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동병상련...

요즘 역사소설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어제까지 읽은 것은 [허균, 최후의 19일](김탁환, 민음사)이다.

소설 내용 중에서 눈에 들어오는 대목들이 있어서 남겨본다.

 

- 허균이 호가 '여인'인 친구 이재영과의 독백 같은 이야기.

<<(여인) "백성들을 위해서 세상을 바꾸겠다고?"

(허균) "...... 꼭 그것만은 아니지. 자넨 가끔 그런 생각이 들지 않나? 나는 있다. 그러나 나는 나를 갖지 못했다......"

"그게 무슨 말인가?"

"배고픔과도 같은 희망을 이야기하는 걸세. 젊었을 때에는 세상에 반대하는 것으로 희망의 근거를 찾았지만, 이제는 누구를 반대하거나 누구를 도와주기 위해서 이런 짓을 하는 게 아니라네. 나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싶어서라면 이해하겠나? 서른을 넘기면서부터, 배불리 먹고도 허기가 지는 것처럼. 쭉 그렇게 지내 왔네. 단 한 번만이라도 좋으니 나의 이 지독한 배고픔이 모두 해결되는 순간을 보고 싶네."

여인!

자네도 그렇지 않나? 깊은 밤 홀로 깨어 나의 몸과 마음을 물끄러미 들여다보면, 늙고 병든 사내가 오들오들 떨며 엎드려 있다네. 세상의 온갖 불행이란 불행이 사내의 두 어깨에 얹혔고, 사내에게는 그 무게를 지탱할 힘이 없는 것처럼 보이네. 차라리 죽느니만 못한 삶이라고나 할까? 그럴 때 자넨 그 사내에게 무슨 이야길 하겠는가? 어떤 시가 그 사내를 위로할 수 있을까? 그 밤, 나는 아무 말도 건네지 못했다네. 세 치 혀가 만들어 내는 넋두리조차 사내에겐 또 다른 짐일 테니까. 다만 나는 사내에게 두꺼운 이불과 따뜻한 국 한 그릇을 내밀고 싶었을 뿐이야. 하룻밤이라도 사내에게, 이 순간 살아 숨쉬는 인간으로서의 행복을 선물하고 싶었거든. 여인! 우린 그 사내보다도 훨씬 가여운 족속이라네. 배가 고픈데도 허기를 느끼지 못하고 사지가 바들바들 떨리는데도 추위를 염려하지 않는 족속이지. 나는 그들에게, 하여 나 자신에게 삶의 냉혹함을 가르쳐 주고 싶다네. 눈부시게 행복한 순간으로부터 처참한 지난날을 돌이키는 것도 나쁘진 않을 테니까.>>

"그런 순간이 올까?"

"올 걸세. 점점 그 순간을 향해 가고 있어."

"도대체 자네가 만들고픈 세상은 어떤 건가?"

허균은 잠시 생각에 잠겼다.

"하나의 풍경이 떠오르는군. 서당에서 함께 서책을 읽고, 그 서책에 적힌 대로 이 세상이 살아 볼 만한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는 아이들! 동틀 무렵 들판으로 나가 황혼이 찾아들 때까지 땀 흘려 일하는 어른들! 죄수를 가두는 감옥은 텅 비었으되 곡식을 쌓아 두는 곳간은 차고 넘치는 나라! 누구나 창고로 들어가서 원하는 만큼의 곡식을 꺼내 올 수 있으며, 태어난 곳이 북삼도나 전라도라는 이유로 차별받지 않고, 첩의 자식이라고 손가락질당하지 않는 나라! 중국을 섬기지 아니하고 외침을 받기 전에 군법을 철저히 시행하는 나라! 밤에는 들일에 지친 몸을 편리 누이고 휘영청 둥근 달을 바라보거나, 청주 한잔을 곁들인 노래가락에 시간을 빼앗기는 것도 좋겠지."

"참담한 현재를 견디려는 기만책은 아닌가?"

"기만책이라고? 지평선을 바라보며 한 걸음씩 차근차근 옮기자는 게 어떻게 기만책이겠는가? 이보다 더 나은 삶이 있다면 알려 주게. 자넬 따를 테니."

이재영은 허균의 확고한 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그의 가슴 한 켠도 천천히 달아오르는 느낌이었다.

 

-  [천하에 두려워할 바는 오직 백성뿐이다. 백성은 물, 불, 범, 표범보다 두렵기는 더 한데, 위에 있는 자가 한창 업신여기며 모질게 부림은 무엇인가. 대저 이룩된 것만 함께 즐거워하면서, 항상 보는 것에 얽매이고, 그냥 따라서 법을 받들면서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는 자는 항민(恒民)이다. 항민은 두렵지 않다. 모질게 빼앗겨서 살이 벗겨지고, 뼛골이 뽑혀지며, 집에 들어온 것과 당에서 나온 것을 다 내어서 한없는 요구에 제공하면서(응하면서), 시름하고 탄식하며 윗사람을 탓하는 자는 원민(怨民)이다. 그러나 원민은 반드시 두렵지 않다. 자취를 고깃간에 숨기고 남 모르게 딴마음을 쌓아서, 천지간을 곁눈질하다가 혹시 그때에 사고라도 있으면 그 소원을 부리고자 하는 자는 호민(豪民)이다. 대저 호민은 크게 두렵다. 호민은 나라의 사단을 엿보다가 탈 만한 사시(事機)를 노려서, 팔을 떨치며 밭두렁 위에서 한 번 호창(呼唱)하면 저 원민들이 소리만 듣고도 모이며, 모의하지 않아도 외치는 것은 같아진다. 항민들도 또한 살기를 구해서 호미와 고무래, 창자루를 가지고 따라사서 무도한 자를 죽이게 된다.] - 허균, <호민론(豪民論)>

 

- [왕융이 일곱 살 때 일찍이 여러 아이들과 함께 놀다가 길 옆 오얏나무를 보았는데, 열매가 많이 열려 가지가 꺾일 정도였다. 아이들이 다투어 달려가서 그것을 땄지만, 왕융만은 움직이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그 이유를 물었더니 왕융이 대답하기를, "나무가 길 옆에 있는데도 열매가 많이 달려 있으니 이는 틀림없이 쓴 오얏일 것입니다"라고 했다. 따서 맛을 보았더니 과연 그러했다.] - 유의경, <<세설신어(世說新語)>>, <아량편(雅量篇)>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