다수준 차원에서 사회계급과 인구집단의 건강, 질병, 안녕의 양상을 그려낼 수 있다.



2. 우리나라에서 가능한 지표들


1) 사용가능한 자료원들과 기존의 자료로 만드는 방법들과 그 한계 : 직업분류, 지역분류, 개인적 소득 등의 분류


(1) 사회경제적 지표들: 개인단위 (직업, 소득, 교육수준 등)


① 직업: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통계청)를 이용한 사회계급분류


㉠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를 이용한 방법과 한계

우리나라의 한국표준직업분류는 수입(경제활동)을 위해 개인이 하고 있는 일을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직업분류체계는 직무(수행된 일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직능7)(직무수행능력)을 근거로 편제되었다. 그 분류는 다음과 같다.


한국 표준직업분류체계 :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웍 및 관리자

1 전문가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3 사무종사자

4 서비스 종사자

5 판매종사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A 군인



우리나라에서 전국민대상으로 하는 대부분의 통계에서 직업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이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사망통계자료, 센서스자료, 국민건강조사자료 등 모든 센서스와 인구통계조사 사망통계조사 등에 이 분류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의 한계는 각각 범주사이의 모호함, 불명료함으로 인해서 각각을 구분한다는 것이 쉽지 않고, 각각을 구분을 한다고 해도 이것이 사회계급을 나타내주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근로복지공단의 산재신청을 위하여 보고된 산재사망자료 (1995-1997년) 와 동일한 시기에 보고된 통계청의 전국 사망자료를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여 두 자료를 연결하여 동일사망자의 직업분류를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표 3에서 보여주듯이 전국 사망자료에서 육체적 노동자 일부가 비육체적 노동자로 승진(promotion) 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표 4는 전국 사망자료에서 산업노동자들(기계기술노동자, 장치조작원, 단순노동자)이 사무직원, 기술직, 관리직으로까지 승진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전국사망자료에서 육체적 노동자들이 과소보고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관리자, 전문가, 기술직들은 사무직으로 강등(demotion) 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직업변수의 Kappa index는 육체적노동자와 비육체적 노동자로 구분했을 때 0.49, 한국 표준 직업분류 대분류 중  8개 범주(농업제외)로 구분했을 때 0.36이었다(  ).


  (손미아, 2002)







표3. Cross-tabulation of manual/non-manual groups between deaths from the NSO and WELCO data

 

Deaths from national death data (From National Statistics Office)

Deaths from national injury data (WELCO)

Non-Manual

Manual

Total

Non-Manual 

950 (88.62%)

122 (11.38%)

1072 (100%)

Manual

1100 (23.99%)

3486 (76.01%)

4586 (100%)

Total

2050

3608

5658 (100%)

Non-manual: Legislators, senior officials & managers , Professionals, Technicians & Associate Professionals, Clerks, Service workers & shop and Market Sales Workers

Manual: Craft & related Trades Workers, Plant & Machine Operators & Assemblers, Elementary Occupations


표 4. Cross-tabulation of 8 occupational groups between deaths from NSO and WELCO data

 

Deaths from national death data (National Statistics Office)

Deaths from national injury data (WELCO)

Managers

Professionals

Technicians

Clerks

Service

Craft

Operators

Labourers

Total

Managers

(5.32)

7

(7.45)

8

(8.51)

51

(54.26)

8

(8.51)

11

(11.70)

3

(3.19)

1

(1.06)

94

(100%)

Professionals

2

(1.56)

30

(23.44)

31

(24.22)

52

(40.63)

1

(0.78)

11

(8.59)

0

(0.00)

1

(0.78)

128

(100%)

Technicians

9

(2.38)

13

(3.44)

49

(12.96)

233

(61.64)

19

(5.03)

46

(12.17)

6

(1.59)

3

(0.79)

378

(100%)

Clerks

0

(0.00)

7

(3.13)

10

(4.46)

171

(76.34)

6

(2.68)

25

(11.16)

1

(0.45)

4

(1.79)

224

(100%)

Service

1

(0.40)

1

(0.40)

13

(5.24)

112

(45.16)

111

(44.76)

6

(2.42)

3

(1.21)

1

(0.40)

248

(100%)

Craft

1

(0.06)

28

(1.56)

91

(5.08)

240

(13.39)

37

(2.06)

1107

(61.74)

42

(2.34)

247

(13.78)

1793

(100%)

Operators

1

(0.08)

5

(0.39)

30

(2.36)

138

(10.85)

41

(3.22)

209

(16.43)

807

(63.44)

41

(3.22)

1272

(100%)

Labourers

0

(0.00)

3

(0.20)

32

(2.10)

372

(24.46)

81

(5.33)

493

(32.41)

61

(4.01)

479

(31.49)

1521

(100%)

Total

19

 

94

264

1369

304

1908

923

777

5658

 

Occupation 8 groups          1: Legislators, Senior officials & managers

                                           2 : Professionals

                                           3 : Technicians & Associate Professionals

                                           4 : Clerks

                                           5:  Service workers & shop and Market Sales Workers

                                           6 : Craft & related Trades Workers

                                           7 : Plant & Machine Operators & Assemblers

                                           8 : Elementary Occupations





표 5. Kappa statistics for occupation, education, cause of death, age and sex between NSO and WELCO data

Categories of variables

Total deaths

Agreement

(%)

Expected 

agreement(%)

Kappa Index

Occupation

 

 

 

 

Manual/non-manual

5658

78.40

58.55

0.49

Occupation (3 groups*)

5658

71.40

54.86

0.37

Occupation (7 groups*)

5658

50.85

20.87

0.38

Occupation (8 groups*)

5658

48.76

19.59

0.36

Education

 

 

 

 

University/below University

5442

86.93

74.60

0.50

High school/below High

5442

67.29

51.25

0.33

3 groups*

5442

57.79

37.89

0.32

4 groups*

5442

46.89

29.68

0.25

Causes of death

 

 

 

 

3 groups*

4965

85.48

54.63

0.68

Age

 

 

 

 

5-year bands

6513

99.25

11.76

0.9915

10-year bands

6513

99.65

22.87

0.9954

 

 

 

 

 

Sex

6513

100.00

87.91

1.0000

- Occupation 8 groups : 1: Legislators, Senior officials & managers

                                           2 : Professionals

                                           3 : Technicians & Associate Professionals

                                           4 : Clerks

                                           5:  Service workers & shop and Market Sales Workers

                                           6 : Craft & related Trades Workers

                                           7 : Plant & Machine Operators & Assemblers

                                           8 : Elementary Occupations

 

- Occupation 7 groups : combined 5 into 4 from occupation 8 groups

- Occupation 3 groups : (1+2+3)/(4+5)/(6+7+8) from Occupation 8 groups

- Manual /Non-manual: (1+2+3+4+5) for manual workers and (6+7+8) for non-manual workers

- Education 3 groups : University, high school, middle school

- Education 4 groups : University, high school,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 Cause of diseases 3 groups : Death due to pure injury,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others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활용가능한 몇가지의 방법이 있다. 


- 방법 1: 우리나라의 표준직업분류를 사용하여 몇가지 사회계급분류를 해 볼수는 있을 것이다. (육체적, 비육체적 노동자 등등)


대분류: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관리자 ---> 비육체노동자

1- 전문가  --->  비육체노동자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  비육체노동자

3- 사무종사자 -->  비육체노동자

4- 서비스종사자 -->  비육체노동자

5- 판매종사자 -->  비육체노동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  육체노동자

7-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  육체노동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  육체노동자

9- 단순노무 종사자 -->  육체노동자

A- 군인 -->  비육체노동자



- 방법2 : 의료보험자료등에 구체적인 직급과 직위가 나와있는 경우 좀 더 세분화된 분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표 6. 공무원 공교, 직업분류

 

직분류

표준직업분류에 의한 분류

(구부호)

신부호

(1999년이래 새로된 것)

결론(신부호)

1. 정무직

고위직

1

0

0 의회의원,고위임직웢 및 관리자

2. 일반직

하위직

419

311

3 사무종사자

3. 기능직

하위직

3

2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4. 공안직

하위직

5

4

4 서비스종사자

5. 경찰소방직

하위직

51621 또는 51611

44101 또는 44201

4 서비스종사자

6. 2종 고용직

하위직

??

??

??

7. 교육직

고위직

2

1

1 전문가

8. 법관검사

고위직

2

1

1 전문가

9. 일용직

하위직

9

9

9 단순노무근로자

10. 연구직

고위직

2

1

1 전문가

11. 공동문진의

고위직

 

 

??

12. 전임전문직

고위직

2

1

1 전문가

13. 청원경찰

하위직

51691

44401

4 서비스종사자

14. 지도직

고위직

1

0

0 의회의원,고위임직웢 및 관리자

15. 원호민

 

 

 

 

16. 계약직

 

 

 

 






















(3) E.O.Wright (1989)의 사회계급분류를 활용하는 방안


우리나라 의료보험의 공교자료의 경우, 직종, 직급, 호봉자료가 있다. 이 내용을 가지고 E.O.Wright (1989)의 사회계급분류를 활용하여 사회계급변수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수단의 소유여부(Assets in the means of production)에 따른 분류를 한다. 공무원의 경우 모두 wage earner가 될 것이다.


둘째: 관리능력의 소유여부(Assets in organisational control)에 따른 분류를 구분한다.

 

조직에서 정책결정에 직접 참여하는가?

직원들에게 실질적인 권위를 가지고 감독을 하는가?

1 관리자

2 감독자

아니오

아니오

3 관리나 감독을 안함

아니오

아니오

                                     ▼


<각 공무원의 종류에 따라 어떤기준으로 구분할 것인가?>

기준

관리자

감독자

관리나 감독을 안함

일반직 공무원

 

 

 

특정직 공무원

 

 

 

기능직 공무원

 

 

 

정무직 공무원

 

 

 

별정직 공무원

 

 

 

계약직 공무원

 

 

 

고용직 공무원

 

 

 

                 

                                           ▼

<각 공무원의 업무가 어떻게 다른가?>

분류

업무내용

일반직 공무원

기술,연구 또는 행정 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 직군, 직렬별로 분류되는 고우뭥

예시) 행정, 공안, 기술, 연구, 지도직 공무원

특정직 공무원

법관, 검사, 외무공무원, 검찰, 소방, 교육 공무원, 군인, 군무원

예시) 국가정보원직원등 특수분야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기능직 공무원

현업관서 등에서 기능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예시) 사무원, 교환원, 방호원, 위생원, 체신 및 철도현업관서 직원 등

정무직 공무원

권한과 책임의 정도가 높고, 고도의 정치적, 정책적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예시) 국회의원, 국무총리, 장,차관, 감사원장 등

별정직 공무원

특정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일반직과 다른 방법에 의하여 임용된 공무원

예시) 비서관, 비서, 비상계획업무 담당관, 노동위원회 상임위원 등

계약직 공무원

국가와 채용계약에 의하여 일정기간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예시) 문화재 발굴, 보존, 헬기조종, 우표디자인 등

고용직 공무원

단순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예시) 사환

                                         ▼

<각 공무원의 직급이 어떻게 다른가?>

분류

직급

일반직 공무원

행정, 공안직 및 기술직 공무원: 9개 계급 (1-9급) - 직렬별로 직급명칭 구분

연구직 공무원: 2개 계급 (연구관, 연구사)

지도직 공무원: 2개 계급 (지도관, 지도사)

특정직 공무원

 

기능직 공무원

10개 계급 (기능 1~ 기능 10급)

정무직 공무원

 

별정직 공무원

 

계약직 공무원

 

고용직 공무원

 

세째: 기술의 소유여부 (Assets in scarce skills/talent)에 따른 분류를 한다.

 

직업

교육수준

자율성

 

 

 

 

1 전문가

전문가

 

 

 

교수

 

 

 

관리자

학사이상

 

 

 

 

 

2 경계범위

학교교사

 

 

 

기술직노동자

 

 

 

관리자

학사미만.

 

 

기능직

 

 

 

판매직

학사이상

자율적

 

사무직

학사이상

자율적

 

 

 

 

3 비숙련

판매직

학사미만

비자율적

 

사무직

학사미만

비자율적

 

비숙련 육체노동자

 

 

<이 단계에서 직접 표본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중요할 듯 합니다.>

<최종 분류표: 예상되는 표>

Classification

공무원의 분류

1. Employers

0.0

2. Petty Bourgeoisie

0.0

3. Managers

등등

4. Supervisors

 

5. Expert

   Non-managers

 

6. Skilled workers

 

7. Workers

 

실제 Wright (1985)가 공무원을 분류한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I. Assets in the means of production

 

 

Self employed

Number of employees

1 Bourgeoisie

 

Yes

10 or more

2 Small employers

 

Yes

2-10

3 Petty bourgeoisie

 

Yes

0-1

4 Wage-earner

 

No

 

II Assets in organisational control

 

 

Directly involved in making policy decisions for the organisation

Supervisors with real authority over subordinates

1 Managers

 

Yes

Yes

2 Supervisors

 

No

Yes

3 Non management

 

No

No

III Assets in scarce skills/talent

 

Occupation

Education

Job autonomy

1 Experts

Professionals

 

 

 

Professors

 

 

 

Managers

B.A. or more

 

 

 

 

 

2 Marginal

School teachers

 

 

 

Craft workers

 

 

 

Managers

Less than B.A.

 

 

Technicians

 

 

 

Sales

B.A. or more

Autonomous

 

Clerical

B.A. or more

Autonomous

 

 

 

 

3 Uncredentialled

Sales

Less than B.A.  or

Non-Autonomous

 

Clerical

Less than B.A.  or

Non-Autonomous

 

Manual non-crafts

 

 

Source : adapted from the book, classes, written by Wright (1989a), p150

Classification

US (male)

SWEDEN (male)

1. Employers

10.1

8.2

2. Petty Bourgeoisie

6.4

7.3

3. Managers

15.5

15.2

4. Supervisors

18.8

11.5

5. Expert

   Non-managers

3.0

6.8

6. Skilled workers

16.6

20.2

7. Workers

29.0

30.9


Classification

US

SWEDEN

1. Employers

0.0

0.0

2. Petty Bourgeoisie

0.0

0.0

3. Managers

20.0 (3,4합침)

42.2 (3,4합침)

4. Supervisors

 

 

5. Expert

   Non-managers

29.5

63.2

6. Skilled workers

16.2

42.0

7. Workers

17.5

41.6



② 교육수준변수의 활용방안


교육변수는 사망통계, 센서스, 국민건강조사 등 여러 국가단위의 자료에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 교육수준변수의 문제점


근로복지공단의 산재신청을 위하여 보고된 산재사망자료 (1995-1997년) 와 동일한 시기에 보고된 통계청의 전국 사망자료를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여 두 자료를 연결하여 동일사망자의 직업분류를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표 7은 전국 사망자료와 산재사망자료의 비교결과, 교육변수가 이웃하는 교육집단들로 서로 승진되거나 강등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이할만한 점은 산재사망자료에서 중학교나 고등학교 졸업군들이 전국 사망자료에서는 오히려 초등학교군으로 하강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Kappa index 는 대졸이상과 미만을 비교했을 때 0.50, 세 집단(대졸이상, 고등학교, 중졸미만)으로 했을 때 0.32, 네 집단(대졸이상, 고졸, 중졸, 초등학교 미만)으로 했을 때 0.25 이었다(표 5) (손미아, 2002).  





표 7. Cross-tabulation of educational groups between NSO and WELCO data

Deaths from national injury data (WELCO)Deaths from national death data (From National Statistics Office)

University

High

Middle

Elementary

Total

University

457

(36.77)

226

(28.07)

78

(9.69)

44

(5.47)

805

(100%)

High

291

(10.63)

1380

(50.42)

565

(20.64)

501

(18.30)

2737

(100%)

Middle

49

(3.75)

413

(31.57)

386

(29.51)

460

(35.17)

1308

(24.04)

Elementary

23

(3.89)

107

(18.07)

133

(22.47)

329

(55.57)

592

(10.88)

Total

820

2126

1162

1334

5442


③ 소득변수의 활용


㉠ 가계소득, 년봉의 활용방안


국민건강조사들에서 가계소득과 년봉들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이 변수 역시 정보편견등의 한계가 있다.


㉡ 보험료의 활용방안


보험료를 이용하는 장점은 모든 의료보험 자료에 다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직장 보험료는 표준보수월액을 기준으로 하므로 어느정도 구분이 가능하나, 지역 보험료의 경우, 재산등을 가지고 하므로 지역과 직장의 보험료를 어떻게 비교해서 한가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까? 아니면 지역과 직장을 따로 구분해야 하는가?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보험료를 사용할 때의 대안은 아주 큰 범주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2) 지역단위의 지표: 물질적 결핍변수


① 지역단위의 물질적 결핍지수


대부분의 국가단위의 자료에는 시군구코드나 우편번호가 있다. 이 시군구코드를 이용하여 센서스에 있는 시군구지역, 가구단위 지표들을 가지고 물질적 결핍지수를 만들 수 있다.


(1) 시군구 코드의 이용방안: Deprivation index 구성


전국 시군구코드가 있는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다만 문제점은 피부양자의 경우 피보험자의 지역으로 이전되어 있을 수 있다.


물질적 결핍지수의 구성방법은 통계청 센서스자료에서 가구별 정보를 이용하여 물질적 결핍지표를 만드는 것이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1. 과잉밀집도: 모든 가구의 거주자 중 한방에 1.5명 이상이 거주하는 사람들의 비율, 

2. 남자 실업률: 현재 구직중인 경제활동인구의 비율, 

3. 낮은 사회계급의 가장: 육체적 노동을 하는 가장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 

4. 무가옥 소유: 보증금이 없는 월세를 내고 사는 사람들의 비율, 

5. 거주시설의 부족: 부엌, 화장실, 목욕시설이 부족한 가옥에 사는 사람들의 비율이다.

  

이 물질적 결핍지수는 시군구 지역별로 계산되며, 이 5개의 지표를 더하여 최종 점수를 만들고, 각 지역별로 (전체 평균값에 대한) z-score를  부여한다.  이것을 인구집단의 분포에 따라서 quintile, quatile, 또는 7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deprivation categories를 만든다.



표 8. Deprivation categories

지표

성북구

전체 지역에 대한 평균값

전체지역에 대한 표준편차

 

과잉밀집도

0.22

0.25

0.11

* 전체 지역의 평균과 표준편차임

남자실업률

0.88

0.13

0.07

낮은 사회계급의 가장

0.23

0.24

0.10

무가옥소유

0.27

0.41

0.19

거주시설의 부족

0.20

0.20

0.10

Deprivation score = (0.22-0.25)/0.11 + (0.88-0.13)/0.07 + (0.23-0.24)/0.10 + (0.27-0.41)/0.19 + (0.20-0.20)/0.10

                   = -0.27 + -0.71 + -0.10 + -0.74 + 0

                   = -1.82



② 그 외 지역단위의 경제지표들


그 외의 지표들은 아래 표와 같다.


표 9.  Deprivation indices developed in the literature

Index

Content

Townsend Index

(Townsend P et al,

1979)

 

- Material deprivation

1.Dietary deprivation (6 indicators)

2.Physical and mental health (5)

   3.Clothing (4)

   4.Housing (8)

   5.Household facilities (9)

   6.Environment (5)

   7.Work (conditions, security and amenities) (12)

- Social deprivation

   8.Social-family activities (4)

   9. Social-support and integration (4)

   10. Social-recreational (2)

   11. Social-educational (1)

Townsend Index

(Townsend P et al,

1986)

1.Unemployment : The percentage of economically active residents aged 16-59/64 who are unemployed

2.Car ownership (lack of resources) : The percentage of private households which do not possess a car

3.Home ownership (lack of resources and residential insecurity) : The percentage of private households which are not owner occupied

4.Overcrowing : The percentage of private households with more than one person per room

 

Note : index does not weight variables, uses long transformation of % unemployment and % overcrowding : uses Z score for standardization

 

-Unemloyed persons 16-59/64 (%)

-Households not owner occupied (%)

-Households with no car (%)

-Households with more persons than rooms (%)

-Households with head in manual class (%)-IIIM, IV, V

-Households without exclusive use of bath & WC (%)

-Households with single parent family (%)

-Unemloyed persons 16-24 (%)

-17 year olds not in full time education (%)

Department of

Environment

(1983)

1. Percentage of economically active persons who are unemloyed

2. Percentage of households defined as overcrowd

3. Percentage of households with single parent family

4. Percentage of households lacking exclusive use of two basic amenities

5. Percentage of pensioners living alone

6. Percentage population change

7. Standardised Mortality ratio

8. Percentage of households in which the head was born in the New Commonwealth or Parkistan

Jaman index

(Jarman,1983, 1984)

1.Percentage of elderly living alone (weighting 6.62)

2.Percentage of population aged under five (4.64)

3. Percentage one parent families (3.01)

4. Percentage in social class V (3.74)

5. Percentage unemployed (3.34)

6. Percentage overcrowded (2.88)

7. Percentage changing address within past year (2.68)

8. Percentage ethnic minorities (2.50)

Index

Content

Carstairs index

(Carstairs and Morris, 19

-Unemployment among men

-Not having a car

-Low social class : Proportion in social classes IV and V

-Overcrowding 

 

Note : these are combined into a single score for each postcode sector by means of the Z score technique

Breadline index

(Krieger et al 199

 

-Unemployment : %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unemployed

-No car : % households with no car

-Rented : % households not owner occupied

-Lone parents : % lone parents as proportion of all households

-Long-term illness : % households with a person with a limiting Long-term illness

-Low social class : % persons in social class IV or V

 

Note : index estimates % poor using derived from a validation survey

 

DOE 91 Index of Local Conditions

(Krieger et al, 199

-Unemployment : % unemployed persons

-Poor children : % households with no earner or one parent in part-time employment

-Overcrowding : % households with >1 person per room

-Lack amenities : % households lack or share baths/shower and/or water closet, or in non-permanent housing

-No car : % households without access to a car

-Flat children : % children living in flats, not self-contained or non-permanent housing

 

Note : index does not weight variables ; uses X2-standardizati

 

US census-based

Measures of socioeconomic position

(Krieger et al, 1997)

-Social class : % working class

Defined as % of employed persons in 8 of 13 census-defined occupational groups :

Administrative support

    Sales

    Private household service

    Other service (except protective)

    Precision production, craft, repair

    Machine operators, assemblers, inspectors

Transportation and material moving

Handlers, equipment cleaners, labourers

 

-Working class neighbourhood : >=66% of employed persons in working class occupation

-Poverty : % persons below poverty line

-Poverty area : >=20% of persons below poverty

-Additional measure : % of persons at <50%, 50-100%, 101-200% of poverty line

-Wealth : % of households owning home

        % of households owning 1 or more cars

        % of households with annual family income >=$50,000 or more

-Education : % of adults age 25 and older with less than a high school degree

-Undereducated neighbourhood : >=25% of adults with less than a high school degree

-Alternative : % of adults age 25 and older who have completed >=4 years of college

-Crowding : % of persons living in households with >=1 person/room

-Population density : persons/square mil












3. 사회계급분류방법의 방향과 대안모색


1) 기존지표의 활용방안 : 변수의 추가방안


기존자료들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대규모의 자료에 사회계급지표를 집어넣을 필요성이 요구된다. 센서스, 사망통계, 산업안전공단, 국민건강조사 등의 자료에 사회계급지표를 추가하는 것이다.


2) 새로운 사회계급지표의 필요성


향후,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사회계급지표를 만들기 위한 연구 및 실제 조사가 필요하다. 새로운 사회계급지표를 만든 예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Wirght (1985)의 예


Wirght (1985)의 경우, Wright 의 사회계급 분류개념 (Exploitation-centred definition)을 Poulantzas's definition of working class 와 비교했다. Wright의 정확도 평가방법은 각각의 정의에 대한 경험적인 조사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다.


이 평가의 가설은 ‘사회계급을 이용하여 구분한 노동계급(agreed-upon workers)과 중간계급(agreed-upon middle class)에게 서로다른 종속변수들 (예: 소득, 계급의식등)를 비교했을 때 다르다는 것’이다. Wirght (1985)는 이와 같은 평가방법을 이용해서 이들 결과들이 “유의하게” 다르다는 것을 통계학적으로 증명함 (t-test)으로써 Wirght (1985)의 계급분류방법의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Wirght (1985)가 평가하고자 한 계급태도 (Class attitude)의 항목들

 

1. Corporations benefit owners at expense of others

2. Employers should be prohibited from hiring scabs in a strike

3. Strikers are justified in using force

4. Big corporations have too much power today

5. A main reason for poverty is that the economy is based on private profits

6. Nan-management could run a place of work without bosses

7. A modern society can run effectively without the profit motive

8. In a strike, it is generally desirable that the strikers win most of their demands

9. Working class self identification (% who say that are in the working class)

 


영국의 예 ((Rose and O'Reilly 1997)


영국에서는 기존의 영국의 표준직업분류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에 근거한 사회경제적계급지표 (SocioEconomic Classes)개념에 대한 대안으로 직업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지표 (occupationally based SEC)를 새로이 만들었다. 이 새로 만든 사회경제적 지표는 Goldthorpe의 사회경제적 분류개념을 기본으로 하고, 경제적관계와 조건들을 고려해서 만든 것이다 (Rose and O'Reilly 1997). 영국 학자들은 이 새로 만든 사회경제적 지표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Criterion validity의 개념을 이용하여 증명했다. 즉, 새로 만든 사회경제적 계급 분류를 기존의 총계조사들 (영국의 통계청(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Omnibus Survey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증명하였다. Omnibus Survey를 이용해서 새로 만든 사회경제적 분류체계를 고용관계와 고용조건들의 항목을 기준으로 해서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표1과 같이 영국에서 새로 보완된 사회경제적 계급지표를 만들고 표 10, 11과 같이 Criterion validity의 개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지표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표 10. 영국에서 새로 보완된 사회경제적 계급지표들

새로보완된 사회경제적 지표들

기존의 사회경제적 지표

사회계급지표

Goldthorpe지표

1. Proprietors (25+ employees)

   1.1 Non-agricultural

   1.2 Agricultural

 

1.1

13, 15

 

II

II

 

I

IVc

2. Proprietors (<25 employees)

   1.1 Non-agricultural

   1.2 Agricultural

 

2.1

13, 15

 

II

II

 

IVa

IVc

3. Managers and administers

   (25+ employees)

 

1.2, 13, 16

 

II

 

I(II)

4. Managers and administers

   (<25 employees)

 

2.2, 13

 

II

 

II

5. Professionals

   5.1 Self-employed

   5.2 Employees

 

3

4

 

I

I

 

I

I

6. Associate professionals and higher technicians

   6.1 Self-employed

   6.2 Employees

 

 

5.1

5.1, 6, 7

 

II

 

II (I, IIIb)

7. Supervisors of other admin. and clerical workers

 

5.2 

 

IIIn

 

II (IIIa)

8. Other admin. and clerical workers, etc

 

6

 

IIIn

 

IIIa

9. Other supervisors/foremen

5.2, 8, 7, 15

16

IIIm

V

10. Own account non-professional workers

   10.1 Non-agricultural

   10.2 Agricultural

 

 

12

12, 14, 15

 

 

IIIm

IV

 

IVb

IVc

11. Other Technicians, craft and related workers

6, 7, 9, 10, 16

IIIm

VI(VIIa)

12. Intermediate workers

   12.1 Production workers

   12.2 Agricultural and fisheries workers

   12.3 Sales workers

   12.4 Service workers

 

10

15

6

6, 7

 

IV

IV

IIIn

IV

 

VIIa

VIIb

IIIb

VIIa

VIIA

13. Other workers

7, 11

V

 

14. Economically inactive

 

 

 















표 11. Criterion Validity를 위한 지표들

Interim SEC, Goldthorpe, SEC, SC와 비교를 위한 지표들

각 Interim SEC, Goldthorpe, SEC, SC에  따른 경제적 관계와 조건들의 분포를 보기위한 지표들

Remuneration

Remuneration

Forms of pay

Hourly/weekly paid or piece work

Overtime

Salary plus commition, etc

Incremental pay scale

Monthly / annual salary

 

Paid or time in lieu for overtime or unsocial hours

 

On incremental pay scale

Promotion and Prospects

Prospects

Promotion

Oppertunities for promotion

Notice required

Less than one month notice required

 

 

Autonomy

Autonomy

Start and leave times

Employer decides time to start and leave

Pace of work

Can slow pace of work

Requirement to design / plan

Required to design / plan aspects

Tasks

Fair amount of influence deciding tasks

How to do tasks

Fair amount of influence how to do tasks


4. 결론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사회계급지표를 만들기 위해서 기존 자료의 보완과 새로운 지표의 건설이 필요하다.









1) Krieger 등 (1997)에 의하면, 사회경제적 상태(socioeconomic status)란 용어는 실제 재산과 순위와 관련된 직위와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있다.


2) 영국에서 1913년에 Stevenson (the Registrar General (RG))이 1911년 아버지의 직업분류별 영아사망률을 구했을 때의 직업계급 (Occupational class)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I. upper and middle classes;

II. intermediate between I and III;

III. skilled workmen;

IV. intermediate between III and V;

V. unskilled labourers;

VI. textile workers;

VII. minors; and

VIII. agricultural workers'(Macintyre,  1997).


3) - 최근까지 사용되어오는 영국의 직업계급분류는 다음과 같다.

The British General Social Class currently used in the UK are:

I. Professional;

II. Managerial and technical occupations (previously 'intermediate');

IIIN. Skilled occupations - non-manual;

IIIM. Skilled occupations - manual;

IV. Partly skilled occupations; and

V. Unskilled occupations (OPCS, 1995).


4) 1997년 ESRC에 의해서 제안되어지고 있는 새로운 사회계급구분방법은 다음과 같다.

1 Higher professionals/senior managers

2 Associate professionals/junior managers

3 Other admin. and clerical workers

4 Own account non-professional

5 Supervisors, technicians and related workers

6 Intermediate workers

7 Other workers

8 Never worked/other inactive


5) Cennsus tract and block group boundaries


6) multi-level analysis


7) 여기서 직능이란 교육, 훈련, 경험 또는 선천적 능력과 사회적, 문화적 환경을 통하여 얻어지며, 자격이란 시험합격등과 같은 공식적인 기준을 충족함으로서 부여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 관련 연구의 이론적인 접근과 방법론 마련을 위한 소고

 조찬세미나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 관련 연구의 이론적인 접근과 방법론 마련을 위한 소고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손미아



1. 서론


20세기 후반에 와서 생활수준과 의료수준의 향상을 가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망률, 유병률과의 연관성, 즉 열악한 생활환경과 노동환경으로 인해 건강이 해쳐지고 생명이 단축되고 있으며, 이들의 원인이 생의학적, 건강행위의 요인으로도 뚜렷하게 설명되지 않고 남아있다. 개발도상국이나 발전된 나라 모두에서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영아사망률, 성인 사망률, 급만성 전염병, 비전염성 질환, 정신질환 유병률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Krieger et al 1997). 이러한 건강의 사회적 불평등에 관련된 연구가 발전된 국가들에서는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발이 덜되거나 개발중인 나라들에서의 연구는 많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이후의 급격한 노동환경과 사회환경의 변화와 1998년도 경제위기이후, 건강의 문제를 사회계급과 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로 가시화되고 있고, 본격적으로 건강장해와 사회구조적인 환경과 연관시키고자 하는 논의들이 화두가 되고 있다. 이 글은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 관련 연구의 이론적인 접근과 방법론 마련을 위해서, 현 사회계급의 정의 및 사회계급지표들, 사회계급과 건강관련 연구방법론들,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 연구들의 중요쟁점들, 사회계급의 차이에 의한 건강불평등의 해결방법에 대한 여러 제안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2. 사회계급의 정의 및 사회계급지표들


1) 사회계급의 정의


사회계급이란 사람들 사이에 독립적인 경제적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집단을 구분한 것이다. 이들 관계는 한 사회의 재산의 형태, 소유권, 노동과 상품, 서비스, 정보들의 생산, 분배, 소비를 통해서 이들 재산, 소유권, 노동과의 연결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노동자계급, 자본가계급 등 계급이라고 언급될때, 계급은 이들 사이의 상호규정성과 상호 관련성속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계급이란 개인들의 소유가 아니라 사회에 의해서 창조된 사회관계인 것이다 (Krieger et 등 1997).


사회적 관계로서의 계급을 개념화하는 것은 건강과 부에 있어서 사회적 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첫째 이러한 개념은 왜 그리고 어떻게 사회계급의 구성원들이 그들의 경제적 사회적 부를 축적하며, 왜 그리고 어떻게 한 계급의 부가 다른 계급들의 결핍(deprivation)과 연관이 깊은 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자본주의사회에서 이윤추구를 위해서 자본가가 어떻게 하고 거기에 대응해서 노동자들은 어떻게 하는 지를 보라. 또한 세금, 정부 규정, 정부의 비용들과 관련하여 계급과 연관된 갈등들은 어린이들, 퇴직자들, 실업자 개인과 가족들 모두를 포함하여 공공재원에 의해서 도움을 받고 살아가는 실업자의 사회경제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관계로서의 계급을 이해하는 것은 소득, 부, 건강에서 사회적인 불평등을 유발하는 경로의 생산, 분포와 지속과정에 영향을 준다 (Krieger 등 1997)..  


사회계급은 사회적 관계로써 이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직업, 소득, 부, 교육 그리고 사회적 지위의 분포의 정도보다 더 중요하다. 그런데 계급지위와 연관된 이러한 다양화 된 경제적 사회적 부들을 언급하기 위해서 우리는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posi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


2) 구체적인 사회계급지표의 종류와 정의들 - 구분방법들


(1) 개인단위 지표


①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 (Social class based on occupation)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의 분류는 영국에서 전통적으로 시행되어왔다. 1851년부터 영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직업과 산업에 의해서 인구집단을 분류하기 시작했다. 1911년에 와서 처음 인구센서스조사에 직업과 산업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을 넣기 시작했고, 1911년도 영국의 통계청 보고서 (The Registrar General's Annual Report) 에 의하면, 직업관련 정보를 모아서 ‘social grades’라고 발표하고 있다. 이후에 이것이 ‘social classes’라고 언급되기 시작했고, 사망률 분석에 활용되었다2). 1990년에 와서는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Social class based on occupation)’으로 새롭게 명명되고 있다. 즉 영국의 통계청의 직업분류체계(Registra General's class scheme)은 사회가 직업에 근거한 계급조직에 따라서 나뉘어 질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다. 영국에서는 지금까지 사회계급을 5개의 계급으로 나누고 있고3), 1997년 ESRC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and Economic and Social Research)에 의해서 새로운 계급구성이 제안되고 있다4).


Black report (1982)에 의하면, 직업에 근거한 사회계급지표는 여러 서로 다른 집단의 생활수준이나 생활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되어오고 있고, 또한 사회계급을 대표해서 사용되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변수는 임노동의 경제적 상태에서 벗어나 있는 집단들 (가사일 돌보는 사람, 실업자, 어린이, 병자, 퇴직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고 인종과 성별에 따른 노동조건과 생활조건의 차이를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Krieger 등 1997, Black report 1982).


직업변수 한계의 극복방안들로 여러 학자들은 지역에 기초한 물질적 결핍(deprivation)변수 (Black Report 1982, Castairs와 Morris 1989a 1991, Townsend 등 1986), 지역과 개인적인 측면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자료 (Davey Smith 1998), 사회계급과 다른 사회경제적 지위들 (예: 소득, 가난, 물질적 결핍, 부, 그리고 교육수준), 개인적, 가구단위, 이웃이나 지역단위에서의 자료 (Krieger 등 1997) 등을 제안하고 있다.


2) 최근 사회계급 (social class) 분류방법


Wright (1989)와 Erikson and Goldthorpe (1992)는 새로운 사회계급 분류방법을 시도하였다. Wright (1989 1996)는 사회계급을 세가지 요소들, ① 생산수단의 소유여부 ② 관리통제기능의 소유여부 ③ 기술/기능의 소유여부에 의해 측정하고자 하였고, 사회계급을 ① 자본가 계급 (capitalists) ② 소규모 경영자 (small employers) ③ 소 부르조아 (pette bourgeois) ④ 임노동자 (wage labourers)로 나누었다. Wirght에 의해 제안된 사회계급 분류방법은 다음 표 1과 같다.





Table 1. Criteria for operationalization of exploitation-asset concept of class structure

I. Assets in the means of production

 

 

Self employed

Number of employees

1 Bourgeoisie

 

Yes

10 or more

2 Small employers

 

Yes

2-10

3 Petty bourgeoisie

 

Yes

0-1

4 Wage-earner

 

No

 

II Assets in organisational control

 

 

Directly involved in making policy decisions for the organisation

Supervisors with real authority over subordinates

1 Managers

 

Yes

Yes

2 Supervisors

 

No

Yes

3 Non management

 

No

No

III Assets in scarce skills/talent

 

Occupation

Education

Job autonomy

1 Experts

Professionals

 

 

 

Professors

 

 

 

Managers

B.A. or more

 

 

 

 

 

2 Marginal

School teachers

 

 

 

Craft workers

 

 

 

Managers

Less than B.A.

 

 

Technicians

 

 

 

Sales

B.A. or more

Autonomous

 

Clerical

B.A. or more

Autonomous

 

 

 

 

3 Uncredentialled

Sales

Less than B.A.  or

Non-Autonomous

 

Clerical

Less than B.A.  or

Non-Autonomous

 

Manual non-crafts

 

 

Source : adapted from the book, classes, written by Wright (1989a), p150


Erikson과 Goldthrope (1992)는 ① 고용주냐 고용원이냐? ② 고용형태가 서비스에 대한 고용형태이냐? 아니면 임노동자 형태의 고용이냐? ③ 육체적 노동이냐? 비육체적 노동이냐? ④ 농업이냐? 비농업분야이냐? 등의 요소들에 의해서 사회계급을 범주화하고 있다.


(2) 가구(household)


가구단위의 분류방법에는 ① 성별과 관계없이 가구단위에서 가구 구성원중 가장 주도적인 개인의 계급을 따르는 방법 (Dominance approach), ② 모든 남성 (결혼했건 안했건 상관없이)과 결혼안한 여성은 그들의 직업분류에 따르나 결혼한 여성은 남편의 직업분류에 따르는 방법 (Conventional approach), ③ 가구주의 계급과 불일치할 경우 직업이 있는 여성은 자기직업으로, 직업이 없는 여성은 남편의 직업으로 따르는 방법(Cross class approach)이 있다 (Krieger 등 1997). 이 가구단위를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은 남편의 직업구조를 가지고 측정했을 때 여성들의 건강의 계급적 차이가 과소평가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이 가구단위의 분류방법은 아직 많이 연구된 바가 적다.


(3) 이웃과 지역 (Neighborhood)


미국의 경우 지역단위의 지표로 센서스5)와 우편번호등을 활용하고 있다. 지역단위의 지표를 사용했을 때의 한계는 첫째, Ecologic fallacy로 어떤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들이 어떤 집단으로 묶였을 때, 그 집단을 묶는 변수에 의해서 혼란(confounding)이 생기는 경우이며, 이때 대개 사회경제적 효과를 과대평가하기보다는 과소평가 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둘째, Individualistic fallacy로 단지 개인적인 수준에서만 측정을 했을 때, 흥미있는 결과의 집단적인 경향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피하는 방법으로는 다 수준 분석6)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지역단위의 지표를 사용했을 때의 장점 다음과 같다: ① 개인이나 가구단위에서 측정되지 못하는 사람들의 생활수준에 따라 특징지울 수 있다. ② 지역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측정방법은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될 수 있다. ③ 변덕스러운 소득이나 고정적인 교육수준보다 더 안정적으로 인구집단의 경제적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④ 센서스에 기초한 지역사회계급을 이용하여, 센서스를 분모자료로 이용했을 때, 사회계급에 따른 인구집단의 발생률, 사망률, 유병률을 구할 수 있다. ⑤ 지역에 기초한 측정방법으로 다수준 차원에서 사회계급과 인구집단의 건강, 질병, 안녕의 양상을 그려낼 수 있다.


3. 사회계급과 건강관련 연구방법론들


(1) 건강의 사회적 불평등 연구의 지표 개발


대부분의 연구들은 SMRs을 각 나라 안에서 사회계급의 차이에 따른 건강불평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Le Grand 등(1988)과 Leclerc 등(1990)은 Lorenz curve 과 Gini coefficient를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하고 있다. Wagstaff 등(1991)은 concentration curve and index를 사용하였고, Pamuk (1985)은 slope or relative indices of inequality를 제안하고 있다. Mackenbach 등(1997)은 relative indices of inequality based on Poisson regression을 사용하였고, Blane 등(1990)은 years of potential life lost를 건강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Sihvonen 등(1998)은 사망자료와 유병자료에서 partial life and health expectancies를 활용하고 있다. Mackenbach와 Kunst (1997)는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기 위한 12 개의 지표들7)을 제안하고 있고, Kawachi와 Kennedy (1997)는 6개의 소득불평등관련 변수들8)을 비교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수준분석9)을 이용하여 개인적인 수준에서 뿐 아니라 지역수준에서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건강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Carr-Hill 1996).


또한 코호트 연구나 longitudinal approach는 기존의 분자와 분모가 서로 다른 자료원에서 구해졌기 때문에 발생되었던 분자분모편견10)을 극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블랙리포트이후,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건강불평등을 통계적 오차라고 주장하는 논리를 불식시키고 있다.


(2) 질적인 방법론


여러 가지 질적인 방법들이 건강의 불평등관련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터뷰 방법론, 집단토의 방법론, 관찰 방법론, 역사적 자료 조사 방법론 등이다. 구체적인 방법론의 한 예로 ‘현장 참여를 통한 함께하는 연구조사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가 활용되고 있다. 함께하는 연구조사는 전통적인 연구에서 서로 고립되어 있는 연구, 교육, 활동의 과정들을 서로 결합한 것으로 연구자와 피연구자가 서로 구분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De Kong 과 Martin 1996). 함께하는 연구조사의 각 단계는 연구의 착수--> 서로를 알기-->서로의 신뢰를 획득-->문제의 발굴-->작업자들의 건강에 관련된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서로에게 동의를 구해나가는 과정-->의결된 내용을 의사로 표현-->평가에 반영-->연구보고서의 발간 등의 순서로 되어 있다 (Ritchie 1996). 이 연구에서는 이 함께하는 연구조사를 적용하여 노동강도에 대한 노동자들의 의견을 모으고 대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하도록 한다.


4.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 연구의 역사적 흐름, 사회계급과 건강관련 연구들 - 각 분야별, 주제별 연구주제들의 중요쟁점들,


1) 사회계급지표들과 건강불평등과의 연관성


① 건강의 불평등의 증가경향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에 관한 연구는 주로 유럽과 미국 등 발전된 국가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연구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유럽사회 전역에 걸쳐서 건강불평등이 존재한다고 있으며 (Mackenbach 등 1997, Kunst 등 1998a, 1998b, Valkonen 1993, Diderichsen와 Hallqvist 1997, Tuchsen와 Endahl 1999), 시간이 흐르면서 낮은 사회계급과 높은 사회계급 사이에 건강불평등의 차이가 점점 벌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Hart 1986, Fox 등 1985, Marang-van de Mheen 등 1998, Guberan과 Usel 1998, Pappas 등 1993, Pamuk 1985).


② 사회계급지표들 - 직업, 교육, 소득, 물질적 결핍, 건강행위 -과 건강불평등과의 관련성


㉠ 직업에 기초한 사회계급


직업계급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을 보면, 육체적 노동자와 비육체적 노동자와의 비교에서 육체적 노동자의 사망과 유병의 증대경향 기술하고 있다 (Black Report 1982, Marmot와 McDowell 1986, Pamuk 1985, Diderichsen와 Hallqvist 1997, Tuchsen과 Endahl 1999, Kunst 등 1998a and 1998b, Mackenbach 등 1997). 


㉡ 교육


교육과 관련해서는 특히 교육수준과 건강수준사이의 명백한 역선형관계가 보고되고 있다 (Valkonen 1993, Pappas G등 1993, Van Loon 1994, Rosso 등 1997, Kunst 등 1994). 한편, 일부 학자들은 교육수준과 사회계급변수중에서 사회경제적 지표로써 어느 변수가 더 의미가 있을 것인가? 라는 문제제기를 하면서 일부 학자들은 교육수준이 더 좋은 지표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Davey Smith 등 1998, Kunst 등 1994).


㉢ 소득


소득의 경우에도 소득분포와 건강불평등간의 역선형관계를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Kaplan 등 1996, Kennedy 등 1996). 소득에 관한 주요한 쟁점들은 소득이 상대적 임금으로써 아니면 절대적 임금으로써 중요한 가이다. Wilkinson (1989)은 상대적인 임금으로써 소득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하면서, 사망률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평균인 임금의 차이가 아니라 상대적 가난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Wilkinson의 견해를 비판하고, 절대적, 상대적 황폐화 모두가 나쁜 건강상태와 연관이 깊으며, Wilkinson의 모델은 계급관련성을 무시함으로써 이 계급관련성이 소득 불평등으로 인해 어떻게 상대적 절대적 박탈감을 가져오는 가를 설명할 수 있는 여지를 무시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Davey Smith 1996, Kaplan 1996, Muntaner와 Lynch 1999).


㉣ Deprivation (물질적 결핍)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물질적 결핍지표11)가 개발되어 오고 있다 (Townsend 등 1986, Carstairs와 Morris 1991, Greater Glasgow Health Board 1984, Hunt와 McEwen 1980, Jarman Index 1983 1984). 특히 Carstairs와 Morris (1989)는 영국에서 가장 물질적 결핍이 심한 곳이 가장 물질적으로 부유한 지역에 비해 사망률이 2배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 건강행위변수의 역할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건강행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예를들면, Adler등 (1993)은 건강행위가 건강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수로써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많은 연구들에서는 건강행위가 사회적 불평등과 건강과의 연관성에 혼란변수로 작용하지 않는 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Davey Smith 1994 1997, Davey Smith 등 1990a, Davey Smith 등 1991 1994a, Davey Smith 등 1990b, Marmot 등 1991, Lynch 등 1996, Chandola 1998, Davey Smith 1994).


최근의 건강행위변수보다는 사회계급과 건강과의 연관성을 더 강조하는 주장들은 Black report (1982)의 결론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Black Report는 건강의 사회적 불평등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유물론적인 견해를 받아들이고 있다. Macintyre (1997)는 건강행위가 건강에서의 계급적 차이에 공헌하고 있으며, 결국 건강행위의 차이는 물질적인 조건이나 사회구조적인 조건에 그 근원을 두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Macintyre는 향후의 연구과제는 ‘어떻게 물질적/사회구조적 조건이 건강증진 또는 건강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유발하는 가를 설명하고, 이들 건강행위가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을 설명할 수 있는가?’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개발된 나라에서는 아직까지도 개인적인 건강행위위에 건강증진을 강조하는 전통을 깨야 할 필요성이 있다.


2) 노동조건 및 노동과정과 건강 불평등


노동에서의 불평등의 기원은 노동의 사회적 분리이다12). 노동의 사회적 분리는 생산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고, 사회를 경제적 집단으로 구분하게 된다 (Gorden, 1972). Navarro (1998)는 계급관계가 건강에 미치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계급관계가 작업장과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것들이 노동자와 주민의 복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였다. 아래의 연구들은 노동조건 및 노동과정에서 건강 불평등의 기전들로 설명될 수 있다.


① 노동조건, 노동강도와 건강관련 연구들


노동조건, 노동강도와 건강관련 연구들은 주로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자본의 착취과정인 노동강도강화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Braverman 1974, Nichols 1996, Grunberg 1983, Fucini와 Fucini 1990, Moody 1997, Danford 1999, Graham 1995, Rinehart 등 1997, Delbridge 1998).


Braverman (1974)은 테일러즘으로 일컫는 현대 자본주의사회가 노동과정의 강화와 노동자의 탈숙련화를 통해서 노동자를 착취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Nichols (1991)는 증대된 노동강도가 1970-1980년 중반까지의 영국 제조업의 생산능력을 증대시키는 데 특별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몇몇의 연구자들은 어떻게 노동이 테일러즘이나 포디즘으로 일컫는 자본주의 생산방식에 의해서 육체적으로 강화되고, 어떻게 1980년대 이래로 일본식 생산방식의 도입에 의해서 노동자들이 점차로 악화되어가는 지를 기술하고 있다.(Fucini와 Fucini 1990, Graham 1995, Moody 1997, Rinehart 등 1997, Delbridge 1998, Danford 1999).


Nichols는 노동강도강화가 작업장에서 재해를 증대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고 주장한다. Nichols는 노동강도강화는 여분의 시간이 없어지고, 재해예방을 위한 활동과 교육이 태만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Nichols 1986 1989 1991). Grunberg (1983)는 노동강도가 증대할수록 재해율이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Nichols, 1997, p111). 몇 개의 연구들은 또 어떻게 작업속도의 증대가 재해의 증대를 가져왔는 가를 분석하고 있다 (Grunberg 1983, Nichols 1997, Novek 등 1990). Novek 등 (1990)은 재해율의 증대가 이윤의 감소와 노동강도강화의 측면에서 노동관계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Graham (1995)은 노동과정에서 증대된 작업속도가 더 빠르고 반복적인 운동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고용된지 몇 달 지나지 않아서 Carpal Tunnel Syndrome이나 다른 손상을 유발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Fucini 와 Fucini (1990)은 마즈다 자동차 공장에서 또한 빠른 반복 업무를 수행하고 휴식시간없이 장시간 작업을 하는 것은 근육과 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심화시키고, 노동자로 하여금 팔과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고 있다.


최근에 와서는 여러분야에서 노동조건, 노동과정, 노동환경과 건강에 관한 불평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이래 노동강도의 기전을 파악하고, 노동강도와 근골격계질환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려는 연구들이 있다 (대우조선 노동강도와 근골격계 질환 연구팀 2002, 철도노동조합 2002).


② 육체적 노동조건 및 정신적 스트레스와 건강불평등


질병에 대한 육체적 노동조건과 사회계급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Lundberg (1991)는 비록 경제적 문제나 건강행위가 공헌하고 있는 문제도 있지만, 육체적 노동조건이 질병의 계급적 불평등의 일차적 요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Schrijvers 등(1998)은 또한 유해한 육체적 노동조건과 작업과정에서 자율성의 부재가 직업계급과 자각적인 건강이상상태와의 연관성을 설명해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작업환경과 사회경제적 요인들과의 연관성에 관련된 연구들은 많지 않다.


정신사회적 노동환경과 사회경제적 변수와 관련된 몇가지 연구들에서 낮은 사회계급집단이 더 높은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심혈관계 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Marmot 등 1988). Karasek (1979) 과Karasek과 Theorell (1990)은 더 집중된 업무 요구도와 낮은 업무 자율성에 의해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것이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요인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한다.


직업적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기전들을 보면,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직업적 스트레스가 작업시간 도중의 고혈압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Theorell 2000). 몇몇 연구자들은 혈액중의 lipid수준과 직업적 스트레스와의 연관성 (Stjernstrom 등 1993, Brunner와 Marmot 1999), 농부들에서 직업적 스트레스와 혈액중의 낮은 high density lipoprotein 농도 (Stjernstrom 등 1993), 스트레스로 인하여 혈액응고 경향성의 증대 (Brunner and Marmot 1999) 등을 보고하고 있다. Brunner와 Marmot (1999)는 사회적, 환경적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사회적 개인적 차이는 체중, 높고 낮은 수준의 반응력 등을 포함하여 많은 요인들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어느 측면에서 본다면 어떻게 작업장에서 계급관계가 나타나는 가, 또한 어떻게 이들 정신사회적 요소들이 육체적 하중 등 다른 노동조건과 연관이 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③ 노동시간과 건강관련 연구들


최근 유럽에서는 기계조작과 서비스 부분에서 밤근무와 교대제노동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지구화13)의 증대, 경쟁, 수요의 변화등과 관련이 깊어서 노동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현재의 추세 때문이다 (Harma, 1998). 그 결과, 교대근무와 밤근무가 증가하고, 일부 전문가층 (전문가, 연구조사팀장, 상담가)과 주변인구집단 (실업 노동자, 파트타임 노동자)에서 장시간의 노동시간증대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노동시간과 관련해서 한단계 뒤로 퇴보하는 듯 한 경향은 EU의 ‘새 노동시간법률(New Directive of working time)’의 최근 개정판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 ‘새 노동시간법률‘은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목적으로 하나, 새로운 교대체계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포함내지는 허용하고 있어서 특히 교대제부분에서 건강과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들면, 12시간, 심지어 16시간 교대제는 노동자의 업무능력, 피로도 수준, 안전의 정도를 비교해 볼 때 퇴보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Harma 1998). 예를들면, 핀란드의 일부 학자들은 노동시간에 대한 새로운 법: ‘새 노동시간 법률’이 도입되면서 하루동안의 휴식시간에 대해서 많은 예외조항을 만들 수 있는 여지가 있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비록 EU의 ‘새 노동시간법률’에서는 하루 24시간중에서 최소한 12시간을 하루동안의 휴식시간으로 보장하도록 하고 있지만, (새로운 법의 도입으로) 결과적으로 초래되는 하루동안의 노동시간의 길이는 매우 다양화 될 수 밖에 없다. 예를들면, 병원, 철도, 등에서 한 교대주기의 길이는 12시간이 아니라 15시간이다. ‘유연화된 노동시간’에 동의한다면 최대의 노동시간은 하루에 17시간이 되는 것이다. 밤근무와 경비업무들은 19시간까지 일할 수 있다. 19시간 교대제는 일시적으로 업무가 폭주하거나 갑자기 질병자가 생겼을 때도 가능하다. 결국, 단체교섭 (collective labour market agreements)에 의해서 받아들여진다면, 하루 중의 휴식시간에 대한 어떠한 예외조항도 가능하다 (Harma 1998).


④ 여성과 건강불평등


여성과 건강불평등문제는 여성들이 노동력에서 제외되는 문제, 여성들이 낮은 임금조건하에서 노동하는 조건, 임금을 받지 못하는 잡무에 시달리는 문제, 1990년대 신 경영전략으로 인한 구조조정으로 여성 노동력 감퇴현상, 서비스직으로 몰려나가는 문제, 경제위기이후 구조조정으로 인해 하위 직업군으로 밀려나가는 문제, 경제위기 등으로 가족파괴와 가족해체시에 맡게되는 모든 육아와 생활의 문제, 등이 산재해 있다.


⑤ 비정규직 노동자, 실업, 낮은 사회계급과 건강불평등과의 연관성


낮은 사회계급, 낮은 임금, 열악한 작업조건 등은 일용직, 하청 노동자, 계약직 노동자 등 비 정규직 노동자에게 더 많은 건강상의 위험을 가져오며, 이들은 또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언제라도 산업예비군, 소위 실업군으로 밀려날 수 밖에 없는 가장 열악한 군단을 형성하고 있다. 


실업의 문제는 가난과도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있다. 즉, 낮은 임금과 실업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실직의 경험과 가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가난과 사망률 및 유병률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실업자들사이에서의 질병 유병률이 증가되어있다. 향후 연구과제는 실업 발생률과 소득, 부, 교육수준등 다른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으므로, 이들 변수들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아야 하며, 또한 longitudinal data로 실업이 가져다주는 건강장해의 요인들을 분석해야 한다 (Stern 1983).


5. 사회적 불평등과 건강과의 연관성: 그 해결방법에 대한 여러 제안들 검토


서로 다른 계급사이에 건강의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것은 대부분의 연구자들의 공통된 연구결과이다. 그러나 이 불평등에 대한 정책제안을 할 때, 서로 다른 견해들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자유주의자들(Libertarians)의 견해를 보면, 이들은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고, 시장경제가 효과적이고 개인의 자유를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시장에서 국가개입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Libertarians은 개인의 자유와 개인의 재산을 포함하여 개인의 자유의 측면을 강조한다 (Williams 1993). 예를들면, Heymann (2000)은 ‘인적자본 (Human capital)에의 투자가 사회적 불평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인적자본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수련이나 교육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Heymann은 사회적 계급적 차이를 줄일수 있는 방법으로써 시민권을 이야기하고 있다.


문제는 이것이 건강의 불평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건강 불평등은 단지 보건의료에서 ‘동등한 권리’만을 주장해서는 해결될 수 없다. 이미 불평등한 사회에서 불평등의 본질인 계급관계에서 그 근원을 찾지 않고 단지 동등한 권리만을 주장하는 것은 하는 것은 불평등한 사회를 인정하는 것일 수 있다. Le Grand (1982)가 지적했듯이, 이러한 생각은 아마도 ‘현재 불평등의 구조가 근본적으로 합당하다, 그리하여 부유한 사람들은 많은 소득을 가져서 마땅하고 가난한 사람들은 소득이 없어도 마땅하다’는 생각에 근거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해서 Le Grand는 ‘공공재화의 공급(Public provision)’을 통한 평등화전략은 실패했다고 주장하면서 그 이유는 그 정책자체가 바로 ’불평등 이데올로기‘를 인정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Le Grand는 대안으로써 이러한 불평등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공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Utilitarianism (공리주의)14)인데 이는 시장이 모든 사회구성원의 안녕을 지키는 데 실패했다면, 국가의 개입이 적절하다는 견해이다. 이들은 전체의 복지나 행복을 위해서 공공의 투자를 증대시키는 것을 해결책으로 보고 있다. 공리주의는 ‘모든 사람들은 총체적인 한명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Williams 1993).


그러나 Le Grand가 주장하듯이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배분되는 영국에서 사회서비스에 있는 대부분의 공공적인 소비재는 대부분 소득이나 직업적으로 상위급에 놓여있는 사회계급을 위한 것이 되고 만다. 이렇게 해서 사회서비스에 대한 공공 비용은 그것의 의미대로 평등하게 얻어질 수 없다.


셋째, Egalitarianism (평등주의)는 건강불평등이 ‘공평한 접근’이나 ‘재분배’에 의해서 줄여질 수 있다는 견해이다. 예를들면, Wilkinson (1997)은 ‘국가 사망률은 소득의 재분배에 의해서 줄여질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 Wilkinson (1999)은 ‘어느 기준에 못미치는 사람들의 비율을 줄여야 한다’라고 주장한다. 여기에 더하여 여러 연구자들은 건강불평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공평한 접근(Equal access)’이나 ‘혜택을 줄 수 있는 능력(Capacity to benefit)’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Mooney G 등(1991)은 공평한 요구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건의료 전달체계에서의 공평함으로 정의한다. Culyer (1988)는 해결책으로 'Capacity to benefit'을 주장하고 있다. 만약에 어떤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다면 요구(Need)를 해결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있다면, 그리고 그것이 특별한 개인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면, 이들 개인에게는 (보건의료)의 요구(Need)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Culyer 1988). 이러한 'Capacity to benefit'개념은 비용-효과분석이나 투자에 대한 효과적인 측면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한편, Culyer (1988)는 보건의료서비스의 목적이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므로 보건의료에 대한 평등성은 건강에의 평등성이란 말로 개념화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건강의 불평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각하고 있는 수평적인 평등 (평등한 조건에 있는 개인들에 대해서 공평하게 다루는 것)15)에서 벗어나 수직적인 평등 (불평등한 조건에 있는 개인들을 불평등하게 다루는 것)16)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것이 현시대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거론되고 있는 재분배전략의 중요한 형태이다. 그러나 Egalitarianism 은 한가지 해결할 수 없는 의문을 남기고 있다. 즉, 계급관계에 대한 고려없이 어떠한 종류의 평등을 수행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다. 우리는 아직까지도 재분배정책 (Redistribution policy)이 건강의 불평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어떠한 증거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Kunst et al (1998a)은 솔직하게도 가장 사회경제적으로 평등하다고 주장하는 나라에서도 사망률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고백하고 있다. 계급의 차이가 존재하는 한 평등의 효과를 최대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재분배정책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건강의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되기에는 일정정도 한계를 안고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으로 자유주의, 공리주의 그리고 평등주의의 핵심적인 전략들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되어지고 있고 종종 동시대의 정부정책과 일치하기도 한다. 이들 세 개의 전략들은 아마도 일차적으로 정부의 행동에 일차적으로 의존하는 ‘재분배정책’의 서로 다른 버전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생기는 의문은 과연 정부가 건강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는가? 없는가? 이다. Le Grand (1982)가 지적하듯이 공공비용의 공평성과 그 결과들이 추구 하는 것은 전체 평등성 (Equality)의 개념보다 매우 제한되어 있는 형태이다. 만약 평등성의 전략이 성공하려면 불평등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공격해야 한다. 그러므로 정부의 정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이러한 정책제안들은 정부의 행동을 받아들이는 것 이상으로 건강에의 불평등을 해결할 수는 없다.

네번째로 Marxism적인 견해는 계급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맑시즘적인 견해는 계급관계(계급갈등이나 계급투쟁)에 근거하지 않고는 평등의 개념이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낮은 사회계급집단에서의 계급의식이나 계급적인 단결력이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중요한 열쇠이다.


Muntanet and Lynch (1999)는 정치적 변화보다 사회적 응집(Social cohesion)에 더 초점을 맞추려는 Wilkinson의 모델을 비판하면서, 계급착취를 초점으로 하는 맑시즘적인 계급에 근거한 설명이 더 합당하다고 보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소득 재분배모델에서 보여줄 수 없는 착취의 사회적 기전을 폭로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Kaplan et al (1996)은 또한 Wilkinson의 상대소득이론을 비판하고, 정신 사회적인 결과보다 건강불평등과 소득불평등 사이의 관계에서 정신사회적인 결과보다는 (사회)구조적인 특징들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Krieger and Fee (1994)은 중요한 것은 계급과 건강관련 주제를 정치적 의제의 중심으로 가져다 놓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Navarro (1998)는 또한 계급이 미국에서 사망률과 유병률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고 있다. 계급과 계급관련성은 전 지구적으로 계급관련성과 그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일차적으로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건강불평등의 주요한 원인이 계급 그 자체에 있거나 계급관련성에 있다면 그 해결방법도 계급관련성의 분석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건강불평등을 막기 위해서는 어떻게 계급의 차이가 건강불평등을 가져오며, 가난한 사람과 부자와의 간격을 넓게 만드는 지에 대한 상세한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결국, 건강불평등에 대한 해결은 건강의 질곡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낮은 사회계급집단에 의해서 그들의 노동조건과 삷의 조건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문헌


대우조선 노동강도와 근골격계 질환 연구팀. 2002. 대우조선 노동자 노동강도강화와 근골격계 질환의 관계. 대우조선 노동조합 연구용역 최종 보고서.


철도 구조조정이 철도 노동자에게 미치는 건강영향 조사보고서. 2002. 철도노동조합.


Adler NE, Boyce WT, chesney MA, Folkman S, Syme SL. 1993.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no easy solution. JAMA 269:3140.


Black D, Morris JN, Smith C, Townsend P, Davidson, N, Whitehead M. 1982. The Black report, inequalities in health. London: Penguin Books. 


Blane D,Davey Smith G, Bartley M. 1990. Social class differences in years of potential life lost: size, trends, and principal causes. BMJ 301:429-432.


Braverman H. 1974. Labor and monopoly capital. New York: Telos.


Brunner E, Marmot MG. 1999. Social organisation, stress, and health. In: Marmot MG, Wilkinson RG, editor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arstairs V, Morris R. 1989a. Deprivation and mortality: An alternative to social class? Commun Med 11(3):210-19.


Chandola T. 1998. Social inequal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a comparison of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Soc Sci Med 47(4): 525-33.


Culyer AJ. 1988. Inequalities of health services are, in general, desirable. In:Green DG, editor. Acceptable Inequilities? - Essays in the pursuit of equality in health care -. London: IEA.


Culyer AJ. 1991. The promise of a reformed NHS: an economist's angle. BMJ 302:1253-6.



Danford A. 1999. Japanese management techniques and British workers. London and New York: Mansell.


Davey Smith G, Shipley MJ, Rose G. 1990. The magnitude and causes of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mortality: further evidence from the Whitehall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44:260-5.


Davey Smith G, Shipley MJ. 1991a. Confounding of occupation and smoking: Its magnitude and consequences. Soc Sci Med 32:1297-300.


Davey Smith G, Leon D, Shipley MJ, and Rose G. 1991b.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cancer among men.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2):339-345.


Davey Smith G, Bartly M, Blane D. 1994. Explanations for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mortality: evidence from Britain and elsewher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4:131-44.


Davey Smith G. 1996. Income inequality and mortality: Why are they related? BMJ 312:987-988.  


Davey Smith G, Brunner E.1997a.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health: the role of nutrition.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56:75-90.


Davey Smith G, Ben-Shlomo Y. 1997b. Geographical and social class differentials in stroke mortality the influence of early-life factors: Comment on papers by Maheswaran and colleagu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1:134-137.


Davey Smith G, Ben-Shlomo Y. 1997c.Inequalities in health: What is happening and what can be done? In: Gabriel Scally, editor. London: Progress in public health.


Davey Smith G, Hart C, Hole D, MacKinnon P, Gillis C, Watt G, Blane D, Hawthorne V. 1998a. Education and occupational social class: Which is the more important indicator of mortality risk?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2:153-160.


Davey Smith G, Hart C, Watt G, Hole D, Hawthorne V.1998b. Individual social class, area-based deprivati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mortality: The Renfrew and Paisley stud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2:399-405.


Delbridge R. 1998. Life on the line in contemporary manufacturing: The workplace experience of lean production and the Japanese model.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Diderichsen F and Hallqvist J. 1997. Trends in occupational mortality among middle-aged men in Sweden 1961-1990.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6(4):782-787.



Erikson R and Goldthrope JH. 1992. The constant flux: A study of class mobility in industrial societies. Oxford: Clarendon press.


Fox AJ, Goldblatt PO, Jones DR. 1985. Social class mortality differentials: Artefact, selection or life circumstanc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39:1-8.


Fucini J, Fucini S. 1990. Working for the Japanese: Inside mazda's. American Auto plant. New York: Free Press.


Gordon DM. 1972. Theories of poverty and underemployment: Orthodox, radical and dual labour market perspectives. Lexington Books.


Graham L. 1995. On the line at Subaru-Isuzu. The Japanese model and the American worker.


Graham H. 1988. Women and smoking in the UK. Health Promotion 3:371-82.


Le Grand J. 1982. The strategy of equality: Redistribution and the social services. London: George Allen & Unwin.


Le Grand. 1989.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distributions of ages-at death. In: Fox J, editor. Health inequalities in European countries. Gower.


Greater Glasgow Health Board. 1984. Ten year report, 1974-1983. Greater Glasgow Health Board.


Grunberg L. 1983. The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s of production on productivity and workers safety: An ignored set of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13(4): 621-634.


Guberan E and Usel M. 1998. Permanent work incapability, mortality and survival without work incapacity among occupational and social classes: a cohort study of men in Geneva.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7:1026-1032.


Harma M.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8;24 suppl 3:3-6


Hart N. 1986. Inequalities in health: the individual versus the environment. J R Statist Soc A 149(3):228-246.


Heymann SJ. 2000. Health and social policy. In: Berkman LF, Kawachi I, editor. Social epidemi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unt S, McEwen J.1980. The development of a subjective health indicator.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231-46.


Jarman B. 1983. Identification of underprivileged areas. BMJ 286(28):1706-1709.


Jarman B. 1984. Underprivileged areas: Validation and distribution of scores. BMJ 289:1587-1592.


Kaplan GA, Pamuk ER, Lynch JW, Cohen RD, Balfour JL. 1996. Inequality in income an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analysis of mortality and potential pathways. BMJ 312:999-1003.


Karasek R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 Sci Q 24:285-307.


Karasek RA and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New York: Basic books.


Kawachi I and Kennedy BP. 1997. The relationship of income inequality to mortality: Does the choice of indicator matter? Soc Sci Med 45(7): 1121-1127.


Kennedy BP, Kawachi I, and Prothrow-Stith P. 1996.  Income distribution and mortality: Cross sectional ecological study of the Robin Hood Index in the United States. BMJ 312:1004-7.


Krieger N, Williams DR, Moss NE. 1997. Measuring social class in US Public Health Research: Concepts,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Annu. Rev. Public Health. 18: 341-78.


Krieger N and Fee E. 1994. Social class: The missing link in U.S. health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24(1): 25-44.


de Koning K and Martin M. 1996. Participatory research in health: Issues and experiences. Zed books.


Kunst AE, Mackenbach JP. 1994. The size of mortality difference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level in nine industrialised countr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6):932-937.

    

Kunst AE, Groenhof F, Mackenbach JP, EU Working group o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1998a. Mortality by occupational class among men 30-64 years in 11 European countries: Comparison of population based studies. Soc Sci Med 46(11):1459-1476.   


Kunst AE, Groenhof F, Mackenbach JP, EU Working group o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1998b.  Occupational class and cause specific mortality inmiddle aged men in 11 European countries: Comparison of population based studies. BMJ 316:1636-1642.   

van Loon AJM, Goldbohm RA, Kant I, Swaen GMH, Kremer AM, van den Brandt PA. 1997. Socioeconomic status and lung cancer incidence in men in The Netherlands: is there a role for occupational exposur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1:24-29.


Lynch JW, Kaplan GA, Cohen RD, Tuomilehto J, Salonen JT. 1996. Do known risk factors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risk of all-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4:934-42.


Macintyre S.1997.The Black report and beyond what are the issues? Soc Sci Med 44(6): 723-745.


Mackenbach JP and Kunst A. 1997. Measuring the magnitude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An overview of available measures illustrated with two examples from Europe. Soc Sci Med  44(6): 757-771


Mackenbach JP and Kunst AE, Cavelaars AEJM, Groenhof F, Geurts JJM, and the EU working group o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1997.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bidity and mortality in Western Europe. The Lancet 349(7):1655-1659.


Marang-van de Mheen PJ, Davey Smith G, Hart CL. 1998.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mortality among men within Great Britain: time trends and contributory caus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2:214-218.


Marmot MG, and McDowall ME. 1986. Mortality decline and widening social inequalities. The Lancet ii: 274-6.


Moody K. 1997. Workers in a lean world: Union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London, New York: Verso.


Mooney G, Hall J, Donaldson C and Gerard K. 1991. Utilisation as a measure of equity: weighing heat? Journal of Health Economics 10:475-480. 


Muntaner C and Lynch J. 1999. Income inequality, social cohesion, and class relations: A critique of Wilkinson's neo-durkheimian research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29(1):59-81.


Navarro V. 1998. A historical review (1965-1997) of studies on class, health, and quality of life: A personal account.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28(3):389-406.


Nichols T. 1986. The British Worker question: A new look at workers and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Routledge & Kegan Paul


Nichols T. 1989. On the analysis of side effects and 'accidents': A further comment. Industrial Relations Journal 20(1):62-5.


Nichols T. 1991. Labour intensification, work injuries and the measurement of percentage utilisation of labour (PUL).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29(4):569-592.


Nichols T. 1997. The sociology of industrial injury. Mansell. 


Nichols T. 1996. Problems in monitoring safety in British manufacturing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n: Revelas, Guy W, editors. Interpreting official statistics. Roultedge.


Novek J, Yassi A, and Spiegel J. 1990. Mechanisation, the labour process, and injury risks in the Canadian Meat packing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20(2):281-296.


Pappas G, Queen S, Hadden WC, Fisher G. 1993. The increasing disparity in mortality between socioeconomic groups in the United States, 1960 and 1986. New England J Medicine 329:103-109.


Pamuk ER. 1985. Social-class inequality in mortality from 1921 to 1972 in England and Wales. Population studies: 39:17-31.

7

Rinehart J, Huxley C, and Robertson D. 1997. Just another car factory? Lean production and its discontents.


Rosso S, Faggiano F, Zanetti R, Costa G. 1997. Social class and cancer survival in Turin, Ital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1:30-34.  


Stern J 1983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morbidity, and mortality in Britain. Population studies. 37: 1983: 61-74.


Stjernstrom EL, Thelin A, Holmberg S, and Svardsudd K. 1993. The occurrence of risk factors for CHD in farmers and non-farming controls in Sweden. World Congress on Occupational Health, Nice, France, September 27.



Theorell T. 2000.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In: Berkman LF, Kawachi I, editors. Social epidemi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Townsend P, Phillimore P, Beattie A. 1986. Inequalities in health in the Northern Region: An Interim report, Northern Regional Health Authority/Bristol University.


Tuchsen F and Endahl LA. 1999. Increasing inequality in ischemic heart disease morbidity among employment in Denmark 1981-1993: the need for a new preventive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8:640-644. 


Valkonen T. 1993. Problems in the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mortality. Soc Sci Med 36(4):409-418.  


Valkonen T, Sihvonen A, Lahelma E. 1997. Health expectancy by level of education in Finland. Soc Sci Med 44(6) 801-808.


Wagstaff A, van Doorslaer E, Paci P. 1991. On the measurement of horizontal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Journal of Health Economics 10:169-205.


Wilkinson RG. 1989. Class mortality differentials, income distribution and trends in poverty 1921-1981. Soc Pol  18:307-333.


Wilkinson RG. 1996. Unhealthy Societies: Afflictions of inequality. London, New York: Routledge.


Wilkinson RG.1997. Commentary: Income inequality summarises the health burden of individual relative deprivation.BMJ 314:1727-1728.


Wilkinson RG.1999. Putting the picture together: Prosperity, redistribution, health, and welfare. In: Marmot M and Wilkinson R, editor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Oxford: Oxford press. 


Williams A.1993. Equity in health care: The role of ideology. In: van Doorslaer E, editor. Equity in the finance and delivery of health car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Wright EO. 1989a. Classes. London, New York: Verso classics.


Wright EO et al. 1989b. The Debate on Classes. London, New York : Verso classics.


Wright EO. 1996. Class counts: Comparative studies in Class Analysis. New Yor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Krieger 등 (1997)에 의하면, 사회경제적 상태(socioeconomic status)란 용어는 실제 재산과 순위와 관련된 직위와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있다.


2) 영국에서 1913년에 Stevenson (the Registrar General (RG))이 1911년 아버지의 직업분류별 영아사망률을 구했을 때의 직업계급 (Occupational class)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I. upper and middle classes;

II. intermediate between I and III;

III. skilled workmen;

IV. intermediate between III and V;

V. unskilled labourers;

VI. textile workers;

VII. minors; and

VIII. agricultural workers'(Macintyre,  1997).


3) - 최근까지 사용되어오는 영국의 직업계급분류는 다음과 같다.

The British General Social Class currently used in the UK are:

I. Professional;

II. Managerial and technical occupations (previously 'intermediate');

IIIN. Skilled occupations - non-manual;

IIIM. Skilled occupations - manual;

IV. Partly skilled occupations; and

V. Unskilled occupations (OPCS, 1995).


4) 1997년 ESRC에 의해서 제안되어지고 있는 새로운 사회계급구분방법은 다음과 같다.

1 Higher professionals/senior managers

2 Associate professionals/junior managers

3 Other admin. and clerical workers

4 Own account non-professional

5 Supervisors, technicians and related workers

6 Intermediate workers

7 Other workers

8 Never worked/other inactive


5) Cennsus tract and block group boundaries


6) multi-level analysis


7) 1. Rate ratio of lowest versus highest SES group; 2. Rate difference of lowest versus highest SES group; 3. Regression-based relative effect index; 4. Regression-based absolute effect index; 5. Population-Attributable Risk (%); 6. Population-Attributable Risk (absolute version); 7. Regression-based Population-Attributable Risk (%); 8. Regression-based Population-Attributable Risk (absolute version); 9. Index of dissimilarity; 10. Index of dissimilarity (absolute version); 11. Relative Index of Inequality; 12. Slope Index of Inequality. Kunst et al (Netherlands, 1998a and 1998b) introduce rate differences as th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mortality in manual and non-manual classes.


8) The Gini coefficient, the decile ratio, the proportions of total income earned by the bottom 50%, 60% and 70% of households, the Robin Hood index, the Atkinson index and Theil's entropy


9) multilevel analysis


10) numerator-denominator bias


11) deprivation indices


12) 이러한 노동의 사회적 분화는 마르크스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13) globalisation


14) 공리주의는 Bentham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서 그 기원이 있다.


15) horizontal equity (equal treatment of individuals who are equal)


16) vertical equity (unequal treatment of individuals who are unequal)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남아프리카의 ANC,COSATU,SACP 방문소감 2004.6

남아프리카의 ANC,COSATU,SACP 방문소감 2004.6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손미아


 

국제형평성학회에 참가하러 남아프리카에 도착한 후, ANC(African National Congress), COSATU(Confedration OSATU), SACP(South African Communist Party)의 세곳을 만나보았다. 현재 남아프리카에서는 이 세집단이 연합을 해서 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공식적으로 ANC party로 불리운다. 남아프리카는 10년전까지만해도 백인들에 의해서 대부분의 땅과 재산 및 생산물이 독점되어왔고, 백인에 의해서 세워진 정부는 인종차별정책 (Apartheism)으로 흑인들을 노동자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노동-자본의 계약적인 관계조차 형성하지 못하게 하면서 사실상 노예로 취급해왔으며, 인간이하의 처우를 해 왔다. 만델라정부, 즉, ANC정부에 의해서 형성된 새 흑인들의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흑인들은 기억하고 싶어하지 않는 과거가 있는 것이다. 흑인들은 물과 집을 소유할 수 없었다 (그래서인지, 저자는 아침일찍 해변을 뛸 때, 플라스틱 통에다 물을 받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것을 가지고 자기 몸도 씻고, 또 음식도 해먹는다고 한다... 지금까지도...). 흑인들은 도시에 거주할 수 없었다. 또한 흑인들은 10시이후에는 도시에 걸어다닐수도 없었다. 공원에 머무를 수 없었으며, 인도에 들어가지 못하고 차도에서 차와 같이 다녀야 했다. 흑인들은 해변가를 거닐 수 없었으며, 전기도 없었다. 흑인들은 노동자로써 인정이 되지 못했으며, 노동계약관계가 성립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백인-흑인의 갈등이 현재에도 주요모순으로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ANC정부의 집권과 정치가 흑인 다수에 의해서 정당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ANC(African National Congress): 첫 번째 ANC정부는 넬슨 만델라에 의해서 세워졌다, 1912년 처음 ANC가 세워졌고, ANC는 백인정부와 싸우지 않고 협상을 하려했으나, 1961년 인종차별정책위주의 정부가 협상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느끼고, 군대(MK)를 조직해서 싸우기 시작한다. 무장투쟁은 1962-1989년까지 지속되었고, 이 과정에서 SACP와 ANC의 연합체인 SACTU (1955, ALLIENCE  WITH SACP AND ANC))가 형성되고,  SACTU의 후신으로써 SAAWU (1978)가 형성되었으며, 1985년 COSATU가 형성된다. SACTU와  SAAWU는 무장군대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COSATU (1985)는 무장해제된 상태로 형성된다. 무장군대와 COSATU는 노동시장에서 인종차별정책을 만들어내는 TUCTSA (Trade Union Council of SA, raist federation of Trade Union)를 파괴하기위해서 전력을 기울인다. 이렇게 해서 1989년 협상이 다시 재개되고, 무장투쟁이 멈추고, 1990년 만델라가 이끄는 새정부(ANC)가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새정부(ANC)는 설립이후 10년이 지난 지금까지고 인종차별정책에 대항하는 정책을 우선적으로 취하고 있다. 즉, 민족주의노선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더반도시의 한 지역분회의 대표자를 면담했을 때, 그의 대답은 현재 남아프리카내에 어떠한 문제도 없으며, 단지 백인-흑인과의 전선만이 존재한다고 했다. 심지어 지금 남아프리카에서 다른 문제(실업, 가난, 불평등 등)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다 현재의 민주정부를 훼손시키려는 의도밖에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이다.

COSATU(Confedration OSATU): 더반의 COSATU를 찾아갔을 때, 세명이 한 사무실에서 상근을 하고있다고 했다. 그중 한명은 28세의 남자였는데, 학생운동을 하다가 바로 COSATU로 들어온 후 4년이 지났다고 했다. 이 친구에 의하면, ANC는 국가정부의 이익을 대표하는 연합당의 역할을 하며, COSATU는 노동자계급의 이익을 담당하고, SACP는 노동자계급에게 편중된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있는 집단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 친구에 의하면 현재 남아프리카에서 직면한 문제는 세계화와 사유화로 인한 직업의 불안정성, 실업률의 증대, 불평등, 에이즈의 증대라고 했다. 직업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일용직들을 규제하는 규제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실업률의 증대에 대해서는 하루의 임금을 모아서 'job creation trust"를 만드는 작업을 COSATU가 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불평등의 간극이 넓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노동조합이 임금투쟁을 하고 있으며, 정부가 ‘skill's development programme'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COSATU도 역시 현재의 가장 큰 문제는 인종차별정책의 유산으로부터 새롭게 국가를 재건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예를들면, “Group Areas Act"를 만들어서 시골의 미개발지역에 (전기도 없고, 길도 없고, 기본적인 하부시설이 없는 곳)에다가 저비용의 집을 만들고, 하수도시설, 상수도시설, 전기, 공공운송시설을 만드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이 친구도 이러한 발전을 하기위해서 ANC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COSATU가 볼때, 현정부가 성취한 점은 노동법을 통해서 노동자들을 보호한 점, 사회적 안전망을 확장한 점인 반면, 성취하지 못한 점은 경제정책의 미흡과 불평등의 간극이 증대하고 있는 점이라고 했다. 이 친구말에 의하면 현재, 독립적인 노동자당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는 아프리카의 다른 나라들은 나라전체가 외국국가의 식민통치를 받다가 독립이 된 반면, 남아프리카는 내부의 정치적인 문제가 아직 남아있으며 (국가내부의 백인자본가과 흑인들), 아직 민중이 다 자유롭게 되지 못했으며, 서로 다른 경제가 발전해 왔으며, 이제 막 물질적인 요구들을 세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현재 ”BLACK ECONOMIC EMPOWERMENT"라는 제도도 자본가로 하여금 원주민들 (흑인들)에게 얼마정도 (얼마의 %)의 재산을 줄 것을 강요하는 제도라고 한다. 그러므로 20년후에는 달라져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 친구는 에이즈에 대한 대답을 못했다. 어떻게 해결해야하는가??


SACP(SACP): 우리는 떠나오는 아침 8시에 약속한 대로 더반지부 공산당의 책임자 두분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었다. 이들에 의하면 ANC는 계급갈등보다는 민족적인 문제를 더 다루고 있다고 말했다. 즉, 현재는 민족문제를 중심으로 백인과 흑인의 전선을 치고 있지만, 향후 10년이 지난 2015년즈음에는 계급갈등이 주요문제로 대두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2단계론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진보적인 민족주의노선과 계급문제가 같이 결합된 것이며, 소수의 힘의 세력화가 아니라 다수의 힘의 세력화를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SACP는 현재 흑인 소자본가들과고 동맹을 하고 있으며, 이들도 ANC에 가입되어 있다고 한다.


현재 남아프리카가 당면한 문제에 대해서 SACP가 보기엔 가난, 실업, 기술의 부재, 에이즈, 땅소유의 문제라고 한다. 가난과 실업에 대한 해결은 정부로 하여금 정책을 만들어나가도록 강요하는 것이 주된 일이라고 한다. 즉, 가난과 실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financial sector campaign"을 만들어서 은행이 노동자들의 이해를 증진할 수 있도록 강요한다는 것이다. 또한 ”social grants"를 만들어 가난을 제거하고 사회를 발전시키기위한 기금을 마련하며, “black economy empowerment"정책을 써서 소수의 몇사람이 경제를 소유하고 있는 체계에서 다수의 가난한 흑인과 여성이 경제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현재의 시기를 사회주의로 향하는 이행기의 시대로 보면서, 정부의 지지에 의해서 가난한 사람들의 협력을 만들어 나가는 체계를 만들어 나가면서 바로 사회주의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SACP에서 중심적인 이슈로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는 ”반사유화 (anti_privatisation)“정책이다. 기술의 부족에 대해서는 "국가산업정책(national industrial policy)"를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기술투자정책이다. 땅소유가 현재도 소수 백인에게 집중되어 있는 것이 남아프리카의 문제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SACP는 ”land and agrarian transformation"을 주장한다. 이는 2015년까지 땅의 50%이상이 원래의 생산자들, 즉 농민과 노동자들에게 돌아가야 된다는 것이다. SACP는 향후 10년이 지나면 민족문제가 주요이슈가 되는 것이 아니라, 계급문제가 주요문제도 대두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남아프리카의 3자연합행로가 맞는것인가?


남아프리카의 3자연합행로에 대한 문제제기를 보자.. 유럽의 한 단체(workers' fight)는 남아프리카 ANC정부의 “민족주의 정책”의 허상에 대해서 이렇게 지적하고 있다. 남아프리카에서 10년동안 “사회주의”대신 가난의 증대, 사회적 불평등의 증대, 에이즈의 범유행이 된 상황이 마치 인종차별(Racial Apartheism)은 사라졌으나, 사회적 차별(Social Apartheism)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만델라의 “black empowerment"나 Mbeki (Thabo Mbeki, 1999년 대통령으로 당선됨)의 ”African Renaissance1)“는 백인 제국주의 자본주의자들과 흑인 자본자들에게 유리하게 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Mbeki는 현재 빈민집단에게 ”인종차별의 유산“을 사용하여 주거와 모든 물질적인 결핍을 감내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Mbeki정부가 빈민집단에게 가져온 것은 40%이상의 실업률과 20%이상의 에이즈증가이다. 특히 최근 선거에서 ANC와 NNP(the old nationalist party with new clothes)의 ”협동지배전략“은 SACP와 COSATU를 위축시키고 있다. SACP는 ANC와의 연합에 의해서 광범위해지진 했으나, ANC로부터 독자적인 지지자들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이제 SACP는 ANC정부의 정책이 실패했음을 느끼면서, SACP는 노동자와 도시와 농촌의 빈민들을 대상으로 조직해 나갈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COSATU도 높은 실업률과 불안정노동자의 증대로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ANC가 COSATU와 연합을 할지, 아니면 NNP와 결합을 공고히 해 나갈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 유럽의 한 단체(workers' fight)에 의하면, ANC와 SACP의 정책은 이미 흑인 중산층을 일으켜 세우고, 제국주의와 긴밀한 연계를 갖는 민족주의적 한계를 갖는 것이며, 이는 제국주의를 인식하자마자 끝장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노동자계급은 1980년대와 같이 노동자계급을 중심으로 빈민과의 연대하여 빼앗긴 장을 다시 회복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노동자계급과 빈민들의 계급적 이해를 담당하는 노동자계급의 독자적인 당을 만들어 ”중산계급의 거짓 진보주의“에 항거하여 나가야 하며, 20년동안 잊혀졌던 노동자계급의 투쟁을 부활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아프리카소감:

남아프리카는 아름다운 나라였습니다. 전쟁과 가난으로만 찌든 아프리카는 아니었습니다. 물론 백인의 인종차별 (arpatheid policy)정책이 흑인말살정책으로 몇백년을 흘러온 가슴아픈 역사만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아프리카에서는 정말 크게 웃지도 못했습니다. 가슴아픈것이 너무나 많더군요... 수백년을 지속되어온 인종차별, 10년의 민주주의는 흑인들에게 생명의 물을 준것이라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흑인과 백인의 전선을 긋는 민족주의속에서 이제막 자본주의의 문턱에 들어섰으나 누가 빈곤과 가난의 근원인지 아직 안가는 사회, 민중들이 원했을까요 실업과 에이즈를?40%가 넘는 실업률과 20%가 넘는 에이즈를 어떻게 감당을 할 수 있을까요?


이런 것들이 너무나도 가슴아프게 했습니다... 흑인여성들은 정말 아름다왔습니다. 저는 흑인여성들이 그렇게 아름다운줄 몰랐었습니다. 영국에서 제가 본 흑인여성과 남성들은 영국 본토에 와서 제일 천한 노동을 하면서 주름살 패이고 웃지못하는 사람들이었거든요... 제가 아프리카 본토에서 본 흑인들은 모두 아름답더군요..


저는 이 아름다운 사람들이 빨리 발전하고, 빨리 커서 아프리카에서 제대로 한번 살아보는 것을 보는게 제 꿈이 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소감 간단히:

제가 가장 행복했던 것은 아프리카의 해변이었습니다. 이른 새벽 5시에 껌껌할 적에 해변을 뛰고 있을 때, 흑인 아저씨들이 고기잡는 어망을 거두어들이는 것을 보았습니다. 매일 수평선에서 해가 떠오르는 것을 보면서 뛰는 것이 저의 행복이었습니다..저희가 오기 바로 다음날 마라톤대회가 열린다고 하여 고민을 많이 했었습니다 (마라톤을 참가해볼까 하고요..)^^ 그러나... 아무래도 돌아올수 밖에 없었습니다.... 한국에서 해야할 일들이 너무나 많아서요.... 그것을 해결해야될 것 같아서 돌아왔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1) Mbeki (1999)정부는 NEPAD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를 세우면서 아프리카 전역의 가난한 나라들에서 “Global apartheid"에 대항하기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실제 남아프리카와 제국주의 자본과의 연합에 불과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항상 잊지못하는 사진하나-1998년 용산역앞 노숙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