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후크선장도 피터펜증후군환자

http://blog.naver.com/wkwn3/20035575246
 
보통 어른이 되어서도 어른이 되지 않고 싶어하는 심리를 피터팬 증후군이라합니다.

그런데 후크선장도 피터펜증후군이라네요.

제임스m베리가 이 책을 쓴 것도 자신의 가정환경을 모델로 했다는 군요.

어릴적(6세)에 형이 죽자 형(당시 13세)을 매우 사랑 했던 어머니가 그만 우울증에 걸려 불우한 시기를 보내기 시작했고 어머니의 사랑을 더 받고자 했던 베리는 형으로 살 수 밖에 없었다고 하네요. 그래서 모든 여자는 애인이 아니라 어머니여야 했고 자신은 늘 어린이여야 했다고 합니다. 베리는 커서 이 증세가 치유되지 않아 결혼도 실패하였다고 하더군요.

우리가 어린 시절 즐겁게만 보았던 희망의 땅 네버랜드를 꿈꾸며 보았던 피터펜에 이런 슬픈 가족사가 있었답니다.

아래 자세한 설명은 퍼왔습니다.

 

피터팬증후군 -症候群 Peter Pan syndrome

 

성년이 되어도 사회에 적응할 수 없는 남성들이 나타내는 심리적 증후군. 약칭 PPS. 피터팬신드롬이라고도 한다. J.M. 배리의 동화극 《피터팬》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남성들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이 나타내는 마음의 증후군을 임상심리학자 D. 카알리가 피터팬증후군이라 하였다.

 

성년이 되어도 사회에 적응할 수 없는 남성들이 나타내는 심리적 증후군. 약칭 PPS. 피터팬신드롬이라고도 한다.

피터펜신드롬의 용어는 J.M. 배리의 동화극 《피터팬》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남성들이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이 나타내는 마음의 증후군을 임상심리학자 D. 카알리가 피터팬증후군이라 하였다.

 

PPS는 국민학생에서 중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전사춘기부터 청년기에 이르는 각 발달단계에 따라 기본증상을 7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어려서는 자신감 결여로 책임있는 행동을 싫어하는 데서 시작하여, 30대 사회인이 되어서는 무기력증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며 자신에게도 싫증을 내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피터팬증후군이 나타나는 사회적 배경으로는 가정의 불안정, 학교교육 및 가정교육의 기능 저하, 페미니즘 정착으로 인한 여성들의 자립 등을 원인으로 들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