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빈마을 공동체에 대한 단상

우리는 공동체인가? 공동체란 무엇인가? 공동체라면 어떤 공동체인가?

등의 질문들을 나눈 어제의 이야기를 생각나는 대로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0. 공동체

 

내가 빈마을을 떠나 있어도, 머릿속엔 빈마을이 있다. 그냥 내가 사는 집, 혹은 월세내는 집, 얹혀 사는 집이 아니라 어떤 공통의 감각을 갖고 활동을 하는 한 영역이 있는 것으로 느낀다. 아무 것도 안 하고 있어도 빈집은 '빈집'이다. 공동체라고 해서 변산공동체나 어디 다른 '공동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곳들만 지칭하는 건 아닐 것이다. 우리가 모여 살고 있는 이 형태, 거창할 건 없어도 하나의 공동체라 볼 수 있지 않은가.

 

우리 사이에 "여기가 하숙집이냐?"라는 말은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회피해야 할 어떤 상황에 대한 묘사로 여겨지고 웃음거리가 된다.

우리는 하숙생처럼 잠만 자고 밥만 먹고 왔다 가듯 공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다.

그렇게 사는 것에 대해 이상한 죄책감을 갖는다. 주인도, 손님도 아닌 '편리한' 방식으로 공간을 소비하는 것에 대한 불쾌감은 이 마을에 사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아닌가.

 

0. 어떤 공동체

 

빈집, 빈마을에 대해 가장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것들은

공동체다, 그리고 게스츠하우스다 하는 것이다.

'고스트하우스'라는 새로 만든 단어의 풀이처럼,

게스트와 호스트가 섞여 사는 곳이며, 그들의 정체성들이 뒤섞이는 곳이다. (어제 승욱이 길게 말했는데, 기억이 이정도로밖에 안난다. 승욱, 올려줘--ㅎ)

네 채의 빈집 그리고 좋은 이웃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이 하나의 장은

어떤 점에서 반자본주의, 반가부장제, 생태주의, 아나키적 실천들을 부분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혹은 전면적으로 드러내는 곳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는

같이 살고자 하는 자이다. 좀 다른 방식으로. 이웃과 이방인들과 함께. 스스로를 '객'이라 부르면서.

 

우리는 함께 산다.

우리는 낯선 이들과 함께 산다.

낯선이를 유독 두려워하여 밤낮없이 크게 짖는 개와도 산다.

발이 차에 짓눌려 절뚝이는 길냥이도 같이 와 산다.

돈없는 자, 이주민들, 술주정뱅이, 꿈이 많은 자, 잠시 쉬었다 가고픈 자들에게

우리의 안방을 공유하고 식구가 된다.

이방인들의 흔적이 교차하는 곳. 우발적인 사건 사고들, 이야기들, 인연들이 만들어지는 곳.

빈집은 1년여 만에 그 수를 4채로 불렸다. 그 안에는

2-30마리의 성별, 국적, 세대, 가치관, 종이 다른 생물체들이 우글거리고 있다.

누가 아래 묘사한 대로 거대 괴물 덩어리이라 해도 될 것이다.

 

0. 장투: 장기투숙객? 장기투쟁단?

 

오래 마을에 묵으면서 다른 존재와 함께 살아가는 자들을 우리는

장기투숙객이라 불렀다. 줄여서 '장투'.

그러나 이는 장기투쟁사업단의 줄임말 같기도 하다. 

손님이면서 주인이고 주인이면서 손님인 자로서 살기.

그것을 내 삶의, 내 공간의 일부로 받아들임을 당연하게 느끼기.

언제나 손님에게 자신의 방을 내어주기.

이런 것들은 장투를 일종의 긴장 속에 둔다.

우리의 공간이 우리 자신에게 몸과 마음을 편히 둘 집이기 바라면서,

동시에 낯선 자들을 환대하고 사건들을 구성하는 집이 되기 바라는 꿈을 꾸는 덕분에

장기투숙객은 장기투쟁단이 되기도 한다.

무엇을 위한 투쟁?

살아가기 위한, 즐겁게 살아가기 위한,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투쟁.

 

0. 우리에게 규칙이 필요한가?

살림을 위한 수많은 규칙들이 있고, 오며 가며 던지는 작은 제안들이 있고, 그걸 조율하는 눈짓과 머뭇거림이 있고, 티격태격 말다툼이 있고, 신경전이 있고, 험담이 있고, 표현하지 않은 고마운 마음들, 자신을 바꾸려는 발버둥, 용트림이 있다. 이 모든 것이 삶의 규칙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그런데 뭔가 많이 삐걱이고 정체되어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걸 이제 넘어서야 할 것 같다. 더 살아야 하고, 더 잘 살아야 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액션들이 많다. 구체적으로, 게스트를 위한 매뉴얼들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이 있다. 빈마을 이야기를 차곡차곡 모아보자는 이야기도 있다. 마을 이장을 뽑아 집 사이의 순환이 잘 되도록하자는 제안이 있다. 빈가게를 열어 마을회관처럼 쓰자는 제안도 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나씩 더 늘여가자. 마을을 만들자.

 

 

 

(급히 어딜 또 가야하는 바람에 글은 여기까지. 재밌게 안 써지네. 흙. 마음이 급해. 다른 분들이 좀 손을 봐주십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