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지은이 정청라 씨가 첫 벼농사를 지었던 경험담과 화가 김중석 씨의 그림이 어우
러진 동화책입니다. 정청라 씨는 29세 되던 해 시골로 내려갑니다. 전부터 시골에 내려가 농사를 짓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엇던 그녀는 뜻을 함께 하는 친구와 함께, 출판사 근무 시절 알게 된 시인의 소개로 그가 살고 있는 동네로 귀농을 하게 되었습니다. 빈 집을 수리하고, 아기자기하게 농사도 짓고 살림을 하며 시골에서의 생활을 만들어가던 그녀는 지금도 그 곳에서 건강한 살림을 꾸려가고 있습니다. 그런 그녀가 시골에 내려와 첫 벼농사를 지었던 이야기를 책으로 펴냈습니다.
|
▲ <청라 이모의 오손도손 이야기> 그림책 표지 청라 이모의 오손도손 이야기 그림책 표지입니다. 김중석 작가의 그림입니다. |
ⓒ 김하나 |
|
|
책을 읽다보면 그녀가 경험한 시행착오와 재미있는 에피소드에 웃고 마을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과 어린 아이의 놀라운 통찰력에 감동하게 됩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씨앗을 준비하기 시작한 4월 15일부터 수확한 햅쌀로 처음 밥을 해 먹었던 11월 21일까지 자신의 경험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 이야기를 세세하고 재미나게 기록하였기 때문에 책을 읽는 사람 또한 함께 농사를 짓는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고나 할까요?
그녀가 농사를 짓게 된 땅은 초승달처럼 생긴 조그만 논이었기 때문에 '초승달배미'라고 이름을 붙여주었지요. 그리고 초승달이 보름달로 부풀어오르는 것처럼 농부가 되고 싶은 꿈도 그 논 안에서 둥실둥실 부풀어올랐으면 좋겠다고 소망합니다. 마을에는 자연을 닮은 맑은 아이 구름이네 가족, 홀로 총각, 시인 아저씨, 설매실 아주머니, 여성 둘이 귀농한 구들과 마루 언니네 등 여러 분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정청라씨는 실수도 하면서 어르신들로부터 농사에 대한 여러가지를 많이 배우게 되지요. 논에 물을 대는 방법도, 논둑에 두름을 치는 방법도 어르신들 덕분에 알게 되지요.
그리고 정청라 씨처럼 기계를 쓰지 않고 농사를 지으려고 했던 홀로 총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둘은 벼를 수확할 때가 되자 낫으로 벼를 베고 홀테로 훑는 품앗이를 합니다. 그러다가, 벼를 베던 총각이 논바닥에 볏짚으로 "나랑 가치(같이) 살자"라고 쓰고 나락 다발을 들고 프로포즈를 했다는군요. 초승달배미 논에서 그녀는 40킬로그램 쌀 포대로 한 포대 반을 수확합니다. 쌀을 보며 무엇을 해 먹을까 즐거운 상상을 하던 중 총각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씻나락으로 쓸 건 따로 남겨 둔 거죠?"
"씻나락이요? 먹고 남으면 그걸로 하죠 뭐"
"뭐라고요? 남는 걸로 씨 하는 사람이 어디 있어요? 가장 튼튼하고 잘 여문 걸로 씨부터 챙겨 놓고, 그런 다음 남는 걸 먹어야죠"
그래서 그녀는 또 한 가지를 배우게 됩니다. 결국 둘은 2009년 4월 동네사람들의 축하를 받으며 결혼을 하고 12월에는 아들도 낳았습니다.
책을 읽다보니 몇 년 전 어떤 한 모임을 통해서 이 책의 지은이인 정청라 씨를 알게 되었던 때가 생각납니다. 당시 그녀는 대안학교의 교사로 일하고 있었는데, 모임을 하던 어느 날 뜻을 같이 하는 친구와 함께 시골로 내려가겠다는 선언을 했는데 그 때 참 신선하고도 부러웠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 시골에서의 삶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는 젊은이입니다. 건강한 노동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고, 땅과 가까이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갖게 해주는 친구이기도 합니다. 저는 건강한 노동을 하며 살고 있지 못하지만, 친구를 생각하면서 앞으로 제가 살아갈 삶에 대한 용기를 얻게 됩니다.
벼농사는 청라 씨 뿐 아니라 자연과 동네 사람들이 함께 지은 것이었습니다.그리고 청라 씨는 벼농사를 통해 쌀만 얻은 것이 아니라, 한 끼 밥의 소중함과 마을 사람들의 소중함, 그리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뿌듯함을 느꼈겠지요.
수확한 쌀로 처음 밥을 해 먹을 때 일곱 살 구름이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이모, 밥은 정말 고마운 것 같아요. 우리한테 밥이 돼 줘서 우리를 살 수 있게 해 주쟎아요. 우리들도 이 밥을 먹으면 밥처럼 착해지겠죠?"
정말 밥만 먹어도 밥처럼 착해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논농사를 마치고 겨울의 문턱에서 청라씨는 이렇게 생각했답니다.
"찬바람이 매서워지는 겨울 문턱에서 나는 자꾸 봄을 떠올리게 돼. 아무것도 모르면서 농사를 짓겠다고 결심했을 때 설레기도 하고 두렵기도 했지. 만약 그 때 두려움을 못 이겨서 논농사를 안 지으려고 했다면 논이 준 수많은 추억과 선물을 놓치고 말았을거야. 논아, 정말 고마워. 널 만나서 난 행복해"
이 책을 읽고 나서 저 또한 이웃들과 함께 논농사를 지어보겠다는 마음이 더 확고해졌습니다. 그래서 논농사두레에 참여하기로 했답니다.올해 가을에는 저도 함께 농사지은 쌀 한 톨, 밥 한 그릇을 꼭 먹고 싶군요.
|
댓글 목록
돕
관리 메뉴
본문
이야, 글 재밌다. 글을 잘 쓰는구나. 책이 무척 읽고 싶어지는 걸.. 이런 글을 쓸 수 있다니, 너도 참 잘 지내고 있는 것 같다. 다음에 보면 더 반갑겠는걸... 그리고 신기하다. 네 글을 읽기전에는 좀 서먹했는데, 글을 일고나니 너랑 한결 가까워진 기분이야.부가 정보
씨앗
관리 메뉴
본문
앗 반가워라, 잘 쓴다니 쑥스럽네요. 더 잘하라는 뜻으로 알고 열심히 쓸께요~어려서부터 꿈이 기자였어요. 그래서 지금은 시민기자질.. 꿈을 이루는 방법은 찾다보면 나오데요. 그리고 신기하게 올해는 내가 쓴 글을 내가 좋아하는 잡지에서 한 번 싣겠다고 그래서 행복했어요. 아, 그때의 기분이란.. 더 열심히 하라는 이야기로 이렇게 또 적절하게 배움을 주시는군요. 지금은 부족하지만 원래 쓰고 싶었던 건 르포,다큐멘터리 작가인데... 언제쯤 그런 글을 쓸 수 있을지... 그래서 지금은 그냥 글쓰기 연습을 한다 생각하고 밥 먹듯 쓰려구요. 고마워요 오빠. 나도 사실 서먹했는데 블로그 글 읽으면서 가까워진 것 같더라고요. 참 이상하죠? 살아왔던 이야기와 운동에 대한 글들을 보면서 스스로 로 돌아보게도 되고, 배움도 얻어요.언젠가 한 번쯤은 조금 더 다정한(^^) 덧글을 남겨주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너무 기뻐요. 다음엔, 즐겁게 싸우는 현장에서 만나게요. 한 마디로 설명할 수 없지만, 많이 배워요.그리고 생리대를 만들어보려고 천도 떠 놨고 피자매연대에서 본도 프린트해놨답니다 하하.
참, 그리고 오늘은 이 곳 여성의 전화에서 땅의 여자 라는 다큐멘터리를 상영했어요. 기회가 되면 꼭 보셨으면 좋겠어요^^;; 꼭... (저는 다큐멘터리를 많이 좋아하거든요.얼마 전에 서울에서 다큐영화제 했을 때 보고 싶었답니다.흑흑)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