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청계천에도 사람이 살고 있어요”

 
    칼럼 > 칼럼
“청계천에도 사람이 살고 있어요”
[2006 여름빈활 참가기](3-1) - 청계천투어 및 서울시청 집회
강권수(빈활참가단) 
7월 3일 빈민현장활동(빈활) 3일째, 빈활 실천단은 미아 6-12지역에서 출발해 전국노점상연합(전노련) 사무실에서 청계천에 얽힌 역사와 투쟁의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빈활 3일째 일정을 시작했다. 그곳에서 전노련 간부들을 통해 청계천 노점상분들의 투쟁사를 들을 수 있었다.


전노련 사무실에서 들은 청계천 노점상들의 투쟁은 살기 위한 처절함, 그 자체였다. 서울시청에서 처음 청계천복원사업이 나온 이후, 서울시청은 복원사업을 위해 노점상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며 노점상의 수를 줄여나갔다. 그러던 중 노점상 단속에 의해 마차를 빼앗긴 박봉규 열사가 마차를 다시 되찾기 위해 중구청을 항의 방문하다가 생존권을 외면하는 현 정부의 태도에 격분한 나머지 분신을 했다. 이 사건은 청계천 노점상들의 투쟁에 불을 지폈고, 이때부터 청계천 투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서울시청이 고용한 용역과 전경들은 수없이 노점상분들의 생존권을 위협했고, 그때마다 청계천 지역 노점상들은 맞서 싸웠다. 노점상분들은 이 땅에서 인간으로 살기 위해 싸웠지만, 공권력에 대항하기란 역부족이었다. 결국 그동안 삶의 터전이었던 가판이 뜯겨나가고, 청계천 일대의 노점상은 사라져 갔다.

노점상들은 먹고 살기 위해 서울시가 청계천 대신 마련한 동대문운동장으로 들어갔지만, 이전의 청계천 상권에는 비할 수 없었다. 동대문운동장으로 들어간 것도 3000여 명의 노점상들 중 일부인 1000여 명 정도였고, 나머지 분들은 곳곳으로 흩어져야만 했다. 지금은 사람들이 산책로로 이용하는, 서울시의 명물이라는 청계천은 이처럼 기막힌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청계천에 대한 교양을 마친 뒤 빈활 실천단은 두 조로 나뉘어 청계천투어를 시작했다. 청계천 주변을 돌아보며, 거리 곳곳마다 담긴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가전제품을 주로 파는 거리, 골동품을 주로 파는 거리, 생필품을 주로 파는 거리 등등. 가끔씩 골동품거리에서 나온 골동품들이 TV 프로그램에도 소개된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40분 정도의 청계천투어를 마친 뒤 오관수교에 다 같이 모여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청계천 복원사업 뒤에 가려진 서울시청의 행태와 노점상분들의 생존권을 알려내는 것. 청계천에 들어가 미리 준비한 현수막을 다 같이 들고 30분 동안 지나는 시민들에게 우리의 이야기를 알렸다. 거리를 지나는 시민들은 우리의 선전전에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혀를 차기도 했고, 신기한 듯 사진을 찍기도 했다. 시민들이 우리의 이야기를 얼마나 귀담아 들었는지 알 수 없지만, 청계천 노점상들에 대한 생존의 이야기와 서울시청의 행태를 알려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퍼포먼스 이후에는 잠깐 물장구를 치면서 노는 것으로 청계천투어를 마쳤다.

이후 실천단은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동해 노점상분들이 준비해주신 잔치국수를 먹었다. 그리고 잠깐의 휴식을 취한 뒤 문화연대분들이 준비한 청계천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과거 조선시대에 빈민이 처음으로 생긴 곳이 바로 청계천이라는 것, 그리고 그 당시 살고 있던 빈민들의 생활이 청계천에 녹아있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이처럼 청계천이 지닌 귀중한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무시하고, 이명박 시장은 공사를 강행한 것이다. 불도저라는 별명이 괜히 지어진 게 아니라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됐다.

이어 실천단은 서울시청 앞으로 이동해 삼각수하동, 삼일상가 철거 규탄집회를 열었다. 오세훈 시장이 처음으로 임기를 시작한 이날 그동안 서울시청의 행태를 규탄하고 오세훈 시장에게 민중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한 집회였다. 각 지역에서 투쟁하고 계신 분들의 발언을 들으며 주거권문제, 그리고 그분들의 절실함을 느끼고 같이 고민하는 시간이었다.

이후에는 철거민들의 투쟁이 계속되고 있는 수원 권선3지구로 이동해 저녁식사를 한 후 전국철거민연합 회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10년 전에 젊은 나이로 투쟁을 시작해 지금까지 힘차게 투쟁하고 있는 분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 분들에게 있어서 삶은, 그 자체가 투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간담회를 마친 후에는 판교신도시개발을 반대하고, 권선3지구의 투쟁을 지지하는 현수막을 만들었다. 그리고 조별평가와 전체총화를 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3일째 일정을 모두 마쳤다.
강권수 님은 인천대 학생으로, 2006 여름 빈민현장활동에 참가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