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대중이 원하는 번역서

(교양을 갖춘 혹은 교양을 갖추길 바라는) 대중들이 원하는 번역서에 대해서 알아보자. 내가 생각하기에 중요한 특징은 두가지로 요약된다: 1) 그들은 중요 개념들에 대한 '원문 병기 표기방식'을 원한다. 2) 그들은 의역보단 직역위주의 번역을 원한다. 3) 그들은 완역을 원한다.

-1)과 2), 그리고 3)을 종합하면 대중들이 원하는 번역서의 특징이 나온다. 그것은 원저자와 독자의 직접적 소통-번역자의 부재(지양)를 통한-이다.

-원저자와 독자의 직접적인 소통은 과거에는 해당 저작의 전공자들이나 갖춰야할 지향해야 할 자세였다. 대중들이 지향하는 바가 '그것'이라면 우리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 할 수 있다: (1) 대중적 독자의 수준이 전문적 독자(해당서적의 전공자)의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2) 대중적 독자는 전문적 독자의 수준을 흉내내는데 불과할 뿐이다.

 

누가 썼는지 모르는 글의 한 부분이다. (편의상 약간 수정했다.) 글 전체는 여기

 

원저자와 직접적인 소통을 원하는 것이 과거엔 전공자들이나 지향해야 할 자세였는지는 모르겠고, 아무튼 요즘 독자들이 기대하는 것이긴 한 것 같다. 그래서 번역자의 해석이 불가피함을 인정하더라도 그 여지를 최소화하려고 한다. 이건 어쩌면 번역자와 독자간의 근본적인 갈등 관계를 보여주는지 모른다. 고민된다.

2006/04/03 15:38 2006/04/03 15:38
9 댓글
  1. 미류 2006/04/04 15:57

    중요 개념의 원문을 병기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은 많이 하게 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의역보다 직역은... 개인적으로는 직역보다 '자신감있는;' 의역이 훨씬 호감이 갑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2. marishin 2006/04/04 18:10

    “우리 말로 말이 되게”가 제 첫번째 원칙이며, 이렇게 하다보면 이른바 의역의 유혹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본 뜻에서 멀어지지 않아야 하는데(곧 직역을 해야하는데), 이게 실제로는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 언제나 갈등하고 고민하게 됩니다. 게다가 요즘 똑똑한 독자들이 워낙 많으니, 대충 넘어가려다간 망신하기 십상이죠. 아무튼 번역자일 때는 고민이 많습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3. zorba 2006/04/04 23:30

    독자의 절대수가 적어서 대중적 독자와 전문적 독자의 구별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근데 외국사람들은 글을 쓸 때 너무 수식이 많더라구요. 짧고 명확한 글이 좋은데 말이죠. 문화적 차이인지, 학적 거만인지 알 수는 없지만요.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4. marishin 2006/04/05 01:04

    zorba님 말씀이 설득력이 있군요. 독자 절대수가 너무 적어요. 저도 짧고 명확한 글이 좋습니다. 요즘 프랑스철학에 정이 가지 않는 것도 그 특유의 문체 탓이 큽니다. 저같은 사람에게는 진짜 쥐약입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5. 스콜 2006/04/10 21:54

    저는 솔직한 번역이 좋습니다. 그래서 (직역?이든 의역?이든) 좁은 의미의 "번역"과 함께, (번역상의 이런저런 문제가 있는 경우) 자신이 왜 그런 단어와 문장으로 번역했는지 솔직한 "해석(해제)"가 붙어있는 번역을 좋아합니다. 그런 책이 별로 없지만.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6. noesc 2006/04/13 12:27

    저는 통계를 보지도 못했고 전문가도 아니어서, 독자 절대수가 적다는 게 사실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했을 때 지금 쏟아져나오고 있는 번역도서의 절대수가 왜 그렇게 많은지를 생각해보면 참 모순적으로 보입니다. 숫적으로 많다보니 질의 평균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절대적으로 적은 독자들의 감식안이 높다면, 이런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위에서 말한 바와 관련지어, 개인적으로 저는 번역의 질을 좌우하는 제1 조건이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날림 번역이 성행할 수밖에 없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나면, 번역자들에게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거라고 믿고요.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7. marishin 2006/04/13 17:20

    소콜님, 솔직한 번역은 참 쉽지 않습니다. 변변치 못한 실력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일까봐 걱정하게 되는 심리가 꽤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noesc님, 독자 절대수가 적다는 것은 사실 이른바 인문, 사회과학 독자만을 의식해서 한 말입니다. 이 부분은 분명 많이 줄었죠. 번역도서의 절대수가 많은 것은 독자 규모와는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땅에 책을 쓸 사람이 적다는 게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만나본 출판사 사람들은 괜찮은 저자가 없어서 번역으로 눈을 돌리는 일이 많다는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괜찮다는 건 물론 여러가지 의미죠. 마지막으로 날림 번역이 성행하게 만드는 요소들로는, 1. 번역료가 너무 적다 2. 책이 안팔리니까 출판사들이 책을 빨리빨리 많이 내려고 한다(곧 종류라도 늘리는 소량 다품종 경향) 정도가 떠오릅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8. 몽상철학가 2006/04/21 17:17

    안녕하세요, 저도 들렀습니다. :-) 하나 딴죽을 걸고 싶네요. 하하. 위에 인용하신 글에서 독자가 의역보다 직역을 원한다는 것은 별로 터무니가 없다고 봅니다. 제대로된 번역, 혹은 읽기 쉬운 번역을 원하겠지요. :-)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9. marishin 2006/04/21 17:59

    금방 오셨군요.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읽기 쉽고 이해도 쉬운 번역이 역시 최고죠. 다만 번역자로선 이게 어려운 일이지만요.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트랙백0 트랙백
먼 댓글용 주소 :: http://blog.jinbo.net/marishin/trackback/201

앞으로 뒤로

외국 진보 진영의 글을 번역해 공개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지만 요즘은 잡글이 더 많습니다. mari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