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10건

  1. 2007/06/19 Stiglitz on World Bank President
  2. 2007/06/01 갈 길이 먼 IMF World Bank 개혁, 무엇을 할 것인가 1
  3. 2007/06/01 갈 길이 먼 IMF World Bank 개혁, 무엇을 할 것인가 2
  4. 2007/06/01 한미 FTA 국회 비준 반대 온라인 서명운동 취지문 (4월 18 - 5월 1일)
  5. 2007/05/31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0
  6. 2007/05/31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1
  7. 2007/05/31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2
  8. 2007/05/31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3
  9. 2007/05/31 프레시안 한미 FTA 국회 비준 반대 서명운동 기사
  10. 2007/05/31 Measuring the Cost of Policy Space

Newer Entries Older Entries

Stiglitz on World Bank President

View Comments

Some questions for the next World Bank president
By Joseph E. Stiglitz Monday, June 18, 2007

Paul Wolfowitz's resignation from the World Bank solved one problem, but brought another to light. When Wolfowitz's name was first mentioned as a candidate to lead the world's premier development bank, the idea that the architect of America's failure in Iraq would be so rewarded was met by incredulity. But President George W. Bush had, from the beginning of his
administration, sought to undermine multilateral institutions and agreements. Wolfowitz's nomination seemed to be part of that effort.

Should Bush, a lame duck president with little support at home and less abroad, now be allowed to appoint the next World Bank president? Bush has already demonstrated his lack of judgment. Why give him another chance?

The arguments against the "old boy" system - by which the United States appoints the head of the World Bank and Europe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 are especially compelling today. How effective can the World Bank be in promoting good governance and fighting corruption if its president is chosen in a process that demonstrates flaws in its own governance? How credible will an anti-corruption message be when delivered by an appointee of wha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corrupt and incompetent administrations in US history?

Interestingly, as several heads of US congressional committees have pointed out, it is in America's interest for the World Bank to be led by the most qualified person, selected in an open and transparent process, regardless of nationality, gender, or race. This requires a change in how its president is chosen, and, at congressional hearings on the World Bank - the first in 13 years - I, like everyone who testified, called for this key reform.

Presidential appointments to senior posts in the US government are subject to open hearings. Regardless of whether the old boy system is preserved - but especially if it is - the World Bank's board of directors should likewise conduct open hearings on Bush's nominee to succeed Wolfowitz. Here are some of the questions - with some of my hints for the candidate's right
and wrong answers - that it should ask any proposed candidate for the Bank's presidency, including Bush's nominee, Robert Zoellick:

Do you believe that the president of the World Bank should put the interests of developing countries first? Will you press for Europe and the US to eliminate agricultural subsidies? Will you advocate a development round that emphasizes liberalization of labor markets more than capital markets, elimination of non-tariff barriers that keep developing countries' goods out of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abolition of so-called "escalating tariffs," which impede development? Will you be open to research even when that research shows that policies of the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may, at least in some circumstances, not be in the interests of developing countries?

During James Wolfensohn's presidency of the World Bank, there was a change in philosophy. The institution encouraged research-based policies, even when that research was critical of policies pushed by certa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by some in the World Bank. When research showed that certain policies (like agricultural subsidies) were hurting developing countries,
the Bank publicized the findings, helping to redefine the debate.

Will you support the initiative of developing countries to have a development-oriented intellectual property regime? What separates developing from developed countries is not only the gap in resources, but also a gap in knowledge. The World Bank should be viewed, in part, as a Knowledge Bank, and it should advocate reforms that enhance developing countries' access to knowledge. Access to generic medicines is essential if developing countries, with their limited budgets, are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oor. TRIPs,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visions of the Uruguay round, were designed to reduce access to generic medicines - and they succeeded. But as bad as TRIPs are, the bilateral trade agreements that Bush has been pushing are worse.
Any candidate claiming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developing countries must distance himself from these policies.

Will you work to redefine the criteria by which countries get access to funds? Today, money goes to countries that are neither most in need nor can most effectively use it. Complying with current orthodoxies - for example, on privatization and liberalization - can earn you points on "good
governance," and thus increase aid allocations - even when they reduce true aid effectiveness.

Do you think countries that are corrupt should be cut off from funding? If so, will do you so in a consistent way? If not, how should the World Bank respond? Will you support a comprehensive anti-corruption agenda, including closing down secret bank accounts? One of the flaws of Paul Wolfowitz's anti-corruption agenda was that expansion or continuation of aid for
countries favored by the Bush administration, like Iraq or Pakistan, was pushed, regardless of how corrupt they were; while there was little tolerance elsewhere. Problems with Uzbekistan were overlooked - until it fell out of favor with the US.

Likewise, the Bush administration oppose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s initiative to restrict bank secrecy - until it realized that secret bank accounts help finance terrorists. Since then, it has shown that it can close secret bank accounts, but has chosen to do so only for terrorists.

Do you think the World Bank should do more to encourage countries to adopt core labor standards? Not only has the World Bank not been active in promoting these globally agreed standards, there is a concern that it discourages collective bargaining and protections for workers when it talks about "flexible labor markets" and conditions that are conducive to private investment.

The old boy system of choosing the head of the World Bank must go. It has done enough damage. But if the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that control the Bank refuse to stand by their principles, at least they should give a nod to greater transparency. The world should know what it is getting. Open hearings would be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Joseph Stiglitz is a Nobel laureate in economics. His latest book is "Making Globalization Work." THE DAILY STAR publishes this commentary in collaboration with Project Syndicate (c) (
www.project-syndicate.or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6/19 12:45 2007/06/19 12:45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갈 길이 먼 IMF World Bank 개혁, 무엇을 할 것인가 1

View Comments

5월 28일초고; 5월 30일수정
* 아래의 글은 최근 폴 울포위츠의 사임 발표를 계기로 불거지고 있는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의 전통적인 위상과 고위직 인사 선발 방식을 둘러싼 논란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 것입니다. 한국의 프레시안, 레디앙, 오마이뉴스 그리고 시민사회신문에 전해졌습니다.
-------------------------------------------------------------------------------------------------
 
 
길이 IMF, World Bank 개혁 무엇을 것인가
 
  
지난 5월 중순 폴 울포위츠가 세계은행 총재직에서 사퇴를 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이후 세계은행은 물론 국제통화기금과 같은 국제금융기관의 전통적인 역할과 특히 그 기관들의 고위직 인사 선출 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즈가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은 물론 세계무역기구를 통틀어 거론하면서 각 기관들의 전통적인 역할이 도처에서 의문에 부쳐지고 있다고 공박하는 기사를 실은 데 이어(뉴욕 타임즈 5월 24일자 기사), 파이낸셜 타임즈도 “총재직 후보를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선출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거센 압력에도 불구하고, 현 부시 행정부가 로버트 죌릭(Robert Zoellick) 전 미 국무부 차관을 차기 세계은행 총재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 (파이낸셜 타임즈 5월 28일자 기사).
원래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금융 시스템을 재건하고 안정된 통화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1944년 미국 뉴햄프셔의 브레튼우즈에서 열린 국제연합 주관 국제회의의 협정문을 기초로 각각 이듬해 4월과 12월 설립된 이후, 양 기관은 전후 유럽의 경제적 부흥과 원활한 국제금융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차관 및 금융 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이들 브레튼우즈 기관들이, 설립 이후 지금까지 통용되어 오고 있는 고위직 인사 임명 관행을 무기로, 애초의 설립 목적에서 벗어나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일부 강대국의 기관 투자가 집단과 금융 자본가들의 이익만을 배타적으로 대변하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전개되고 있었다.
 
 
동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의 역할
잘못된 정책 처방, 과도한 희생
 
우선 탈냉전 이후 통화기금의 역할과 관련된 일련의 근본적인 비판이 전개되는 기폭제 역할을 했던 것은 다름 아닌 동아시아 외환위기였다. 미국재무부관료들과금융 투자자들의 이익을 배타적으로 대변하는 금융관련 신문들의사후 비난과는 달리, 동아시아 외환위기는 결코 아시아 특유의 정실주의(cronyism)’한도를 넘은 부패문제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니었다.
그린스펀 연준의장과 국제통화기금의 정책관료들이한때했던이러한정실주의운운은 무엇보다도 부패나 정실주의를 측정하는국 제적으로 공인된 객관적인 지표가 없다는 점을도외시하고있다. 설사그러한 것이 있다고 가정한다고 해도, 주장은그것이 어떻게 외환위기를 야기한 결정적인 이유인가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제시하지않고 일방적으로 희생자를 비난하는 선전문구에 불과했다. 정말로 정실주의가 외환위기를 야기했다면, 아시아국가들보다 부패하고 투명성이 부족했던 수많은 다른 나라에서는 (로비활동이라는 제도화된 합법적부패까지 고려하면 선두주자는 바로 미국이다) 유사한 외환위기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투명성 가치의 본산이라고까지 불릴 있을 만한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북유럽 국가들은 일찍이유사한 형태의 외환위기를 경험했는가를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이보다더욱근본적인비판은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이 ‘구조조정’과 ‘안정화’라는 이름으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각국에 강요했던 일련의 잘못된 정책처방에 놓여져 있다.
우선, 주기적인 외채위기로 인해 이미 1980년대 중반부터 국제경제 내의 불안정성을 증폭시켰던 라틴 아메리카 주요 나라들과는 달리, 외환위기 직전 동아시아 각국의 거시경제적 상황은 양호한 편이었다. 중앙정부의 재정적자 수준도 평균 3~4%에 불과했고, 무역수지 적자 폭도 지역 평균 5~6% 정도에 머무르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는 라틴 아메리카 각국이 외채위기 이전 평균 20% 이상에 달하는 재정 및 무역적자를 경험하고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극심한 초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던 상황과 비교한다면 거의 무의미한 수치이다.
더불어 외환위기를 경험한 동아시아 나라들과 라틴 아메리카 외채위기 국가들을 구분 짓는 또 다른 차이는 동아시아의 경우 해외로부터 단기 금융자본을 빌렸던 당사자가 정부나 공적 기관이 아니라 한국의 재벌을 포함한 민간 경제 행위 주체였다는 점이다.
물론 정부차원의 금융시장 개방과정이 나라별로 약간 상이하고, 국내 은행들이 민간 산업자본의 단기 해외 자본 차입 과정에서 어느 정도까지 중계 행위를 벌였는지, 그리고 이렇게 단기적으로 차입된 자금이 어떤 사업 영역에 어떻게 투자되었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외환위기를 경험했던 아시아 각국별로 약간의 상이한 양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동아시아 외환위기의 발생과 전개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것은 민간 경제 주체, 특히 산업 자본가들의 과도한 단기 차입이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외환위기 국가들은, 방만한 정부 재정 적자와 한도를 넘은 무역 적자를 개선하고, 이와 동시에 초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라틴 아메리카 채무위기 국가들에서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던 정책들과는 전혀 다른 외환위기 대책을 강구했어야 했다. 그것은 국제통화기금이 강요했던 ‘안정화’ 정책, 즉 해외 금융 자본의 신뢰를 확보한다는 미명하게 국내 이자율을 높이고, 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개별 비금융 기업뿐만 아니라 은행산업 영역에 급속하게 강요하며, 이와 동시에 정부 재정 지출 규모를 급격하게 축소할 것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그와 반대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었다.
국내이자율을낮추어재무상태가상대적으로건전했던우량기업들까지전반적인대외신용도하락때문에불필요하게파산하는것을막고, 급격한구조조정과정에서발생했던막대한인적사회적피해와비용을정부의확대된재정정책편성을통해줄이는정책을취했어야했던것이다.
동아시아 각국의 특수한 정치경제적 상황에 대한 전적인 무지와 정책 집행 결과에 대한 무책임성을 무기로, 라틴 아메리카의 한두 나라에서 그것도 지극히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까 말까 했던 ‘안정화’ 정책을 아시아 각국에 무매개적으로 강요했던 것, 그러면서 금융시장에 대한 역내 정부 차원의 규제와 금융 및 비금융 산업 기업에 대한 외국인 지분소유 한도를 폐지하여 해외 금융자본가들의 잠재적 이익을 극대화시켰던 것이 외환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이 긴급 금융지원을 대가로 벌인 일이었다.
 
 
외환위기이후 10동안의동아시아경제그리고스티글리츠의조언
 
우리가 직접 체험했던 것처럼, 이와 같은 잘못된 경제정책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대가는 매우 컸고 고통스러웠다. 국제통화기금의 정책들은 (1) 공식 실업률은 말할 것도 없고 절대 빈곤률을 급격하게 상승시키고 (인도네시아, 필리핀), (2) 생존을 위해 도시 거주민들이 퇴행적으로 농촌 지역으로 이주하게 만들었으며 (인도네시아, 태국 및 부분적으로 한국), (3) 미약하게나마 잔존하던 중소 규모의 산업적 경제기반을 와해시키면서 급격한 국내총생산의 후퇴를 야기하고 (자본 통제를 단행한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전체 동아시아 외환위기 국가들), 최악의 경우 (4) 인도네시아의 경우처럼 끊임없는 정치적 불안정성과 내전의 상황으로까지 인종갈등이 비화되도록 국민경제의 상태를 악화시켰기 때문이다.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어가는 지금까지도, 그리고 국제통화기금의 모범생이라는 칭찬 아닌 조롱을 들으며 외환위기 국면에서 조기에 벗어났다고 말해지는 한국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에 의해 강요된 정책들의 부정적 영향들은 조금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1)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말할 것도 없고 설비 투자율도 외환위기 이전의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재현하지 못하고 있고, (2) 허깨비 같은 경제성장률조차도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3) 국내 노동시장은 전체 임금 노동자 가운데 56% 이상이 비정규직이거나 일용직 노동자들로 채워지고 있다. 그 대신 한국 경제 전반을 휘감고 있는 것은, 가까운 장래에는 도저히 정책 방향을 되돌릴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4) 금융 및 자본시장의 대외 종속과 수직적 통합, 그리고 이것이 야기하는 수많은 거시경제적 불안정성의 징후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이같은 비판의 선두에 섰던 사람은 동아시아 외환위기 전후 직접 세계은행 수석연구원 직을 역임하기도 했던 조셉 스티글리츠 현 컬럼비아 대학 경제학과 교수라는 점이다.
그는 외환위기의 원인이 궁극적으로는 ‘비대칭정보(asymmetric information)’ 문제를 내재하고 있는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자체에 놓여 있고, 동아시아의 경우는 세계화와 개방에 대한 정책 결정자들의 맹목적인 신앙과 추종에 입각한 급속한 국내외적 금융 및 자본시장 개방 과정에 놓여 있다고 비판해왔다.
스티글리츠는 자본 및 금융시장에 대한 규제와 감독 기능을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것, 그리고 정책 과정과 회계 감독 등의 영역에서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그 자체로는 바람직하지만, 그와 같은 제도의 부분적인 개선이 단기 이자율과 환율 변동에 따른 시세 차액을 노리고 역내에 투자되는 금융자본과 이들이 야기하는 금융 불안정성을 막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해 왔다.
이에 따라 스티글리츠는 해외 자본의 단기화를 줄이고 이렇게 투자된 자본이 생산적인 장기 투자에 기여할 수 있도록 (칠레의 경우에서처럼) (1) 금융 투자 자본을 각국 중앙은행에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해 두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하고, (2) 해외에서 단기 자금을 차입하는 국내 기업에 대해서는 세제 혜택 수준을 조정하여 단기성 해외 차입에 대한 인센티브를 줄일 것을 제안하며, 더 나아가서는 (3)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말레이시아가 그랬던 것처럼) 금융 자본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개별 국가들에게 부여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더불어 (4) 기업 파산법을 대폭 수정하여 역내 정부가 채무 상환 재조정과 부채 탕감 등을 해외 투자자들에게 강제할 수 있는 조항을 신설하여 국내 우량 기업들의 불필요한 연쇄파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비판들은 탈냉전 이후 국제통화기금이 전형적으로 취해왔던 안정화 정책과 정확하게 반대되는 것들이며, 따라서 국제통화기금의 전통적인 역할과 위상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 및 회의를 바탕으로 삼고 있는 것들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6/01 13:01 2007/06/01 13:01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갈 길이 먼 IMF World Bank 개혁, 무엇을 할 것인가 2

View Comments

세계은행의이념적 편향성과 잘못된 대출행태
 
한편, 세계은행의 역할과 관련하여 가장 큰 문제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세계은행의 대출이 설립 당시의 목표였던 빈곤 퇴치와 경제부흥이라는 임무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데 있다.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가들의 빈곤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차관의 압도적인 다수는 당연히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무상 지원금으로 할당되어야 한다.
그런데 세계은행 차관의 압도적인 금액이 이들 극빈국가들이 아니라 소위 ‘중간 소득 국가들’(middle-income countries)에게 지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해 기준으로 전체 차관 공여액 가운데 2/3 이상에 상당하는 $ 14 billion 이상의 세계은행 차관이 중국과 인도 그리고 브라질 등에 지급되었다. 이것은 세계은행이 차관으로 지급된 대출금을 회수할 목적으로 극빈국가들의 빈곤 퇴치를 위해 필요한 차관 지급을 꺼리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이와 더불어 전후 세계은행이 공식적인 목표로 내걸었던 조직의 목표와는 달리 차관 지급에 앞서 대외무역개방과 무조건적인 시장 개방을 대외 원조의 중요한 요구조건(conditionality)으로 내걸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해 말 세계은행이 그동안 자체 내의 연구진과 대외 용역을 통해 발주한 연구 논문들의 주제와 연구 방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글이 한때 경제학자들의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과 하버드 그리고 프린스턴 대학의 경제학과 교수들의 자문과 직간적접인 참여 하에 작성된 [세계은행 연구 평가 보고서 1998-2005](World Bank Research Evaluation Report 1998-2005)는 1998년부터 2005년 사이에 자체 내의 연구보고서와 단행본으로 출간된 총 4000여 편의 글이 어떤 주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분석한 최초의 평가서였다.
이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 성과의 질을 잠시 차치해 둔다면) 같은 기간 동안 세계은행은 세계화와 원조 및 빈곤의 상관관계, 사회간접자본, 금융과 경제성장의 상관관계라는 세계은행의 국제적 역할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사안들을 다루고 있지만, 지극히 편향된 분석 시각과 이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보고서들이 (1) 세계화의 진전에 따른 수많은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자유무역(관세감축, 국내 산업 정책의 축소 등을 골자로 한)이 경제성장을 가져다 준다고 근거 없이 주장하고 있거나, (2) 아프리카와 아시아 빈곤국가들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대외 원조가 지니는 상이한 경제적 성과를 아무런 경험적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계량화된 수혜국 내의 ‘좋은 제도’(good institutions)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가지고 평가하는 편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3) 경제성장률의 증가가 그에 따른 환경상의 외부효과나 국내적 차원의 분배구조에 대한 아무런 고려도 없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조건 이롭다고 주장하는 것은 물론, (4) 금융시장의 개방과 대외적 통합이 경제발전 단계와 상관없이 무조건 빈곤국가들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강변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비록 세계은행이 국제경제의다양한사안들에 대해서 발언하고 대처하는 방식이 역사적으로 국제통화기금의그것과 달랐고, 세계은행이공식적으로는 자신의 주된 임무로 삼고 있다고 말하는 3세계의 빈곤문제가 외환위기와는 달리 긴급하게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외부의 비판을 받은것은사실이다.
그러나 때문에 세계은행이 국제통화기금의 그것과는다른 이념적 정체성을 가지고 근본적으로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착각을 해서는안될것이다. 오히려앞으로도 만약 세계은행이 이와 같은 이념적 편향성을 고수하면서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국제통화기금보다 먼저 철저한 비판을 받아야 할 것이다. 세계 도처에서 국제통화기금과 함께 세계은행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세계은행과국제통화기금고위직인사선발방식의개혁을촉구하는서명운동
 
이와 관련하여, 최근 호주, 남아프리카 그리고 브라질의 재무장관들이 각각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 고위직 인사 선발 방식의 개혁을 촉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한 것은 무척 반가운 일이다. 
더불어 영미 학계와 연구소 그리고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온라인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것도 고무적인 일이다. 미국에서 이 서명운동을 주관하고 있는 단체는 “국제금융의 새로운 질서”(New Rules for Global Finance)이다. 이 단체는 발전경제학자, 인권 운동가, 환경 및 노동운동가들은 물론 종교단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경제의안정성을도모하고, 빈곤과경제적불평등을완화하는것을목표로 1998설립된단체는  (1) 세계은행과국제통화기금의주요의사결정과정에서발전도상국가들의목소리와의결권을확대하는, (2) UN 산하경제발전을위한정책금융회의와긴밀히협조하여국제금융과관련된핵심적인사안에대해발언권을높이는, (3) 국제통화기금이대출조건으로내걸어왔던거시경제적안정화정책국내적차원의빈곤과소득불평등에어떠한악영향을미쳐왔는가를분석하고감시하는, (4) 국제금융거래와관련된규범과규칙에관한토론을공론화시키고, 현재국제통화기금에의해서강요되고있는국가채무와파산절차를개발도상국가들의이익을반영하는방식으로개선하며, (5) 외환위기발생시경우에따라서는단기금융자본을통제할있는권한을개별정부들에게부여하도록하자는캠페인을벌이는것을주요의제로삼고있다.
이들은 최근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의 고위직 관료 선출 방식을 개선하자는 취지의 서명운동문을 발표하면서, “폴 볼포위츠로 대변되는 세계은행의 문제는 그가 국제적 차원의 합의를 요구하는 세계은행의 과제를 대변하기보다는 미국의 특수 이익을 배타적으로 대변하려고 한 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더 나아가 이들은 미국 행정부가 세계은행 총재를 지명해왔던 낡은 관례는 (1) “선발 절차의 투명성”과 (2) “국적에 상관없이 능력 있는 인사를 충원한다”는 원칙에 입각한 새로운 고위직 인사 선출 방법으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이와같은원칙이받아들여지지않는다면, 설사볼포위츠같은무능력하고타락한인물이세계은행총재직에서사퇴한다고하더라도근본적인문제는여전히남아있을것이라는이들의주장이다.
5월 30일 현재 총 558명이 이 서명운동에 참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도 이 서명운동에 참가할 수 있다. 이 서명운동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하거나 (http://www.new-rules.org/index.htm) 다음의 이메일로 영문 이름과 소속기관을 보내면 된다: jbaker@new-rules.org (, Moo-Hyun Roh, President, Republic of Korea).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6/01 12:54 2007/06/01 12:54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한미 FTA 국회 비준 반대 온라인 서명운동 취지문 (4월 18 - 5월 1일)

View Comments

아래의 글은 지난 2007년 4월 18일부터 5월 1일까지 미국과 영국 그리고 캐나다 등지에서 한국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미 FTA 국회 비준 반대 서명운동의 취지문을 요약한 것입니다. 서명운동이 전개된 이후 이 취지문은 총 73명의 서명자 명단과 함께 한국의 대통령과 정당 관계자 그리고 사회단체에 전달되었고, 프레시안과 레디앙 그리고 시민사회신문 등에서 이를 보도한 바 있습니다.
---------------------------------------------------------------------------------------------------
한미 자유무역협정 비준 반대를 위한 공개 편지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한미 양국의 중소기업과 노동자 농민들의 이해를 희생시킬 뿐만 아니라 발전도상국가들의 공동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불공정한 양자간 무역 투자 협정을 촉발할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한국의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의원 여러분들께,
 
우리는 최근 협상 타결이 선언된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야기할 수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서 이 글을 씁니다. 우리들은 현재 한국과 미국, 영국 그리고 캐나다 등지에서 경제학과 인접 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입니다.
우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한미 양국의 중소기업과 그 기업들에 고용된 노동자들뿐만 아니라 농어민들의 경제적 안정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자유무역협정은 한국 정부의 독립적인 거시경제적 정책 수행 및 집행 능력을 현저하게 제약함으로써, 미국 경제에 대한 종속성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고 우리는 우려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우리는 그것이 국제적으로 불공정한 무역 체제 및 금융 체제 (unjust and unequal trade and financial system)를 확대 온존하는 효과를 갖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첫째, 한미 자유무역협정뿐만 아니라 지난 해의 콜롬비아-미국, 페루-미국, 파나마-미국간의 자유무역협정문에 공통으로 명시되어 있는 투자자-정부 소송제(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s; ISDS) 조항은 다국적 기업들과 금융 투자자들이, 해당 정부의 특정한 정책 때문에 자신들의 잠재적 이윤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할 때마다, 언제든지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걸 수 있는 배타적 권한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 투자자-정부 소송제도가 지금까지 국제적 투기 자본가들과 다국적 기업들에 의해서 빈번하게 악용되어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것은 다양한 ‘시장 실패’를 보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부의 사회 정책을 근본적으로 잠식할 위험이 큽니다.
둘째, 미국 행정부 산하의 무역대표부가 지금까지 체결한 모든 양자간 지역간 자유무역협정문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금융 서비스” 항목은 협정 체결국 내 제조업 부문의 성장에 필요한 안정적인 사회경제적 금융적 토대를 궁극적으로 부식시킬 수 있는 위험한 조항들을 담고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조항들이 아무런 여과 없이 그대로 관철된다면, 그것은 중소 규모 제조업 부문의 ‘탈산업화 (deindustrialization)’를 가속화시킬 것이고, 경제 전반적으로는 소수의 금융자산가들의 이익만을 보장하는 ‘금융부유화’(financialization) 과정을 초래하여, 그렇지 않아도 이미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양극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미간의 양자간 자유무역협정이 다른 발전도상국가들에게 또 다른 형태의 악영향을 끼치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과 미국이 타결한 자유무역협정은 현존하는 국제적 불공정 무역 및 투자 체계에 내재한 수많은 문제점들과 의제들을 다루는 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들 모국이 미국과 개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양자간 지역간 협상 및 비준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한국의 대통령과 국회의원 여러분께 다음과 같은 점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첫째 한국 정부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발전도상국가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자유무역협정문 내의 독소조항들을 제거하고 일체의 자유무역협정 추진을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둘째 우리는 한국 정부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다른 지역 안의 발전도상국가들 사이의 경제 협력을 촉진하고 상호간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다른 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할 것을 촉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국 정부와 시민단체가 발전도상국가들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주기를 바랍니다.
 
2007년 5월 5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6/01 12:46 2007/06/01 12:46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0

View Comments

4 월 23 일 초안 작성; 2007 년 5 월 4 일 수정 보완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한미 FTA 협상 타결과 한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반론과 비판
 
요약: 한국민들의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난 4 월 2 일 한미 양국의 협상 대표단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의 타결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그 이후 삼성경제연구소는 <한미 FTA 협상 타결과 한국 경제의 미래> (박현수, 김화년, 박번순, 민승규 연구원 작성 및 김경원 연구위원 감수) 라는 4 월 5 일자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이들은 한미 FTA 가 (1) 1980 년대 이후 추진된 한국경제의 “성공적인” 개방정책의 연속선상에서 “능동적으로” 추진된 것이고, (2) 중장기적으로 불안정성을 강화시킬 “대중국의존도를 줄이는”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3) 동북아시아와 “세계평화”에도 “기여”하는 긍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극찬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한미 FTA 에 대한 반대론이 (1) 일부 잠재적인 피해를 과대평가하거나 (2) 미국식 경제모델의 이식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기초하고 있으며, (3) 협상 절차에 대한 과도한 비판에 주목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한미 FTA 는 (1) “경쟁”을 통한 구조조정을 “촉진”하고, (2) “기업 규제”를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3) “투자 활성화”를 위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는 달리 한미 FTA 는 (1) 김영삼 정부 시절부터 급속하게 추진된 금융시장 개방 정책이 야기하고 있는 금융불안정성과 이에 따른 금융의 선순환 효과의 단절 문제, (2) 과도한 대미 무역의존도와 이에 따른 재벌의 지배력 강화 및 수직적 재벌-중소기업 관계의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또한 이 보고서가 주장하는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와 투자 증대 효과와는 달리, 한미 FTA 는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혁신적 중소기업의 기반을 잠식하고, 환경과 노동 및 임금 안정성을 해치는 것을 대가로 하여 한미 양국의 다국적 자본과 금융 자산가들의 물질적 이익만을 보장하는 금융부유화(financialization) 시스템을 강화할 것이다.
우리는 국회 차원의 논의와 비준을 앞두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논의가 더 이상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나 삼성경제연구소와 같은 어용 및 재벌부설 연구소의 일방적인 선전으로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다. 따라서 이 글은 의도적으로 논쟁적으로 씌어진다. 만약 논의과정에서 관련 데이터와 자료가 필요하다면 이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공개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한미 FTA 협상 타결과 한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반론과 비판
 
 
1. 들어가며
 
한국민들의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난 4 월 2 일 한미 양국의 협상 대표단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의 타결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그 이후 삼성경제연구소는 <한미 FTA 협상 타결과 한국 경제의 미래> (박현수, 김화년, 박번순, 민승규 연구원 작성 및 김경원 연구위원 감수) 라는 4 월 5 일자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1) 한미 FTA 협상 타결의 의의”, “(2) 한미 FTA 반대론의 허와 실” 그리고 “(3) 한미 FTA 의 전략적 활용”이라는 소절로 구성된 이 보고서는, 한편으로는 그 동안 노무현 정부가 국민들을 상대로 거짓 선전해 왔던 한미 FTA 의 기대 효과를 별다른 수정 없이 반복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대기업, 특히 삼성 재벌의 기대 이익을 노골적으로 대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 글은 이 보고서의 핵심적인 내용과 그 이면에 전제되어 있는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씌어졌다. 따라서 과연 한미 FTA 협상 타결이 이 보고서가 주장하는 바대로 (1) 한미 양국은 물론 “동북아시아 전체의 안정과 평화”를 가져다 줄 것인지, (2) 한미 FTA 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비판과 우려가 과연 설득력을 결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미 FTA 협상 타결을 기회로 삼아 한국 경제가 “전략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31 14:08 2007/05/31 14:08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1

View Comments

2. 한미 FTA 에 대한 근거 없는 환상과 과대평가
 
우선, 이 보고서는 한국의 재벌들이 1980 년대 이후 지속되고 있는 한국 정부의 “자유화” 조치,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경제 개방 정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한국의 재벌들은 이 개방 정책들을 아무런 문제 없이 “국제적인 글로벌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해온 과정”이라고 묘사하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의 그 어떤 나라도 경험하지 않은 70% 이상의 무역 의존도를 긍정적인 글로벌화의 지표라고 인식하고 있다.
 
70% 의 대외 무역의존도와 잠재적 불안정성
그러나 보고서의 주장과 달리 상품 무역이 전체 국내총생산의 70% 이상을 점한다는 것은 그만큼 한국 경제가 대외 경제의 변화와 충격에 취약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국내의 유효수요를 극한적으로 제한하는 억압적 노동정책을 통해서 달성된 수출주도적 경제성장은 더욱 낮은 저임금과 낮은 기술 수준을 바탕으로 맹렬하게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동아시아와 남미 개발도상국가들의 존재 때문에라도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다.
게다가 이는 수출 산업 부문과 내수 산업, 제조업과 서비스업, 대기업과 중소기업, 도시와 농촌, 그리고 임금 노동자들 사이의 소득 분배 구조를 악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해왔다. 따라서 70% 이상의 무역 의존도는 개별 국민경제의 양적 성장과 질적 고도화라는 측면에서도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이는 잠깐이라도 눈을 세계로 돌려 다른 나라의 상황을 살펴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는 일이다. 재정 적자와 함께 심각한 무역 적자를 경험하면서 국제경제적 불안정성의 진원지가 되고 있는 미국조차도 대외 무역 의존도가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도대체 OECD 에 가입한 그 어떤 나라가 세계 최악의 복지비 지출과 더불어 이처럼 기형적인 무역 의존도를 경험하고 있는지 살펴볼 일이다.
 
한국의 농수산물 관세 수준
또 한가지 이 보고서가 현실을 오도하는 대목이 있다. 그것은 이 재벌 보고서가 그동안 한국의 “농산물 분야의 관세 수준”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높게 유지되고 있어서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 보고서가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있는 사실은 자국의 농수산물 분야에 대해서는 OECD 에 가입한 모든 나라들이 보조금 지급이나 농수산물 품종 개량을 위한 R&D 지원이라는 명목 하에 다양한 형태로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을 해오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OECD 사무처에서 발행한 한 보고서(OECD 2006 무역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OECD 가입국 가운데에서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농업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OECD http://caliban.sourceoecd.org/vl=4065025/cl=14/nw=1/rpsv/factbook/10-02-03.htm 참조).
또한 유럽연합의 각국들은 여전히 광우병 뿐만 아니라 미국산 유전자조작 농수산물이 잠재적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위험 때문에 이에 대한 강력한 수입 규제 조치를 취해오고 있다. 이웃한 일본만 해도 국내산 쌀을 비롯한 몇 가지 중요한 농수산물에 대해서 지난 수십 년 간의 국제적인 압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커다란 비중의 보조금을 지급해오고 있다.
따라서 이 보고서가 한국의 “농산물 분야의 관세 수준”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 높다고 주장하는 것은, 수많은 국제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농업 분야를 보호하기 위해서 각국 정부가 취해오고 있는 여러 정책에 대해서 무지하거나 아니면 이를 의도적으로 은폐하는 것에 불과하다.
자국 국민들이 광우병이나 유전자조작식품이 잠재적으로 야기할지 모르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정당한 우려를 도외시하면서까지, 한국의 재벌기업은 값싼 농수산물의 수입을 통해 국내 임금 상승 압력을 줄이고, 결국에는 공산품 수출을 통해 보다 많은 이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은연중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개방의 부작용(?)과 재벌체제
이 보고서는 또한 “개방 과정에서 외환위기를 겪었으나 구조 조정 노력을 통해 세계적 자유시장경제의 확산에 대응”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개방의 부작용”과 “국내 사회경제적 시스템의 노화”가 외환위기를 야기했지만, 한국 경제는 이 외환위기의 충격을 “성공적으로 흡수하고” 세계적 차원의 지역주의”[다자간 협정을 통한 지역 내 차별적 경제교류]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왔다는 것이다.
우선, 이들이 “개방의 부작용”이라고 두루뭉실하게 말하는 것이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이 보고서를 통해서는 알 수 없다. 더불어 “국내 사회경제적 시스템의 노화”라는 말로 이들이 지적 또는 외면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불투명하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외환위기를 야기하여 수많은 중소기업을 도산하게 만들고 이와 더불어 수없이 많은 실업자를 양산한 데에는, 그리고 그 이후 한국의 경제구조를 급속하게 재편시켜 노동 및 소득 분배 구조를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후퇴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것이 한국의 재벌체제였다는 점이다.
더불어 기업의 소유권과 경영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참가를 그 핵심으로 하는 소위 민주적 기업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의 측면에서는 외환위기 이전이나 이후에나 한국의 재벌체제에는 그 어떠한 결정적인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도 명백한 사실이다.
이 보고서를 쓴 연구원들이 몸담고 있는 삼성은 아들 이재용에게 소유지분을 불법으로 양도하려고 시도했던 이건희 씨가 그 어떤 법적 제재도 받지 않고 여전히 회장직을 유지하고 있고, 족벌체제를 비판하면서 사내에 노동조합을 만들려고 노력했던 노동자를 구속시키는 구태를 반복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앞에 두고, “외환위기의 충격을 성공적으로 흡수”했다고 말하는 그들은 도대체 어떤 부류의 인간들인가. 혹시 이들은 외환위기 전후 국내외적인 거센 압력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족벌체제를 유지해오고 있다고 말하는 것인가.
 
<사다리 걷어차기>에 대한 자의적 인용
여기서 자신들의 억측 주장을 옹호하기 위해 들이댄 또 한 가지 사례를 지적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이들은 “국내 이해 관계 조정 역량이 미흡하여 한국의 통상외교는 이중적인 형태를 갖게 되어 국제사회의 신뢰를 상당히 잃어버린 상태”라고 근거 없는 주장을 한 후, 한미 FTA 에 대한 격렬한 비판자 가운데 한 사람인 영국 캠브리지(Cambridge) 대학의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책의 일부를 인용하고 있다. “WTO 협상에서는 공업분야의 이익극대화를 위해 개방을 주장하지만 불리한 농산물의 경우 ‘개발 도상국 지위’를 요구한다”면서 말이다.
그러나 우선 장하준 교수의 책 <사다리 걷어차기>는 현재 WTO 체제라는 이름으로 강요되고 있는 상품 및 서비스 무역과 투자에 관한 일련의 협상들이 이미 성공적으로 경제성장을 달성한 나라들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재의 개발도상국에게 불리한 협정 내용을 강요한다는 것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삼고 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의 각국들이 라틴 아메리카나 아프리카 그리고 아시아의 개발도상국가들에게 ‘자유 무역의 이점’이라는 이름으로 강요하고 있는 농산물 보조금 철폐, 자국 제조업 분야에 대한 각종 보조금 지원과 수출 장려 정책 등의 철폐, 더 나아가서는 지적 소유권과 특허권에 대한 엄격한 준수 요구 등은 역사적으로 현재의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이 실제로 자국의 경제 성장을 달성하는 과정에서는 ‘철저하게’ ‘의도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위반하였던 정책이라는 것이 장하준 교수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이러한 자본주의적 산업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적 분석은 삼성경제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주장하는 “국제사회의 신뢰 상실” 운운과는 하등의 관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엄혹한 국제적인 차원의 신자유주의 체제의 확산 속에서 어떻게 하면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면서 전략적으로 대응할 것인가 하는 물음에 답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그 해답은 결코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를 쓴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일 수밖에 없다.
 
“고급 소비자가 존재하는 미국 시장”과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중국”
마지막으로, 한미 FTA 협상 타결의 의미와 관련하여 이들은 마치 이것이 동북아시아의 평화는 물론 세계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인 양 과대포장하고 있다. 그들이 한미 FTA 가 동아시아의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핵심적인 근거는 이를 통해 “과도한 중국 의존도”에서 탈피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러나 중국과의 대외 무역이 증가한다는 것이 어떻게 해서 한국경제의 “경제적 리스크”를 증대시킨다는 것인지 이들은 전혀 설명하지 않고 있다. “기술 이전”이나 “산업 공동화의 우려”를 운운하는데, 이것은 국내 제조업 분야의 중국 이전을 부채질해왔던 것이 바로 김영삼 정부 이후 지금까지 한국 정부가 대책 없이 추진해왔던 급속한 글로벌화의 부정적 산물이었다는 점을 은폐하는 주장이다. 국내 제조업 분야가 공동화되고 있다면, 그것은 중소규모 제조업 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이에 합당한 산업정책이 부재하거나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결코 ‘중국 위험론’의 근거가 될 수 없다.
이들이 진정으로 “중국 내부의 정치적 격변”과 “정책의 불연속성”을 근거로 한국 경제의 리스크를 점치고 있다면, 적어도 이들은 이와 동일한 비중으로 ‘글로벌 임발런스’(Global Imbalance)라는 이름으로 이미 수년 전부터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문제, 즉 국제경제의 불안거리를 가중시키고 있는 미국의 막대한 재정 및 무역 적자 문제를 거론했어야 했다.
지난 수년간 세계경제에서 미국 달러화에 대한 신용도가 줄어들고 있고 (한국이 수출입 구조를 다변화해야 하는 이유이다), 미국 재무부와 연방준비은행은 자국의 무역 적자를 줄인다는 미명하에 달러화 가치를 저평가하여 자국의 만성적인 경제문제를 무역 상대국으로 이전시키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지난 2~3 년간 한국의 원화가 지속적으로 절상되고 국내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된 결정적인 이유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 국내적으로도 지난 수년간 이라크 전쟁을 통해 벌어들인 다국적 기업, 특히 군수산업체의 막대한 이윤과 중동의 원유 수출국가들 및 미국 정유업체가 고유가의 지속을 통해 벌어들인 막대한 양의 페트로 달러(Petrodollar)는 이제 그 넘쳐나는 유동성을 주체할 수 없게 된 미국 투자은행들에 의해서 서서히 투기적 대출과 외환 투기의 행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비단 미국 내부의 자산(주식, 부동산) 가격의 앙등과 거품 붕괴에 따른 불안정성뿐만 아니라 다변화된 포트폴리오 투자 (portfolio investment)라는 이름으로 해외에 대출된 자금의 급속한 회수 및 이에 따른 국제적 차원의 금융 불안정을 야기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급 소비자가 존재하는 미국 시장”과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중국 시장”이라는 기묘한 대비를 통해 이들이 “미국시장에서 입지 재강화”와 “세계시장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운운하는 것은 단지 이들의 머릿속에 뿌리 박힌 숭미주의를 드러내는 것이거나 국제정치경제의 현황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 것이거나 둘 중의 하나일 뿐이다.
“세계시장 포트폴리오 다변화”라는 이름으로 정작 한국 정부와 민간기업이 오래 전부터 추진했어야 하는 것은 그렇지 않아도 기형적일 정도로 그 비중이 과도하게 높은 대미 무역 의존도를 서서히 줄이고 외환 구조를 다변화하는 일이었다.
 
한미 FTA 가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인다는 기괴한 주장
이들은 마치 한미 FTA 를 달성하는 것이 “미국과의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는 것인 양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동북아시아 외교정책의 영역에서 “한국의 의지를 관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허무맹랑한 주장까지 펼치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도대체 지금까지 역대 한국 정부가 미국 행정부와 투기 자본가들을 향해서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국제사회의 조롱거리가 되면서까지 부도덕한 이라크전쟁에 군대를 파견하는 등의 사대주의적 정책을 취한 것이 한미간의 FTA 를 체결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말인가?
또는 역으로 김대중 정부 시절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외교역량을 발휘했던 것은 그 이면에 미국과 나중에라도 FTA 를 체결하겠다는 이면합의를 전제로 했었기에 가능하기라도 했다는 말인가?
더 나아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체결한 멕시코나 미국과 양자간 무역협정을 체결한 칠레가, 국제적인 조롱의 대상이 된 것은 차치하고서라도, 언제 단 한번이라도 라틴 아메리카 대륙의 “외교정책의 영역”에서 “의지를 관철”한 적이 있었는가?
더욱 어처구니가 없는 것은 “한미 FTA 는 성장하는 동북아와의 연결고리를 [미국에] 제공하면서 미국 무역수지 적자 축소에 기여하고 세계경제 안정에도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대목이다.
필자가 보기엔 아무래도 한국의 굴지의 민간기업 연구소라는 집단이 미국의 재정적자 문제를 자신의 문제인 양 심각하게 고민하고, FTA 라는 괴이한 수단을 통해서라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미국 측에 제공해야 한다는 발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어떻게 한미 FTA 가 미국의 재정적자 축소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말도 안 되는 주장과 질문에 대한 답변에 앞서, 보다 심각하게 다루어져야 할 질문인 것처럼 보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31 14:06 2007/05/31 14:06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2

View Comments

3. 한미 FTA 반대론 반박의 허와 실
 
한미 FTA 에 대한 반대론이 대부분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단정하면서 자신의
무지를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민주 사회의 책임 있는 정치인으로서는 도저히 해서는 안될 행위를 일삼았던 대통령 노무현 씨와는 달리, 이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가 지닌 유일한 장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그들이 한미 FTA 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이 무엇인가를 소개하고 나름대로 반박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들의 반박 “한미 FTA 반대론의 허와 실”은 필자로 하여금 ‘반박의 허와 실’이라는 제목을 즉각 연상시킬 만큼 근거 없는 억측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이 쓴 보고서에 따르면 한미 FTA 를 반대하는 주장에는 크게 5 가지 부류가 있다. 첫째로 (1) 개방 자체에 대한 반대론이 있고, (2) 농업 피해에 대한 우려론이 두 번째요, (3) 미국식 경제모델의 도입에 대한 거부감, (4) 협상 절차 및 내용에 대한 비판, 그리고 (5) 다자간 무역체제를 위협한다는 주장 등이 그것들이다. 이 절에서는 이 보고서 집필자들의 반론들을 하나하나 짚어보고자 한다.
 
개방의 부작용에 대한 과도한 우려(?)
우선, 그들은 한미 FTA 에 대해서 반대하는 사람들이 “개방에 따른 일부 산업의 피해에 관심을 집중”하거나 “외환 위기 이후 개방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을 개방 반대론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미 FTA 는 “준비되지 않은 개방이 아니라 한국 정부가 스스로 선택한 능동적인 개방”이라는 말도 덧붙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이러한 주장은 개방에 따라 피해를 입을 산업부문이 단순히 “일부” 농수산물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국민 경제 전체 내에서 여전히 압도적인 다수의 고용과 임금을 보장하고 있는 중소기업 분야 및 이에 기반한 서비스업 등, 한국의 독점재벌 기업들이 어느 정도 국제 경쟁력을 갖춘 산업부문을 제외한, 전 영역에 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은폐한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경우에 따라 다수의 이익을 위해 불가피하게 소수가 희생될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전체주의자들의 논리보다도 더욱 무서운 극단적인 주장이다. 간단히 말해 이것은 이 보고서를 쓴 연구원들이 소속되어 있는 삼성 기업의 반도체와 일부 전자 제품 분야, 그리고 자동차 산업과 조선업 분야의 잠재적인 이윤 증대를 위해서 전체 국민 경제가 희생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그것이 아니라면,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은 그들이 말하는 “산업구조의 고도화”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한미 FTA 를 통해 ‘어떤 성장 동력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인지’에 대해서 분명하게 밝혀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재정경제부는 한미 FTA 협상과는 별개로 이미 수년 전부터 자체의 입법 제청권을 이용해 ‘금융산업 통합법’을 국회에서 통과시킨 바 있다. “금융산업의 발전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라는 동일한 명분을 내걸고 진행된 이 법적 조치는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진행된 은행 산업 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통폐합으로도 모자라 이제 덩치를 키운 국내 은행을 미국식 투자은행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거창한 계획을 내걸고 있었다. 혹시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인가? 국내 은행산업을 미국식 투자은행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바로 이들이 말하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인가를 질문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금융산업의 발전이건 산업구조의 고도화이건, 일체의 금융정책은 제조업과 비금융 산업 분야의 장기적인 투자와 고용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제도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더불어 금융산업 분야의 고유한 사업영역과 요건 등에 관한 강력한 감시와 규제를 위한 법적 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어떤 이름을 붙이건 간에 그것은 압도적인 다수의 중소기업과 그 기업들에 고용된 노동자들의 이익을 희생하면서, 막대한 이윤 유보금과 비은행권 금융기업이 소유한 금융자산을 차용할 수 있는 소수의 재벌 기업과 금융 자산 소유자들의 이익만을 체계적으로 보장하는 ‘가진 자들의 천국’을 만드는 것에 불과할 것이다. 안타깝게도 금융산업 통합법과 강력하게 결합된 한미 FTA 는 압도적 다수를 희생시키면서 소득을 재분배하는 강력한 외부적 지렛대로 작용할 것이다.
 
세계화 = FTA(?)
개방 자체를 반대하는 논자들을 비판한답시고 이들이 왜곡하고 있는 또 한 가지 사례가 있다. 그것은 “세계화의 흐름은 거부하기 힘든 추세이며 개방을 거부하는 것은 세계적 경쟁 대열에서 이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말이다. 더불어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지난 50 년간의 고도성장이 바로 개방을 통한 교역 확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말하는 대목도 의미심장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들의 발언은 미국과 FTA 를 체결하지 않은 수많은 나라들의 존재를 간단하게 부정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해 정부는 어떠한 전략적 개방 정책을 취해야 할 것인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언어적 폭력이다.
이 지면을 빌어 거듭 말하건대, “세계화의 흐름이 대세”라는 주장, 그래서 한미 FTA 를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는 대통령 노무현과 정부 당국자들의 주장이 얼마나 어리석은가는 왜 유럽 각국들은, 심지어 이웃한 일본이나 중국은 미국과 양자간 투자 협정을 체결하지 않고 있는가 라는 간단한 의문을 품는 것만으로도 분명히 드러난다. 이것은 그들이 FTA 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양자간 협정의 불평등성을 정확히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적 안전장치에 대해 FTA 와 같은 양자간 협정이 어떠한 악영향을 끼칠 것인가를 정확하게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0 년간의 급속한 산업화 과정이 개방을 통한 교역 확대 때문에 가능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현실을 오도하는 주장에 불과하다. 지난 50 년간 박정희 정권 시절부터 시작된 강력한 국가주도적 수출지향적 산업화 정책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의 강요, 억압적 노사관계, 정치적 권위주의 체제의 지속이 바로 한국 경제의 급속한 산업화 과정의 이면에 자리잡은 핵심적인 요소들이다.
국내 유치산업을 보호하고 정책 금융과 보조금 및 수출 장려금 등의 물질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중앙집권적 국가 계획을 통해서 중화학 공업부문과 자본재 산업부문을 속성 발전시켰던 것, 바로 그것이 2 차 대전 이후 식민지 체제로부터 독립했던 신생 독립국가들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한국(과 소수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산업화를 달성할 수 있었던 조건들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바로 이 과정이야말로 이 보고서를 쓴 연구원들이 부역하고 있는 한국의 재벌체제가 형성되는 과정 그 자체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새삼스럽게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는, 그렇지 않았더라면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맹목적으로 신봉했을 세계은행(World Bank)의 1993 년 보고서조차 인정하고 있는 엄연하고도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역사적 사실이다.
 
농업부문 피해에 대한 과장(?) – 희생자 때리기
다음으로,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거론하고 있는 ‘부실한’ 한미 FTA 반대론은 국내 농업부문에 대한 피해를 우려하는 사람들이 내걸고 있는 주장이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한다면, 이들이 반박의 근거로 내세운 주장들은 도처에서 서로 모순되고 있다.
한편으로 이들은 우루과이라운드와 한-칠레 FTA 가 농업부문에 끼친 피해는 “당초의 예상보다 크지 않다”고 강변하면서 한미 FTA 의 경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이들은 “1992 년부터 2006 년까지 130 조원이 넘는 예산이 농업과 농촌에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이 “비용 편익 등 경제성을 철저하게 따지는 경영적 관점이 취약”했기 때문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 차원의 이와 같은 재정 지원에도 불구하고, “농가 소득증가율이 둔화되어 도시와의 소득격차가 계속 확대되고 가구당 부채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 이들은 (1) 우루과이라운드와 한-칠레간의 FTA 가 실제로 농업 분야에 커다란 충격을 주지 않았고, 게다가 (2) 정부가 130 조원이나 되는 예산을 투입했다는 것을 고려할 때, (3) 여전히 농민들이 점증하는 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 외부의 충격 때문이 아니라 결국 그들이 무식하고 게을러서 그렇게 된 것뿐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들은 마치 한미 FTA 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현 정부가 마련하고 있는 농업 지원 프로그램을 마지막 남은 한번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말하면서 은근히 협박을 해대고 있다. “농업의 구조조정과 생산성 제고가 필요한 상태에서 한미 FTA 에 대비하는 지원 프로그램을 잘 활용할 경우 농업이 효율적인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말은 사실상 이러한 협박과 다를 바 없다.
여기서 이 보고서의 필자들이 몸담고 있는 한국의 재벌체제가 어떻게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왔는가를 다시 진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더불어 농민들에게 “국내 농업 시장과 국제 농업 시장간의 가격 연계성을 제고”시키라고 짐짓 점잖게 충고하고 있는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과연 연방정부의 막대한 농업보조금과 시설 지원 그리고 자국 농산물의 가격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개발도상국과의 협상에서 농업시장 접근 장벽을 낮출 것을 강권 협박하는 미국과 유럽연합의 농업정책을 과연 어느 정도까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질문할 필요성도 필자는 느끼지 못한다.
다만 한 가지. 그렇게까지 한국 “농업부문의 생산성 제고”와 “경영 마인드의 확충”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면, 그리고 그것이 한국과 같은 소규모 경지에서도 실제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면, 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몸담고 있는 삼성경제연구소를 역시 다소 경영 마인드가 부족한 것처럼 보이는 준 국책연구기관 농촌경제연구원에 복속시킬 것을 공개적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유럽의 우파 vs. 한국의 ‘수구 꼴통’
세 번째로 소위 “경영 마인드”로 무장한 이 연구원들이 거론하는 한미 FTA 반대론은 미국식 경쟁체제의 도입에 대한 거부감이다. 이들은 설사 “미국식 모델”과 “유럽식 모델”이 이념형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경쟁체제의 강화”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도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을 도입하는 추세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 대표적인 사례로 이들이 거론한 스웨덴의 2006 년 선거에서의 우파 정부의 집권은 이 연구원들의 주장과는 전혀 다른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서유럽과 북유럽의 서구 복지국가들 내에 존재하는 우파는 삼성경제연구소의 연구원들이나 한나라당의 ‘수구 꼴통’들과는 질적으로 다른 우파라는 사실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스웨덴에서 우파는 임금 소득의 45% 이상을 사회복지를 위한 세금으로 거두어 들이는 것이 ‘노동과 투자의 창의성을 줄일 뿐만 아니라 혁신주도적 기술 변화를 촉진하는 데에도 방해’가 된다고 주장하면서 40% 정도로 사회연대세를 낮추어야 한다고 말하는 우파이다.
그들은 OECD 국가들 가운데 전국민 의료보험제도의 실시를 제외하고는 멕시코와 더불어 여전히 최하위의 바닥권을 헤매고 있는 한국의 우파들, 심지어 그나마 김대중 정부 하에서 사회복지비를 조금이라도 올리려고 했던 시도를 ‘복지병’을 운운하면서 격렬하게 반대했던 한국의 ‘수구 꼴통’들과는 질적으로 다른 부류의 우파들이다.
물론 글로벌화에 따른 국제경쟁의 중요성과 이에 따른 경쟁 체제의 강화를 떠들어 대는 것은 서유럽이라고 다를 것이 없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이들이 실제로 지금까지 존재했던 사회체제의 기본 근간으로서의 복지정책의 취지와 지향을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급격하게 축소한 사례는, 90 년대 내내 그토록 세계화라는 구호가 유령처럼 전세계를 횡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차례도 없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연구원들이 한미 FTA 체결을 강행하기 위해 독자를 기만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전세계가 그렇게 돌아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면, 이 자리를 빌어 강력하게 요구한다. 서유럽 복지국가들 가운데 단 하나라도 실질적인 복지 정책의 대폭적인 축소를 경험한 사례를 제시해 보라고 말이다.
그렇지 않다면 “유럽 국가들도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펼치면서, 한걸음 더 나아가 바로 그렇기 때문에 한국은 미국식 금융체제와 노동구조를 하루라도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독자들을 기만 협박하지는 말기를 바란다.
 
개방의 지표와 소득 재분배 효과
미국식 모델의 수용과 관련된 논란과 더불어, 이들은 (1) 세계화나 개방이 양극화의 원인이 아니며, (2) 투자자-국가 소송제도 도입에 관한 우려도 과장되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우선 이들은 “개방이 없었을 경우 국가간 또는 일국내의 소득 불균형은 더 심화되었을 것이며, 세계화의 흐름에 부응한 국가가 더 많은 이익을 향유”했다는 세계은행과 NBER 연구 보고서를 각각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는 “세계화”와 “개방”의 정도를 도대체 어떤 지표를 이용해 측정했는가에 대한 아무런 설명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예컨대 박정희 정권 하에서 국내 특정 산업에 수출 보조금을 지급하고 각종 조세 혜택을 제공하며 더불어 선택적 정책 금융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수출 목표를 달성하도록 장려된 기업이 있었다고 가정해 보자. 당연히 그 기업은 미국이나 기타 해외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상당 부분 높일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기업과 정부는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가 인용하고 있는 세계은행 보고서에서 개방 국가로 분류될 것인가?
기왕 가정법을 사용한 김에 또 한 가지 예를 들어 보자. 현재 한국의 국민은행을 포함한 거대 시중은행 자산의 상당 부분을 해외 자산가들이 소유하고 있다. 국내의 주식시장은 물론 주요 자산에 대한 해외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의 자산 투자 규모는 거의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증대해 왔다. 다시 말해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자산 및 금융시장은 한두 가지의 긴급 예외 조치를 남겨두고 거의 개방되었다고 말해도 무방할 정도로 철저하게 세계화 또는 개방되어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들이 인용하고 있는 세계은행의 보고서는 이와 같은 단적인 사례 가운데 어떤 개방을 계량화해서 분석한 것인가?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 규모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점증하고 있다. 중국은 상품 무역 수출을 통해 막대한 외환 보유고를 유지하고 있고, 이를 활용해 국내 산업 기반 건설과 정책 금융 지원은 물론 해외 도처의 에너지 자원을 구입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은행의 보고서에 비추어서 이미 세계화된 나라인가 아닌가?
이러한 모든 의문들은 결코 단순한 비아냥이 아니다. 어떤 경제학자가 세계화 또는 개방의 정도가 일인당 국민소득 증가율과 긍정적인 상관관계 (positive correlation)를 지니고 있다고 말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세계화와 개방의 정도를 측정할 것인가, 도대체 어떤 지표를 어떻게 계량화하여 개방의 정도를 가늠할 것인가를 먼저 분명하게 제시하는 것이 기본적인 상식이다.
이 기본적인 상식도 지키지 않은 채 삼성경제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세계화 또는 개방이 일인당 국민소득 증가율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아예 세계화 또는 개방 그 자체가 소득 증가를 가져온다는 인과론적 설명(causal relation)으로 세계은행의 보고서를 왜곡하고 있다.
한미 FTA 라는 이름의 양자간 협정이 국제무역기구(WTO) 체제 하의 다자간 협정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또는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의 다자간 무역 및 투자 체제가 그 이전의 일련의 상품 무역과 관련된 국제 협정과 어떤 질적인 차이가 있는지에 관해서는 조금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그들에게는 양자간 무역 및 투자 협정이건, 다자간 협정이건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들은 그것이 상품 무역에 관한 협정인지 지적 소유권에 관한 협정인지 또는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협정인지에 관한 그 어떤 주의도 기울이지 않고 오로지 ‘개방 = 세계화 = 경제성장 = 소득 증가’라는 단순 등식을 독자들의 머릿속에 주입시키려고 발버둥을 치고 뿐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박정희 정권 하의 수출지향적 산업화 시기와 전두환 노태우 정권 하의 자유화 조치들, 더 나아가 현 대통령 노무현이 존경한다던 김영삼 정권 하의 맹목적인 개방정책 사이에 아무런 차이도 발견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개방과 세계화가 예컨대 일인당 소득 증가율 (인구 대비 국민총생산)이 아니라 국내 소득의 재분배에,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역학관계에, 중소기업과 독점재벌의 그렇지 않아도 수직적인 통합관계에, 또는 경영자와 도시 임금 노동자들의 소득 분배에,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시 거주민과 농어촌의 빈민들 사이의 소득 분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단 한번이라도 주의를 기울인 적이 있는가 라고 질문하는 것은 차라리 사치스럽게 느껴질 정도이다.
 
FTA = 양극화 해소의 계기(?)
다음으로, 이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한미 FTA 가 “장기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여 양극화 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제 조건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로 한미 FTA 를 계기로 해외로부터 장기적인 투자와 고용을 보장하는 생산적인 자본 (단기 투기 자본에 대비되는 자본)이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형태로 대거 유입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기업 퇴출과 실업 증가”를 만회할 수 있을 정도로 새로운 일자리가 단기적으로 대거 창출되어야 한다.
둘째, 비록 일시적으로 퇴출되는 기업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와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중소산업 부문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단기간 내에 성장하여 국내 고용 창출 규모를 늘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대단히 애석한 말이지만, 첫째 현재와 같은 한미 FTA 는 장기적인 투자와 고용을 보장하는 생산적인 자본과 단기성 투기 자본을 구별하는 관련 금융감독 기구의 정당한 감시와 규제 기능을 근본적으로 박탈하는 규정을 금융 서비스 분야의 대표적인 조항으로 삼고 있다.
더불어, 이것은 전자의 생산적인 장기 투자를 유도하고 후자의 투기 자본을 규제하는 일체의 산업정책 및 금융관련 규제정책을 ‘자유무역’의 이름으로 또는 ‘완전 자본시장’의 이름으로 근본적으로 무력화하고 있다.
대단히 애석한 말이지만, 셋째 현재의 한미 FTA 는 일시적인 기업 퇴출과 실업 증가에서 그치지 않고 여전히 초급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금융 및 조세 혜택을 필요로 하는 국내 중소기업의 자생력과 기술혁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뿌리뽑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장기적으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어 “양극화 문제를 완화”할수 있을 것이라고? “장기적으로” 우리 인간은 모두 죽는다.
 
NAFTA 와 멕시코
이들의 이러한 현실 오도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근거 없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이들이 내세우고 있는 것은 북미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이후 멕시코의 지니 계수가 하락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먼저 이들이 이용했다고 하는 OECD 자료가 과연 얼마나 신빙성 있는 자료인지부터 먼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다름으로 이들이 과연 해당 자료를 제대로 분석 집계했는지도 분명히 의문에 부쳐져야 할 것이다.
이것은 괜한 딴지가 아니다. 첫 번째로 OECD 자료는 각국 정부가 자발적으로 제출하는 통계자료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얼마든지 정부 차원의 의도적인 자료 조작이 가능하다는 난점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북미자유무역협정 발효 이후 멕시코의 경제상태는 전혀 호전되지 않았으며, 국내 소득격차는 악화되면 악화되었지 결코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 분야를 연구하는 경제학자들과 전문가들의 중론이라는 점도 반드시 언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해서는 다른 글을 통해 설명할 것임).
설사 백 보를 양보해서 이 모든 필자의 의문과 추측들이 근거 없는 것이고 OECD 데이터와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들의 분석 능력을 신뢰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나 그 경우에도 우리는 북미자유무역협정 발효 이후 지난 10 년간 지역간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개선되었다고 하는 멕시코 내의 소득 불평등 정도가 53.0 에서 48.0 으로 바뀌었다는 것밖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없다.
10 년이라는 장기적인 구조조정과 이에 따른 막대한 인적 사회적 고통을 감내하면서, 멕시코 국민이 이루어 낸 거대한 성과라는 것이 고작 지니 계수를 53 에서 48 로 낮춘 것뿐이다!
이것이 내노라 하는 삼성경제연구소의 연구원들이 그토록 자신감 있게 부르짖었던 한미 FTA 를 통한 양극화 해소론의 근거인가? 세계 최대의 옥수수 품종 다양성으로 유명했던 멕시코가 지난 10 년간 세계 최대의 옥수수 수입국으로 탈바꿈하고, 연간 수십만 명에 이르는 ‘불법’ 이민자들이 목숨을 걸고 사막을 건너 텍사스 주를 포함한 미국 남부 주들로 이주하는 비극을 연출하며, ‘마낄라도라’라고 불리는 단순 조립 산업 공장 지대에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으로 연명해 나가며, 위대한 멕시코 국민이 지난 10 년간 이룩한 것이 고작 지니 계수를 48 로 낮추는 것이었는가 말이다.
 
투자자-국가 소송제도는 ‘국제규범’이 아니다
이들이 독자를 상대로 사기를 치고 있는 또 하나의 사례는 바로 투자자-국가 소송제도(ISDS)이다. 그들의 첫 번째 사기는 이 제도가 미국식 FTA 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투자협정 시 반드시 포함되는 “보편적인” 제도라고 강변하는 데 있다.
그러나 투자자-국가 소송제도는 결코 “외국기업에 공정하고 비차별적인 규제정책을 수행”하기 만들어진 제도가 아니며,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이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옹호될 만한 가치가 있는 사안도 아니다.
그들이 부지불식간에 실수로 집계 인용하고 있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체결 국가간의 투자자-국가 소송 사례에 관한 도표(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13 쪽; UNCTAD 2005; Public Citizen survey 자료도 참조)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이 제도를 악용하여 정부를 상대로 제소한 사안의 핵심적인 부분은 대부분 환경보호와 우편 서비스, 식품안전과 위생 그리고 부동산 등 사회 전체의 공공재와 직결된 사안들이다.
따라서 문제의 핵심은 개별 민간 기업 또는 단순 투기 자본이 자신들의 잠재적인 이윤 상실을 근거로 지방 및 중앙 정부를 제소하여 정부 차원의 공적 서비스 기능을 근본적으로 약화 잠식한다는 데 있다.
이러한 명백한 사실을 앞에 두고, 마치 이것이 모든 국제적 투자협정에 수반되는 필수불가결한 조항일 뿐만 아니라 만약의 경우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도 이 제도를 활용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들이 얼마나 공적 사회정책에 대해서 무지한지, 그리고 이들이 말하는 “경영 마인드”와 “효율성”이 얼마나 천박한 것인지를 드러낼 뿐이다.
 
다자간 협정 vs. 양자간 협정
다음으로 이들이 반박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협상 절차 및 내용에 대한 ‘어리석은’ 대중들의 투정이다. 이들은 “협상 내용 및 전략을 공개하는 것은 협상력을 저하시키는 행위이며” “한미 FTA 협상과정에서도 비공개문건이 외부로 유출되면서 협상에 차질을 초래”했다고 경고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한미 FTA 협상 개시를 구걸하기 위해 이른바 ‘4 대 선결요건’을 국민 경제 전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고려도 없이 들어준 통상교섭본부장과 대통령의 행위를 두고 “협상 전략”을 운운하는가?
물론 협상 전략과 협상 절차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정보를 제한하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협상이 끝난 지금은 협정 내용 전문을 조속한 시일 내에 철저하게 공개해야 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는가?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이 보고서를 쓴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들이 앞장서서 협정문 공개 절차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현 정부가 보이고 있는 꼴사나운 행태를 적극적으로 비판해 주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한미 FTA 와 같은 양자간 무역 및 투자 협정이 다자간 무역체제 (WTO 체제)를 위협한다고 비판하는 영미 학자들의 견해(미국 뉴욕 컬럼비아 대학 경제학과 바그와티 교수와 영국 소재 파이낸셜 타임즈의 칼럼니스트 마틴 울프)를 소개하고, 이에 대해 반론을 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다자간 협정과 양자간 협정이 지닌 수많은 차이들 가운데 최근 핵심적인 문제로 이 분야의 연구자들 사이에서 부각되는 공통의 지적 사항을 언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것은 다자간 또는 지역간 협정과는 달리, 한미 FTA 로 대표되는 양자간 협정은 기본적으로 협상 참가국들의 비대칭적 협상력(asymmetric bargaining power)을 최대한 악용하는 절차라는 비판이다.
국제무역기구(WTO) 체제 하의 일련의 라운드 협상이 문제가 없는 것이 결코 아니다. 최근 온라인 신문 프레시안과 레디앙에 각각 소개되었던 케빈 갈라거 (Kevin P. Gallagher) 보스턴 대학 교수가 지적했고, 하버드 대학의 다니 로드릭 (Dani Rodrik), 캠브리지 대학의 장하준 그리고 이 보고서의 집필자들이 겨냥하고 있는 마틴 울프와 바그와티 교수 등이 모두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의 핵심 규정들은 현재의 개발도상국가들이 자국의 경제성장을 위해 취할 수 있는 일체의 정책수단들을 박탈하는 것을 겨냥하고 있다 (관련 기사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투성이 다자간 협상과 비교할 때조차 한미 FTA 와 같은 양자간 협정은 더욱 심각한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이미 앞서 지적했던 것처럼, 금융 서비스 항목 내의 일련의 탈규제 조항들과 투자 항목의 투자자-정부 소송제도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실질적이면서도 구체적인 효과”
흥미롭게도 이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원들은 지금까지의 거짓말과는 달리 바로 이 대목에서 자신들이 현실적인 ‘국제감각’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FTA 가 증가하는 것은 다자간 무역협정의 문제점에서 비롯”되었고, “미국은 우루과이 라운드의 부진에 대응하여 NAFTA 협상을 시작”했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FTA 는 이론상 다자간무역협정에 비해서는 차선책임이 분명하나, 실질적이면서 구체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수단”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 “실질적이면서 구체적인 효과”라는 것이 결코 협상 당사국 국민 전체의 복지와 이익을 증진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것은 미국의 다국적 자본과 한국의 재벌기업들 그리고 양국의 금융자본가들의 거칠 것 없는 이윤 기회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한국의 중소기업들과 해당 기업 노동자들, 기술 수준을 측정하기 어려운 다양한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광범위한 서비스업 노동자들의 고용과 임금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것이다.
따라서 양자간 협정이 지닌 심각한 위험 때문에라도, 한국 정부와 시민단체는 WTO 체제 내에서 발전도상국들의 공통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선진국들의 일부 다국적 기업의 이윤기회만을 보장하는 다자간 협정 내의 독소조항들을 비판했어야 했다. 한국 정부와 시민단체는 양자간 협정이 지닌 심각한 위험을 막고 미국에 대한 과도한 무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동아시아와 아시아 전역을 포괄하는 호혜와 평등을 원리로 삼는 대안적인 지역적 경제협력 방안을 구상하고 집행하기 위해 노력했어야 했다. 그것이 한미 양국의 다국적 자본과 금융 자산가들 계급의 전횡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31 14:01 2007/05/31 14:01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삼성경제연구소 한미 FTA 보고서 비판 3

View Comments

4. “한미 FTA 전략적 활용론 허와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 집필자들이한미 FTA 전략적 활용이라는 소절에서 밝히고 있는 기대 효과는 크게 (1) “경쟁에 의한 구조조정 촉진, (2) 기업 규제 개선의 계기, (3) “투자 활성화의 계기 등이다. 이외에 이들은 (4)

한미 FTA 한국이 동아시아의 경제축으로 발전하는 계기 있을 것이며, 나아가 (5) “한반도 평화정착의 계기 있다고도 말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의 비대칭적 구조조정

이들은 우선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은 자산매각, 사업구조 조정 등을 통해 어느 정도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상태 반면, “중소기업은 구조조정 부진, 경쟁력 저하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러나 이들이 이런 말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재벌기업 집단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조조정을 해왔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들이 말하는 대기업 집단의 구조조정 노력이란 기껏해야 대기업의 불법적인 자산 소유권 상속과 같은 족벌체제 유지 노력에 불과할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은 자산매각, 사업구조 조정을 통해 기업 구조를 조정했다고? 외환위기 이후 중소기업은 자산매각이 아니라 파산 신청을 통해, 사업구조 조정이 아니라 기업 퇴출을 통해, 그리고 수많은 자살과 불가피한 파산 이민을 통해, 재벌체제가 야기한 외환위기를 감당했어야 했다. 도대체 이상의 어떠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말인가.

더불어, “중소기업이 낮은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구조조정이 지연되는 결정적인 이유는, 이들이 오도하는 것과는 달리, 정부의 지원이구조조정 압력을 완화했기 때문이 아니라, 일본과 더불어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없을 정도로 강력하게 수직적으로 통합된 중소기업과 재벌기업간의 종속관계 때문이다. 서유럽 각국에서는 이미 상식처럼 굳어진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고유한 업종 전문화 제도도 한국에서는 이미 사문화된 오래이고, 그나마 남아 있던 출자총액제한제도도 최근 경영상의 어려움을 핑계로 재벌 집단의 강력한 로비에 밀려 폐지되고 말았다. 일제 식민지 시대에서나 찾아볼 있었던 어음과 하도급 지급의 형태로 중소기업의 경영과 노동구조를 강압적으로 지배했던 것이 바로 한국의 재벌기업 집단의 행태이다. 바로 이것이야말로 중소기업이 성장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인 것이다.

나아가 이들은금융부문의 비효율성 중소기업 구조조정을 지연시킨 요인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하고 있다. “대기업 대출 수요가 감소하자 한동안 가계 대출을 확대하는 것으로 대응했던 은행들이 가계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자 최근 다시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했고, 이는 결국 부실 중소기업들을 존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한국 민간 은행의 대출 행태의 변화가 근본적으로는 급속한 금융시장 개방과 이에 따른 금융의 선순환 효과 (비금융 기업의 장기 투자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기업 경영 구조를 감시하고 개선하는 역할) 파괴에서 기인한다는 근본적인 사실을 오도하는 것이다.

금융부문 계열사의 막대한 유동자산 (삼성생명과 삼성카드) 이에 대한 차용 능력(순환형 출자) 이용해 역대 한국 정부를 상대로 갖은 협박을 해가며 거칠 없이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던 한국의 삼성 재벌체제, 바로 그것이 한국의 후진적인 금융 시스템을 지속시킨 근본적인 원인이며, 바로 그것이 외환위기 이후 급격하게우량 중소기업이나 창업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위축되게 만든 근본 원인이다.

이들은한미 FTA [중소기업 부문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외부적 지렛대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거듭 말하건대, 재벌과 중소기업간의 지금까지와 같은 수직적 통합관계와 후진적인 지급결제 행위가 지속되는 , 또한 정부가 중소기업들이 고유한 사업영역 안에서 마음껏 혁신과 창의를 주도할 있도록 금융과 조세 행정상의 지원을 강력하게 지속적으로 추진하지 않는 , 한국의 민간 은행이 단기 수익성만을 쫓는 것이 아니라 장기 투자와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 금융의 비중을 전체 포트폴리오 안에서 일정 부분 담당하도록 제도적으로 유인되지 않는 , 한국의 중소기업은 결코 혁신 주도적 기업으로 거듭나지 못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보고서의 작성자들이 외면 또는 책임을 전가하려고 하는 중소기업 부문의 지체된 생산성과 낮은 기술수준의 문제는 바로 삼성을 핵심으로 하는 한국의 재벌체제를 근본적으로 바꿀 때에만 비로소 논의의 실마리를 찾게 것이다. 그렇지 않은 가운데 추진되는 한미 FTA 경쟁촉진을 위한 외부적 지렛대 아니라 그나마 위태롭게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혁신적 우량 중소기업의 씨를 말리는 최악의 영향을 중장기적으로 끼칠 것이고, 그렇지 않아도 과도하게 종속된 중소기업-대기업 간의 수직적 분업구조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어떤 규제를 어떻게 완화하자는 말인가

이들이 번째로 강조하는 것은 한미 FTA 기업 규제 개선의 계기가 된다는 점이다. “기업활동에 대한 규제완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만족할만한 수준 아니라면서 말이다. 안타깝게도 기업 규제 완화라는 말처럼 젊은이의 인생을 줄기차게 따라다니는 지겨운 말도 없을 것이다.

1980 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한국의 역대 정권 가운데 기업에 대한규제완화하지 않은 정부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화하거나 폐지되어야 규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말인가? “기업이 체감하는 규제의 정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란다. 도대체 어떤 규제를 어떻게 완화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는 말인가? 이미 폐지된 출자총액제한제도 같은 것을 말하는가? 기업 경영에 대한 사외이사를 통한 감사제도와 소액주주 활동(감사 소송 청구권의 문턱을 낮추는 등을 포함한) 등에 대한 규정을 말하는 것인가?

이러한규제들은 지금보다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만약 이와 같은규제 때문에투자위축되는 기업 조직이 있고, 이와 같은규제 핑계 삼아 소비자 비용 증가시키는 기업 조직이 있다면, 기업들이야말로외환위기 이후 지속된 기업 구조조정 노력게을리한 집단이고, 따라서 당연히기업 구조조정 압력 통해시장에서퇴출되어야 집단이다. 바로 삼성과 같은 재벌 기업 말이다.

어떤 측면에서 한미 FTA 국내 기업에 대한 규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계기가 있다는 보고서 작성자들의 주장은 대단히 현실적인 지적이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라도 한미 FTA 결코 국회에서 비준되어서는 된다. 한미 FTA 기회로 삼아, 삼성을 포함한 한국의 독점 재벌들은 한국 정부를 상대로 갖은 회유와 협박을 통한 뒷거래를 성사시키려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국민 경제 전체의 역동성과 활력을 빼앗아 가는 주범 가운데 하나인 독점 재벌 체제가 한미 FTA 계기로 더욱 고착될 것이다. 이것은 국제노동기구 (ILO) 제안하는 고용 임금과 관련된 글로벌 스탠더드에 걸맞는 수준으로 국내의 취약한 노동시장 구조(연령, 성별, 지역, 학력 등에 따른 차별적 고용 임금 지급 관행, 비정규직과 임시 노동자 비중의 폭증, 사실상의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금지 ) 조금이라도 개선하거나, 서유럽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OECD 최하위라는 불명예에서 벗어나 사회복지 시스템을 확충하려는 일체의 노력에 중대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어떤 투자가 어떻게 활성화되는가

마지막으로 보고서 작성자들이 거론하는 한미 FTA 기대효과 – “투자 활성화의 계기라는 주장을 살펴보자. 외환위기 이후 저투자-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는 이들의 주장은 사실이다. 기업의 투자 부진이 경제성장률의 하락과 고용 구조의 악화를 가져온다는 주장도 사실이다.

그러나 문제는한미 FTA 저투자-저성장의 악순환 고리를 끊을 있는 계기 되지 못한다는 있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투자 위험이 감소하여 국내 기업의 투자를 촉진 있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 아직까지 전문이 공개되지 않는 한미 FTA 협정문 가운데 어떠한 것도시장의 확대 자동적으로 보장해주는 문구는 없다. 평균 $120~30 정도의 가격 하락 때문에 닛산과 토요다를 제치고 현대 소나타나 기아 엘란트라를 구입할 미국 소비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설사 조금이라도 시장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고 가정한다고 해도, 한미 FTA 금융관련, 투자관련, 노동 환경관련 조항들은기업의 투자 비용 또는투자 위험 증가시킬 것이다. “대규모 시장에 대한 차별적 접근성 확보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미국이 수많은 라틴 아메리카 각국들과 지역간 양자간 협정을 맺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방 있는 사실이다. 설사 이들 나라들의 주력 수출 품목이 한국의 재벌들이 수출하는 상품과 비경쟁적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을 십분 고려한다고 해도 대규모 시장에 대한 차별적 접근성이 확보된다고 말할 있는 근거는 없다.

이들은 한미 FTA 통해서 외국인 직접투자(FDI) 증가할 전망이라고 주장한다. FDI 금융시장을 통한 포트폴리오 투자(Portfolio investment)와는 달리 고정자산을 실제로 투자하여 현지에서 고용을 창출하기 때문에 현지 국민경제의 경제성장에 기여할 있다고도 한다.

그러나 우선 경제학적으로 FDI 포트폴리오를 명확하게 구별할 있는 기준점이 없다. 번째로 설사 외국기업이 실물 고정자산을 투자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실제로 현지 경제가 요구하는 만큼 고용을 창출하리라는 보장이 없다. 번째로, 설사 외국기업이 한국에 진출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기술 이전과 임금, 조세 환경관련 규정 그리고 국내 은행과 맺는 제도적 관계 유형이 어떠한 것인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국민 경제에 이바지할 있을런지 아니면 론스타의 경우처럼 급속히 금융화되어 투기적 행위 패턴을 보일 지가 결정된다는 점도 분명히 언급할 필요가 있다.

명백한 차이에 관해서는 중국 정부가 마련한 현지 부품 조달 비율, 기술 이전 요건, 환경, 고용 임금과 관련된 일련의 법적 제도적 지침을 따르면서 장기적 이윤 기회를 추구하며 기업활동을 벌이는 FDI , 아무런 세제와 고용상의 규제 없이 높은 이자율과 급격한 환율 변동에 따르는 시세 차액을 거두는 일에만 골몰하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 투자된 FDI 전혀 다른 행위패턴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금방 확인되는 일이다.

그런데 한미 FTA 바로 이와 같은 기업경영과 금융, 외국 기업과 국내 은행, 기업 환경 전반을 둘러싼 제도적 환경(임금, 조세, 환경 ) 자국 국민경제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에서 추진되는 일체의 정부 차원의 조정 노력을 근본적으로 잠식하는 조항들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원들이 계산한대로 20.8% FDI 증가율 실제로 나타난다고 해도, FDI 결코 고용, 임금, 기술이전 등의 영역에서 한국 경제에 일말의 도움이라도 있는 FDI 아닐 것이다.

 

 

5. 글을 맺으며

 

외환위기 이후, 특히 김대중 정부 말기부터 기업들의 R&D 투자는 말할 것도 없고 전반적인 설비투자 비율도 급속하게 줄어들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한국의 대통령 선거가 있었고, 국제적으로도 조류독감과 광우병 파동 그리고 미국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침공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외부적 변수들이 있었다.

그러나 모든 변수들을 주어진 조건으로 삼을 , 한국 기업들의 투자 감소는 외환위기 전후 급속하게 개방된 자본시장과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신용카드 대란으로 나타난 급속한 신용 거품의 축소와 이에 따른 소비 위축 등의 종합적인 결과라고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자본 금융시장 개방에 따른 불안정성을 정부가 규제와 감시를 통해 줄이지 않는다면, 정부가 주도적으로 확대된 사회복지 정책 추진을 통해 국내 소비자들의 안정된 소득 수준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 결코 향상 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활성화된 설비 투자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맹목적으로 추진되는 한미 FTA 삼성을 포함한 일부 독점재벌들을 제외한 산업분야의 성장과 발전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할 것이다.

글을 삼성경제연구소의 박현수, 김화년, 박번순, 민승규 연구원과 글을 감수했다는 김경원 연구위원 등은 그들이 진정으로 완전경쟁을 통한 소비자 후생의 증가라는 공식을 믿고 있다면, 삼성을 포함한 소수의 재벌들과 외환위기 이후 급속하게 부를 축적해나간 금융자산가들의 물질적 이익만을 대변하는 한미 FTA 그들이 믿고 있는 경제학적 상식과도 거리가 멀다는 것을 솔직하게 인정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소수 독점재벌과 금리생활자들의 이익을 마치 한국민 전체의 이익인 포장하려는 절대로 성공할 없는 시도를 중단하고, 현재 상황에서 한미 FTA 비준 절차가 강행될 경우 잠재적으로 야기할 수많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일에 앞장서야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31 13:45 2007/05/31 13:45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프레시안 한미 FTA 국회 비준 반대 서명운동 기사

View Comments

프레시안 한미 FTA 국회 비준 반대 서명 운동 기사 (5월 7일자)

9월 정기국회에서 한미 FTA에 대한 비준동의 여부가 표결에 부쳐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미국을 포함한 영미권 국가들에서 수학하고 있는 20개국의 경제학도들이 한미 FTA 비준동의에 반대하는 내용의 편지를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에게 보낸 것으로 7일 밝혀졌다.
  
  이들은 지난 5일 노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에게 보낸 공개편지에서 "한미 FTA는 한미 양국의 중소기업과 노동자 농민들의 이해를 희생시킬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들의 공동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불공정한 양자간 무역협정 및 투자협정을 촉발할 위험을 안고 있다"면서 "한미 FTA에 대한 비준동의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한미 FTA가 한미 양국의 일부 계층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 국가들을 불공정한 무역체제 속으로 밀어넣는 기폭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경고이다. 많은 국내외 학자들도 한미 FTA는 세계 무역 체제의 방향을 '다자주의'에서 '양자주의'로 전환시킨, 전세계 경제사의 획을 그은 사건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미국 뉴욕 뉴스쿨대학의 경제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신희영 씨는 7일 이 공개편지를 보내게 된 배경으로 "지난 4월 14일~30일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 경제학과 기타 사회과학 분야에서 공부하고 있는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한미 FTA의 국회 비준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전개했다"며 "그 서명운동에 동참한 사람들이 공개편지를 통해 목소리를 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한미 FTA의 당사국인 한국과 미국뿐 아니라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인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등 20개 국가에서 온 73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들로 구성돼 있다. 대부분 경제학이나 경제학과 인접한 학문을 전공하고 있다.
  
  다음은 이들이 지난 5일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의원들 앞으로 보낸 공개편지의 요약본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반대를 위한 공개 편지
  
  한국의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의원 여러분께,
  
  우리는 최근 협상 타결이 선언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야기할 수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서 이 글을 씁니다. 우리는 현재 한국과 미국, 영국 그리고 캐나다 등지에서 경제학과 인접 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입니다.
  
  우리는 한미 FTA가 한미 양국의 중소기업과 그 기업에 고용된 노동자들뿐만 아니라 농어민들의 경제적 안정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미 FTA는 한국 정부의 독립적인 거시경제적 정책 수행 및 집행 능력을 현저하게 제약함으로써, 미국 경제에 대한 종속성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우리는 그것이 '국제적으로 불공정한 무역 체제 및 금융 체제 (unjust and unequal trade and financial system)'를 확대·온존하는 효과를 갖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첫째, 한미 FTA뿐만 아니라 지난 해 콜롬비아-미국, 페루-미국, 파나마-미국 간의 FTA 협정문에 공통으로 명시돼 있는 '투자자-국가 소송제(ISD, Investor-State Dispute) 조항은 다국적 기업들과 금융 투자자들이, 해당 정부의 특정한 정책 때문에 자신들의 잠재적 이윤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할 때마다, 언제든지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걸 수 있는 배타적 권한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 투자자-국가 소송제도가 지금까지 국제적 투기 자본가들과 다국적 기업들에 의해서 빈번하게 악용돼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것은 다양한 '시장 실패'를 보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부의 사회 정책을 근본적으로 잠식할 위험이 큽니다.
  
  둘째, 미국 행정부 산하의 무역대표부(USTR)가 지금까지 체결한 모든 양자간·지역간 FTA 협정문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금융 서비스" 항목은 협정 체결국 내 제조업 부문의 성장에 필요한 안정적인 사회경제적 금융적 토대를 궁극적으로 부식시킬 수 있는 위험한 조항들을 담고 있습니다. 만약 이런 조항들이 아무런 여과 없이 그대로 관철된다면, 그것은 중소 규모 제조업 부문의 '탈산업화 (deindustrialization)'를 가속화시킬 것이고, 경제 전반적으로는 소수의 금융자산가들의 이익만을 보장하는 '금융부유화'(financialization) 과정을 초래해, 그렇지 않아도 이미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양극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미 간의 양자간 FTA가 다른 개발도상국가들에게 또 다른 형태의 악영향을 끼치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과 미국이 타결한 FTA는 현존하는 국제적 불공정 무역 및 투자 체계에 내재한 수많은 문제점들과 의제들을 다루는 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들 모국이 미국과 개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양자간·지역간 협상 및 비준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한국의 대통령과 국회의원 여러분께 다음과 같은 점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첫째, 한국 정부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개발도상국가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FTA 협정문 내의 독소조항들을 제거하고 일체의 FTA 추진을 중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둘째, 우리는 한국 정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다른 지역 안의 개발도상국가들 사이의 경제협력을 촉진하고 상호 간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다른 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할 것을 촉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국 정부와 시민단체가 개발도상국가들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주기를 바랍니다.
  
  2007년 5월 5일
  한국, 미국, 영국 그리고 캐나다에서 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 일동

  프레시안 노주희/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31 13:07 2007/05/31 13:07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Measuring the Cost of Policy Space

View Comments

이 글의 원문은 지난달 20일 'IRC Americas Program'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됐다. <편집자>
  
  1. 들어가며
  
  개발도상국들이 자국의 경제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독자적인 정책 공간(policy space)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은 단순히 이론적인 주장일 뿐만 아니라 경험적인 연구 성과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우선, 국제경제에서,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제 속에 항상 나타나는 시장실패(market failures)의 문제는 정부가 자국의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를 정당화해 주는 근거로 사용돼 왔다. 또한 경험적인 측면에서도, 대만과 한국, 그리고 최근의 중국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정부의 국가 지원적(state-facilitated) 경제발전 정책이 성공적일 수 있다는 주장의 주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대다수 신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시장실패를 교정한다는 미명 하에 정부가 특정한 정책을 취하는 나라가 국제무역에 관여하면, 그렇지 않았더라면 나타나게 될 각종 지표들을 국제 무역에 관여하는 모든 나라들에서 왜곡시킬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오늘날 국제 경제 체제에서 개발도상국들이 직면한 공통의 시장실패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정보의 외부성(Information externalities)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민간 경제주체가 생산적인 투자기회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갖지 못하는 경우에 생겨난다. 둘째로, 조정의 외부성(Coordination externalities)은 [설사 충분한 투자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민간기업이 투자를 통해 실제적인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적 조건들이 충분하게 형성돼 있지 않을 경우에 생겨나는 문제이다. 셋째로, 불완전 경쟁(Imperfect competition)은 고도로 집중된 산업에서 새로운 기업의 진입과 기술 발전이 지체되는 경우에 생겨나는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환경의 외부성(Environmental externalities)은 특정한 재화의 생산과 소비에 수반되는 환경 비용이 가격체계에 반영되지 않을 경우에 생겨나는 것으로서, 이는 특정한 재화와 서비스가 적절하게 생산·소비되는 것을 가로막는다.
  
  아래의 표 1은 개발도상국들이 이같은 시장실패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수단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동시에 이 표는 이런 정책 수단들이 어느 정도까지 현행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에서 허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몇 가지 규정들은 도하라운드 하에서 조만간 폐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는 <국제투자와 무역(Journal of World Investment and Trade)>에 발표된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에서 축소된 정책 공간(The Shrinking of Development Space)'라는 글에서 이런 조항들과 관련된 국제무역기구 내의 분쟁 사례들을 분석한 바 있다. 그 글의 목적은 국제무역기구(WTO) 체제의 조항들이 얼마만큼 개발도상국들이 취할 독자적 발전 전략들을 제한하는가를 이론적인 차원에서 조망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해당 분쟁 사례들이 어느 정도까지 '분쟁 해결 (dispute settlement)'의 이름으로 구속력을 지니면서 개발도상국들의 정책 공간을 위축시켜 왔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리는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국제무역기구를 통해 제소된 분쟁 사례들을 분석했고, 위 도표에서 예시된 몇 가지 조항들이 문제가 된 사례들을 선별한 후 실제로 어떻게 해당 분쟁이 조정됐는가를 살펴봤다.
  .
  이 과정에서 크게 두 가지의 주목할 만한 결과가 나타났다. 첫 번째는 WTO 규정들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제소된 여러 가지 분쟁 사례들을 분석해 본 결과 개발도상국들은 물론 선진국들도 국내 산업보호를 위해 해당 정책들을 암암리에 시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분쟁 해결 메커니즘(DSM, Dispute Settlement Mechanism)의 핵심은 개발도상국들이 취하고 있는 산업정책의 내용이 WTO 규정을 위반하는지를 판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한 나라가 다른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에서 금지된 산업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는 이유로 다른 나라를 제소한 후 분쟁 조정 메커니즘을 통해 다루어진 사례의 25% 이상이 바로 이 산업 정책들에 놓여져 있었다. 이는 전체 90개의 사례 가운데 25% 이상이 개발도상국들이 국내 산업 증진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들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도표는 이러한 분쟁 사례들이 각 항목별로 어떻게 개발도상국들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2. 국제무역기구 체제는 개발도상국들에 무엇인가 - 사소한 이익을 대가로 한 장기적인 손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는 전혀 놀라운 것이 아니다. 왜냐면 WTO 체제의 게임 규칙은 지금까지 [특히 인권이나 국제 형사법과 관련된 국제적 규범에 비해]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연구가 상대적으로 과소평가하고 있는 점은 일단 개발도상국들이 자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활용해왔던 다양한 정책 수단들을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의 협상 과정에서 상실할 경우, 나중에라도 다시 그와 같은 정책 수단들을 확보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이같은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의 협상이 야기한 장기적인 '비용'은 개발도상국들이 국제무역기구에 가입하는 즉시 잃게 될, 관세 부과에 따른 조세 수입 손실분과 다양한 무역 및 투자 자유화 조치가 가져다 줄 것이라고 선전되는 잠재적인 이익에 대한 계산을 통해 분석돼야 한다.
  
  아래의 표3은 도하라운드를 통해 개발도상국들이 얻게 될 잠재적인 이익과 관세 수입 손실분을 예측·비교한 것이다. 세계은행(World Bank)과 다른 국제무역 기구들의 '무역 자유화 모델들'은 개발도상국들의 재정수지가 항상 균형 상태에 놓여 있다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다시 말해, 관세 부과에 따른 조세 수입 손실분이 개발도상국들이 국내 소비자들에게 부과하게 될 일괄 소비세(lump-sum taxes)를 통해 정확히 충당돼, 무역 자유화 이후에도 정부 재정이 균형 상태로 유지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많은 개발도상국들에서 그와 같은 조세 부과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강력한 조세 저항에 직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도하라운드 하에서 실제로 논의되고 있는 현실적인 협상 내용에 근거해 개발도상국들이 향후 상실하게 될 관세 수입분을 예측한 바 있다. 아래의 표 3은 각 지역과 나라별로 나타나게 될 UNCTAD의 관세수입 손실 예측분과 세계은행이 계산한 무역 자유화에 따른 이익 예측분을 비교한 것이다.
  


  이 표의 첫 번째 칼럼은 세계은행이 도하라운드가 개발도상국들에 가져다 줄 것이라고 예측한 기대이익을 보여주고 있다. 도하라운드 체제 하에서 2015년까지 계산된 기대 이익 예측분은 총 960억 달러이다. 그러나 세계은행의 계산에서조차 이 총 이익 예측분 가운데 고작 160억 달러만이 전체 개발도상국들에게 돌아간다. 개발도상국들은 기껏해야 0.16%의 연간 국내총생산(GDP) 증가라는 기대 이익치를 얻을 수 있을 뿐이다. 이것을 개인 소득으로 환산할 경우 우리는 개발도상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기껏해야 연간 3.13 달러나 하루 1~2원 정도의 이익을 얻는다 (또는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비록 국제무역기구 체제 하의 협상 과정에서 대부분의 논의가 농업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개발도상국들이 자국의 농업 부문을 '개혁'함으로써 얻게 될 잠재적인 이익이란 고작 국내총생산(GDP)의 0.1%에 불과한 90억 달러에 불과할 뿐이다. 설사 북반구의 나라들이 농업 보조금을 실제로 철폐한다고 하더라도, 개발도상국들 전체가 이러한 조치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기대이익은 겨우 10억 달러에 불과하다. 개발도상국들이 자국 내의 서비스 시장을 개방함으로써 얻게 될 기대이익이란 것도 고착 69억 달러에 불과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이 표에서 예시된 것처럼, 개발도상국들이 관세를 철폐할 경우 잃게 될 조세 수입은 잠재적인 기대 이익분과 비교할 때 대단히 크다. 개발도상국들이 '비(非)농업 시장접근', 즉 제조업 상품 분야의 자유무역에 관한 협상 때문에 잃게 될 전체 관세 수입 손실분은 자그마치 634억 달러이다. 이는 세계은행이 제시한 기대 이익분의 네 배에 달하는 수치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관세를 철폐하는 것은 각국이 세계경제에 전략적으로 통합하는 데 필요로 하는 새로운 산업 영역 개척 능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의 진흥과 빈곤층 지원을 위한 사회정책적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데 결정적으로 필요한 사회적 재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은 전체 조세 수입의 4분의 1 이상을 관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경제구조가 다변화돼 있지 않은 소규모 개방 국가들의 경우 관세 수입은 정부 예산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남반구 연구센터(South Center)'의 실증 조사에 따르면, 도미니카 공화국, 기니, 마다가스카르, 시에라 레온, 스와질랜드 그리고 우간다의 경우 관세 수입이 전체 조세 수입의 40%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 뉴욕 소재 콜롬비아 대학의 바그와티(Jagdish Bhagwati) 교수는 <포린 어페어(Foreign Affairs)> 최근호에 실은 글에서 "만약 사회 지출을 위한 정부 수입의 대부분을 관세를 통해 충당하는 가난한 나라들이 관세를 철폐함으로써 해당 정부 수입분을 잃게 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면,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 기관들은 이 나라들이 관세 수입 손실분을 다른 조세 항목을 통해 충당할 수 있도록 국내 조세 체계를 고칠 때까지 그 부족분을 채워 줘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비록 경제학자들이 소비세를 통한 조세 수입이 국내 복지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유일하게 효과적인 방책이라고 주장해 온 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수많은 경제학자들은 관세 수입이, 효과적으로 조세를 부과할 수 없는 비공식 부문의 경제 활동이 압도적으로 커다란 위치를 점하고 있는 수많은 개발도상국들이 선호할만한 수입원이라는 것을 인정해 왔다.
  
  위의 표에서 설사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얻게 될 순이익에 대한 기대치가 긍정적으로 나왔다고 하더라도(이 수치는 실제적인 관세 수입 손실분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된 것이다), 그와 같은 기대 익은 지식 기반 자원의 발전을 통해 얻어지는 이익이 아니라 기초 농산품과 낮은 기술 수준으로 생산된 제조업 부문의 상품 생산을 통해서 얻어지는 기대이익에 불과하다.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절실히 필요로 하는 제조업 산업 부문의 다변화와 혁신 과정에 역행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최근 원자재의 국제가격이 일시적으로나마 오르고 있는 추세에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국제가격의 추세는 결코 개발도상국들에 이롭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유엔(UN)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에너지를 제외한 원자재의 가격은 지난 1980~2005년 사이 30% 가량이나 하락했다. 게다가 교역조건(개발도상국들이 판매한 농업 생산물의 평균가격과 선진 산업 국가들이 구입한 제조업 상품들의 평균가격의 비율)은 지난 1961~2001년 사이 거의 70% 가량 하락했다.
  
  만약 원자재 가격이 다시 하락한다면, 개발도상국들에는 교역조건의 악화 때문에 발생할 경제적 어려움을 만회할 만한 그 어떠한 산업도 더 이상 남아 있지 않게 될 것이다. 예컨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와 같은 라틴아메리카의 개발도상국들은 교역조건이 악화될 경우 대부분의 모든 고용기회가 농업 부문이나 섬유 및 의류 산업으로 국한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자유 무역화에 의해 야기될 국내 경제의 구조적 변화는 이 나라들에서 기계류, 비철금속 제련, 전자 그리고 자동차 부품 관련 업종과 같은 제조업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것이다. 이는 다시 도시 거주 인구의 대대적인 실업을 야기하고, 이와 동시에 농촌 지역에 고용 규모가 적은 비생산적인 부문을 기형적으로 팽창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아시아 지역의 경우, 교역조건의 악화에 따른 이같은 구조조정은 상대적으로 선진적인 기술에 바탕을 두고 있던 제조업 분야에 있는 노동 인구가 의류 산업 영역으로 대거 빠져 나가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예측은 구조조정이 국내 임금 수준과 기술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만약 우리가 이같은 자유 무역화의 촉진이 국내 경제 구조의 조정을 불가피하게 할뿐 아니라 이것이 실제로 임금과 기술의 발전 수준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고려한다면, 더 나아가 이같은 구조조정 과정이 수반하는 '이행 비용'을 함께 고려한다면, 그 결과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것이다.
  


  3.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한해 동안에는, 미국 의회가 대통령에게 부여한 무역촉진권(TTPA)의 시한이 마감되는 2006년 6월 30일 이전까지 도하라운드 협상을 마쳐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지배적이었다. 미국 헌법은 국제무역과 관련된 정책 결정 권한을 의회에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무역촉진권은 대통령에게 무역 협상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의회에 제출하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대통령에게 부여된 이같은 강력한 권한에 따라 미국 의회는 단지 대통령이 제출한 무역 협정 내용을 승인하거나 반대할 수 있을 뿐이다. 지난 몇 십 년 동안 이 무역촉진권과 무역 협정 내용은 의회 내에서 강력한 반대와 논쟁의 대상이 돼 왔다. 이에 따라 설사 무역 협정안이 원안대로 통과될 때조차도 그것은 한두 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지난해 중미자유무역협정(CAFTA)의 경우, 간신히 1표 차이로- 통과되기도 했다.
  
  지난 2006년 의회 선거 결과에 따라 현재 민주당이 상하 양원에서 다수 의석을 점하게 됐다. 이에 따라 대통령에게 부여된 무역촉진권은, 무역협정의 발효에 따라 미국 내에서 실업을 당하게 될 노동자들을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그리고 개발도상국들 안에서 노동과 환경에 관한 조항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실상 다시 연장되기 힘들 것이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가난한 나라들에 공정한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도, 비록 빈 말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라도, 의회 내에서 논의될 것이다.
  
  필자는 미국의 유권자들이 비단 이라크 전쟁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최근에 진행된 일련의 무역 협정이 야기한 미국의 노동자들과 환경에 대한 위협 때문에 민주당을 여당으로 만들어 주었다고 생각한다. 만약 무역촉진권이 2007년에 다시 연장되지 못한다면, 미국 대통령 선거가 시행될2008년에는 이 권한이 연장될 가능성은 더더욱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향후 2년 간 대통령에게 무역촉진권을 부여하지 않는 것은 모두에게 결코 나쁜 일이 아니다. 선진 산업 국가들은 현재까지 진행돼 왔던 협상안이 자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들은 지금까지 무역 자유화의 이익이 소수의 산업 부문에 집중되어 온 반면, 그 비용은 나라 전체에 부과되어 왔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개발도상국들도 현재의 무역협상 구조를 진지하게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자국의 경제 성장을 모든 무역협정에 우선하는 핵심적인 과제로 부각시킬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아래의 5가지 개혁 방안들은 발전지향적 무역체제를 수립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이다.
  
  (1) 선진 산업 국가들은 현존하는 협정들을 준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과 유럽은 국제무역기구의 판결 내용–섬유 산업과 설탕 산업에 대한 자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이 현존하는 국제 무역 규범을 위반하는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동종 상품들을 수출하는 개발도상국들의 생산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는 판결–을 준수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서부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생산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며, 선진 산업 국가들도 기꺼이 국제무역기구의 규칙을 준수할 용의가 있다는 것을 개발도상국들에 전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미국과 유럽의 선진 산업 국가들은 아직까지 국제무역기구의 판결 내용을 준수하지 않고 있고, 이에 따라 브라질은 지금까지 계속해서 보조금 지급에 따른 피해에 상응하는 보상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다른 소송 사례들도 현재 가시화되고 있다. 예컨대, 캐나다와 브라질 그리고 다른 몇몇 나라들은 미국의 자국 섬유 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관행에 항의하는 소송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다음으로, 서구 국가들은 농장 경영에 이용되는 자원에 대해서는 불공정한 가격에 구입할 것을 요구하고, 최종 생산물을 판매하는 데 있어서는 막대한 이윤을 올리고 있는 다국적 기업의 활동을 규제하자는 아프리카 여러 나라들의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아프리카 대륙의 여러 나라들은 이같은 제안을 국제무역기구의 각종 협상 테이블에 제출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해오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각국들은 자국이 생산하는 원자재 가격을 올리고 거대 외국 기업체들의 독점적 행위를 규제하는 방향으로 국제 공급관리체계(supply-management system)를 개선할 것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모든 제안들은 지금까지 선진 산업 국가들에 의해서 철저히 무시돼 왔다.
  
  (3) 선진 산업 국가들의 협상 당사자들은 국제무역기구 하에서도 가난한 나라들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오랫동안 '특별 최혜국 대우의 원리(principle of special and differentiated treatment)'가 존속돼 왔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선진 산업 국가들은 가난한 나라들의 시민들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의약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이 나라들이 생산하는 의약품에 국제적 특허 관련 규정들 부과하는 것을 철회해야 한다. 더불어 선진 산업 국가들은 가난한 나라들이 지역경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옥수수와 쌀 그리고 밀 등에 대해서는 자유무역협정(FTA)의 대상으로 설정하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4) 이와 더불어,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세계은행(World Bank)과 같은 국제 기관들은 이미 타결된 협정 내용이 개발도상국들에 부과할 구조조정 비용, 예컨대 관세 수입 충당, 직업 훈련 등에 따른 비용을 새로운 정책이 뿌리내릴 때까지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국제통화기금의 '무역 통합 메커니즘 (Trade Integration Mechanism)'과 관련된 조항들은 애초 바로 이와 같은 임무를 수행하도록 고안됐다. 그러나 이 조항들은 개발도상국의 입장에서는 아직까지 충분히 시행된 적이 없다. 또한 이 역할의 수행과 더불어 국제통화기금은 개발도상국들에게 추가적인 지원 조건(conditionality)을 요구하지 않는 방식으로 재편돼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 국제통화기금의 계획안에는 구조조정의 비용을 부담하는 것에 대한 그 어떠한 고려도 없으며, 심지어는 개발도상국들을 더욱 가혹한 구조 조정으로 내모는 조건으로 기금을 지원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5) 마지막으로, 선진 산업 국가들이 주도하는 지역간 또는 양자간 무역 협정은 근본적으로 중단되어야 한다. 지역간, 양자간 협정은 선진 산업 국가들과 발전도상국들 사이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비대칭적 협상력(asymmetric bargaining power)을 악용하는 협정이다. 이 과정에서 이 지역간, 양자간 협정들은 진정한 비교 우위(comparative advantage)를 지닌 나라들을 협상 대상에서 의도적으로 제외시키고, 개발도상국들이 자국의 발전을 위해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 집행 능력을 근본적으로 박탈하고 있다.
  


  4. 글을 맺으며
  
  국제통화기금이나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 기구들은 물론 선진 산업 국가들도 무역 자유화에 따라 불가피하게 생겨나는 피해자들을 지원하고 보상해야 할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국제 기관과는 별도로 선진 산업 국가들 사이에서 국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려고 노력해야 한다.
  
  가난한 나라들을 돕는 것은 단순한 자선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상호 이익을 증진할 수 있는 유력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2005년 현재 미국 상품의 50% 이상이 캐나다와 일본 그리고 유럽 이외의 다른 지역 나라들로 수출되고 있다. 따라서 만약 개발도상국들이 더 성장한다면, 그것은 선진 산업 국가들이 자국 상품의 수출을 위한 더 많은 세계시장을 점유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약 개발도상국들이 지금보다도 더 낮은 성장률을 보인다면, 그만큼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도 덜 성장하게 된다는 것, 따라서 가난한 나라들의 성장이 선진 자본주의 나라들의 성장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국제사회는 하루라도 빨리 인식해야 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5/31 13:02 2007/05/31 13:02

댓글0 Comments (+add yours?)

트랙백0 Tracbacks (+view to the desc.)

Newer Entries Older E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