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19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01/17
    아기...
    안나푸르나
  2. 2006/11/28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
    안나푸르나
  3. 2006/11/17
    [펌]러시아 혁명 5부작 MBC 방영 예정(2)
    안나푸르나
  4. 2006/10/15
    켄로치 특별전(4)
    안나푸르나
  5. 2006/10/03
    정말 지랄 같은 인생이다.
    안나푸르나
  6. 2006/09/28
    졸린데 잠을 잘수가 없다.
    안나푸르나
  7. 2006/09/08
    황혼
    안나푸르나
  8. 2006/09/08
    조선혁명선언
    안나푸르나
  9. 2006/08/28
    훨훨~~~
    안나푸르나
  10. 2006/07/26
    사랑의찬가(Hymne L'amour)
    안나푸르나

아기...

 

 

 

 

태어난지 일주일 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

그는 어디로 갔을까
너희 흘러가버린 기쁨이여
한때 내 육체를 사용했던 이별들이여
찾지 말라, 나는 곧 무너질 것들만 그리워했다
이제 해가 지고 길 위의 기억은 흐려졌으니
공중엔 희고 둥그런 자국만 뚜렷하다
물들은 소리없이 흐르다 굳고
어디선가 굶주린 구름들은 몰려왔다
나무들은 그리고 황폐한 내부를 숨기기 위해
크고 넓은 이파리들을 가득 피워냈다
나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돌아갈 수조차 없이
이제는 너무 멀리 떠내려온 이 길
구름들은 길을 터주지 않으면 곧 사라진다
눈을 감아도 보인다

어둠 속에서 중얼거린다
나를 찾지 말라...... 무책임한 탄식들이여
길 위에서 일생을 그르치고 있는 희망이여

 

기형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펌]러시아 혁명 5부작 MBC 방영 예정

 

MBC에서  러시아 혁명 5부작을 곧 방송한답니다.
역량 있는 PD가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다고 하니 제법 볼 만 할 것입니다.

근데 첫회는 왜 평일날 하는겨.ㅠ.ㅠ



<세계를 뒤흔든 순간>의 2006년도 시리즈
<러시아 혁명> 5부작

1부 : 구체제의 붕괴               11/21 (화) 밤 11:05
2부 : 볼셰비키 혁명               11/26 (일) 밤 11:30
3부 : 내전                             12/03 (일) 밤 11:30
4부 : 스탈린 혁명                  12/10 (일) 밤 11:30
5부 : 혁명의 유산                  12/17 (일) 밤 11:30


1부는 PD수첩 시간에, 2~5부는 MBC스페셜 시간에 방송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http://www.imbc.com/broad/tv/culture/world/russia/info/index.html
을 참조하세요.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부 - 구 체제의 붕괴]
20세기 초반부터 1917년 2월 혁명까지, 제정 러시아가 붕괴되는 과정을 다룬다.
[2부 - 볼셰비키 혁명]
볼셰비키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3부 - 내전]
레닌과 볼셰비키들의 생존 과정, 20년대의 러시아를 다룬다
[4부 - 스탈린 혁명]
세계사에 유례없는 대격변을 초래했던 스탈린의 ‘농업 집단화’ 그리고 ‘산업화’의 과정을 다룬다.
[5부 - 혁명의 유산 ]
러시아 혁명의 본질과 그것이 전 세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다룬다.

 

 

참고로 앞으로 만들어 방영 될 목록입니다.

                                 

2006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7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7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8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8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8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8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9년에 업데이트됩니다.
2009년에 업데이트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켄로치 특별전

 

 

켄로치 특별전
(KEN LOACH SPECIAL)

 

 

일정 : 2006/10/27 ~ 2006/11/09

장소 : 동숭아트센터 1층 하이퍼텍 나다

 

 

 

Nada’s 15th Ken Loach Retrospective

‘나에 의한, 나를 위한, 나만의 영화관’ 하이퍼텍 나다는 상상력과 발상의 전환을 꿈꾸며 예술과 상업, 내용과 형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영화보기에 대한 새로운 욕구’가 존중되는 문화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지난해 많은 영화팬들의 성원 힘입어 성황리에 진행되었던 <나루세 미키오 특별전>에 이어 15번째 나다의 감독 회고전은 영국을 비롯 유럽을 대표하는 거장 감독으로 손꼽히는 <켄 로치 특별전>이 마련됩니다.

※ 상영작 소개

다정한 입맞춤 Ae fond Kiss (2004년 / 104분 / color / 12세)
주연 : 아타 야쿠브, 에바 버시스틀, 샤바나 바쿠쉬


켄 로치의 유일한, 그래서 더 특별한 멜로드라마

클럽의 DJ로 일하고 있는 카심은 영국에 살고 있는 파키스탄인2세이다. 언젠가 자신의 클럽을 운영할 꿈을 키우며 열심히 살아가는 카심은 어느날 카톨릭 신자이자 백인인 르와진을 만나게 되고,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독실한 이슬람교도인 카심의 부모는 그들의 관계를 인정하려 하지 않고, 카심을 사촌 자스민과 억지 결혼시키려 하는데…

스위트 식스틴 Sweet Sixteen (2002년 106분 col. / 12세)
주연 : 마틴 콤스톤, 미셀 콜터


*** 칸느영화제 황금종려상 노미네이트, 각본상 수상작

리엄은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에 살고 있는 평범한 10대 소년이다. 친구들과 장난 치는 것을 좋아하고 때로는 짓??은 소동을 벌이기도 하는 리엄이 여느 아이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엄마가 감옥에 있다는 것! 곧 16살 생일을 맞이하는 리엄은 기억에 남는 생일을 만들기 위해 특별한 계획을 세운다. 그 계획이란 열심히 돈을 모아 포악한 엄마의 남자친구를 피해 곧 출소할 엄마와 함께 도망가는 것! 평범한 가족 생활을 꿈꾸는 사랑스러운 16살 리엄, 그의 가슴 뛰는 인생이 펼쳐진다.


내 이름은 조 My Name is Joe (1998년 105분 col. / 12세)
주연 : 피터 뮬란, 루이스 굿올


*** 98년 칸느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작, 98년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 살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 조, 본성은 착하지만, 욱하는 성질 때문에 직업까지 잃고 우울한 인생을 살고 있는 그는 알코올 중독 치료를 위해 재활원을 다니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고자 노력한다. 마침내 술도 끊고, 성실한 노력 끝에 축구팀 코치까지 맡게 된 조는 우연히 알게 된 보건원 사라와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랜드 앤 프리덤 Land and Freedom (1995년 109분 col. / 12세)
주연: 이안 하트, 로자나 파스트로, 이시아 볼레인


1936년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파시즘과 그에 대항했던 민중들의 투쟁 역사를 사실적이면서 감동으로 그린 켄 로치의 대표작

경제적으로 크게 어려웠던 1936년의 영국 리버풀, 영국민의 후원을 요청하는 스페인 시민군의 열정적 연설에 감명받은 노동자 데이비드는 약혼녀와 이별하고 스페인으로 떠난다. 그는 스페인에서 시민군과 합류해 구식 소총을 들고 전쟁에 참가하는데…


레이디버드 Ladybird Ladybird (1994년 101분 col. / 12세)
주연 : 샌디 라벨


아이를 빼앗긴 미혼모의 이야기를 통해 영국 복지제도의 허상을 꼬집은 켄 로치의 수작

네 명의 아이를 키우며 힘겹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여인 마기, 그녀는 어린 시절 당한 가정폭력의 아픈 과거 때문에 새로운 남자를 만나도 마음을 쉽사리 열지 못해 홀로 지내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그녀가 외출한 사이 집에 불이 나고, 첫째 아이가 다치게 된다. 사건을 조사하던 사회복지부는 미혼모에다 노동계층인 그녀가 아이들을 키우기에 부적격하다고 판단, 아이들을 그녀에게서 떼어놓아야 한다는 결정을 내리는데…


레이닝 스톤 Raining Stone (1993년 90분 col. / 12세)
주연 : 브루스 존스, 줄리 브라운


*** 칸느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작, 황금종려상 노미네이트
켄 로치 특유의 유머와 눈물이 살아있는 유쾌하고 가슴 뭉클한 작품

실직 중인 밥은 친구 토미와 함께 정육점에 팔아 돈을 벌 요량으로 양을 훔친다. 밥은 양을 훔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일이 꼬여 생계 수단인 트럭만 잃어버리고 만다. 설상가상으로 밥의 어여쁜 7살짜리 딸 콜린의 성찬식이 다가오고, 성찬식에 딸이 입을 흰 드레스를 마련하기 위해 밥은 이것저것 일을 하기 시작하는데… 사랑하는 딸을 최고로 만들어주고 싶은 아버지의 눈물겨운 노력이 시작된다.

히든 아젠다 Hidden Agenda (1990년 108분 col. / 12세)
주연 : 버나드 아카드, 모린 벨, 존 벤필드


*** 칸느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작

미국인 인권변호사가 영국의 벨페스트에서 암살당한 채 발견된다. 범인을 찾기 위해 나선 변호사의 여자친구와 경찰은 그가 죽기 전에 오디오 테이프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그것은 바로 정부의 고위층에 대한 비밀이 담긴 테이프였다. 그러나 그런 비밀을 알게 된 이상 그들의 목숨도 위험해지는데…


하층민들 Riff-Raff (1990년 95분 col. / 12세)
주연 : 로버트 칼라일, 에머 맥커트, 지미 콜먼


*** 칸느영화제 국제비평가상 수상작

공장 노동자인 스티브는 노동자 대부분이 공장주에게 안전하지 못한 작업환경에서 저임금으로 착취당하며 집도 없이 버려진 아파트에서 어렵게 생활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던 중 길에서 가방 하나를 줍게 되고, 가방주인인 미모의 가수지망생 수잔을 만나 한눈에 반하게 된다. 둘은 곧 함께 살게 되는데, 스티브는 수잔이 마약 중독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한편, 자신의 의견을 굽힘 없이 주장하던 공장 동료 래리가 해고당하는 일이 생긴다.


외모와 미소 Looks & Smiles (1981년 104분 b&w. / 12세)
주연 : 그래함 그린, 캐롤린 니콜슨


알란과 믹은 18살 동갑내기 친구이다. 이제 졸업을 하고, 사회로 나가야 하는데, 동네에는 그들을 원하는 일자리가 없다. 우연히 직업 군인을 구하는 공고를 본 그들은 군인이 되볼까 생각하지만, 믹의 부모는 이에 반대하고, 결국 알란만 군대에 들어간다. 믹은 한 파티에서 우연히 카렌과 만나게 되고, 데이트를 시작한다. 신발가게에서 일하고 있는 카렌은 돈이 없는 믹을 위해 첫 데이트 비용을 혼자 부담하고, 둘은 사랑을 키워나간다. 그러나 그들에게도 위기가 닥치는데…


게임키퍼 GameKeeper (1980년 84분 col. / 12세)
주연 : 필 애스컴, 리타 메이


직장에서 해고된 한 철강 노동자가 사냥터지기로 전직해서 그럭저럭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케스 KES (1969년 113분 col. / 12세)
주연 : 데이빗 브래들리, 프레디 플레쳐

켄 로치 스타일의 시작을 알린 초기작, 60년대 영국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

영국의 탄광마을에 살고 있는 빌리 캐스퍼는 15살 나이에 비해 왜소하고 꾀죄죄한 소년이다. 새벽에 신문 배달을 하느라 수입 시간에는 졸기 일쑤이고, 학교를 졸업한 후에 무엇을 할지 생각도 없다. 학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채 외톨박이로 살아가는 빌리는 우연히 새끼 매를 한 마리 키우게 되고, ‘케스’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매를 키우고, 나는 연습을 시키면서 조금씩 빌리도 희망을 키우고 스스로도 알지 못했던 빛을 반짝이는데…


캐시 컴 홈 Cathy Come Home (1966년 80분 col. / 12세)
주연 : 캐롤 화이트, 레이 브룩스


출산과 남편의 실직으로 집을 얻기 어려워지고, 결국 가정이 파괴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젊은 여성 캐시를 주인공으로 한 단편극. 영국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집 없는 사람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고, 나아가 셀터(shelter)라는 지원기관이 탄생하는데 영향을 끼쳤다.


티켓 Tickets (2005년 109분 col. / 12세)
주연 : 마틴 콤스턴


로마에서 열리는 챔피언스 리그 축구경기를 보러 가기 위해 마음이 들떠 있는 10대 소년 셋은, 기차 안에서 우연히 자신과 같은 챔피언스 리그 축구팀을 응원하는 알바니아 소년을 만나게 된다. 소년들은 알바니아 소년의가족들에게 친절을 베풀지만, 잠시 후, 자신들의 표가 사라진 것을 알게 되자 알바니아 소년이 자신들의 표를 훔쳐갔다고 의심하는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말 지랄 같은 인생이다.

정말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졸린데 잠을 잘수가 없다.

아~~ 쓰...

 

미칠것 같은 붉은 단풍이 산하를 물들어 오는데...

내 몸은 최악의 상태로 달아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황혼

내 골방의 커튼을 걷고

정성된 마음으로 황혼을 맞아들이노니

바다의 흰 갈매기들같이도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것이냐.


황혼아, 네 부드러운 손을 힘껏 내밀라.

내 뜨거운 입술을 맘대로 맞추어 보련다.

그리고 네 품안에 안긴 모든 것에

나의 입술을 보내게 해 다오.


저 십이(十二) 성좌(星座)의 반짝이는 별들에게도,

종소리 저문 삼림(森林) 속 그윽한 수녀(修女)들에게도,

시멘트 장판 위 그 많은 수인(囚人)들에게도,

의지가지없는 그들의 심장(心臟)이 얼마나 떨고 있는가.


고비 사막(沙漠)을 걸어가는 낙타(駱駝) 탄 행상대(行商隊)에게나,

아프리카 녹음(綠陰) 속 활 쏘는 토인(土人)들에게라도,

황혼아, 네 부드러운 품안에 안기는 동안이라도

지구(地球)의 반(半)쪽만을 나의 타는 입술에 맡겨 다오.


내 오월(五月)의 골방이 아늑도 하니

황혼아, 내일(來日)도 또 저 푸른 커튼을 걷게 하겠지.

암암(暗暗)히 사라지는 시냇물 소리 같아서

한 번 식어지면 다시는 돌아올 줄 모르나 보다.

 

                                                      -  이육사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조선혁명선언

 

<조선혁명선언>

 

1
강도 일본이 우리의 국호를 없이하며, 우리의 정권을 빼앗으며, 우리의 생존적 필요조건을 다 박탈하였다. 경제의 생명인 산림·천택(川澤)·철도·광산·어장 내지 소공업 원료까지 다 빼앗아 일체의 생산기능을 칼로 베이며 도끼로 끊고, 토지세·가옥세·인구세·가축세·백일세(百一稅)·지방세·주초세(酒草稅)·비료세·종자세·영업세·청결세·소득세… 기타 각종 잡세가 날로 증가하여 혈액은 있는 대로 다 빨아가고, 어지간한 상업가들은 일본의 제조품을 조선인에게 매개하는 중간인이 되어 차차 자본집중의 원칙 하에서 멸망할 뿐이오, 대다수 인민과 일반농민들은 피땀을 흘리어 토지를 갈아, 그 일년 내내 소득으로 자기 한 몸과 처자의 호구거리도 남기지 못하고, 우리를 잡아먹으려는 일본 강도에게 갖다바치어 그 살을 찌워주는 영원한 소·말이 될 뿐이오, 끝내는 그 소·말의 생활도 못하게 일본 이민의 수입이 해마다 높고 빠른 비율로 증가하여 '딸깍발이' 등쌀에, 우리 민족은 발 디딜 땅이 없어 산으로 물로 서간도로 북간도로 시베리아의 황야로 몰리어가 굶주린 귀신으로부터 떠돌아다니는 귀신이 될 뿐이며,

강도 일본이 헌병정치·경찰정치를 힘써 행하여 우리 민족이 한 발짝의 행동도 마음대로 못하고, 언론·출판·결사·집회의 일체 자유가 없어, 고통과 울분과 원한이 있으면 벙어리의 가슴이나 만질 뿐이오, 행복과 자유의 세계에는 눈 뜬 소경이 되고, 자녀가 나면, '일어를 국어라, 일문을 국문이라'하는 노예양성소-학교로 보내고, 조선사람으로 혹 조선사를 읽게된다 하면 '단군을 속여 스사노오노미코토(表잔嗚尊)의 형제'라 하여 '삼한시대 한강 이남을 일본이 다스리는 땅'이라 한 일본놈들의 적은 대로 읽게 되며, 신문이나 잡지를 본다 하면 강도정치를 찬미하는 반(半) 일본화한 노예적 문자뿐이며, 똑똑한 자제가 난다 하면 환경의 압박에서 세상을 비관하고 절망하는 타락자가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음모사건'의 명칭 하에 감옥에 구류되어, 주리를 틀고 목에 칼을 씌우고, 단근질·채찍질·전기질, 바늘로 손톱 밑과 발톱 밑을 쑤시는, 팔다리를 달아매는, 콧구멍에 물 붓는, 생식기에 심지를 박는 모든 악형, 곧 야만 전제국의 형률(刑律), 사전에도 없는 갖은 악형을 다 당하고 죽거나, 요행히 살아 감옥문에서 나온대야 평생 불구의 폐인이 될 뿐이라. 그렇지 않을지라도 발명 창작의 본능은 생활의 곤란에서 단절하며, 진취 활발의 기상은 처한 형편의 압박에서 소멸되어 '찍도 짹도' 못하게 각 방면의 속박·채찍질·구박·압제를 받아, 바다에 둘러싸인 삼천리가 하나의 큰 감옥이 되어, 우리 민족은 아주 인류의 자각을 잃을 뿐 아니라, 곧 자동적 본능까지 잃어 노예부터 기계가 되어 강도수중의 사용품이 되고 말뿐이며, 강도 일본이 우리의 생명을 지푸라기로 보아, 을사 이후 13도의 의병 나던 각 지방에서 일본군대가 행한 폭행도 이루다 적을 수 없거니와, 즉 최근 3·1운동 이후 수원·선천 등이 국내 각지부터 북간도·서간도·노령 연해주 각처까지 도처에 주민을 도륙한다, 촌락을 불지른다, 재산을 약탈한다, 부녀를 능욕한다, 목을 끊는다, 산 채로 묻는다, 불에 사른다, 혹 몸을 두 동가리 세 동가리로 내어 죽인다, 아동을 잔혹하게 다룬다, 부녀의 생식기를 파괴한다 하여, 할 수 있는 데까지 참혹한 수단을 써서 공포와 전율로 우리 민족을 압박하여 인간의 '산송장'을 만들려 하는 도다.

이상의 사실에 따라 우리는 일본 강도정치 곧 이족(異族)통치가 우리 조선민족생존의 적임을 선언하는 동시에, 우리는 혁명수단으로 우리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을 죽여 없앰이 곧 우리의 정당한 수단임을 선언하노라.

 

2.

내정독립이나 참정권이나 자치를 운동하는 자-누구이냐?

너희들이 '동양평화' '한국독립조선' 등을 담보한 맹약이 먹도 마르지 아니하여 삼천리 강토를 집어먹던 역사를 잊었느냐? '조선인민 생명재산 자유보호' '조선인민 행복증진' 등을 신명(申明)한 선언이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여 2천만의 생명이 지옥에 빠지던 실제를 못 보느냐? 3·1운동 이후에 강도 일본이 또 우리의 독립운동을 완화시키려고 송병준·민원식 등 한 두 매국노를 시키어 이 따위 미친 주장을 부름이니, 이에 부화뇌동하는 자-맹인이 아니면 어찌 간사한 무리가 아니냐?

설혹 강도 일본이 과연 관대한 도량이 있어 이들의 요구를 허락한다 하자. 소위 내정독립을 찾고 각종 이권을 찾지 못하면 조선민족은 온통 굶주린 귀신이 될 뿐이 아니냐? 참정권을 획득한다 하자. 자국의 무산계급의 혈액까지 착취하는 자본주의 강도국의 식민지 인민이 되어 몇몇 노예 대의사(代議士)의 선출로 어찌 굶어죽는 화를 면하겠느냐? 자치를 얻는다 하자. 그 어떤 자치임을 막론하고 일본이 그 강도적 침략주의의 간판인 '제국(帝國)'이란 명칭이 존재한 이상에는, 여기에 딸려 있는 조선인민이 어찌 구구한 자치의 헛된 이름으로써 민족적 생존을 유지하겠느냐?

설혹 강도 일본이 갑자기 부처·보살이 되어 하루아침에 총독부를 철폐하고 각종 이권을 다 우리에게 돌려주며, 내정과 외교를 다 우리의 자유에 맡기고 일본의 군대와 경찰을 일시에 철수하며, 일본의 이주민을 일시에 소환하고 다만 이름뿐인 종주권만 가진다 할지라도 우리가 만일 과거의 기억이 모두 없어지지 아니하였다 하면 일본을 종주국으로 받든다 함이 '치욕'이란 명사를 아는 인류로는 못할지니라.

 

일본 강도 정치 하에서 문화운동을 부르는 자-누구이냐?

문화는 산업과 문물의 발달한 총적(總積)을 가리키는 명사니 경제약탈의 제도 하에서 생존권이 박탈된 민족은 그 종족의 보전도 의문이거든, 하물며 문화발전의 가망이 있으랴? 쇠망한 인도족·유태족도 문화가 있다 하지만, 하나는 금전의 힘으로 그 조상의 종교적 유업을 계속함이며, 하나는 그 토지의 넓음과 인구의 많음으로 오랜 옛날 자유롭게 발달한 남은 혜택을 지킴이니, 어디 모기와 등에 같이, 승냥이와 이리같이 사람의 피를 빨다가 골수까지 깨무는 강도 일본의 입에 물린 조선 같은 데서 문화를 발전 혹 지킨 전례가 있더냐? 검열·압수 모든 압박 중에 몇몇 신문·잡지를 가지고 '문화운동'의 목탁으로 스스로 떠들며, 강도의 비위에 거스르지 아니할 만한 언론이나 주창하여 이것을 문화발전의 과정으로 본다 하면, 그 문화발전이 도리어 조선의 불행인가 하노라.

이상의 이유에 따라 우리는 우리의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과 타협하려는 자(내정독립·자치·참정권 등을 주장하는 자)나 강도정치 하에서 기생하려는 주의를 가진 자(문화운동자)나 다 우리의 적임을 선언하노라.

 

3

강도 일본의 구축(구축(驅逐)을 주장하는 가운데 또 다름과 같은 논자들이 있으니, 첫째는 외교론이니, 이조 5백년 문약(文弱)정치가 '외교'로써 나라를 지키는 으뜸 계책으로 삼아 그 말세에 더욱 심하여, 갑신(甲申)이래 유신당·수구당의 성쇠가 거의 외국의 원조 유무에서 판결되며, 위정자의 정책은 오직 이 나라를 끌어들여 저 나라를 제압함에 불과하였고, 그 의로하는 습성이 일반 정치사회에 전염되어 즉 갑오(甲午)·갑진(甲辰)양전쟁에 일본이 수십 만의 생명과 수억 만의 재산을 희생하여 청·러 양국을 물리치고, 조선에 대하여 강도적 침략주의를 관철하려 하는데 우리 조선의 '조국을 사랑한다. 민족을 건지려 한다'하는 이들은 한 자루의 칼과 한 방의 총알로 어리석고 탐욕스러우며 포악한 관리나 나라의 원수에 던지지 못하고, 청원서나 여러 나라 공관에 던지며 탄원서나 일본정부에 보내어 국세(國勢)의 외롭고 약함을 슬피 호소하여 국가존망·민족사활의 대문제를 외국인 심지어 적국인의 처분으로 결정하기만 기다리었도다. 그래서 '을사조약' '경술합병'-곧 '조선'이란 이름이 생긴 뒤 몇 천년만의 처음 당하던 치욕에 조선민족의 분노적 표시가 겨우 하얼빈의 총, 종로의 칼, 산림유생(山林儒生)의 의병이 되고 말았도다.

아! 과거 수십 년 역사야말로 용기 있는 자로 보면 침 뱉고 욕할 역사가 될 뿐이며, 어진 자로 보면 상심할 역사가 될 뿐이다. 그리고도 나라가 망한 이후 해외로 나아가는 아무개 지사들의 사상이 무엇보다도 먼저 '외교'가 그 제1장 제1조가 되며, 국내 인민의 독립운동을 선동하는 방법도 '미래의 미일전쟁·러일전쟁 등 기회'가 거의 천편일률의 문장이었고, 최근 3·1운동에 일반 인사의 '평화회의 국제연맹'에 대한 과신의 선전이 도리어 2천만 민중의 용기 있게 분발하여 전진하는 의기를 쳐 없애는 매개가 될 뿐이었도다.

둘재는 준비론인, 을사조약 당시에 여러 나라 공관에 빗발돋듯 하던 종이쪽지로 넘어가는 국권을 붙잡지 못하며, 정미년의 헤이그 밀사도 독립회복의 복음을 안고 오지 못하매, 이에 차차 외교에 대하여 의문이 되고 전쟁 아니면 안되겠다는 판단이 생기었다. 그러나 군인도 없고 무기도 없이 무엇으로써 전쟁하겠느냐? 산림유생들은 춘추대의(春秋大義)에 성패를 생각하지 않고 의병을 모집하여 높은 관을 쓰고 도포를 입은 채로 지휘의 대장이 되며, 사냥 포수의 화승총을 몰아가지고 조일(朝日)전쟁의 전투선에 나섰지만 신문 쪼가리나 본 이들-곧 시세를 짐작한다는 이들은 그러할 용기가 아니 난다. 이에 '오늘 이 시간에 곧 일본과 전쟁한다는 것을 망발이다. 총도 장만하고 돈도 장만하고 대포도 장만하고 장관이나 졸병감까지라도 다 장만한 뒤에야 일본과 전쟁한다'함이니, 이것이 이른바 준비론 곧 독립전쟁을 준비하자 함이다. 외세의 침입이 더할수록 우리의 부족한 것이 자꾸 느껴지고, 그 준비론의 범위가 전쟁 이외까지 확장되어 교육도 진흥해야겠다. 상공업도 발전해야겠다. 기타 무엇 무엇 일체가 모두 준비론의 부분이 되었다. 경술(庚戌)이후 각 지사들이 혹 서·북간도의 삼림을 더듬으며, 혹 시베리아의 찬바람에 배부르며, 혹 남·북경으로 돌아다니며, 혹 미주나 하와이로 돌아가며, 혹 경향(京鄕)에 출물하여 십여 년내와 각지에서 목이 터질 만치 준비! 준비를 불렀지만, 그 소득이 몇 개 불완전한 학교와 실력 없는 모임뿐이었었다. 그러나 그들의 성의 부족이 아니라 실은 그 주장의 착오이다. 강도 일본이 정치·경제 양방면으로 구박을 주어 경제가 날로 곤란하게 생산기관이 전부 박탈되어 입고 먹을 방법도 단절되는 때에 무엇으로? 어떻게? 실업을 발전하며, 교육을 확장하며, 더구나 어디서? 얼마나? 군인을 양성하며, 양성한들 일본 전투력의 백분의 일에 비교되게라도 할 수 있느냐? 실로 한바탕의 잠꼬대가 될 뿐이로다.

이상의 이유에 의하여 우리는 '외교' '준비'등의 미몽을 버리고 민중 직접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노라.

 

4

조선민족의 생존을 유지하자면 강도 일본을 구축할지며, 강도 일본을 구축하자면 오직 혁명으로써 할 뿐이니, 혁명이 아니고는 강도 일본을 구축할 방법이 없는 바이다.

그러나 우리가 혁명에 종사하려면 어느 방면부터 착수하겠느뇨?

구시대의 혁명으로 말하면, 인민은 국가의 노예가 되고 그 이상에 인민을 지배하는 상전 곧 특수세력이 있어 그 소위 혁명이란 것은 특수세력의 명칭을 변경함에 불과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곧 '을'의 특수세력으로 '갑'의 특수세력을 변경함에 불과하였다. 그러므로 인민은 혁명에 대하여 다만 갑·을 양세력 곧 신·구 양상전 중 누가 더 어질고 누가 더 포악하며 누가 더 선하고 누가 더 악한가를 보아 그 향배를 정한 뿐이요, 직접 관계가 없었다. 그리하여 '임금의 목을 베어 백성을 위로한다'가 혁명의 유일한 근본취지가 되고 '한 도시락의 밥과 한 종지의 장으로써 임금의 군대를 맞아들인다'가 혁명사의 유일한 미담이 되었거니와, 오늘날 혁명으로 말하면 민중이 곧 민중자기를 위하여 하는 혁명인 고로 '민중혁명'이라 '직접혁명'이라 칭함이며, 민중 직접의 혁명인 고로 그 비등·팽창의 뜨거운 정도가 숫자상 강약 비교의 관념을 타파하며, 그 결과의 성패가 매양 전쟁학상의 정해진 궤도에서 벗어나 돈 없는 군대 없는 민중으로 백만의 군대와 억만의 부력(富力)을 가진 제왕도 타도하며 외국의 도적도 구착하나니, 그러므로 우리 혁명의 첫 걸음은 민중각오의 요구니라.

 

민중은 어떻게 각오하느뇨?

민중은 신인(神人)이나 성인(聖人)이나 어떤 영웅호걸이 있어 '민중을 각오'하도록 지도하는 데서 각오하는 것이 아니요, '민중아, 각오하자' '민중이여, 각오하여라' 그런 열렬한 부르짖음의 소리에서 각오하는 것도 아니오.

오직 민중이 민중을 위하여 일체 불평·부자연·불합리한 민중향상의 장애부터 먼저 타파함이 곧 '민중을 각오케'하는 유일방법이니, 다시 말하자면 곧 먼저 깨달은 민중이 민중의 전체를 위하여 혁명적 선구가 됨이 민중각오의 첫째 길이니라.

일반민중이 굶주림·추위·피곤·고통, 처의 울부짖음, 어린애의 울음, 납세의 독촉, 사채(私債)의 재촉, 행동의 부자유, 모든 압박에 졸리어, 살려니 살 수 없고 죽으려 하여도 죽을 바를 모르는 판에, 만일 그 압박의 주인 되는 강도정치의 시설자인 강도들을 때려누이고, 강도의 일체시설을 파괴하고, 복음이 사해(四海)에 전하며 뭇 민중이 동정의 눈물을 뿌리어, 이에 사람마다 '굶어죽음' 이외에 오히려 혁명이라 하 길이 남아 잇음을 깨달아, 용기 있는 자의 그 의분에 못 이기어 약한 자는 그 고통에 못 견디어, 모두 이 길로 모여들어 계속적으로 진행하며 보편적으로 전염하여 거국일치의 대혁명이 되면 간사·교활·잔혹·포악한 강도 일본이 마침내 구축되는 날이라. 그러므로 우리의 민중을 깨우쳐 강도의 통치를 타도하고 우리 민족의 새로운 생명을 개척하자면 양병(養兵)십만이 한 번 던진 폭탄만 못하며 억천 장 신문·잡지가 한 차례 폭동만 못할지니라.

민중의 폭력적 혁명이 발생치 아니하면 그만이거니와, 이미 발생한 이상에는 마치 낭떠러지에서 굴리는 돌과 같아서 목적지에 도달하지 안하면 정지하지 않는 것이라, 우리 지나온 경과로 말하면 갑신정변의 특수세력이 특수세력과 싸우던 궁중의 한때 활극이 될 뿐이며, 경술 전후의 의병들은 충군애국의 대의로 분격하여 일어난 독서계급의 사상이며, 안중근·이재명 등 열사의 폭력적 행동이 열렬하였지만 그 뒷면에 민중적 역량의 기초가 없었으며, 3·1운동의 만세소리에 민중적 일치의 의기가 언뜻 보였지만 또한 폭력적 중심을 가지지 못하였도다. '민중·폭력' 둘 가운데 하나만 빠지면 비록 천지를 뒤흔드는 장렬한 거동이라도 또한 번개같이 수그러지는도다.

조선 안에 강도 일본이 제조한 혁명 원인이 산같이 쌓이었다. 언제든지 민중의 폭력적 혁명이 개시되어 '독립을 못하면 살지 않으니라' '일본을 구축하지 못하면 물러서지 않으리라'는 구호를 가지고 계속 전진하면 목적을 관철하고야 말지니, 이는 경찰의 칼이나 군대의 총이나 가사 교활한 정치가의 수단으로도 막지 못하리라.

혁명의 기록은 자연히 처절하고 장엄한 기록이 되리라. 그러나 물러서면 그 뒤에는 어두운 함정이요, 나아가면 그 앞에는 빛나는 활기이니, 우리 조선민족은 그 처절하고 장엄한 기록을 기리면서 나아갈 뿐이니라.

 

이제 폭력-암살·파괴·폭동-의 목적물을 대략 열거하건대.

1. 조선총독 및 각 관공리

2. 일본천황 및 각 관공리

3. 정찰꾼·매국노

4. 적의 일체 시설물

 

이외에 각 지방의 신사나 부호가 비록 현저히 혁명운동을 방해한 죄가 없을지라도 만일 언어 혹 행동으로 우리의 운동을 완화하고 중상하는 자는 우리의 폭력으로써 마주할지니라. 일본인 이주민은 일본 강도정치의 기계가 되어 조선민족의 생존을 위협하는 선봉이 되어 있은즉 또한 우리의 폭력으로 구축할지니라.

 

5.

혁명의 길을 파괴부터 개척할지니라. 그러나 파괴만 하려고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하려고 파괴하는 것이니, 만일 건설할 줄을 모르면 파괴할 줄도 모를지며, 파괴할 줄을 모르면 건설할 줄도 모를지니라. 건설과 파괴가 다만 형식상에서 보아 구별될 뿐이요 정신사에서는 파괴가 곧 건설이니, 이를테면 우리가 일본세력을 파괴하려는 것이,

 

첫째는 이족 통치를 파괴하자 함이다. 왜? '조선'이란 그 위에 '일본'이란 이족 그것이 전제(專制)하여 있으니, 이족 전제의 밑에 있는 조선은 고유적 조선이 아니니, 고유적 조선을 발견하기 위하여 이족 통치를 파괴함이니라.

 

둘째는 특권계급을 파괴하자 함이다. 왜? '조선민중'이란 그 위에 총독이니 무엇이니 하는 강도단의 특권계급이 압박하여 있으니, 특권계급의 압박 밑에 있는 조선민중은 자유적 조선민중이 아니니, 자유적 조선민중을 발견하기 위하여 특권계급을 타파함이니라.

 

셋째는 경제 약탈제도를 파괴하자 함이다. 왜? 약탈제도 밑에 있는 경제는 민중 자기가 생활하기 위하여 조직한 경제가 아니요, 곧 민중을 잡아먹으려는 강도의 살을 찌우기 위하여 조직한 경제니 민중생활을 발전하기 위하여 경제 약탈제도를 파괴함이라.

 

넷째는 사회적 불평등을 파괴하자 함이다. 왜? 약자 위에 강자가 있고 천한 자 위에 귀한 자가 있어 모든 불평들을 가진 사회는 서로 약탈, 서로 박탈, 서로 질투, 서로 원수로 보는 사회가 되어, 처음에는 소수의 행복을 위하여 다수의 민중을 해치다가 마지막에는 또 수수끼리 서로 해치어 민중 전체의 행복이 끝내 숫자상의 공(空)이 되고 말뿐이니, 민중 전체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파괴함이니라.

 

다섯째는 노예적 문화사상을 파괴하자 함이다. 왜? 전해 내려오는 문화사상의 종교·윤리·문학·미술·풍속·습관 그 무엇이 강자가 제조하여 강자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더냐? 강자의 오락에 공급하던 도구가 아니더냐? 일반민중을 노예화하던 마취제가 아니더냐? 소수계급은 강자가 되고 다수민중은 도리어 약자가 되어 불의의 압제를 반항치 못함은 전혀 노예적 문화사상의 속박을 받은 까닭이니, 만일 민중적 문화를 제창하여 그 속박의 철쇄를 끊지 아니하면, 일반민중은 권리사상이 박약하며 자유향상의 흥미가 결핍하여 노예의 운명 속에서 윤회할 뿐이다. 그러므로 민중문화를 제창하기 위하여 노예적 문화사상을 파괴함이니라.

다시 말하자면 '고유적 조선의' '자유적 조선민중의' '민중적 경제의' '민중적 사회의' '민중적 문화의' 조선을 건설하기 위하여 '이족 통치의' '약탈제도의' '사회적 불평등의' '노예적 문화사상의' 현상을 타파함이니라. 그런즉 파괴적 정신이 곧 건설적 주장이라. 나아가면 파괴의 '칼'이 되고 들어오면 건설의 '깃발'이 될지니, 파괴할 기백은 없고 건설할 어리석은 생각만 있다 하면 5백 년을 경과하여도 혁명의 꿈도 꾸어보지 못할지니라. 이제 파괴와 건설이 하나이요 둘이 아닌 줄 알진대, 민중적 파괴 앞에는 반드시 민중적 건설이 있는 줄 알진대, 현재 조선민중은 오직 민중적 폭력으로 신조선 건설의 장애인 강도 일본세력을 파괴할 것뿐인 줄을 알진대, 조선민중이 한 편이 되고 일본 강도가 한 편이 되어, 네가 망하지 안하면 내가 망하게 된 '외나무다리 위'에 선 줄을 알진대, 우리 2천만 민중은 일치하여 폭력 파괴의 길로 나아갈지니라.

 

민중은 우리 혁명의 대본영이다.

폭력은 우리 혁명의 유일한 무기이다.

우리는 민중 속에 가서 민중과 손을 잡고

끊임없는 폭력-암살·파괴·폭동으로써

강도 일본의 통치를 타도하고,

우리 생활에 불합리한 일체 제도를 개조하여

인류로써 인류를 압박치 못하며,

사회로써 사회를 박탈치 못하는 이상적 조선을 건설할지니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훨훨~~~

또 다른 나를 찾아서





김민기 - 봉우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랑의찬가(Hymne L'amour)

비오는 저녁 들으니 더욱 좋네요.

 

 

                                                              Artist: Edith Piaf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