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나의 자기 진술, 당신의 심문에 의한"

라오스의 수도 위앙짠.

한국인 게스트하우스를 찾아서 도미토리에 짐을 풀고, 한국말로 된 책들이 한가득인 책꽂이를 구경했다. 그리곤 고민에 빠졌다. 끌리는 소설이 두 권, 공지영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와 이인성의 "마지막 연애의 상상".  두 권을 빼 들고 이리저리 저울질을 하다가 아는 사람의 소설을 골랐다.
아는 사람이라, ㅎㅎ

나는 알고 상대방은 모르는 사람. 이인성 교수.

작품을 하나도 읽어본 적은 없지만 어려운 소설을 쓰고 인정받는 작가라는 걸 알고 있었기에, 대학교 1학년 때, 여러개 있는 불어1 수업 중 그 분의 수업을 골라서 들었었다. 소설가에 대한 로망 같은 것 때문이었겠지. 거의 세 달 동안, 빠짐없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수업을 들어갔었는데, 수업시간에 뭘 들었는지는 거의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소설책에 인쇄되어있는 것과 같은 얼굴, 카랑카랑한 목소리, 수업 중에 가끔 담배를 피워물던 모습 같은 것들만 조금씩 기억날 뿐. 그 이후, 불어에 연관된 나의 사건들은 모두 암울하기만 한 것이어서, 한번도 떠올려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10년도 지난 지금 위앙짠에서 그 얼굴을 다시 만나게 될 줄이야... '솔'이라는 출판사에서 낸 '21세기 작가총서'라는 것 중 하나. 한국과는 다른 시간 속에 있는 곳이기에 1992년에 간행된 이 책을 만날 수 있었던 것 같다.


작품집 중에서 겨우 단편 하나를 끝냈다. (게스트하우스 밖으로 책을 가지고 나갈수가 없기 때문에, 답답하다.) '나의 자기 진술, 당신의 심문에 의한', 정말 오랫만에, 활자 하나하나를 따라가기 위해 내 뇌 속에 있는 세포들이 마구 움직이는 느낌. 형태적 새로움(15년 전에 새로웠던 것이겠지만, 나같은 문학 문외한에겐 여전히 새로운)도 그렇거니와, 치열하게 구사된 언어들, 그 속에 들어있는 사회적 존재이자 작가로서의 자기 고민이 무척이나 박력있게 치고들어왔달까. 짧은 글을 읽는 동안 몇 번이나 책을 내려놓고 크게 숨을 쉬었다. 담배도 세 대, 와인맛이 나는 술(예전에 태국에서도 좋아라 했던 spy)과 함께.
불행을 경험하지 안은, 적어도 불행하다고 느껴오지 않은 엘리트, 겨우겨우 타인을 제대로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소화하고자 하는 인간으로서의 고백에서 약간의 공감, 같은걸 느꼈다면 좀 우스운가? 물론 그에 비하면 나는 아주 낮은 레벨에 불과하지만, 그런 거, 아, 맞아... 하는 느낌.

훌륭하다. 오랫만에, 언어의 깊은 곳에 살짝 닿고, 그 언어가 담고 있는 의식의 농도를 맛본 경험.

 

아마도 나에게는 너무나 한계적인 영어라는 언어를 가지고 생존에 필요한 사고만 하던 시간이 너무 길었던 영항도 있겠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