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8/12/02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12/02
    Commune In, Comin 창간호(2)
    꼬민/Comin
  2. 2008/12/02
    [창간호8면] 누구를 위한 교육, 무엇을 위한 시험?
    꼬민/Comin

Commune In, Comin 창간호

[창간호8면] 누구를 위한 교육, 무엇을 위한 시험?

http://smallaction.tistory.com

또 한 번의 수능시험이 지났다. 시험을 치르는 당사자들에게 수능은 괴로운 과정이지만, 정작 사회는 그들의 고통에 아랑곳없이 수능을 통과의례쯤으로 이야기하며 그 선을 넘으면 축하해주자고 얘기한다. 그래서 수능시험은 수험생들에게 일종의 축제가 된다. 그 축제가 진행되는 동안, 신문에는 스치듯 올해도 성적을 비관해 자살한 학생이 있다는 기사가 실릴 것이다. 수험생들은 누구를 위해 공부했고, 무엇을 달성했기에 격려와 위로를 받는 것일까. 수능 때문에 고통 받는 데에도, 수능을 마치고 조금은 홀가분해지는 데에도 학생들은 주체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를 위해서 공부를 하고, 시험을 치르고, 합격선을 넘는다고 여긴다. 하지만 조금만 깊이 들여다봐도, 자신의 미래는 공부나 시험과 직결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것을 획득해야만 한다는 사실이 명확하다.
따라서 수험생들의 공부는 그 가치가 그대로 실현되는 과정이 아니다. 수능시험은 학생이 스스로 원서를 제출해야 하므로, 원하지 않는 학생은 얼마든지 시험을 치르지 않아도 된다. 이 땅의 학생들에게는 학교․사회가 시키는 공부를 하지 않을 자유가 있다. 공부하지 않으면 이 사회에서 배제될 자유. 그 학생들에게 시험을 강제하고, 또 시험을 잘 마쳤다고 격려하는 것은 재주 부리면 살코기 한 점을 더 던져주는 조련사의 태도와 얼마나 다를까?


고등학교 시절, 패닉을 좋아했다. 답답한 현실을 공감하는 가사들이 참 좋았다. 그런데 해마다 이적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수험생 응원글을 올린다. 그 글에 많이 실망해서, 요샌 이적의 노래를 듣지 않는다. ‘조금만 견디면 돼. 힘들겠지만 이건 원래 견뎌야 하는 거야.’ - 수험생을 응원한다는 것은 이런 뜻이다. 견뎌야 하는 것 자체에 어떠한 질문도 허락하지 않고, 무조건 그 아귀다툼에 학생을 몰아넣는 학교․선생들에 비해 이적의 메시지는 그 고통을 공감해주니 참 따뜻하다. 하지만 결국 같은 결론이다. 넌 그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는. 교육에 대한 인도적인 접근은 이런 한계를 가진다. 비인간적인 학교나 교육환경 자체의 현상적인 조건들에 시선을 고정시켜, 그 이상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는다.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고통에 귀 기울이고 사랑으로 감싸는 교육현장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더욱 열심히 수능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수능시험의 목표는 누군가를 탈락시키는 것이다. 수험생들은 자신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 대학교 입학자격을 획득해야 하지만, 그 표는 한정되어 있다. 그것도 등급이 또박또박 나뉘어서. 내가 한 등수 올라가면 누군가는 한 등수 내려가야 한다. 내가 한 등급 높은 표를 얻을 때, 다른 누군가는 그 표를 놓치게 된다. 이런 시험을 찬양하고 격려하는 사람들은, 그 경쟁을 견디지 못하고 자기 삶을 내놓은 이들을 직접 죽음으로 내몬 것이다.
애초 자기가 원하는 미래를 위해 그 미래와는 동떨어진 것을 획득하도록 강요받아 따른 사람들이, 그 순간을 넘겼다고 자기가 원하는 가치를 실현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끊임없이 지금 원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을 통해 자기 삶을 메우려 하게 된다. 중고등학교의 교육과 수능시험은 현실에서 추구하고픈 가치를 미래로 유예하는 법(다른 말로 옮기자면, 현실에 체념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배우는 것이 그 자신의 필요에 의한 것이길 바란다. 사회적 소통과 활동을 하기 위해서이든, 자신의 지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이든, 배우는 것은 지금 당장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이 사회적 성원으로 참여하는 자격조건으로 작용하여 포함과 배제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 배제가 존재하는 사회에서는 수능시험이 보여주듯, 그 배제에 포함되지 않기 위해 무엇인가를 유예해야 하게 된다. 그 유예는 결국 그 사회를 그대로 유지하길 바라는 이들에게 이득이 될 뿐이다.


교육이 그 자체로 자기실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시험은 자신의 이해정도를 점검하고, 이해를 늘리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그 시험은 강제가 되지 않아야 하고, 그 시험의 결과는 서열화되어서는 안된다. 등수의 고저로 그 사람의 성취도가 평가될 수는 없다. 또한 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면, 굳이 등수가 필요하지 않다. 등수를 매기는 것은 교육 외적인 잣대를 도입하여 배움을 그 잣대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다른 잣대가 필요한 것은 배움 그 자체를 목적을 삼지 않고, 교육을 다른 떡밥(학벌? 성공? 돈? 기타 등등)을 위한 도구로 삼기 때문이다. 교과서는 목적과 수단이 전도되어서는 안 된다고 얘기했지만, 교육현실은 모든 게 전도되어 있다.
교육은 기회의 평등이 아닌 결과의 평등이어야 한다. 또한 그 교육과정 내적인 기준에 달성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여야 하고, 따라서 시험은 성취도를 평가하되 P/F로만 매겨져야 한다. F는 결코 낙오가 아니라, P의 기준이 되는 점까지 자신의 학업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하나의 지침일 뿐이다.
사회적 존재로서 생활하기 위해 교육을 시키는 거라면, 그 결과의 평등이 하향평준화라 할지라도, 한 사람의 열외자도 없도록 해야 한다. 이 나라 모든 학생의 교육수준을 어떻게 획일화시킬 수 있느냐는 질문을 하고 싶다면, 많은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지 않은 교육과정을 사회에서 배제당하지 않기 위해 따라야 한다는 현실부터 지적해야 한다. 고등학교․대학교가 다른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발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것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육의 줄 세우기를 깨트리기 위해서는 모든 학교를 평준화시키고, 그 배움의 기회를 ‘평등’하게 해야 한다. ‘기회의 평등’은 인정하지만 ‘결과의 평등’은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이야기는 ‘기회의 평등’을 부정하는 언술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입시철폐, 대학평준화를 외친다. 그리고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 ‘요구’한다. 알량한 인도주의는 집어치우라고. 수험생들을 진정으로 걱정하겠다면, 수능을 견디라고 주문할 게 아니라 이 땅의 교육을 바꾸기 위해 행동하라고. 그렇지 못한다면 당신은 아래 유서를 남긴 학생들을 죽인 공범이다.
1986년 자살한 중학생의 유서
너무나 모순이다, 모순. 세상은 경쟁! 경쟁! 공부! 공부! 아니 대학! 대학! 순수한 공부를 위해서 하는 공부가 아닌, 멋들어진 사각모를 위해, 잘나지도 않은 졸업장이라는 쪽지 하나 타서 고개 들고 다니려고 하는 공부.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 난 그 성적순위라는 올가미에 들어가 그 속에서 허위적거리며 살아가는 삶에 경멸을 느낀다.
난 사람도 아닌가? 내 친구들은 뭐, 다 못난 거야? 그리고 왜 약한 사람을 괴롭혀? 돈! 돈! 그게 뭐야. 그게 뭔데 왜 그렇게 인간을 괴롭히는 거야.



1989년 자살한 고등학생의 유서
저는 지금 막 교실을 뛰쳐 나왔습니다. 선생님의 목소리가 지옥에서 부르는 소리 같았습니다. 그러나 친구들은 묵묵히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답답했습니다. 이 친구들은 감정도 없는 사람 같고 다 똑같아 보입니다. 전혀 개성이 없어 보입니다. 이 친구들을 이렇게 만들어 버린 어른들이 밉습니다.


1989년 자살한 중학생의 유서
공부할 자신이 없어 부모님을 행복하게 해드릴 수 없습니다. 공부가 인생의 전부입니까? 저희는 쓸모없는 2차 방정식 값을 구하기 위해 진정으로 필요한 부모님과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을 잃었습니다.
공부 못하는 저 같은 사람들은 모두 죽어야 합니까? 저희들은 새장 속에 갇혀 있는 새가 아닙니다. 이젠 하늘 높이 날고 싶습니다.


2007년 자살한 중학생의 유서
인권선언, 미국의 독립선언, 또 뭐있더라. 천부인권설... 음. 더 기억이 안나네.. 내무식이 들어나나봐,ㅎㅎ 아무튼 저런 것을 보면서 난 생각했었어.,
인간은 항상 자유를 추구하는구나.. 나도 자유로운 사람이되야지. 라고 생각했었어.
근데 현실은 너무달라. 상상 이상으로 너무달라.
공부힘들어서 자살하는 사람들.. 다 남이야기 같았어. 하지만 아니야.
공부공부공부공부. 좁디좁은교실에 선풍기4대히터2대. 40명이 넘는 아이들.. 같은곳에서 각기 다른재능을지닌 아이들이 오직 한가지만 배우고 있었어. “대학가는법”. 슬펐어.


2007년 자살한 고등학생의 일기
바보같은 나는 공부하는 목적이 오직 시험보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깨닳은건 얼마 되지 않았다. 그 전까진 공부한 것을 확인해보기 위한 수단으로 시험이란게 존재한다고 믿었다. 그런데 그게 아닌것 같다. '공부를 위한 시험' 이 아니라 ‘시험을 위한 공부’를 우리가 하고 있잖아. 선생님들은 시험에 나오는 것만 가르쳐주시고 시험에 나오지 않는 건 배울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학교에선 시험을 빼면 아무런 의미 없는 교육을 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