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내가 속해 있는 학과에 중국인 교수가 교환교수로 온 적이 있다. 우연히 학과 사무실에서 그 교환교수와 함께 온 학과장 교수와 마주치게 되었는데, 서로 인사를 나누는 중에 학과장 교수의 통역으로 몇 마디 나눌 수 있었다. 특별한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는데, 나는 그에게 중국이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 발전이 더딘데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자본주의화가 심화되어가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는 중국은 사회주의 사회이며 자본주의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고 대답했다. 학과장 교수는 그에게 웃으면서 무슨 이야기를 하기에 무슨 말씀을 하신 거냐고 물으니, “*선생이 맑스주의자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 사람도 중국에서 맑스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자 그 중국인 교환교수가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중국 사회를 맑스의 관점으로만 볼 수 없다.” 아마 내 기억이 정확하다면 이런 취지의 말이었다. 중국은 중국식 사회주의를 발전시키고 있다는 뜻일 게다. 마찬가지로 북한 정권도 북한이 사회주의 공화국이며, 북한의 체제를 북한식 사회주의라고 주장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은 사회주의라는 개념이 자본주의라는 개념에 비해 그렇게 순수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개념이 내포와 외연의 통일이라고 했을 때, “자본주의”라는 개념이 오히려 그와 대비되는 사회주의에 비해 훨씬 더 순수해 보인다. 맑스는 아마 이 점을 잘 깨닫고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맑스는 <독일이데올로기>에서 “공산주의는 조성되어야 할 하나의 상태(Zustand), 혹은 현실이 따라야 할 하나의 이상(Ideal)이 아니라 오늘날의 상태를 지양하는 현실적인 운동”이라고 이야기했다. 사실 모든 개념이 다 그렇듯이 사회주의라는 개념의 내포와 외연 또한 고정된 어떤 것이 아니라 현실의 실천을 통해 내용을 보태고 의미를 다듬어나가면서 계속 발전하는 것이다. 그 개념의 내포와 외연을 다듬고 확장하는 것은 활동하는 살아있는 인간의 몫이자, 더 엄밀히 말한다면 사회주의자들의 혁명적 실천의 과정 그 자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회주의자들의 정치조직인 노동해방실천연대(준)[해방연대]는 (가칭)진보신당연대회의에 반대하고 이에 불참한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 이유는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들이 민주노동당과 대선투쟁 참패에 대한 진정성 있는 평가에 기초하지 않고 주로 반종북주의 정치공세와 선동에 기초하여 창당동력을 확보해왔기 때문이고 이들이 지향하는 정치기조가 현재의 민주노동당보다도 우경화한 우파사민주의적인 것이기 때문”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나는 해방연대의 이 주장은 조직의 무기력을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남한에 사회주의자들은 많지 않다. 그리고 사회주의자들이 여러 부문에 뿌리내리고 있거나 대중을 이끌지도 못하고 있다. 여전히 선명성 경쟁에 목을 걸고 있거나 나홀로 식의 활동에 매몰되어 있다.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은 노동현장에 직접 개입하거나 현장 노동자들과의 연대투쟁에 국한되지 않는다. 고유한 의미에서 사회주의 활동은 선전과 선동이며, 현장 투쟁이 아니라 선진 활동가들을 사회주의 조직으로 조직하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주의자들의 활동 대상은 현장이 아니라 현장에서 활동하는 활동가들이다. 활동가를 조직하지 못하고 선전과 선동을 통해 이끌지 못한다면 사회주의 활동이라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사회주의자들이 새로 건설되고 있는 진보정당에 참여하지 못할 이유란 없다.

현실에서 사회주의란 단지 하나의 구호가 아니라 실현해야할 보편적 이념이자 구체적 실천의 과정을 함축하는 개념이다. 현실에서 구체적인 실천은 어떤 형태로 표현되는가? 사회주의를 현실에서 실현하자는 투쟁이 노동자, 인민의 삶을 지배하는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등등의 양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자는 슬로건으로 표현되어야 하는가? 아니다. 결코 그렇지 않다. 이념은 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정책으로 표현된다. 정책은 이념의 정수를 표현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정책은 개량적일 수밖에 없다. 언젠가 지적한 것처럼 인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은 현실에서 언제나 사민주의의 옷을 걸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민주의에 개량주의라는 딱지를 붙이고 돌아서는 건 검은 현실에서 눈을 돌리고 밝은 하늘만 쳐다보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사회주의자들은 정책을 만들고 실현하는 활동가들을 조직하고 정책이 궁극적으로 어떤 목적을 위해 실현되어야 하는가를 선전하고 선동해야 한다.

어떤 보편적 이념은 다양한 방식으로 현실의 질서와 관계를 맺으면서 그 의미의 진정성을 획득해 나간다. 어떤 이념이건 삶의 구체적 맥락에서 표현됨으로써 수용/배제의 과정을 통해 검증된다. 그러므로 현실은 다양하고 상이한 이념들이 투쟁하는 무대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부르주아의 이념이건 프롤레타리아의 이념이건 현실에서는 경합하는 이념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어떤 이념도 절대적 가치를 가진다고 말할 수 없다.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된다. 당파성을 이념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가칭)진보신당연대회의는 그들이 건설하는 진보정당의 지향점을 “자본주의 극복의 원칙을 분명히 함”이라고 밝히고 있다. 자본주의의 극복이 사회주의가 아니라고 거부한다면 얼마나 유아적인 발상인가? 해방연대와 진보신당은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재 각자의 어떤 차이는 전혀 핵심이 아니다. 나는 사회주의자는 조타수가 아니라 등대지기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회주의자는 스스로 고립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새로 건설되는 진보정당에 참여하여 당 내부에서 다양한 이념들과 경쟁해야 한다. 이를 외면해야할 이유가 있는가?

(물론 사회주의자 정당을 건설하고 이후에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사회주의 정당 건설이 가능한가? 반드시 사회주의자들만의 정당이 필요한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9 14:26 2012/01/09 14:26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187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