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ne Percent at State U

The One Percent at State U

New report finds that student debt and low-wage faculty labor are rising faster at state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paid presidents.

One Percent State Universities Report CoverState universities have come under increasing criticism for excessive executive pay, soaring student debt, and low-wage faculty labor. In the public debate, these issues are often treated separately. Our study examines what happened to student debt and faculty labor at the 25 public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 executive pay (hereafter "the top 25") from fall 2005 to summer 2012 (FY 2006 – FY 2012). Our findings suggest these issues are closely related and should be addressed together in the future.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executive pay at "the top 25" (see Appendix 2) has risen dramatically to far exceed pre-crisis levels. From fall 2005 to fall 2011, low-wage faculty labor and student debt at these institutions rose faster than national averages. In short, a top-heavy, "1% recovery" occurred at major state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largely at the expense of faculty and students.

Key Findings:

  • The student debt crisis is worse at state schools with the highest-paid presidents. The sharpest rise in student debt at the top 25 occurred when executive compensation soared the highest.
     
  • As students went deeper in debt, administrative spending outstripped scholarship spending by more than 2 to 1 at state schools with the highest-paid presidents.
     
  • At state schools with the highest-paid presidents, part-time adjunct faculty increased 22 percent faster than the national average at all universities.
     
  • At state schools with the highest-paid presidents, permanent faculty declined dramatically as a percentage of all faculty. By fall 2009, part-time and contingent faculty at the top 25 outnumbered permanent faculty for the first time.
     
  • Average executive pay at the top 25 rose to nearly $1 million by 2012 — increasing more than twice as fast as the national average at public research universities.

 

Infographic of Key Findings:

One Percent State Universities Infographic

simple guide to the numbers behind "The One Percent at State U [PDF].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6/17 10:17 2014/06/17 10:17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44

댓글을 달아 주세요

Starbucks offers college tuition but graduates might still be baristas

Company's program will reimburse employees for their education, but the job market is unforgiving even to graduates

• Retail, service and hospitality jobs: hard work but 'no shame'
• Loan debt hits new high as millennials live on 'poverty-wage'

US Money starbucks college
Starbucks hopes to provide its employees with access to higher education. Photograph: Lewis Stickley/PA Archive/Press Association Ima

Just as rising college debt is becoming a national issue, Starbucks CEO Howard Schultz announced an initiative to encourage employees to get a degree – but there's no guarantee it will work.

As part of its new "college achievement plan", Starbucks will offer full tuition reimbursement for its employees who get accepted to Arizona State University as juniors or seniors to work towards completion of their degrees. Those employees – or "partners" as they referred to at Starbucks – who get accepted as freshmen or sophomores will receive partial scholarships and need-based financial aid. In order to qualify employees must work 20 or more hours a week. According to Schultz, majority of the company's employees will be eligible.

The new initiative replaces an existing tuition program that offered eligible workers $1,000 a year to study at City University of Seattle or Strayer University.

Since 2011, when the program was first set up, the company paid out $6.5m. Under the new program, Starbucks employees will be able to complete their degrees by taking online classes at Arizona State University. While online education has been gaining in popularity in the US over the past few years, the majority of college students still prefer a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 which they feel is more conducive to learning.

In announcing the move, Schultz directed a barbed comment at congressional inaction on student-loan reform and rising college costs. Senate Republicans last week blocked a bill that would have allowed refinancing of student loan debt.

"We are employing over 100,000 young people in America and the majority of them do not have a college education. We can't be a bystander and we can't wait for Washington," said Schultz, adding that less than 50% of US college students complete their degrees. He estimates the benefit to about $30,000 an employee.

Political statements are nothing new for Schultz. In the past, he has been known to take a stand on issues like the minimum wage, as well asbudget and debt ceiling negotiations

Having previously championed higher minimum wages, he recently took some heat for opposing Seattle's minimum wage increase to $15, which he said might lead to job losses. The company also came under scrutiny in 2011, when a groups of Harvard students and union membersprotested Schultz's lecture at Harvard Business School. Just months later, Starbucks employees belonging to the IWW Starbucks Workers Union picketed number of Starbucks locations for its treatment of Chilean Starbucks workers. (In the UK, the company has been in trouble for tax avoidance.)

Schultz said in the announcement that the free-tuition plan continues the company's mission of building a Starbucks with a conscience. The cliche of the barista or fast-food gig as a dead-end job is one that hangs over many US businesses. Starbucks does not want to be one of them.

Is it true that [we]'re going to give a college education and [we]'re going to pay for it, and the Starbucks partner could leave with the education and not owe the company any money? And the answer is yes! That's true. You can leave."

For many Americans, however, whether employed by Starbucks or currently working at another low-wage job, there is nowhere else to go. While Starbuck's efforts to help its employees gain access to higher education is admirable, higher education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a better job or economic independence.

In fact, last year more than quarter of a million college graduates were working minimum wage jobs.

Many jobs currently available to college graduates actually have no need for expensive higher education. For example, in 2010, half of college graduates ended up taking jobs that required less than a bachelor degree, according to the Center for College Affordability and Productivity. Another 38% didn’t even need a high school diploma.

In the broader economy, a college degree is a good indicator that you won't find yourself unemployed. Yet recent college graduates are still struggling to find jobs that will capitalize on their education – and pay a wage worthy of it. The current employment rate for those 20 to 24 year olds is 63.9%,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Labor.

Many of those college graduates who are employed are working low-wage jobs. In December 2013, the underemployment rate for college graduates was 18.3%, compared to 9.9% in 2007. In 2012, about 284,000 college graduates were working at or below the minimum wage,according to Bureau of Labor Statistics. That’s 70% higher than 10 years ago in 2002. In 2013, that number dropped to 260,000 college graduates.

US Money starbucks college money
It's likely that number of Starbucks employees already have college degree or are currently in school. Photograph: Adrian Dennis/AFP/Getty Images

“Poverty-wage workers are also more likely to be young; while workers age 18–25 made up only 15.5% of the total workforce in 2011, they constituted 35.5% of poverty-wage workers,” states an Economic Policy Institute report on low-wage workers

"The people working [at Starbucks] were around my age or a little bit older than me, 23 or 24," Ng Ju San, who worked at Starbucks while going to college earning about $8 an hour, told the Guardian earlier this year.

A college degree might no longer be a way out of low-wage job, but it is a way into debt.

On average, college graduates leave school with $30,000 in student debt. Those working low-wage jobs barely make enough to make ends meet before even accounting for their monthly student loan repayments.

Last week, President Obama announced that he was extending Pay As You Earn program to include an additional five million Americans, enabling them to cap their monthly repayments on their federal student loans at 10% of their after-tax income. The initiative, however, does little to help with the issue at the heart of the problem: the high tuition costs.

Student debt won't be something weighing down Starbucks employees, as the company will cover tuition at Arizona State University.

Partnering with Starbucks might help ASU gain a new wave of junior and senior students who complete their degrees and thus improve the university's graduation rate. And the lure of free tuition might be enough to convince Starbucks employees currently studying at other institutions to at least consider transferring credits to ASU and finishing degrees there.

Over the past few years, Arizona State University has put emphasis on increasing its retention. From fall 2002 to fall 2010, the freshmen retention increased by 9.5% to 84%, according to the university's 2012 annual report. Additionally, the school's six-year graduation rate for freshmen entering in 2004 reached 58.7% and the four-year graduation increased to 37% after number of initiatives were put in place. The university's graduation goal is 70% to 75%, according to a presentationon its efforts to increasing student retention.

Whether the students will meet their goals of landing a job other than a barista, however, remains to be see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6/17 10:04 2014/06/17 10:04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43

댓글을 달아 주세요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Share This Page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Top Stories

This article and others like it are part of our new subscription.
Learn More »

Student loans, along with mortgages and car loans, have become one of the three largest sources of credit, exceeding credit-card debt. This growth in student debt appears to have caught regulators unprepared. Compared with mortgages, auto loans and credit cards, student loans are loosely regulated, and that regulatory weakness is particularly threatening to consumers because they can’t discharge their debts through bankruptcy and escape lenders who are causing them harm.

Borrowers — and the economy at large — are suffering as a result. Every borrower in default has a damaged credit record, which increases the cost of buying a home or car and can result in lost job opportunities. Many landlords won’t rent to someone with a bad credit record.

The parallels with the mortgage crisis are striking. In both cases, the companies managing the loans have been slow to devise loan forgiveness plans for borrowers who run into trouble, hurting both the borrowers and the broader economy. In both cases, it often isn’t clear who even owns the underlying loans, further slowing efforts to restructure them.

Photo
 
President Obama speaking this week before signing a memorandum about reducing the burden of student loan debt. CreditJacquelyn Martin/Associated Press

I’ll start with the first of these problems: that so few distressed borrowers are getting help. You may remember HAMP — or the Home Affordable Modification Program — which began in 2009 to allow borrowers struggling with their mortgages to remain in their homes. HAMP relied on mortgage servicers to restructure the loans, and the results were extremely disappointing. The goal was for four million borrowers to enroll in HAMP, but in the program’s initial year only half a million homeowners had their loans successfully modified. As of March 2014, the total was 1.3 million.

Fast-forward five years, and the same dynamic is at work. Federal overseers are pressing student-loan servicers to restructure repayment plans, so that borrowers can avoid default. Lenders are dragging their feet, and the number of borrowers in more forgiving repayment plans is much lower than the number of borrowers in distress and default. The Consumer Finance Protection Bureau has documented that in many cases loan servicers are unresponsive to borrowers who want to restructure their payments. Paperwork is lost, resulting in missed deadlines and missed opportunities for relief. Again, we see that it is risky to rely on lenders to carry out a task that would clearly benefit borrowers.

This is unsurprising. Student loan servicers have little incentive to prevent borrowers from defaulting, because the servicers either don’t own the underlying loans or, if they do, face few costs if a borrower defaults. Restructuring a borrower’s payments and preventing default requires effort, and the beneficiary of this effort is the government and the student — not the servicer.

The problem is particularly obvious in the Direct Loan program, in which the federal government owns the student loans and pays servicers a fee to interact with borrowers. Here we have a classic “principal-agent” problem, with the agent (the servicers) having little incentive to act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principal (the federal government). Carefully written contracts are required to make such relationships work well; an entire field of economics, mechanism design, is devoted to studying these contracts. If the principal can’t get the incentives right, in some cases she should just do the job herself. In this case, that would mean the federal government collecting payments on the loans it makes. Taxpayers would most likely come out better in that situation.

In another echo of the mortgage crisis, “robo-signing” is making a comeback, this time in student loans. Robo-signing refers to a practice in which bank employees signed blizzards of documents selling mortgages to another investor without properly verifying who actually owned them. This impeded the restructuring of distressed mortgages, since no one was sure who had the legal standing to alter a loan’s terms. Student loans, like mortgages, are traded in a secondary credit market. Robo-signing is cropping up in these trades, with staff members signing off on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a huge number of student loans in a single trade. The National Consumer Law Center has documented that this has created difficulty for borrowers in distress trying to restructure their loans.

Consumer protec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student loans, because borrowers have few ways to escape an unhelpful servicer. Borrowers don’t choose their servicers; they are assigned by the owner of the loan, whether that’s the federal government or a private bank.

Even bankruptcy doesn’t sever the tie between a borrower and a lender, since student loans survive bankruptcy. Legally, federal student loans have long been presumed to do so. Since 2005, even private loans (which, unlike federal loans, typically require a co-signer) are presumed to survive bankruptcy. Student lenders and servicers therefore have a captive customer.

Most students can repay their loans without running into major problems. But the number who do struggle is significant, and the struggles can come to dominate their financial lives. As with mortgages, credit cards and auto loans, students loans keep our economy ticking. They make it possible for millions of students to invest in education. But when they don’t work well, they create major problems for borrowers and for the economy at larg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6/17 09:51 2014/06/17 09:51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42

댓글을 달아 주세요

Asia: Does university R&D really create economic growth?

Unesco report suggests that institutions’ research ‘does not yield large financial payoffs’

 

Silhouette of man in front of computer monitor

SOURCE: GETTY

‘Correlation is not causation’: the Unesco report questions any link between research spend and income level

A United Nations report on Asian higher education has questioned the widely held belief among policymakers that investment in university research leads to economic growth.

The study, which looked at Malaysia and Thailand in particular, found that in those countries “very little” research could be commercialised, and even when it is, it “does not yield large financial payoffs”.

The report also suggests that the two nations may be spending on research largely to push themselves up world university rankings, which would mean that research has only “symbolic” value.

These findings, from Higher Education in Asia: Expanding Out, Expanding Up, published last month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suggest that the huge sums some Asian nations are investing in research through universities might produce more growth if spent elsewhere.

China is known for spending significant sums on research. A report last year from the UK innovation charity NestaChina’s Absorptive State: Research, Innovation and the Prospects for UK-China Collaboration, put the nation’s total R&D spend across universities and business at 1 trillion RMB (£95.7 billion) in 2012.

Separately, Unesco says that in 2011, 7.9 per cent of China’s R&D spending was channelled through universities.

But beyond China,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funnel a greater share of their total R&D spending through universities, rather than businesses, government or non-profit organisations (see box, below).

“Many governments see universities as centres of research that will yield positive economic returns to the country,” Unesco says.

Although there is a “clear relation” between how much a country spends on R&D and its income level, “correlation is not causation”, it points out.

In 2011, South Korea spent more than 4 per cent of its gross domestic product on R&D, whereas India, which is much poorer, invested only 0.81 per cent, statistics in the report show. China invested 1.84 per cent, a figure that has nearly doubled since 2001.

But such differences do “not tell us if research leads to higher income levels, or if higher income levels allow for more research to be carried out”, Unesco says.

Poorer countries tend to catch up with richer ones by imitating technologies discovered elsewhere rather than engaging in “independent R&D and innovation”, it adds.

The report also distinguishes between R&D spending by businesses “which will have a clear positive impact on productivity and hence economic growth in a country” and research carried out at universities, about which it is much more lukewarm.

Universities are often subject to “unfavourable tax laws” and have “limited access to capital”, which reduces the economic return to research, it says.

“It is not clear, then, that university-based research necessarily leads to the economic payoffs that governments expect,” the report concludes.

But it does point out that investment in research can lead to higher-quality university education and so improve a country’s “human capital”.

The report also found that in Malaysia and Thailand, university managers were trying to increase their research output in order to climb up international university rankings.

Moving up the rankings would show that the country had a strong education system and so attract international investment, they believed. “Hence, the value of university-based research is symbolic,” Unesco says.

David Palfreyman, director of the Oxford Centre for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said that the report’s arguments were significant as it was “usually assumed and asserted that research (with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exploitation as technology transfer) is the key contribution of higher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Although the debate about the impact of university spending was a live one among economists, “economic growth may have much more to do with rule of law and labour market flexibility than anything from ever-more higher education funding”, he suggested, but added that this was unlikely to be admitted by universities themselves.

david.matthews@tsleducation.com

R&D in universities

Percentage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 sp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2011, or most recent data available)  
Hong Kong (2010) 52.2
Iran (2008) 33.3
Malaysia 28.9
Singapore (2010) 28.8
Pakistan 25.3
Thailand (2009) 24.9
Philippines (2007) 23.3
Japan (2010) 12.9
South Korea (2010) 10.8
China 7.9
India (2007) 4.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6/11 09:29 2014/06/11 09:29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41

댓글을 달아 주세요

Ⅰ. 문제제기

― 올 상반기 ‘반값 등록금’ 이슈는 기존 등록금 투쟁과 다른 몇 가지 특징을 지님. 등록금 문제가 대학의 담장을 넘어 여의도와 청와대에까지 공명을 불러일으킨 점, 내년과 후년 선거일정을 앞두고 보편적 복지담론의 일환으로 반값 등록금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점,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함으로써 실현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등에서 이전의 ‘등투’와는 질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

― 과거와 다르게 등록금 문제가 대중들의 공분을 사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절대 금액 자체도 높아졌지만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 회수가 불가능해졌기 때문. 과거엔 등록금 인하를 외쳐도 ‘나중에 졸업해서 좋은 직장가면 돈 많이 벌텐데’하는 대중적 감정이 있었다면, 이제는 그게 불가능해짐에 따라 불만이 확산됨.

― 하지만 열심히 계산기를 두드려 등록금을 반으로 낮춘 후, 그 다음에 대한 시나리오가 없다는 점은 치명적 한계임. 현재 대학이 해결해야 할 근본적 문제는 등록금 인하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어떤 대학을 필요로 하는지, 우리는 대학을 통해 무엇을 이루려 하는지에 대한 질문임. 대략 10년 전으로 시계를 되돌려 등록금이 반으로 내려가고 취직도 쉬워지면 조용히 촛불을 끄고 다시 학교로 돌아갈 셈인가. 등록금 인하는 문제의 해법이 아닌 지연일 뿐임.

― 등록금 문제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이 필요함. 등록금 문제는 대학이 안고 있는 태생적 한계와 모순이 하나의 양상으로 드러난 것임. 대학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직면하여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하고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하는 행위를 ‘기업화’라 거칠게 정의한다면 최근 전반적인 대학의 행위는 대부분 기업화로 설명이 가능함. 학생(학부모)을 소비자로 규정하고 비용을 부담지우는 것(등록금 인상), 비정규 교직원이 대학의 행정과 교육을 책임지는 것, 직접 상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 연구성과를 특허로 출원하여 대학이 독점적으로 소유하는 것, 커리큘럼이나 학문단위를 기업의 수요에 따라 바꾸는 것 등.

― 교육과 연구를 통해 지식을 전수하고 생산하는 대학이 기업화된다는 의미는 우리 사회에서 지식생산 체제의 변화를 의미함. 이는 대학의 사명과 역할이 새롭게 규정되고 있다는 의미이며 그에 따라 교육에 대한 권리와 지식에 대한 권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임.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짐.

― 이제까지 등투를 돌이켜보면 우리가 낸 돈이 얼마인지, 어떻게 쓰이는지, 합리적인 가격은 얼마인지는 계산을 해냈지만 정작 대학엔 왜 왔고, 뭘 배우는지 하는 물음을 던질 기회를 갖지 못함. 대학은 무엇을 하는 곳인지, 고등교육의 편익은 누구에게 돌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빠져있기 때문에 현재 반값 등록금 논란은 비용을 누가 얼마나 부담할 것인지를 넘어 대학의 정원은 얼마가 적정한지, 대학의 목표는 어디에 둬야 하는지를 둘러싸고 여러 논의가 난무함. 거꾸로 고등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은 무엇이고 고등교육에 대한 권리를 어떻게 보장할 것인지 대한 성찰이 있은 후에야 그 비용은 얼마나 들고, 어떻게 부담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가능함.

― 대학의 위상 찾기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대학이 초중등교육에 대해 갖는 규정력 때문임. 초중등교육이 고유의 목표를 잃어버린 채 오직 고등교육 진학을 위한 준비 단계로 종속되어 자율성과 생명력을 잃어버림. 따라서 대학의 위상 찾기는 초중등교육의 제 역할 찾아주기 이기도 함.

 

Ⅱ. 분석의 틀

― 하버드 대학 총장을 역임한 데렉 복은 대학의 상업화를 “경제적 이익을 위해 대학에서 이뤄낸 산물(교육, 연구, 스포츠)을 판매하려는 노력”이라 정의함. 하지만 이 정의는 엄밀하지 못하여 누가, 어떤 동기에 의해서,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 슬로터와 로즈는 대학이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직면하여 자신이 보유한 지적재산을 적극적으로 상업화하려는 노력을 ‘학문 자본주의(academic capitalism)’라 칭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자금(보조금, 연구 계약금, 기부금, 기업과 파트너십, 수업료 등)을 확보하기 위한 대학과 교수의 시장 행위”를 의미함. 이러한 시장 행위에는 특허뿐만 아니라 저작권, 상표권도 포함되며, 학부와 대학원을 통틀어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행위를 모두 가리킴.

― 지식이 원료이자 그 자체로 상품이 되는 이 시대(지식경제, 정보화시대)에 지식을 생산하는 대학은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 대학은 점차 새로운 경제에 통합됨. 학문 자본주의 논의는 대학, 교수, 직원, 학생을 지식경제와 연계시키는 연결망에 초점을 두고 분석함. 이 연결망에는 새로운 지식생산․유통 회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매개하는 조직 등장, 대학과 기업, 국가를 매개하는 조직 출현, 대학의 경영능력 확대, 새로운 마케팅 행위가 포함됨. 이러한 메커니즘과 행위들이 학문 자본주의적 지식/교육 체제를 구성하며, 이전의 공공재적 지식/교육 체제를 대체하는 중.

― 학문 자본주의적 지식/교육 체제는 지식은 곧 사유재이며 시장에서 얼마나 이윤을 생산하느냐에 따라 가치가 매겨짐. 지식을 누구나 접근가능한 공공 영역에 두어 모두가 골고루 이익을 누리게끔 하지 않고, 대신 지재권을 통해 배타적으로 소유하여 그로부터 이윤을 추구함. 이제 과학활동과 상업적 활동을 구분하기가 어려움. 과학연구 그 자체에 상업적 잠재력이 내재되어 있음. 기업이 대학에 기대하는 것은 응용․개발 연구가 아니라 상업적 가능성이 있을지도 모르는 기초과학 연구에 접근하기 위해서 산학협력계약을 맺는 것임.

― 흔히 대학 기업화를 비판할 때 빠지기 쉬운 함정은 마치 예전에는 대학이 기업의 가치로부터 자유로운 고고한 상아탑이었다고 암묵적으로 가정함. 하지만 대학은 그 기원부터 교회, 국가, 기업과 관계를 맺어오면서 형성, 발전해온 역사적 산물임. 고고한 상아탑은 하나의 이상(理想)이었을 뿐. 그렇다면 최근의 변화(기업화)는 대학과 기업(그리고 국가)의 관계가 이전과 다르게 변화한 것으로 봐야함. 대학과 기업 간의 전통적인 경계가 무너지고 새롭게 다시 그려지고 있는 중임. 그 경계짓기를 포착해야 함.

 

Ⅲ. 변화의 동인

1. 신자유주의 세계화

― 197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 담론으로 자리잡은 신자유주의는 전후(戰後) 성립된 노동-자본 간의 타협을 깨뜨리고 부와 권력을 다시 탈환하려하는 자본의 반격. 신자유주의의 본질은 부와 소득의 창출이 아니라 재분배, 즉 탈취에 의한 축적. 이는 자본주의가 등장하던 시기 ‘시초 축적’ 관행의 재등장을 의미함. 토지의 상품화와 사유화, 공적 자산의 배타적 사유재산권으로 전환, 자산(자연 자원)의 전유를 위한 신식민지화, (섹스 산업을 위한)인신매매 등이 포함됨.

― 신자유주의가 대학(연구)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탈산업화와 신경제(지식경제) 등장,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을 통한 탈중심적인 통제, 원료로서 지식의 중요성 부상, 기업 구조조정과 R&D 외주화, 국가의 과학 지원․관리기능 철회, 국가의 고등교육 지원 철회.

― 그러나 신자유주의의 이론적 일관성은 없음. 내적 모순 존재. 실제 적용은 국가별, 지역별로 상이하게 드러남.

 

2. 한국의 조건과 대응

― 한국 자본주의는 1970년대 후반 들어 중화학공업의 과잉투자로 국내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었고 여기에 석유위기로 수출이 둔화되어 경기침체를 겪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80년부터 시작된 신자유주의 축적 전환은 1990년대에 본격화. 김영삼 정부는 공공부문 민영화, 민간 부문 탈규제화, 고용․해고의 자유화, 유연노동시장․임금 도입 등의 신자유주의 개혁을 단행. 87년 이후 지속된 자본의 이윤율 저하는 97년 경제위기로 귀결됨.

― 김대중 정부는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자본시장을 대폭 개방하고 4대 부문 구조조정을 감행하는 신자유주의 개혁을 추진. 금융과 기업을 구조조정하여 해외로 도피한 자본을 다시 유인하려는 것이 바로 신자유주의 개혁. 자본시장을 대폭 개방하자 투기성 외국인투자가 급증. 이들이 국내 자산을 헐값에 인수한 뒤 막대한 이윤을 남기고 떠나자 국내 외국인투자가 급격히 하락. 이에 정부는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외국 기업에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사의 노력을 경주. 2003년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고 외국인 기업에 세금 감면, 환경․노동 규제 면제, 보조금 지원 등의 혜택을 줌. 또한 노무현 정부는 출범 이후 ‘개방형 통상국가’, ‘동북아 경제중심 건설’을 국정 목표로 설정하고 ‘포괄적’이고 ‘동시다발적’인 투자협정(FTA)를 추진.

― 하지만 경제위기 이후에도 내수부진은 지속되고 이것이 기업투자에도 악영향을 미쳐 경기침체가 다시 나타나는 악순환이 지속되었고, 성장을 위해서는 더욱 더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봉착. 한국은 97년 경제위기 이후에도 지난 10년 간의 구조적 위기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음.

― 삼성경제연구소, 전경련 등 자본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신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조함. 정부도 새로운 발전모델을 모색할 필요성을 절감. 과학기술이 곧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신화에 바탕. 90년대 미국에서 일었던 반짝 IT호황에 기대어 이를 모방하려 함. 기존에 자본과 노동을 투자하는 모델에서 기술혁신에 기반한 발전모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함.

― 김대중 정부는 취임 직후 “정보화를 국가경쟁력 강화의 기반으로”, “과학기술강국 건설”, “21세기 신산업의 메카로” 등의 비전을 제시. 노무현 정부는 과학기술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과학기술중심사회 구현을 목표로 하는 국가 과학기술계획 수립. 과학기술의 중요성은 과거 정부에서도 계속 강조되어왔으나 과학기술의 육성 자체가 국정 지표로 선정된 것은 정부 수립 이후 처음.

― 이에 따라 연구개발 인력의 상당수가 몰려있는 대학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함. 대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란 아예 없다시피 할 정도로 대학교육의 비용은 그로부터 수익을 얻는 개인이 부담하거나 설립자가 부담한다는 원칙 하에 대학의 팽창을 방조하고 정원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 

― 대학에 대한 일반지원금은 별다른 변화가 없지만 연구개발 투자는 2000년 들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함. 이는 2004년에 설립된 산학협력단의 회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국가의 연구개발비가 산학협력단 회계로 계상되면서 산학협력단 회계의 국고보조금 항목이 대폭 증가함. 

― 이처럼 국가가 적극적으로 대학(연구개발)에 지원하는 현상은 미국을 비롯한 중심부 국가와 현격히 다른 양상을 보임. 특히 미국에서는 신자유주의의 영향 아래 연방정부가 대학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자 대학이 새로운 자금원을 모색하기 위해 대학이 적극적으로 상업화 노력을 기울였음. 또한 전통적으로 고등교육이 무상이던 유럽에서도 수업료를 물리는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반발과 저항도 거세지고 있음.

― 이는 동아시아 발전국가로서 한국이 갖는 특징임.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조정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끌어왔던 한국은 대학을 학문연구기관이라기보다는 산업발전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는 양성소로 인식해왔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하는 목적도 경제발전이 주 목적임. 국가의 연구개발투자를 경제사회목적별로 세분해보면, 한국은 2008년 현재 경제발전을 목적으로 한 투자 비중이 49.9%로 미국(11.0%), 일본(30.5%), 독일(21.7%) 등 외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이처럼 국가가 대학의 연구개발 기능에 대해 새롭게 눈을 뜨고 이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를 한 반면 고등교육 일반에 대한 지원은 늘리지 않았고, 자율과 경쟁을 내세워 각 대학으로 하여금 ‘알아서 돈을 벌라’는 이데올로기를 강요함.

― 지난 1995년 “5․31교육개혁안”은 다양화, 자율, 소비자주권 등의 슬로건을 내세워 기존의 권위주의적 대학체제의 개혁의 필요성을 신자유주의적 개혁으로 정당화함. 이후 대학설립준칙주의, 대학정원 자율화, 국립대학 민영화, 총장 직선제 폐지, 교수 계약제, 등록금 자율화, 교육시장 개방, 대학평가 등이 도입됨. 고등교육을 자본주의적 경쟁체제로 전환하려는 시도.

 

Ⅳ. 학문 자본주의 지식체제 등장

1. 교육과 연구의 상품화

― 대학에서 생산된 연구성과를 특허로 출원함. 특허에 대한 소유권은 대학(산학협력단)이 보유하고 그로부터 생기는 이득은 발명자(교수)와 학교가 나눔. <표 3>에서 보듯 2000년 이후 대학이 출원한 특허 건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함. 기술분야별로 보면 특히 IT, BT 분야에서 특허가 증가했으며, 점유율을 보면 특허 출원 상위 10개 대학이 전체 대학특허 출원의 50%를 차지함. 즉 소수 대학이 특정 분야에 주력하여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앞서 살펴봤듯이 정부의 적극적인 연구개발비 지원 덕분이었으며, 대학이 지적재산을 관리하도록 하는 법적․행정적 제도가 마련되었기 때문. 2003년에 개정된 산업교육진흥법에 따라 대학의 산학협력 업무를 관장하는 조직으로 법인 형태의 ‘산학협력단’을 설립할 수 있게 되었고 산학협력단은 산학협력계약의 체결․이행, 산학협력사업과 관련한 회계의 관리, 지적재산권의 취득․관리에 관한 업무, 기술 이전․사업화 촉진 등의 업무를 담당함.

― 2008년 현재 이공계 학과가 설치된 144개 대학 가운데 지재권 관리 규정을 보유한 대학은 112개(78%)이며, 직무발명 보상규정을 보유한 대학은 104개(72%), ‘국내특허출원’을 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대학은 50개(35%), ‘국내특허등록’을 반영하는 대학은 127개(88%)로 나타남.

― 대학이 기술을 소유하면 이를 가지고 주식회사를 차려 기술을 직접 판매함. ‘기술지주회사’는 산학협력단이 자본금의 50% 이상을 기술로만 출자해 설립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외부 투자자를 끌어들임. 지주회사는 산하에 자회사를 두고 기술만으로 지분 확보. 2010년 현재 13개 대학이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했고 이 지주회사가 설립한 자회사는 33개. 교수는 자신이 발명한 기술을 가지고 직접 창업주가 되거나 회사의 지분을 보유함. 기술지주회사는 여기에 투자한 지분만큼 배당금을 얻음. 이 기업이 증시에 상장되거나 다른 기업에 인수되면 그만큼 자본수익이 발생.

― 온라인 교육을 통한 졸업장 장사. 2001년 9개의 사이버대학이 출범한 이후 2011년 현재 18개 대학에 입학정원이 3만명. 사이버대학은 최소한의 기준으로 대학을 설립․운영할 수 있어 쉽게 학생들을 모집하여 돈을 벌 수 있는 기회. 학사관리가 엉망이거나 기설기준이 미흡한 학교도 더러 있으며, 전문 브로커를 통해 학생을 모집하다가 적발된 사례도 있음.

― 학교기업을 통한 상품 판매. 90여개 대학에서 100여개 학교기업 설치․운영. 교비회계에서 학교기업의 수입을 충당하는 학교기업은 대부분 적자를 면치 못함. 그러자 정부는 소재지 제한을 완화하고 사업종목도 확대.

― 학교 로고나 마스코트 등을 상표등록하고, 이것이 새겨진 상품을 판매. 정작 그 소비자는 학생.

― 학생들을 한 명이라도 더 모집하기 위해 상당한 마케팅 비용을 지출하고 대학의 외양을 꾸미는데 노력을 기울임. 대학의 광고만 보면 전국에 취업률 1위가 아닌 대학 없고, 모든 수업은 호수를 옆에 낀 잔디밭에서 교수와 둥그렇게 둘러앉아 진행됨. 등록금은 대학을 선전하는데 활용되는 번드르르한 건물을 올리는데 사용되고 교육을 위한 지원에는 쓰이지 않음. 또한 이른바 상위권 대학은 복잡한 입시제도를 통해 지불능력이 높은 학생들을 독점함. 이 학생들은 졸업할 때까지 밀리지 않고 비싼 등록금을 지불하며 졸업 후에도 기부금을 낼 확률이 높음.

 

2. 구조조정과 탈규제화

― 양적 축소와 학문단위 재편. 노무현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대학구조개혁사업은 과잉 팽창된 사립대는 놔두고 국립대만 정원을 축소(통폐합)하는 결과를 낳음. 법, 경영, 치의약학 전문대학원 설립인가를 앞두고 다른 분야 정원을 빼돌려 채우는 일이 공공연히 벌어짐. 반면 철학과, 유럽어문학과가 주로 폐지되고 있는 추세.

― 국공립대 법인화. 국립대(서울대) 법인화는 서울대의 특권적 지위를 해체하려는 개혁안(국립대 통합네트워크)에 대한 기득권층의 반격. 국가 혹은 이사회가 ‘지원은 하되 간섭은 않는’ 외국의 경험과 달리 국립대 법인화는 ‘지원은 않되 간섭은 하는’ 구조. 법인화는 학문 자본주의의 최첨단 실험장이 될 것임.

― 사학 청산. 정부가 반값 등록금을 빌미로 부실사학 퇴출을 들고 나오는 이유는 설립자에게 출연재산을 돌려주기 위한 명분 쌓기. 학교를 운영하기 위해 재단을 설립하고 개인 재산을 출연하는 순간부터 더 이상 설립자 개인의 재산이 아님. 학교재산을 마치 개인의 것인 양 마음대로 주물러 쓰다가 학교문을 닫는 설립자한테 재산을 돌려주기는커녕 처벌을 해야 함. 마찬가지로 재정구조도 건전하지 못한 대학에 설립인가를 내준 정부한테도 책임을 물어야 함.

― 이참에 영리법인도 사학을 운영하게끔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다시 제기됨.

 

3. 비용절감

― 외부로부터 수입구조가 불확실할 때 가장 확실하고 손쉬운 방법이 바로 등록금 인상.

― 대학 내 비정규 노동력 대폭 증가. 학부 강의는 사실상 시간강사들이 전담하고 있으며, 학교 행정, 시설관리 등의 업무는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된 비정규 노동력이 담당함.

― 학내 주요 시설(매점, 식당, 서점, 편의점 등)을 외부에 임대하여 관리비용을 줄이고 대신 학생들의 이용부담이 늘어남. 또한 외부 자본을 유치하여 기숙사를 설립․운영함. 기업은 건물을 지어주는 대신 투자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이용료를 높게 책정함.

 

Ⅴ. 결론

― 대학이 경제에 통합되는 새로운 지식회로가 만들어짐. 시장에서 상품성이 대학의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며 이는 곧 기업의 영향력이 커졌음을 의미. 또한 교수는 강의나 논문발표뿐만 아니라 특허출원에 활발하게 참여함. 이는 점차 공적 재원이 사적 영역으로 흘러들어감을 의미함. 대학의 연구개발비가 전적으로 정부의 지원, 즉 국민의 세금에 의해서 지원되는데 이처럼 공적 성격이 강한 연구개발의 성과를 대학과 연구자가 독점적 성격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그로부터 경제적 수익도 가져감.

― 대학은 시장이 열어놓은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산학협력단이라는 매개 조직을 설립하여 기업과 밀접한 협력관계를 맺음. 만일 영리형 사립대학이 허용된다면 이야말로 대학과 기업을 연결하는 매개 조직의 역할을 수행함. 이러한 매개 조직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를 활발히 침투하며 그 경계를 재설정함. 과거엔 기업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던 곳에 대학이 침투하여 자신의 영역으로 포섭하고 있음.

― 새로운 지식회로, 매개 조직의 등장 덕분에 외부 자원을 관리하고, 첨단 분야 연구에 투자하고, 학생들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대학의 경영 능력이 확대됨. 대학 행정가들은 마치 시장성 있는 기술을 뽑아내는 벤처자본가 같은 역할을 수행함. 이들은 연구성과의 상업성을 평가하고, 지재권을 관리하고, 법적 분쟁을 마다하지 않음. 또한 CEO형 총장의 기금모금 능력이 중요하게 부각됨.

― 이렇게 볼 때 한국에서도 학문 자본주의적 지식/교육 체제가 등장하였음. 그러나 이것이 곧 대학의 사영화(privatization)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대학은 여전히 비영리 조직의 지위를 포기하지 않고 그 혜택을 누리면서 시장에 활발히 참여함. 공적 영역을 재정의함.

― 학문 자본주의적 지식/교육 체제의 등장은 교육과 지식에 대한 권리의 축소를 의미함. 연구 의제 설정에서 사적 이익이 공적 이익을 대체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유용한 지식이 생산될 가능성은 희박해짐. 또한 지식은 배타적으로 소유됨으로써 널리 공유되지 못함. 누구나 접근가능하지 않음. 특정 학문 분야에 자원이 쏠리면서 보편적인 지식의 습득이 불가능함. 지불능력에 따라 대학교육의 기회가 주어짐으로써 최소한의 기회균등조차 보장되지 않음. 정의(justice)의 문제.

― 학생은 교육에 대한 권리의 주체가 아니라 소비자로 규정되어 대학은 자신을 매력적인 상품으로 포장하여 지불능력이 있는 학생들을 끌어들이려함. 학생이 일단 대학에 입학하고 나면 마케팅과 판매의 대상으로 전락함. 이들한테 뽑아내는 등록금 수입은 폭발적으로 증가함. 이전에는 싼값에 혹은 무상으로 제공되던 서비스(주차, 체육시설, 여가시설, 식당, 기숙사 등)에 가격을 매기거나 올림. 졸업할 즈음이면 기업이 필요로 하는 노동력으로 포장.

― 내가 낸 등록금을 올바로 쓰라거나 인적 자본에 투자한 만큼 노동시장에서 보상해달라는 요구는 소비자로서 자기 규정을 강화하는 결과. ‘대학 나왔으니 그에 합당한 일자리를 달라’는 요구는 허구적인 노동분업을 재생산. 일자리는 대졸여부와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주어야 함.

― 현재와 같은 대학 현실에서 정부 보조를 통해 등록금을 낮추는 것은 학생에게 비용을 전가해온 대학에 면죄부를 주는 것이며, 학문 자본주의적 지식생산 체제가 찍어낸 지식과 대학졸업장은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결코 유익하지 않음. 여기에 왜 세금이 투여되어야 하는가.

―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유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 대안적 에너지, 생태적 삶, 이주노동자, 빈곤층 등에 대한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함. 이렇게 생산된 연구결과는 사유지에 가둬놓을 것이 아니라 널리 확산되고 이용되도록 보장해야 함.

― 고등교육은 자신이 처한 현실을 역사 속에서 비판적으로 생각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존재의 변화를 이끄는 것. ‘비판적 저항의 궁극의 장소’. 이러한 고등교육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고, 받아야 함. 고등교육을 사적인 치부나 권력획득의 수단으로 전용하지 않도록 하여 고등교육의 편익을 사회 전체적으로 누리게 해야 함. 따라서 그 비용도 개인이 아닌 사회적으로 부담해야 함.

 

<참고문헌>

Philip Mirowski. 2011. Science-Mart. Harvard Univ Press. 
Slaughter, S. and L. Leslie. 1997. Academic Capitalism: Politics, Policies, and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 Press.
Slaughter, S. and G. Rhoades. 2004. Academic Capitalism and the New Economy: Markets,  State, and Higher Education. Johns Hopkins Univ. Press.
제라르 뒤메닐, 도미니크 레비. 이강국 외 역. 2006. <자본의 반격>. 필맥.
데이비드 하비. 최병두 역. 2009. <신자유주의>. 한울.
장상환, 2006, "1990년대 자본축적과 국가의 역할", 정성진 외, <한국 자본주의의 축적체제 변화: 1987-2003>, 한울.
윤소영, 2001, <이윤율의 경제학과 신자유주의 비판>, 공감.
김창근, 2007, "한미FTA: 미국 제국주의와 한국 재벌의 연합", 정성진 외, <한국 자본주의의 재생산구조 변화: 1987-2003>, 한울.
성지은, 2006, "과학기술정책 결정구조의 변화: 참여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4(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9, <200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배태섭. 2010. "대학 특허 출원 증가의 구조적 요인". 2010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연구재단, 2009, <2008 대학산학협력백서>.

데렉 복, 김홍덕 역. 2005, <파우스트의 거래>, 성균관대 출판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3/03 16:17 2014/03/03 16:17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40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승욱, 김은산 <애완의 시대>

- 20대 중후반에서 30대 초반인 이른바 에코 세대에게 가장 흔한 심리적 난감함은 ... 특히 젊은 남성에게서 엿볼 수 있는 두드러진 특징은, 삶의 중요한 가능성조차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을 해본 뒤 끝내버린다는 것이다. 그들은 과정을 겪어냄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험의 가치를 도외시하는 것 같다. 오로지 결과를 염두에 둘 뿐이다. 

- 시뮬레이션에 갇힌 이들의 세계는 실수나 예외를 가능한 배제한다. 예상 가능한 결론 그리고 인풋과 아웃풋이 명확하게 드러난 대차대조표에 의해 움직인다.  ... 그들 앞에는 '부모 산성'이 버티고 있다. 부모 산성은 남만큼 그들을 누리게 하려 했고, 남만큼 가지게 하려 했고, 남에게 기죽지 않게 하겠다며 그들을 한껏 치켜세웠지만, 한편으로는 그들을 철저히 옥죄었다. ... 가장 큰 문제는 그들이 자기 인생을 시작조차 못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20대는 그럴 기회조차 박탈되어버린 이들이 부모가 만들어놓은 틀에 안주하려 들기에 안타깝다.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결정권을 갖지 못한 채 삶을 유예하도록 강요받는 20대는 삶을 시뮬레이션할 뿐 시작은 못하고 있다.

- 대리인의 삶은 주인의 뜻을 거스르지 않고, 주인의 의지대로 고분고분하게 말 잘 듣는 애완견과 다르지 않가. 애완견은 나이는 먹지만 성장하지 않는다. 애완견은 보살핌은 받지만 존엄의 대상은 아니다. 그들은 정서적인 지체와 정신적인 미숙함의 문제를 제대로 성찰해보지 못한 채 미성숙한 어른으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들의 부모처럼. 

- 이른바 에코 세대 여성을 통해 엿볼 수 있는 베이비부머 어머니의 중요한 심리는 보상받고자 하는 욕구다. 이들은 자신이 살아오며 받은 정서적, 경제적 피해를 만회하기 위해 누군가 자신에게 보상해주길 바란다. 문제는 자신이 받은 차별의 경험이나 고통을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과 같은 여성인 딸에게 보상받으려 한다는 것이다. ... '유리 멘탈'을 가진 서른 즈음의 여성은 꽤 선병질적이고, 특히 같은 여성인 어머니와의 관계를 두려워하고 버거워한다. 어머지는 정서적, 경제적으로 종속적이다 싶을 정도로 딸에게 의존하지만, 실제로 딸은 사랑받는다고 한 번도 제대로 느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 베이비붐 세대, 전후에 태어나 컥고살기 위해 아등바등 살아온 세대. 그렇게 아등바등 살아왔기에 대한민국이 이 정도라도 살게 되었다고 그들은 생각한다. 부모의 생계활동을 위해 조부모나 친척 집으로 보내져 인생의 초기를 보내야 했던 수많은 50대. 전후의 피폐함과 혼란 속에서 불안한 유년을 보낸 이들은 부모가 되어 자기 자식만 생각하는, 좋게 말해 희생적인 그러나 먹고사는 일과 제 자식을 키우기 위해서는 윤리나 공공 가치는 고려하지 않는 매우 이기적이고 속물적인 부모가 되었다.

- 50,60대는 어떻게 파이를 키울까만 생각했을 뿐 그 파이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는 재데로 고민하지 않았다. ... 결국 그들이 의도했든 그렇지 않았든 자식 세대의 앞길을 가로막은 형국이 되어버렸다. 그들은 미래에 후손들이 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미래가 얻을 잠재이익을 당겨 써버렸다. 그 잠재이익을 자기 가족을 위해, 자기 자식만을 위해 투자했지만, 그렇게 투자한 자식 세대는 일자리 하나 얻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내 자식을 키우고 노후를 보장받기 의해서는 남의 자식이 내 아파트를 사줘야 하는데 이젠 내 자식은 물론이고 남의 자식도 많지 않을 뿐더러, 있다 해도 그럴 경제적 여력이 없다. 결국 윗세대는 미래를 미리 당겨서 사용했을 뿐이다. 미래의 부를 가져다 쓴 것이다. 

- 전후 세대가 입버릇허철 말하는 '박정희 덕분에 이만큼이나마 먹고살게 되었다'는 찬탄은, 자신이 더이상 '잉여'가 아니어도 된다는 안도감에서 비롯됐는지도 모른다. ... 그들에게 이 말은 치명적인 콤플렉스이기 때문이다. ... 자신들이 한때 '잉여'였거나 '잉여'가 될 위험선상에서 매일매일을 살았다는 것을. 다만 인정하고 싶지 않을 뿐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잉여'가 되지 않기 의해서 한국 사회에 '잉여'와 (심지어 자신의 자식까지도) '잔여'가 넘치도록  만들었다. ...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그들 중 많은 수는 과거에 경험한 '잉여'로서의 심리적 불안을 해결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전후 세대, 그들은 늘 뭐라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밥벌이를 못한다는 것은 다시 '잉여'로 전락함을 뜻하기 때문이다. ... 다시 배고프고 가난하던 시절로 돌아가는 것에 대한 공포라고 할 수 있다.

- 그래서 그들은 삶을 즐길 때도 모두 먹는 것으로 시작해서 먹는 것으로 끝낸다. 건강을 위해 산 정상에 올라서도 먹고 마시고, 노래방에 노래브리러 가서도 먹고 마시고, 먹고 마시는 것이 빠지면 모이지도 않는다. ... 그들은 여전히 파이를 키워야 한다고 맹목적으로 믿는다. 아직 분배를 말하기는 이르며, 그렇게 말하는 사람을 향해서는 '빨갱이'라는 말을 서슴지 않는다. 

- 박정희가 살기 좋은 시대를 만든 가장 훌륭한 대통령으로 남을 수 있게 한 가장 극적인 장치는 역설적이게도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이었다.  ... 박정희는 시민들의 투쟁으로 실각하여 망명을 간 것도 아니고, 후계자 권력투쟁에 밀려 타의로 권좌에서 내려온 뒤 위리안치된 것도 아니었다.  ... 시민들은 이승만에 대항해 죽기로 싸웠고, 또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하와이행 비행기를 타는 그를 눈물로 전송했다.  ... 1980년대의 전두환은 1990년대의 청문회장에서, 백담사에서, 법정에서 반란수괴죄로 부분적으로나마 단죄되었다. ... 하지만 박정희의 1970년대는 여전히 공동의 시간으로 남아 있다. ... 만약 그가 이승만이나 전두환처럼 사라졌다면, 그 과정에서 그의 정권이 쌓은 공과를 정리하는 시간을 거쳤다면 그는 신화로 남을 수 없었으리라. 

- 그럴 기회를 갖지 못한 우리는 그 트라우마를 덮기 위해 1970년대가 간직한 마지막 공동체의 삶과 전통의 속살을 정서적 방어기제로 적극 활용한다. 그렇게 1970년대는 절절한 안타까움으로 몸에 기억되고 저장되었다. 문제는 애절함과 인간의 정이 남아 있던 그 시절을 박정희의 시대로 착각한 채, 그것을 박정희와 함께 기억한다는 것이다. 

- 2012년의 베이비부머는 왜 퇴행할 수밖에 없었을까? 그 시절에 넘치던 것은 '잘살아보세'였고, 씨가 마른 것은 민주주의였다. 가장 센 놈이던 박정희, 그 센 놈이 다시 21세기의 기아를 경험하는 우리를 다시 잘살아볼 수 있게 해주리라고 믿었으리라. 그래서 50대 이상의 박정희 신봉자는 "20대 새끼들이 뭘 알아, 어린 새끼들한테 투표권 주면 안 되지"하고 핏대를 세웠다.  ...  2012년 대통령 선거의 결과를 베이비부머가 주도한 퇴행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 같은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즉 가난과 생존 투쟁으로 인한 외상, 시대적 정서와 박정희 정권의 동일시, 그의 갑작스러운 암살로 정서적, 정치적 정리 기회의 상실말이다.  ... '잘살아보세'를 외치며 산업화의 역군으로 동원된 그들은 아직도 어떤 상실감과 결핍에 시달리며 '1970년대'라는 그들만의 시공간을 배회하고 있다. 

- 우린 삶의 야생성과 자연성을 죽여 없애고, 서서히 산업화의 역군이라는 '자발적으로 순응하는 국민'이 되어 애완의 시대로 들어섰다. 수많은 자연이 멸종하고, 수많은 건물이 올라갔다. 아스팔트와 시멘트 블록이 땅을 대신한다. 산은 도시의 등산객들로 울울창창하다. 거리에는 목줄을 매고 길을 걷는 애완견처럼 넥타이를 매고 종종걸음 치는 직장인의 무표정한 삶으로 가득하다. 도시는 오직 욕망으로만 생동감을 얻는다. 더 괜찮은 애완견이 되려는 듯 욕망은 넘쳐나지만 인간으로서의 소망은 피폐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2/10 21:42 2014/02/10 21:42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3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다카무라 토모야, <작은 집을 권하다>

- 이 나라, 이 사회에는 그저 평범하게 살아가려 해도 꼭 거쳐야 할 최소한의 관문이 너무 많다. 보통 사람들처럼 생활하려고 들면 우선 바쁜 일상에 적합한 이동 수단과 정보 수집 도구를 확보해야 하고, 옷차림도 나름대로 갖춰야 하며, 계약이나 재산 관리 같은 골치 아픈 문제와 팍팍한 사회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각종 인간관계까지 신경 써야 한다. ...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정점에 있는 것이 바로 '집'이다. 

- 그러나 각자의 생활방식과 수준에 걸맞은 자기만의 집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어느새 우리가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된 '평균적인 집'에 대한 강박관념은 차츰 사라질 것이고, 그러다 보면 꼭 마당이 딸린 몇천만 엔짜리 단독주택을 살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될 것이다. ... 결국 남들이 보기에 괜찮다고 생각할 만한 집을 구하기 위해 희생해온 그 수많은 노력과 에너지가 줄어들 것이고 지금껏 살아온 자신의 인생에 대해서도 돌아볼 수 있을 테니, 이는 모두의 행복을 위해 결과적으로 옳은 생활방식이자 철학이 아닐까 싶다. 

- 재이 셰퍼는 자신의 설계 방식을 '뺄셈 스타일'이라 부른다. 이것도 필요하고 저것도 필요하다며 원하는 걸 자꾸 보태고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먼저 적당한 집을 상상하고 거기에서 불필요한 설비나 공간 따위를 가능한 만큼  최대한 제외해나가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뺄셈 설계에 관해 설명하면서 생텍쥐페리의 문장을 빌려 이렇게 말했다. 

"완벽한 디자인이라는 건 그 이상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제거해야 할 뭔가가 없을 때 비로소 달성되는 법입니다."

- '집은 작아도 된다'는 사고방식에는 '집에 쌓아둘 물건은 적어도 된다'는 소유욕 감퇴 현상이 깔려 있을 것이다. 

- 나는 종종 배낭 하나로만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하고 생각한다. 그저 배낭 안에 적당히 필요한 것들을 넣고 아무 속박 없이 여행하듯 살고 싶다는 생각이 언제나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 "너무 큰 집은 집이라기보다 채무자의 감옥입니다."

- 물건들을 눈에 보이지 않게 해놓고, 기억에서 사라질 때까지 지내다가 그것이 정말 불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처분하면 된다. 이는 실제로 물건을 버리지 않고 물건을 들여놓지도 않음으로써 '집이라는 건 작아도 되는 거구나'하고 실감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지금과 같은 세상은 언제라고 거리로 나가면 필요한 서비스는 거의 모든 면에 있어 준비되어 있다. 개인이 반드시 소유해야 할 물건으로서의 의미가 희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상업서비스나 공공 서비스에 적당히 의존함으로써 자신의 주변은 훨씬 더 가벼워질 수가 있다.

- 지나치게 많은 설비를 갖춘, 지나치게 큰 주택밖에 팔리지 않으니 인생에서 뭘 하려고 해도 노동강도가 센 경제활동에 뛰어들어 살아가야 한다. 결국 얼마나 돈이 될지 여부가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고, 돈이 되지 않는 것은 '취미'라는 분야로 묶여 돈 되는 것을 하고 나서야 혹박한 여가로 즐기는 일이 되어버린다. 이런 현실에서 주택의 선택지가 조금만 더 늘어나도 과로나 실업 등에 의한 사회적 문제가 어느 정도 방지될 것이고, 그런 것에 대한 불안을 완화시켜줄 거라 본다. 그렇게 돼야 사람들은 좀 더 과감하게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이고, 개인의 인생이 보다 풍료롭게 흘러갈 수 있지 않을까. 빚 없이 구할 수 있는 수백만 엔짜리 집이 유통되기만 하더라도 아마 수많은 사람이 지금과는 전혀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 거라는 상상을 하게 된다. 

- 생활을 단순하게 하기 위한 방법 두 가지. 하나는 내게 있어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들을 의도적으로 지워나가고 필요한 것만 남기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이성이 이루어내는 업이지요. 또 하나는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으로 생활을 채우고 그 외의 것들이 저절로 떨어져 나가기를 기다리는 방법입니다. 이것은 사랑이 이루어내는 업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12/23 15:52 2013/12/23 15:52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38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침 7시가 되자 온 객실에 불이 켜지며 갑자기 분주해진다. 대부분 승객들이 청두에 내리는 모양이다. 대강 씻고 짐을 챙기고 차분히 앉아 기다린다. 

 

엊그제 라싸에서 기차를 탄 지 40시간 만에 청두에 내린다. 2박 3일만에 밟아보는 땅이다.

아침에 비라도 온 듯 땅이 젖어있고 안개인지 구름인지 희뿌연 공기가 땅과 하늘을 감싸고 있다. 젊은 부부와 작별인사를 나누고 우리는 무후사로 간다. 무후사와 인접해 있는 진리(锦里)는 마치 인사동처럼 옛날 건물과 장식으로 꾸며놓고 기념품이며 먹을거리 등을 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후사는 삼국지 스토리를 그대로 재현해 놓은 듯 했다. 이곳의 주인공은 단연 제갈량. 무후사의 이름도 제갈량의 호인 충무후(忠武侯)에서 따왔다. 제갈량 외에 무후사의 또 다른 주인공은 그가 모신 유비일 것 같지만 사실 관우다. 의리와 용맹함으로 오늘날에 신격화되어 있는 관우는 무후사 곳곳에 많은 흔적을 남기고 있다. 심지어는 ‘트랜스포머 관우’도 있다. 서울 동대문 근처에 있는 ‘동묘’도 관우를 모신 사당이 아니던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후사를 나와 바로 길 건너편에 있는 가게에서 ‘단단면’과 ‘훠궈’를 먹었다. 처음 보는데다 처음 먹어보는 음식이니 미리 사진으로 본다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어떤 재료가 들어가는지 그 이름만 가지고는 눈으로 보고 입에 넣어보기 전에는 안다고 할 수 없다. 음식의 이름과 맛은 역시 몸으로 배우고 느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유 있게 공항에 도착했다. 이제부터는 기다리는 게 일이다. 책도 눈에 안 들어오고 지나는 사람들을 쳐다본다. 장소가 바뀌어서일까. 티벳에선 시간의 리듬이 몸에 맞춘 듯 여유롭게 흘러갔는데, 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는 시간의 리듬은 더디기만 할 뿐 지루하기 짝이 없다. 티벳의 시간 리듬이 금세 도시의 시간 리듬으로 변해버렸다. 티벳의 약발이 벌써 다한 건가. 고산증까지 앓아가며 티벳에 적응하려 몸부림치던 게 불과 며칠 전인데 벌써 도시에 적응하겠다고 근질거리는 내 몸이 너무 간사하다. 조만간 또 티벳으로 가야할지도 모르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14 21:51 2012/02/14 21:51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37

댓글을 달아 주세요

[티벳 여행] 6. 찡짱 고원을 달리다

 

찡짱 고원을 달리다

- 기차에서 보낸 이틀 밤

 

어제 과음을 했는데도 몸이 말끔하다. 새로운 여행을 맞이하는 긴장감에 몸이 먼저 채비를 갖춘다. 그도 그럴 것이 이제 40시간에 걸쳐 기차를 타야하기 때문이다. 숙소 근처 대형 마트에 들러 필요한 물건들을, 주로 먹을거리 위주로 사왔다. 컵라면, 차, 맥주, 과일 등속을 사들고 왔다. 기차 안에 꼼짝없이 갇혀있어서 입이라도 즐겁게 해줘야 한다. 창밖 풍경이 주는 감탄이 얼마나 오래 가겠는가. 시각의 무뎌짐을 미각의 새로움으로 끊임없이 보충하기로 한다.

 

원래 작별은 허겁지겁 하는 모양이다. 라싸역에서 여유있게 오영씨와 작별인사를 하려했는데 대합실에 못 들어가게 하니 밖에서 어설프게 헤어지고 말았다. 어제 밤에 이메일 주소를 주고받았으니 돌아가서 꼭 연락을 하리라 다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라싸역에는 순례를 마치고 돌아가는 티벳 사람들로 북적인다. 우리처럼 관광객들, 주로 중국인들도 곳곳에 보이고. 찡짱열차는 좌석칸과 침대칸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데, 관광객들은 침대칸을 주로 이용한다. 우리가 사용할 6인실 침대칸은 좌우 각 3층으로 나뉘어 있는데 2, 3층은 공간이 좁아서 누워있을 수만 있고 앉아 있으려면 하는 수 없이 1층으로 내려와야 한다. 그런 탓에 1층은 공용좌석이나 다름없다. 우리와 함께 2박 3일을 보낼 동행자는 청두에 사는 젊은 부부다.

 

유럽에서 열차가 처음 생겼을 때는 걸어 다니거나 마차를 타고 다니는 것과 달리 차창 밖으로 빠르게 지나치는, 직접 만지거나 들여다볼 수 없는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하다 보니 기차 안에 가만히 앉아 멍하니 창밖을 바라보거나 낯선 동행자와 어색한 침묵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독서를 하는 문화가 생겼단다. 귀족들을 위해서 따로 독실도 있었고(볼프강 쉬벨부시, "철도여행의 역사").

 

젊은 중국인 부부와 간단한 인사만 나누고는 이내 시선을 창밖으로 돌린다. 우리가 1층에 먼저 자리를 잡고 있으니 그들은 복도에 자리를 잡는다. 창밖으로 비슷한 풍경들이 지나칠 때쯤 식당 칸을 찾아나선다. 우리가 12시 45분 기차를 탔으니 따로 점심을 챙겨먹지는 못했다. 기내식당은 한가했다. 메뉴판에 영어와 한자가 병기되어 있기는 하나 그림을 보지 않는 이상 정체를 알기 힘들었다. 일단 맥주(!)를 시키고 생선요리를 하나 주문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라싸를 출발한 찡짱열차는 12시간도 넘게 해발 4~5000m의 고원을 달린다. 달린다기보다는 ‘난다’는 표현이 맞겠다. 저 멀리 눈덮인 봉우리를 배경으로 끝없이 펼쳐지는 고원을 계속해서 달리다보면 높이를 실감하지 못한다. 기차 안에 공급되는 산소 덕분에 높이를 ‘안다.’ 빠른 속도가 풍경의 상실을 가져온다. “총알처럼 빠른 기차에서 경험할 수 있는 거라곤 지리학적 구조와 전반적 피상 뿐”(철도여행의 역사)일지라도 그 피상마저도 눈을 즐겁게 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후 4시 반이 되자 기차는 ‘나취역’에 정차한다. 어색한 침묵을 깨고 젊은 부부와 이야기를 나눈다. 더듬더듬 영어가 손짓, 얼굴표정과 만나 대륙을 넘나드는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준다. 부부는 사범대학에서 시간강사로 일한단다. 시간강사로는 생활이 어려워 다른 벌이를 해야 한다고. 시간강사로 밥벌이 못하는 건 한국이나 중국이나 똑같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부부 중 혼자 벌어도 생활이 가능하지 않느냐며 부러운 듯 묻는다. 단호하게 ‘노!’라고 답해준다.

 

쓰촨이 고향인 두 사람은 쓰촨에는 맛있는 것이 너무 많다며 자랑이다. 비행기랑 책상 다리 빼고는 하늘 아래 있는 거 다 먹는다는 소문이 있다고 하니 쓰촨은 새발의 피란다. 광둥에서는 원숭이 골 요리도 있고, 사산된 아기도 먹는단다. 그러고는 고추와 함께 절인 닭발을 건네주며 먹어보라고 권한다. 조미 오징어마냥 진공포장으로 간편하게 먹게끔 나오는 모양이다. 우리네는 이걸 빨갛게 양념해서 구워먹는데... 문득 소주가 먹고 싶다.

 

해는 금세 저문다. 기차는 한창 고원을 날고 있을 텐데 차창 밖은 온통 어둠 뿐이다. 멋진 풍경은 볼 수 없었으나 환한 반달이 계속 우리를 따라온다. 달빛 탓에 주위의 별들은 제 빛을 잃는다. 우린 지금 허허벌판 광활한 대륙에서 인위적인 조명 하나 없이 별빛이 이끄는 대로 움직이고 있다.

 

벌써 하루가 지났다. 아침 8시 반이 되자 해가 불쑥 솟아오른다. 지평선이 하늘과 땅을 선명하게 가르는 경계선에서 빨간 해가 땅 속에서 솟구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층 중국인 부부는 밤새 악몽을 꿨단다. 난 편안하게 잘 잤는데. 이들은 티벳에서 네팔까지 넘어갔다 왔단다. 그런데 국경에서 검문을 엄청나게 심하게 겪었나보다. 게다가 네팔은 지저분했고 파업까지 겹쳐 불편했다고. 그래도 좋은 느낌을 받고 온 듯했다. 특히나 중국에선 파업권이 없어서 민주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한단다. 네팔에서 좋은 음악을 들었는데 CD를 사오지 못해 아쉽단다. 국경을 넘을 때 CD와 책 등을 반입할 수 없다고 한다. 이른바 사상적인 통제인 것 같은데 그게 실효성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기차는 쉬지 않고 계속해서 동쪽으로 내달린다. 밤잠을 설친 우리칸 식구들은 한가하게 오수를 즐기고 기차는 눈덮인 황색 연봉을 지나친다. 앞으로 15시간 후면 청두역에 도착인데, 벌써 서울 가서 할 일들이 생각나고 지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젊은 부부가 우리에게 내일 계획을 묻는다. 비행기 시간까지 좀 여유가 있다고 하니 꼭 들러보라며 관짜이항즈, 진리, 무후사를 추천해준다. 팬더도 보고 싶었으나 거리가 좀 있으니 나중에 다시 오란다. 동선과 소요시간까지 상세히 알려준다.

 

계속해서 한국 영화 얘기를 물어오는데 아무래도 나보다 한국 영화를 많이 본 게 틀림없다. 주로 어떤 경로로 한국 영화를 보냐고 물었더니 인터넷에서 내려받아 본단다. 자막 파일도 누군가 척척 올려놓는다고. 한류의 주역은 인터넷이었다. 기술과 문화는 마음껏 국경을 넘나드는데 법과 제도는 늘 뒷북만 치고 욕은 욕대로 먹는다.

 

만난 지 이틀 만에 통성명을 한다. 바로 코앞에 붙어 있으니 굳이 이름을 부를 일이 없었던 탓이다. 고개를 들어 눈을 맞추면 바로 대화가 시작되었으니. 행여 다음에 청두를 찾게 되면 왕야오&리루이 부부에게 연락을 하리라.

내일 아침 7시 반에 청두에 도착하기 때문에 오늘 밤에 미리 짐을 챙겨둔다. 고원지대를 벗어난 기차는 도시로 접어들어 어제처럼 별빛을 보기 힘들다. 밤 10시 되자 일제히 소등이 되는데 잠을 쉬 이루지 못하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10 07:25 2012/02/10 07:25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36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짜쉬뗄레 라싸, 짜쉬뗄레 오영

- 라싸의 마지막 밤

 

푹 자고 나니 몸이 개운하다. 이제야 원상태로 돌아온 기분이다. 숙소에서 주는 아침 식사도 말끔히 비웠다. 오늘은 오전에 타쉬룬포 사원을 방문하고 라싸로 돌아간다. 라싸, 아니 티벳에서 보내는 마지막 날이다.

타쉬룬포 사원은 마치 동네 절이나 교회처럼 주민들의 생활의 일부를 이룬다. 관광객이나 멀리 순례를 하러 온 사람들로 붐비는 라싸의 조캉사원과 달리 동네 주민처럼 단출해 보이는 차림으로 아침 먹고 한걸음에 나온 듯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양도 순례하러 가는 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곳 시가체에도 기차역이 한창 건설중이다. 저 멀리 위구르의 우루무치까지 순환선을 계획 중이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티벳에서 가장 많이 쓰는 흔한 이름이 있냐고 물어봤다. 철수나 영희처럼. 운전기사는 자기 이름이 가장 흔하단다. 그의 이름은 짜쉬. 티벳어에서 인사말로 쓰이는 ‘짜쉬뗄레’의 그 짜쉬다. 말이 나온 김에 아내가 자기의 티벳식 이름을 지어달라고 부탁한다. 짜쉬는 생김새답게 호탕한 웃음을 지은 뒤 ‘조마 양중’이란 이름을 지어준다. ‘조마’는 향기로운 과일이란 뜻이고 ‘양중’은 불교에 나오는 선녀란다. 오영씨가 덧붙이길 지난 북경올림픽 때 성화봉송을 했던 티벳 사람도 이름이 조마 양중이란다. 굳이 얘기하자면 좋은 단어를 갖다 붙인 것 같다. 뭐 그럼 어떠랴. 지금 내 옆엔 조마 양중이 깔깔 웃고 있다.

특이한 건 티벳 이름엔 성(姓)이 없단다. 그냥 그 사람의 이름만 있을 뿐 그의 부(父)나 모(母)의 계통을 알려주는 정보는 들어 있지 않다. 어차피 가족 단위로 집단을 이뤄 생활을 하니 쟤는 뉘집 자식이고, 걔는 뉘집 자식인지 서로 다 아는데 그걸 굳이 호칭에까지 붙일 이유는 없지 않은가. 합리적인 명명이다.

 

며칠 전 쓰촨성에서 있던 독립시위 탓인지 라싸로 가는 길 중간에 검문검색을 여러 번 거쳐야 했다. 돌아가는 길도 마찬가지로 과속 방지를 위해 검문소에서 직접 통과 시간을 체크한다. 한국에선 기계가 하는 일을 여기선 사람이 직접 한다. 여러 차례 검문을 거치고 규정 속도를 지킨 덕에 오후 5시가 되어서야 라싸에 도착했다. 고생하신 짜쉬에게 감사드린다.

 

바코르 시장에 들러 기념품 구경을 한다. 나는 엽서 몇 장을 사고 아내는 티벳 사람들이 항시 들고 다니며 돌리고 기도하는 조그만 마니차를 산다. 오늘이 라싸에서 보내는 마지막 밤인데 이제야 적응이 되고 살만하다. 내일이면 떠나야 하는데. 여기 있는 동안 그렇게 천천히 움직였는데도 시간은 빨리 흐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밤은 오영씨와 작정하고 한 잔 하러간다. 숙소 근처 야시장으로 양꼬치를 먹으러 간다. 자신이 어렸을 때부터 자주 즐겨먹었다는데 그 맛을 쉽게 찾기가 힘들단다. 13살부터 술, 담배를 했다는 그의 주력 앞에 내 몸은 둘 바를 모르고 시야는 자꾸만 흐릿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티벳 와서 처음으로 샤워를 하고 머리를 감았다. 살만하니 떠난다. 내일이면 기차를 타고 40시간을 달려야 한다. 잘 있다 갑니다, 짜쉬뗄레 라싸. 그동안 고마웠어요, 짜쉬뗄레 오영.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07 19:50 2012/02/07 19:50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girongi/trackback/35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