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솔직히 두렵다

이 글은 지금 나의 심경을 솔직히  적는 글이자 (김디온 블로거의 표현처럼) 일종의 '마음의 준비'를 위한 글이다.

 

나는 다음주 화요일, 9월 12일로 예정되어 있는 평택 대추리 빈집철거를 저지하기 위해 내일(모레가 될지 모르겠다) 대추리로 들어가기로 결심했다.

 

결심을 위해서 많은 망설임과 주저함의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나를 망설이게 하고 주저하게 만든 이유는 바로 두려움이었다. 연행 후 구속될 확률은 낮기 때문에 연행되는 것은 그렇게 두렵지 않지만, 경찰의 폭력은 두렵다. 경찰의 날 선 방패에 찍혀 얼굴이 찢어져나가거나 코뼈가 내려앉거나, 실명이 될까봐 두렵다. 머리를 가격당해서 뇌에 손상을 입을까도 두렵다.

 

나는 올해 중반까지 회사에 다녔기때문에 상반기의 치열했던 평택싸움에 함께하지 못했다. 친구들의 면회를 다니며 간접적으로 경험했다. 5월 4일 대추분교가 무너지던 날, 인터넷을 통해서 사진을 보며, 영상을 보며, 한겨레21 기사를 보는 마음은 여러 다양한 생각들을 동시에 들게 만든다. 피범벅이 되어 부축받고 나오는 사람의 사진을 보며, 새까만 경찰들과 대추분교 2층 창문에 매달려 있는 시위대를 보며, 무너지는 대추분교를 보며 나는 아래와 같은 생각들이 들었다.

 

국가(경찰)폭력에 대한 공포

국가(경찰)폭력에 대한 분노

내가 지금 그곳에 있지 못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

내가 지금 그곳에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다행스러움

바로 위의 생각이 드는 나 자신에 대한 자기 멸시

그곳에 있는 친구들에 대한 걱정

 

위와 같은 생각들은 나를 괴롭혔다.

 

 

 

말하기 쪽팔리는 경험들로부터 나는 두려움으로 인해 그 상황을 피하게 되면 당장은 위기를 모면하게 되지만, 위기가 사라진 그 직후부터 내 스스로가 나에게 가하는 "넌 겁쟁이~" 라는 목소리와 계속되는 자학이 훨씬 더 견디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신체에 대한 상처와 고통은 순간적이지만(비가역적 부상이 되지 않기를...), 내가 나에게 가하는 심리적인 자학은 훨씬 더 오랫동안 나를 괴롭히고 스스로를 부정하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5월에는 회사를 다니기때문에 시간이 안된다는 물리적인 조건이 자학적 목소리로부터 나를 보호하는 어느정도 방어막 역할을 하였지만, 지금은 그것으로부터 나를 보호해줄 어떠한 방어막도 없다. 정말 들어가 힘을 보태고 싶지만, 재판이 진행 중이라든가 다른 시급한 일정이 있어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나에게는 그 어쩔 수 없는 조건이 현재 없는 것이다. 즉, 이번에 안들어가면 내 내면의 자학적 목소리에 완전히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막상 들어가서 경찰폭력과 맞딱뜨렸을때 의연하게 대처할 자신은 없지만, 그럴 수 있기를 바랄뿐이다. 그 순간 나 스스로의 기준에 만족하지 못할 행동을 하게 된다면 또다시 두고두고 스스로를 괴롭힐 것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 결심이 바람직한지 모르겠다. 정신과 상담이 필요한 것일까? 모르겠다. 어쨋든 한번뿐인 인생, 두려움으로부터 계속 도망만 다니며 살고 싶진 않다.

 

나는 지금까지 대추리에 두번 가봤다. 작년 7월 처음 가봤고, 올해 5월 두번째로 갔다. 처음갔을때는 대추분교에서 집회를 했고, 두번째 갔을때는 대추분교는 없었다. 처음 갔을때는 들녘에 농작물들이 있었고, 두번째 같을때는 들녘에 철조망과 해자가 있었다. 두번 모두 주민들은 일상도 평화도 빼앗기고 없었다. 이제는 집을 빼앗아 가려 하고 있다. 

 

내일 혹은 모레 들어가게 되면 주민들과 지킴이들이 있을 것이다. 그들도 각자의 방식으로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을 것이다.  집을 꼭 지켰으면 좋겠다. 하지만, 어쩌면, 어쩌면, 싸움은 지고 집은 흘리워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기권할 것이냐? 3회에 쓰러질 것이냐? 7회까지 버틸 것이냐? 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고, 그것은 이어지는 싸움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나의 결심과 행동이 평화와 생존권에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