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경직성 마비’를 넘어, 혼자 서서 걸을 수 있다는 것!(2007.11.30.)

‘경직성 마비’를 넘어, 혼자 서서 걸을 수 있다는 것!

 

 

지금은 다시 기억하기도 끔찍하지만, 꼭 4년 반전에 아내가 교통사고로 척추신경을 다치고, 몇 차례 고비를 넘기면서 재활치료를 통해 조금씩 걷기 시작했을 때, ‘경직’과 ‘통증’이라는 새로운(?)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었다.

경추 3번과 4번 신경이 손상을 입었지만, 그나마 다행히 신경이 전부 끊기지 않아 완전 전신마비는 모면할 수 있었고, “걸을 수 있다”는 실날같은 희망을 가지고 재활 치료를 받는 중에 맞닿게 된 ‘도전’인 셈이었다.

사실 배설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즉 똥오줌을 스스로 가눌 수 없는 ‘완전마비’가 아니라는 점만으로도 위안을 삼고 있었는데, 힘겨운 물리치료의 결과로 근력이 생기고 신경이 조금씩 살아나면서, 근력과 함께 ‘경직’이, 신경이 살아난 만큼의 ‘통증’이 동반된 것이다.

 

당시 재활 치료과정에서 알았지만, 마비에는 ‘경직성 마비’와 ‘이완성 마비’가 있었다.

‘경직성 마비’는 불필요하게 신경이 극도로 긴장하면서 온 몸이 뻣뻣하게 되는 것이고, ‘이완성 마비’는 몸이 외부의 어떤 자극에도 반응하지 못한 채 축 늘어져 버리는 것이었다.

아내는 ‘경직성 마비’였다.

조그만 자극에도 신경이 뻗쳤고, 사지 전체에 팽팽하게 긴장된 힘이 들어갔다.

그리고 그 경직만큼 통증이 수반됐다.

손상으로 흐트러진 신경은 온갖 알 수 없고 가눌 수 없는 통증을 뇌로 전달했다.

그 때마다 아내는 ‘경직’과 ‘통증’의 고통을 호소했다.

스스로 통제할 수도 없앨 수도 없다는 점에 절망하기도 했다.

 

그런데 초기 재활치료 과정에서는 이완성 마비에 비해 경직성 마비가 빨리 걸을 수 있었다.

그래서 주변에서는 ‘경직’으로 걷는 것은 보지 못하고, 잘 서고 잘 걷는다고 부러워하기도 했다.

다행히 경험이 풍부한 물리치료사는 이 점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통증’에 대해서는 “통증은 신경이 살아있다는 것”이라 위안해 주면서, “경직으로 서는 것이 아니라, 무릎과 허리를 굽히고 무게 중심을 앞으로 옮기면서 그 탄력으로 서는 훈련을 해야 한다”면서, ‘경직’으로 서는 것에 안주하지 않도록 물리치료를 했다.

지팡이나 기구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 서서 걸을 수 있을 즈음에, 물리치료사는 “지금 몸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다. ‘안정’된 것과 ‘고정’된 것은 다르다. 몸통이 움직이면서 안정돼야 제대로 걸을 수 있다”고, ‘고정’된 몸과 ‘안정’된 몸의 차이를 설명해 주었다.

양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몸통’을 움직이면서 안정돼야 제대로 걸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끝은 아니었다.

“혼자 걸으려면 위급한 상황에서 혼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병원은 온실이고, 바깥세상은 현장이기 때문이다.”

4년 반이 지난 지금, 아내는 아직도 양 손에 힘을 빼지 못하고 있고, 몸통이 자유롭지 못하며, 위급한 상황에서 혼자 대처할 수 없어서, 혼자 서서 걷기는 하지만 ‘제대로’ 걷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모든 사람이 갓난아기 시절에 이미 마친 걷기 학습을 아내는 지금 ‘의식적’으로 훈련하고 있다.

제대로 걷기 위해.

4년 전 6개월간의 재활치료를 마치고 병실을 나설 때 물리치료사가 했던 마지막 이야기가 아직도 귓전에 남아있다.

 

“경직은 감소되는 것이 아니라 감추는 것이다. 경직을 다스리는 법을 알아야 한다.”

 

“언젠가 한번은 넘어질 것이다. 그 때 어떻게 순간적으로 대처하느냐가 혼자 걸을 수 있는지에 관건이다.”

 

2007.11.30.

관악산 남쪽 기슭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쓰러진 고추나무는 일으켜 세우지 말라!(2003.08.19)

쓰러진 고추나무는 일으켜 세우지 말라!

 

몇 달 전 개인 사정으로 농가주택으로 이사 온 뒤, 계속 눈에 거슬렸던 것이 텃밭에 심어져 있던 고추였다.

좋은 종자로 심었다는 고추가 집주인의 관리 소홀로 쓰러져 방치되고 있었고, 농사에는 애초부터 무지랭이인 나는 집을 나가고 들어오면서 안타까운 마음으로 쓰러진 고추를 바라만 보고 있었다.

더 이상 바라만 보지 않고 쓰러진 고추나무를 일으켜 세워야겠다고 어줍지 않은 마음을 먹게 된 것은 쓰러진 고추들이 막 썩기 시작할 때에서야 였다.

 

고추나무 세우기

 

쇠막대기를 땅에 박고 비닐끈으로 쓰러진 고추들을 묶어 세우면서 내가 놀란(?) 것은 고추나무가 너무 좋은 종자여서 풍성하고 실하게 열린 고추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서 쓰러졌다는 점이었다.

이웃집 농부들이 고추나무가 어느 정도 자라면 ‘때’를 놓치지 않고 지지대를 받쳐 준 이유를 조금은 알 것 같았다.

그런데 내가 놀란 이유는 ‘때’를 놓쳤다는 점 때문이 아니었다.

고추나무가 자신도 감당할 수 없는 정도의 열매를 맺어, 결국 사람이 지지대를 받쳐 주지 않으면 자신이 맺은 열매의 무게마저 견디지 못하고 쓰러져 썩을 수밖에 없다는 점 때문이었다.

무릇 이것은 ‘자연’의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니다.

더 많은 수확을 원하는 사람들에 의한 종자 ‘개량’의 결과였다.

이 ‘개량’된 고추나무는 주인을 잘못 만나 다 자라기도 전에 쓰러져 썩게 됐지만, 주인을 잘 만나 ‘때’를 맞춰 풍성하게 수확된 고추들의 운명은 어떨 것인가?

다 팔려서 소비되지 않으면 그대로 밭에서 썩거나 창고에서 썩을 것이니, 결국 고추의 운명은 ‘자연의 때’만이 아니라 ‘시장의 때’와도 궁합이 맞아야 온전하게 자신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자, 고추나무 하나 세우면서 드는 괜한 상념에 마음이 씁쓰레 해졌다.

 

밭 여섯 이랑이 보기에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둘이서 한나절을 끙끙대야 간신히 쓰러진 고추나무를 세울 수 있었다.

‘때’를 놓쳐 아쉬웠지만, “남은 고추라도 건질 수 있겠지”하는 조금은 흡족한 마음으로 밭두렁에 주저앉아 매판장에서 사온 막걸리로 목을 축이는데, 마침 곁을 지나가던 뒷집 통장 아저씨 왈(曰),

 

“쓰러진 고추는 일으켜 세우는 것이 아니여, 뿌리가 흔들려 바람이 들어가면 고추가 다 죽어. 괜한 일들을 했구먼.”

 

조급한 기대와 설레임

 

이날 이후, 나는 집을 드나들 때마다 어설픈 마음으로 세운 고추나무들이 하나씩 둘씩 누렇게 시들어 가고, 붉게 익다가 병이 들어 썩은 채 무게를 감당 못하는 시든 나무에 메달린 고추를 하염없이 바라보아야만 했다.

이러길 보름가량 지났을까?

여름 장마가 끝나가자 고추밭을 하루 빨리 뒤집어엎어 김장 배추와 무우를 뿌려야 한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금씩 긴장되고 흥분되어 갔다.

누렇게 시들어 빠진 고추나무를 뽑아내고, 밭이랑을 뒤집어엎어 고른 다음, 거기에 새로 김장 배추와 무우 묘종을 심을 생각을 하니 한편으로는 속이 후련해지는 듯했고, 또 한편으로는 새로운 기대와 셀레임이 가볍게 일렁거리기 시작했다.

시들어 빠진 고추나무와 붉게 익다말고 썩어가는 고추는 더 이상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밭을 뒤짚어 엎고, 새로운 묘종을 심는다”는 생각만으로도 마음은 벌써 내년 봄에 파릇파릇 솟아날 배추와 무우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었다.

이런 기대와 설레임으로 자랑삼아 장모님한테 이야기했는데, 정색을 하며 장모님 왈(曰),

 

“고추를 버리지 말고 일일이 다 따야 혀, 얼마나 좋은 고추인데. 썩은 부분만 도려내면 돼.”

 

2003.08.19.

세곡마을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5일간 베를린 묵언기행(黙言紀行)

25일간 베를린 묵언기행(黙言紀行)

 

몸이 불편했지만 발도로프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마지막 연수과정을 포기할 수 없다는 아내의 간청(?)을 받아들여, 보호자 자격으로 연수생 일행과 함께 동베를린에 도착한 것은 1월 21일경이었다.

 

출발 이전부터 이미 각오하고 예상도 했지만, 독일어라고는 한마디도 할 수가 없어 25일간 눈만 부릅뜨고 입은 꾹 다문 묵언기행(黙言紀行)이 시작됐다. 간혹 통역자로 함께 간 동갑나기 이(李) 선생에게 궁금한 것을 물어보는 것 외에는 돌아다니며 직접 보고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처음에는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서 멀리 가는 것조차 두려워, 아내가 교육을 받고 있는 낮 시간 동안 숙소와 학교가 있던 동베를린의 중심가인 알렉산더프라츠(광장) 근처만 걸어서 돌아다니곤 했다.

 

독일어를 모르니 궁금한 것을 누구에게 물어 볼 수 없고, 책이나 자료도 읽을 수 없어, 그냥 발 가는대로 돌아다니면서 가벼운 눈요기만 하던 어느 날, 낯선 거리와 광장 이름이 눈에 들어왔다. ‘로자 룩셈부르크 스트라셰(거리)’, ‘칼 리히프크네히트 스트라셰’, 그리고 ‘마르크스엥겔스 광장’이었다. 처음에는 눈을 의심했다. 아니 자본주의체제로 흡수 통일된 지 벌써 15년이나 지났는데, 어떻게 과거 동독 시절의 거리 이름이 그것도 자본주의체제를 혁명을 통해 타도하려고 했던 사회주의 사상가와 지도자의 이름을 딴 거리 이름이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는가?

 

만약 한반도에서 북한이 남한 자본주의체제로 흡수통일된다면 ‘김일성 광장’, ‘김정일 거리’ 등등의 이름이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을까? 이미 내전을 통해 분단된 체제에서 태어나 숨막히는 반공 반북의 메카시즘적 제도와 문화 속에서 47년간 살아 온 남한의 한 활동가가 상상할 수 있는 것은 겨우 이런 정도였다. ‘동서독의 분단체제는 남북간의 6.25.와 같은 대량살육의 내전을 겪지 않아, 서로에 대한 증오와 적대가 그리 크지 않았던가 보구나.’ 아니 ‘과거 마르크스의 혁명이론이 소련의 도덕교과서로 박제화됐던 것처럼, 로자 룩셈부르크나 칼 리히프크네히트의 사상과 실천도 그 생생한 혁명성이 거세되어 아스팔트 거리 이름으로 박제화되어 버린 것은 아닐까?’

 

그러나 머릿속을 맴도는 이런 저런 상념과 궁금증에 대해, 베를린에서 유학 중인 한 후배의 답변은 나의 알량한 상상과 추측을 여지없이 깨뜨려 버리는 것이었다. “독일인은 칼 마르크스나 로자 룩셈부르크를 사회주의 혁명가가 아니라 동서독 분단 이전의 ‘독일인’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거리 이름과 광장 이름을 그대로 남겨둔 것이다. 과거 동독에 있던 구소련의 잔재들은 이미 대부분 정리했다.”

 

독일 민족이 위대하다고 해야 하나, 아니면 독일이 지배계급이 무섭다고 해야 하나? 25일간의 묵언기행(黙言紀行) 동안, 겨울 내내 검은 구름에 가려 햇빛이라고는 거의 볼 수 없는 베를린의 날씨처럼, 무겁고 어두운 상념만이 머릿속을 짓눌렀다. 아내를 학교까지 데려다주느라 매일 지나쳤던 로자 룩셈부르크 거리에도 다른 거리와 마찬가지로 개똥들이 이리저리 뒹글고, 마르크스엥겔스 광장 주변의 건물도 다른 건물들처럼 온통 뜻 모르는 낙서만으로 가득 차 있었다. 되돌아보니 단지 독일어만 몰라서 25일간 묵언(黙言)했던 것은 아니었나 보다.

 

2004.0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