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아둘 글 - 2009/07/19 22:55

폭력에 관한 세비야 선언

The Seville Statement

 

1989년 11월 16일제 25차 유네스코총회에서 채택

 

 

인간의 가장 위험하고 파괴적인 행위인 폭력과 전쟁에 대해 각 학문분야에서 의견을 제출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믿으며 , 과학은 결코 완결적일 수 없으며 모든 것을 포괄할 수 없는 인간의 문화적 산물임을 인식하고, 세비야 당국과 스페인 유네스코 대표단의 지지에 깊이 감사드리며 , 전세계의 해당분야 학자로서 아래 서명한 우리들은 모임을 갖고 다음과 같은 '폭력에 관한 선언'을 작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선언에서 우리는, 그동안, 심지어 우리 학문분야의 일부에 의해, 폭력과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다수의 근거 없는 생물학적 연구결과에 도전한다. 이 근거 없는 연구 결과들이 우리 시대의 비관주의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기 때문에, 우리는 이 잘못된 진술에 대한 공개적이고 사려 깊은 거부가 '세계평화의 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리의 의견을 밝힌다.

폭력과 전쟁을 정당화하는 과학적 이론과 자료의 오용은 새로운 것이 아니고 근대과학의 출현이래 계속되어 왔다. 예를 들면 진화론은 전쟁뿐 아니라 대량학살, 식민주의 그리고 약자의 억압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우리는 우리의 입장을 5개의 명제로 선언한다. 우리는 학문적 관점에서 폭력과 전쟁에 관해 개진될 수 있는 많은 쟁점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중요한 첫 단계라고 생각되는 것에 이 선언을 제한하고자 한다.

 

 

 

명 제 1

 

우리가 동물 조상으로부터 전쟁을 발발하는 경향을 유전받았다고 말하는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 비록 동물 종들 전체에서 싸움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종 내부의 조직된 집단간의 파괴적 싸움은 자연 종 중에 단지 약간의 경유에서만 보고되었으며, 이들 중 그 어느 경유에서도 무기로 쓰기 위해 고안된 도구가 사용되지 않았다. 다른 종을 식량으로 삼는 정상적인 포식행위는 종 내부의 폭력과 동일시 될 수 없다. 전쟁은 인간에게 독특한 현상이며 다른 동물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본적으로 변해왔다는 사실은 전쟁이 문화의 산물임을 나타낸다. 전쟁의 생물학적 연관은 일차적으로 집단간의 조정, 기술의 전달, 그리고 도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쟁이란, 오랜 세월동안 많은 장소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전쟁의 변형태들이 입증하듯이, 생물학적으로 가능하지만 피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수세기 동안 전쟁에 참여하지 않은 문화가 있고, 어떤 때는 전쟁에 자주 참여하고 다른 때는 그렇지 않았던 문화도 있다.

 

 

 

명 제 2

 

전쟁이나 여타 폭력적 행위가 유전적으로 우리의 본성에 갖추어져 있다고 말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 유전자는 신경체계의 모든 기능에 포함되어 있지만 그것은 생태적이고 사회적인 환경과 연결되어 있을 때만 실현될 수 있는 진화의 잠재력을 제공한다. 개인들이 자신의 경험에 의해 영향받는 소인은 아주 다양하지만, 그들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은 그들의 유전적 기여와 양육 조건간의 상호작용이다. 희귀한 병리현상을 제외한다면, 유전자가 개인으로 하여금 반드시 폭력적인 성향을 갖도록 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유전자는 그 반대의 경우를 결정하지도 않는다. 유전자는 우리의 행위적 가능성을 형성하는 데 공동으로 참여할 뿐이지 스스로 산출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명 제 3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다른 종류의 행위보다 공격적 행위가 선택되어 왔다고 말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 연구된 종들의 경우, 조직 내의 지위는 그 조직구조에 적합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얻어진다. '지배'는 사회적 유대와 소속을 포함하는 것이다. 비록 지배가 공격적 행위를 포함하지만, 그것은 단지 우세한 물리력의 소유나 사용의 문제만은 아니다. 공격적 행위에 대한 유전적 선택을 동물에게 인공적으로 실시했을 경우, 초공격적인 개체를 만들어 내는 데 아주 빨리 성공하였다. 이는 공격성이 자연조건하에서 최대한으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오히려 이처럼 실험을 통해 창조된 초공격적 동물이 사회집단에 나타났을 때, 그들은 사회구조를 붕괴시키거나 아니면 추방당한다. 폭력은 우리의 진화적 유산에 존재하지도 않으며 우리의 유전자에 존재하지도 않는다.

 

 

 

명 제 4

 

인간이 '폭력적 두뇌'를 가졌다고 말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 우리는 폭력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신경장치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이 내i 외적 자극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아니다. 고등 영장류에서처럼, 다른 동물과는 달리, 우리의 고등 신경과정은 여러 자극들을 행동으로 발현하기 전에 여과시킨다. 우리의 행동양식은 우리가 어떻게 조건지어지고 사회화하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신경생리학의 입장에서 볼 때 우리로 하여금 폭력적으로 반응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명 제 5

 

전쟁이 '본능'이나 다른 어떤 단일한 동기에 의해 발생한다고 말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옳지 않다. 근대 전쟁의 출현은 감정적이고 동기유발적인 요인의 우월성으로부터 인지적 요소의 우월성에 이르는 하나의 여정이었다. 근대 전쟁은 복종, 암시감응성, 이상주의와 같은 개인적 특성, 언어와 같은 사회적 기술, 그리고 비용계산, 계획, 정보처리와 같은 합리적 고려의 제도적 활용을 내포한다. 근대 전쟁공학은 전투원을 훈련하고 일반 주민의 전쟁지지를 유도하는 데 있어 폭력과 관련된 특성을 과장해 왔다. 이러한 과장의 결과 그러한 특성은 종종 그 과정의 결과라기보다는 원인으로 잘못 취급된다.

 

 

 

결 론

 

우리는 생물학이 인류에게 전쟁을 운명지어 주지 않으며, 인류는 생물학적 비관주의의 굴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세계평화의 해'와 그리고 그 이후의 시대에 필요한 변혁적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자신 있게 부여받았다고 결론짓는다. 비록 이러한 과업들은 주로 제도적이며 집단적이지만, 그것들은 또한 비관주의와 낙관주의를 중요 요소로 삼고 있는 개인 참여자들의 의식에도 의존한다. '전쟁이 인간의 마음에서 시작'하듯이 평화 역시 우리의 마음에서 시작한다. 전쟁을 창안한 바로 그 종이 평화도 고안할 수 있다. 그 책임은 우리 각자에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7/19 22:55 2009/07/19 22:55
TAG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soist/trackback/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