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성적 차이

  • 분류
    일상
  • 등록일
    2012/05/02 09:46
  • 수정일
    2014/08/19 00:56
  • 글쓴이
    푸우
  • 응답 RSS

여성주의를 접하다 보면 성적 차이라는 표현을 접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성적 차이를 모두 부정하고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나아간다. 이런 입장은 동의 여부를 떠나서 이해하기에는 상당한 수월함을 지닌다.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별은 허상이며, 각 개인의 섹슈얼리티만 있다는 것이다.

 

반면 성적 차이를 존중하고 그에 기반을 둔 활동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많은 당혹스러움을 불러온다. 그 주장은 여성을 비하하거나 특정 성역할에 고정시키지 말 것과 여성(성)만의 특성을 이해할 것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성역할을 고정시키지 않으면서도 여성성을 존중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리가레는 고유한 것(le propre)과 독특함(la singularité)을 구별한다. 고유한 것은 소유물(la propriété), 소유하기(approprier), 고유한 이름[고유 명사](le nom propre) 등과 연결되고, 이 모두는 단일한 하나(un)라는 남근중심적 경제를 이루고 있다. 남근중심적 경제에서 여성의 성기와 섹슈얼리티는 형태의 결핍으로만 사유될 뿐, 그 다중성과 복잡함, 섬세함은 무시된다.

 

고유한 것과 달리, 여성의 자기 향유가 지니는 독특함은 여성이 "자기 쾌락들 중 그 어떤 것도 다른 무언가를 위해 희생하지 않는 가능성을, 자신을 다른 특정한 누군가와 동일시하지 않는 가능성을, 절대 단순히 단일한 하나가 되지 않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여성의 향유는 동시에 "타자 안으로의/타자를 통한 자신의 횡단으로 무한정 성장"하게 된다.

 

성적 차이도 고유한 것과 독특함의 관계 속에서 이해해볼 수 있다. 성적 차이, 여성성과 남성성이라는 섹슈얼리티는 서로 움직일 수 없는 고유함을 지닌 두 개의 견고한 이름이 아니다. 더구나 벽을 쌓아 올려서 어떤 외부의 침입이나 교류를 거부하는 형태도 아니다. 여성성과 남성성은 각자 독특함을 지니는 섹슈얼리티로서 이 독특함은 상대 섹슈얼리티를 기준으로 판단되거나 사유될 수 없는 것이다. 하나의 섹슈얼리티로 모두 동일시되거나, 그 단일함으로 수렴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독특함은 다른 독특함과 상호 교류하며 끊임없이 다가설 수 있다. 성적 차이란 여성이 남성적 시각에서 재단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뜻하며, 남성이 여성을 타자로서 승인하며, 여성이 스스로를 주체로서 확립해가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한 가지가 더 추가되어야 한다. 바로 지금 여성과 남성 사이 관계맺음의 양상이다. 적어도 오늘날 우리는 남성적 시각에서 욕망하는 것에만 익숙해 있으며 그 한에서 여성에게 부여되는 성역할이란 남성이 여성에게 부여한 성역할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여성에게 고정된 성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요구에 반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여성으로서 말하기, 여성의 향유에서 나오는 욕망을 파편화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래서 생리, 출산이라는 신체적 특성을 권리로서 보장해야 하며, 여성의 말하기/일하기 방식이 기존과 다르다고 그것을 남성적 시각에서 가치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매우 구체적인 사례가 무거운 짐 들기 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짐을 들어야 할 때 많은 경우 남성들이 그 역할을 맡게 된다. 남성들은 때론 역차별을 호소하며 여성들이 편하게만 지내려고 한다고 불평을 토로한다. 그러나 바로 이런 일생상활의 관계맺음에서 남성의 발언권이나 권력이 나오며,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위가 확인된다. 그런 한탄은 실제로 여성도 무거운 짐을 들려고 할 때, 남성들이 직간접적으로 그렇게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종료된다. 여성이 신체적인 동등함을 주장할 때, 남성들은 막상 불편해한다.

 

훨씬 어려운 문제는,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냐는 것이다. 여성과 남성이 같은 무게를 들어야 한다면 여성이 지치게 되고 결국 남성만이 도맡아서 무거운 짐을 드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아까의 도식에 넣어 보자면, 여성에게 가벼운 짐을 들라는 것은 여성에게 고정된 성역할을 강요하는 것이 되고, 여성에게도 무거운 짐을 들라는 것은 여성성을 무시하는 것이 된다.

 

어떤 모순에 봉착하게 되는데 이는 여성이 무거운 짐을 드느냐 마느냐라는 양자택일의 상황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여기서 가벼운 짐은 단지 '무거운 짐이 아닌 것'으로서만 사고된다. 여성이 '남성이 아닌 것'으로 사고되는 것처럼. 무거운 짐과 무거운 짐이 아닌 것 사이에서 성적 차이가 들어설 공간은 없다. 무거운 짐과 무거운 짐이 아닌 것은 사실 단 하나의 판단 기준과 단 하나의 판단 주체만을 상정하고 있다. 그 판단 주체는 바로 남성이며 그렇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하는 것처럼 보일 수밖에 없다.

 

더 섬세한 사고가 요청된다. 예컨대 짐을 들어야 하는 상황에서 두 개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하나는 여성에게 적합한 짐, 다른 하나는 남성에게 적합한 짐이다. 배분자와 배분방식은 여성과 남성 각자 정할 수 있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바로 상호 의사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성은 스스로 자기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게 되고, 이로써 고정된 성역할에 가둬지지 않으면서도 여성성을 얼마간이라도 (되)찾게 된다.

 

결과적으로 무거운 짐이 아닌 것/무거운 짐에서 여성이 드는 짐/남성이 드는 짐으로 바뀐 것에 불과하지 않느냐고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의 언어와 사고체계가 억압과 차별의 관계맺음을 야기시킨다면, 바로 언어와 사고체계의 (재)발명이야말로 여성주의의 한 핵심일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