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놀이> 집필을 둘러싼 공지영 작가의 ‘경솔함’에 직간접으로 연루돼 나온 이런저런 목소리들을 놓고서 ‘입진보 까기’에 열중인 한국산 민주시민들, 보니까 참 수고가 많으시다들. '니들이 할 줄 아는 게 다 된 밥에 코 뿌리는 것 말고 뭐가 있냐'느니, '(우리!) 공 샘이 밤 새가며 재능기부하는 동안 니들은 어디서 뭐하고 있다 고작 뒤통수나 때리고 있냐'느니.. 이렇게, 한국산 시민사회에서 공공연히 조장(아님 방조)돼온 가히 안습급의 ‘무지’가 ‘입진보(혹은 빨갱이풍의 급진좌파 정치)’ 비판의 무기로 둔갑하는 진풍경도 제법 볼 만허다.

딱히 이상할 건 없겠다. 한국과 연동하는 각국산 시민사회 네트워크의 일원인 데 자부심 돋는다는 자유시민 주체들이 곧잘 제 발등 찍다시피 비만해져선, 어처구니까지 온데간데 없어진들 말이다. 이 글로벌 시민사회 네트워크부터가, 끝간 줄 모르는 자본증식을 젖줄로 한껏 비만해져온 덕에 어처구니를 상실한 지 워낙에 오래다 보니. 하여, 이런 조건/국면에서 되려 중요한 건, 특히 1990년대 중반(달리 말함, 1989/91년 사이 마주봐야 했던 사회주의 국가권역의 몰락?) 이후 우리가 자선사업가적 내지 온정주의적 연민에 바탕한 ‘시민사회 공동체’ 강화를 사회적 연대로 착각하거나 그렇게 간주해버렸고, 그 바람에 1980년대를 거쳐 사회정치적으로 뒤늦게나마 잡혔던 계급적 연대의 각은 무뎌질 대로 무뎌져버린 상태에 있음을 새삼 되새기는 일일지 모른다.

문제는 민주화 담론과 짝패를 이룬다 할 자유시민들의 이런 심성과 감각, 설사 다르기야 한들 얼마나 다르겠냐는 거다. 뭐하고? 예컨대 자신들의 '놀라운 발견’이, 소위 신대륙 ‘선주민’들한테 설사 그 과정은 다소 구렸을지 몰라도 어쨌거나 ‘진보적인’ 자본주의 문명의 은총였던 걸로 몰아가는 근대 식민주의자(혹은 자유무역 제국주의자)들의 흉악한 자뻑 마인드하고 말이지. 솔직히 뭐 그리 별다른 게 있으까나.

 

더구나 근대일본령 식민지에서 공식적으로 ‘탈’한 지는 ‘겨우 60여 년’밖에 안 된 지금 여기서, 한반도-동아시아  언저리를 온갖 살풍경들로 깊숙이 새겨놓은 식민주의적 자본주의 경험에 맞설 정치적, 문화적 각은 바짝 날이 서도 아쉬울 판에, 거꾸로 둥글다 못해 나름 매끈하기까지 하다. 만주국 장교에서 남조선노동당 세포, 대한민국 유신의 선봉에 이르기까지 애국애족주의의 스펙트럼이 실은 얼마나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광폭한지 몸소 시전해준 박정희의 잔머리나, 88만 원도 못 되는 29만 원 인생이라건만 그 후광은 어째 가실 줄 모르고 한층 더 눈이 부신 전두환의 대머리 마냥 말이다.

근까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를 ‘완성’해왔다는 한국산 자유시민 주체들의 기본심성은 결국, 언제쯤 우리도 구 식민주의적 자본주의 블록(가령 OECD)의 진성회원으로 자부심 좀 돋아 보나 하는 욕망에 맞춤해 ‘민주적으로’ 세공돼온 셈 아녔냔 얘기 되겠다. 사정이 이런 거면, 되려 이런 반문을 던져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런데도 왜, 왜 이런 민주주의를, 그것도 '냉전의 지정학'에나 맞춤해 기획됐던 이런 민주주의를 굳이 되돌리고 어떻게든 지켜야 하는 거냐고. 이런 요구는 대체 어느 부류 내지 계급을 위해, 뭐 하자고 음양으로 부추겨지는 사회적 욕망이냔 거다.

적어도 내게, 1987년 이후 대한민국산 민주주의가 기어코 되돌려놔야 할 무언가는 고사하고 돌이킬 수 없는 어떤 망조로서 곧잘 다가오는 데는 이런 ‘탈식민주의적’ 비판의 각 또는 실천 감각을 이런 자본-시장친화적 민주주의 ‘내부’에선 도무지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이 크다. 정치 좀 해보겠노라고선 여의도의 특정 공간에 파묻혀 내심 뼈까지 묻겠다는 이들한테서야, 이런 사실은 어쩜 아예 문제로 취급받지조차 못할 수도 있겠다. 엄연히 대한민국이란 이름의 ‘주권국가’ 형태가 아쉬운 대로 여보란 듯이 제도화돼 있건만 탈식민주의적 비판의 각이라니, 이게 웬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냐며 말이다. 그럼 이런 정치의 주체들이 만들어지고 동시에 만들어내는 이른바 현실 정치에 근본적으로 개입해 이론적, 실천적으로 좀더 광범한 정치 지형을 드러내려 했던 이들, 특히 자타칭 (혁명적) 좌파정치의 주체들은 과연 얼마나 다를까. 글쎄, 적잖이 갸우뚱하다. 가령 1945/50년 이후 국면에선 ‘계급’을 그렇게나 중요시하던 현장활동가/연구자들도, 막상 근대일본령 조선기의 정치경제 비판에 이르러선 민족주의자와 분석 시각이나 인식론상으로 뭐가 다른지도 알기 힘들어지거니와.

이렇다 보니, 앞으로 새롭게 탄력을 받아야 할 노동자운동 혹은 이 운동으로부터 펼쳐질 계급형성의 정치 속에서 ‘탈자본’과 ‘탈식민’의 실천들은 ‘선후’관계나 ‘중심-주변’ 차원서 다뤄질 게 아니라 사실상 한 몸을 이루는 것으로서 전제돼 이뤄져야잖나 싶으다. 가령 ‘계급모순이냐 민족모순이냐’ 같은 질문에 스스로 (여전히?) 갇혀 있어선, 이제껏 충분히 그랬다시피, 기껏해야 논쟁을 위한 논쟁에 머물거나 잘못 형성된 쟁점 탓에 논쟁을 불임 내지 불모 상태로 내몰기 십상이겠다는 거다.

 

그래서 바로 지금 요청되는 건, ‘계급분석’과 ‘지정학(비판)’이 더는 따로 놀거나 한데 묶이더라도 겉돌지 않도록 해줄 '다르게 질문하기'나 이론화 작업이 아닐지(물론, 이런 질문하기와 이론화 작업은 소위 '(전문)연구자'의 몫으로 남지도 않지만 그리 남겨둘 수도 없겠다). 이를테면 지금 좌파정치의 진정한 귀환을 위해 우리가 정작 문제삼아야 할 것은, 이미 항상 시장-국가-시민사회 복합체로서 작동해온 자본주의 권력의 식민성 아니냐, 이때 '계급적인 것'과 '민족적인 것'의 경계, 그리고 이들 인식 범주에 깔려있던 '내부'와 '외부'의 경계는 어떻게 달리 설정돼야 하냔 식으로 말이다. 역사적 자본주의 권력 특유의 식민성을 짜부라트리고자 다양한 장소에서 이뤄지는 좌파정치적 실천들이 저마다 띠고 있는 독자성과 잠재력을 한층 더 살리고 불려나갈 수 있도록 하자는 거다. 뭐, 민족자주적 통일조국이니 진정한 노동자계급국가(?) 건설 같은, 반체제 운동 진영의 좌우파 할것없이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진작부터 그 난점을 뽀록내온 실천 노선과 관련 레토릭에 더는 짓눌리지 않고서, 좀 그렇게 말이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8/22 09:28 2012/08/22 09:28
http://blog.jinbo.net/redivy/trackback/209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