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와 함께 다문화 인식 개선 교육을 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에서온 고려인 이발레리아씨의 글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이발레리아라고 하고 저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왔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중부에 있는데,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1993년에 독립했습니다.

소련은 15나라가 구선되고 그 중에서 우즈베키스탄은 하나였습니다.

저는 2000년에 가족들을 생각하며 돈을 벌기 위해 한국에 처음 왔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두 아이의 엄마로서 한국인 남편과 함께 잘 살고 있습니다.

제가 우즈베키스탄에서 왔다고 하면 우즈베키스탄이 어디 있는지 대부분 몰랐습니다.

파키스탄이나 아프가니스탄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도 있어요. 그것은 괜찮은데 “너희 나라에 TV 있어? 냉장고 있어?”라고 하면 정말 자존심 상하고 당황했습니다.

심지어 어떤 한국 사람들이 저한테 말하기로 우리 증조할아버지들이 혼자서 잘살려고 자기 나라를 버리고 도망갔으니까 이제는 여기서 살 생각은 꿈에도 하지 말라고 하면서 돈 벌면 다시 우즈베키스탄으로 나가라고 했습니다. 저는 좀 억울했습니다.

저는 우즈베키스탄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저를 “고려인”이라고 부릅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태어나고 자란 저를 우즈벸 사람들은 왜 “고려인”이라고 부를까요?

저희 증조할아버지는 100년 전에 조선 땅에서 태어나셨습니다. 그 때는 남한 북한도 없었고, 그냥 <조선사람>이었어요. 살기가 너무 힘들어서 괴나리봇짐 하나 매고 시베리아 땅을 건넜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날씨가 너무 추워서 적응하기 힘들었고 많이 굶었고 힘든 농사와 막노동을 했습니다.

1917년 소련이 공산화 되면서 집단농장에서 일하는 동안에는 살기가 나아졌지만 스탈린의 소수민족 탄압정책 때문에 고려인들을 시베리아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주를 반대하던 2500명 고려인 지식인들이 총살을 당했습니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할 때, 화물차를 타고 길게는 한 달 반을 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물과 음식이 모자라서 길 위에서 죽었습니다. 대부분 묻지도 못하고 그냥 철길 옆에 버렸다고 합니다.

이렇게 1937년에 3개월 동안 17만 명이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이주를 했습니다. 첫 겨울에 노인과 어린이들이 배고픔과 추위를 견디지 못해서 3분의 1이나 죽었습니다.

다문화가족 경우에 부부가 같이 가는 것은 아니고 고려인만 가고, 만약에 자녀들이 있으면 엄마를 따라갔습니다. 부부가 헤어지기 싫어서 함께 이주하게 되더라도 화물차에 함께 타지 못하면 도착하는 장소를 모르기 때문에 결국 가족을 잃어버리게 됐습니다.

최초의 고려인들은 “일본의 스파이”라고 하는 편견과 차별 때문에 기업이나 좋은 일자리에서 일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고생이 더 심했습니다. 우리 증조할아버지들이 자기가 고려인이라서 고통과 어려움 속에서 살았어요. 처음에 자유롭게 이동 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허가를 받아야만 어디 갈 수 있었어요. 그러서 이주 할 때 헤어진 가족을 찾아서도 같이 살지 못했습니다. 국가시설에서 허가를 주지 않기 때문 에였습니다. 살기 위해, 차별을 없어하기 위해서 고려인들 그렇게 어려운 조건에서 우즈베키스탄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지만 고려인 조상들의 피나는 노력과 희생으로 이제는 우즈베키스탄을 2세들의 고향으로 얻을 수 있었고 모범시민이 됐습니다. 예를 들면, 전쟁에 갈 수 없지만 편견 때문에 누구보다 열심히 일했고 많은 봉사와 기부를 했습니다. 어떤 분에 기부하던 금액으로 비행기를 만들었습니다.

이주 후에 소련에서는 학교 수업은 러시아어를 쓰라고 시켰습니다. 그 시간부터 고려인들은 자기 언어를 잃어버리게 됐어요. 그것 때문에 저는 처음에 한국에 왔을 때 한국어를 몰랐어요. 가끔 외할머니 댁에 놀러 갔을 때 한국어를 들었어요. 그래서 제 나이 고려인들은 한국어를 대부분 모릅니다. 소련이 사라지면서 사람들은 자기나라의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고려인들은 조상들의 고향이 한반도라고 알고 있었지만 지금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어 고려인들은 어디로 가야할 지 아무도 모릅니다. 게다가 1994년부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공식적으로 우즈벡어를 사용하게 했습니다. 고려인들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소수민족들도 불편을 겪었어요. 젊은 사람들이 일자리가 없어서 다른 나라로 일하러 나갔습니다. 저는 제 조상의 뿌리가 한국이라고 생각하고 한국으로 왔습니다.

평생 고려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러웠는데, 한국에 와서 한국 사람들이 우리를 대하는 모습을 보고

마음에 큰 상처를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우리가 아무리 한국말을 잘해도 그냥 외국인일 뿐이었습니다. 우리 고려인들만 뿌리가 한반도에 있다고 느끼는 것 같았습니다. 처음으로 인생에서 내가 고려인이라는 사실이 혼란스러웠습니다. 제의 남동생이 한국에서 3년이 일했는데 그때 남동생 저한테 그런 말 한 적 있었습니다. ‘차라리 난 러시아사람으로 태어났을걸’ 라며 ‘어차피 한국 사람들이 우리를 외국인이라고 여기고 있는데. 차라리 나는 외국인이었지’ 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내 고향 자랑할 수도 있었고 그렇게 서운한지 안했죠‘ 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고려인 라는 것은 어떤 대접 받기 위해서 하고 아니고 다만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했는데 고려인이라서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데 자기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한국 사람들이 알고 있으면 바람뿐이에요.

여러분.., 여러분들은 제가 한국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우즈베크사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러면, 왜 러시아 친구들이 우리를 <고려인>이라고 부를까요? 러시아 친구들은 제가 한국에서 살고 있으니까 외모 차이가 없어서 차별을 받지 않아 좋겠다며 전화를 합니다.

그러면 저는 “그래 외모차이는 없어.......”라고만 해요.

왜 같은 조상의뿌리를 가진 우리를 외국인이라고만 여기는지

솔직하게 좀 서운한 생각이 들입니다.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는 아직도 모국에 대한 생각이 간절해요.

세계가 한 가족이라고 하는데, 여러분 우리 고려인들의 지나온 인생들도 한 번 의미 있게 생각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1/08 13:26 2010/11/08 13:26
Tag //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lovehuman/trackback/101

  1. 니나 2010/11/08 15:58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한국인으로서 민족정체성을 유지해온 사람들이 한국에서 받는 차별로 받는 아픔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아픈 것일 거예요. 그래서 한국인이냐 아니냐 그런 거 그만 말하고, 그냥 두루두루 차별 없는 세상 만들자 그런 얘기가 어느 순간 참 공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