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RTICLE 분류 전체보기 | 45 ARTICLE FOUND

  1. 2005/04/15 2004.12.04
  2. 2005/04/15 2004.11.26
  3. 2005/04/15 2004.11.25
  4. 2005/04/15 2004.11.17
  5. 2005/04/15 2004.11.16
  6. 2005/04/15 2004.11.09
  7. 2005/04/15 2004.10.19
  8. 2005/04/15 2004.10.14
  9. 2005/04/15 2004.10.10
  10. 2005/04/15 2004.10.03

작업실에서 잠자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었다.
너무 얇은 담요한장으론 더이상 버틸 수 없다고 생각한지 몇주...
오늘...딱 맞는 사이즈의 담요를 발견!
무늬가 굉장히 어려운데...
그래도...
나의 내면의 어떤것을 반영하는듯도 하여...
그냥 샀다...
지금은 시영형이 덮고 자는 중...
나쁘지 않아보인다...ㅋㅋ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10 2005/04/15 13:10

대학로에는 달동네가 있다.
문예진흥원 뒤편으로,
학전 그린 소극장 뒤편으로,
동성고등학교 뒤편으로 진짜 달동네가 있다.
그곳에서 달을 본적은 없지만 설사 달이 뜨더라도 이골목에까지
그 빛이 미칠까 싶은 그런 동네다.
예전에 후배가 그 동네에서 살았다.
'살았다'고 할 수도 없을 정도로 들어가는 날이 적었지만
암튼 거기가 그 후배의 집이었다.
아주 많이 힘들고 지치고 피곤한 나날들이 이어지고 있을때였다.
우리는 마음이 많이 아팠고 술을 함께 마셨다.
그리고 잘곳이 없었다.
그때가 한겨울이었다. 그리고..
'우리집'이라면서 후배가 데리고 간곳이 바로 거기였다.
아궁이가 딸린 부엌과 방 한칸이 전부인 집.
불기라곤 없었던 집.
거기서 우리는 한겹짜리 여름이불을 각자 한장씩 둘둘 감고 잠을 잤다.
머리끝까지 이불을 뒤집어써도 뼛속까지 한기가 스몄다.
아침에 일어나니 온몸이 아팠다.
잠을 잔것이 아니라 밤새 두드려 맞은것 같은 느낌이었다.
방문을 열어보니 후배가 휴대용 가스버너에 내 신발을 녹이고 있었다
밤새 꽁꽁 얼어버린 신발을 신을때의 슬픔을 느끼게 하고 싶지 않았다고 했다.
따뜻했다.
발이 녹자 온몸이 따라서 조금씩 녹았고 마음이 스르르 풀렸다.
고마웠다.
지금도 대학로에 가면 그 집을 생각한다.
그 추웠던 밤을 생각한다.
그리고...
정말 따뜻했던 신발을 생각한다.
다시 오지 않을 시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9 2005/04/15 13:09

대체...
매일 그러면서도 익숙해지지 않는다.
다짐했는데 그래도 익숙해지지 않는다.
하지만 뭐...
난 그런 사람이다.
상처받는데 결코 익숙해지지 못하면서
그 상처를 피해가지도 못하면서
바보같이 매일 그러고 사는 사람이다.
어쩔 수 없다.
그게 나인걸...
그게 나라는 사실에는 익숙해질 수 있어야할텐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5 2005/04/15 13:05

결핍증...

무엇으로도 채울 수 없을것이다.
채워지지 않을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5 2005/04/15 13:05

공연은 끝났지만 '삶'이 끝난건 아닌지라...
남은 일을 하려고 작업실로 향하던 중..
차도 별로 없는 오후 느지막한 시간의 수인산업도로를 달리다
울컥 했다.
빗방울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었고..
하늘이 낮게 드리우고..
밤이 내린듯 사방이 어둑했다.
학교 다닐적에 그런 날들이 가끔 있었다.
흐린날..
한낮에도 밤인듯 어둠이 내리던 날..
비오는 날과는 또 다른 어두운 날..
그런날은 공기조차 무겁게 내려앉고 어둠이 온몸을 감싸 무섭기도 했다.
그리고 기분은 말할 수 없이 쓸쓸해지곤 했는데..
뭐랄까...
그런날 나는 항상 창밖을 내다보며 울고싶었다.
밤과는 다른 어둠..
오늘도 그랬다..
울컥...
이런 날들이 내게 또 얼마나 있을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4 2005/04/15 13:04

끝나지 않을것 같지만..
모든 일은 끝을 가지고 있다.
끝나지 않는것은 없다.
끝이 있어야 새로운 시작이 있기때문이다.
지금 이 일도..
끝난다...
잘...
잘 ...끝났으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3 2005/04/15 13:03

아침이 되려한다.
지하에 처박혀있자니 해가 뜨는지 지는지 알길이 없다.
뭘 굳이 하지 않더라도 책상앞에 앉아있는게 좋았던 시절이 있었다.
라디오를 듣고 책을 읽고 편지를 쓰던 시절..
지금도 그버릇이 여전한가부다.
말러 전집을 다운받거나 최신영화를 뒤지고 다니거나 갔던데 또가거나 하면서...
물론 일도 한다.
불안하기 그지없는 나의 일들..
자고나면 좀 나아지겠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2 2005/04/15 13:02

전철역에서 집까지 걸어오는 길이 많이 쌀쌀했다.
안산에서 봄과 여름을 났고 이제 가을을 맞는다.
계절이 지나는 것은 흔히 우리가 보기에 사계절이 똑같다는 하와이에서도 뚜렷하다고 한다.
우리가 소매길이의 길고 짧음으로, 혹은 껴입은 옷의 갯수로 계절을 느낀다면 그들은 망고나무에 꽃이 피고지는 것으로 느끼는것이 다를 뿐.
여름 한철 고민했던것들이 서서히 윤곽을 띠면서 구체화되려 한다.
그것이 이 쌀쌀한 바람을 타고 가을로 가서, 마침내 겨울의 문턱에서 무대에 올려질 것이다.
계절을 관통하는 작업...
불안하다.
불안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2 2005/04/15 13:02

가극 금강을 연출하신 김석만 선생님의 메모를 쭉 훑어 보는데, 마음에 담기는 글귀가 있었다.
'사소한 일에 목숨걸지 마라'..와..
'세상에 사소하지 않은 일은 없다.'..
그러네....
목숨걸고 하루하루를 살아야하는 거였다.
오늘 죽고 내일 다시 태어나고 내일 죽고 모레 다시 태어나는 삶..
오늘은 어떻게 죽을것인가...
조금 있으면 그림의 연습이다.
연습실에서 죽는것이 오늘의 목표가 되겠구나..

어제 끝난 가극 금강..
무대위에서 땀흘리는 배우들의 모습이 아름다웠다.
피트에 처박혀있는 오케스트라보다 삼만배는 아름다웠다.
땀의 양이 비교가 되지 않는탓이겠지..
그들은 두달을 함께 땀흘렸으니까..
어쨌든..
그래서 그들이 이루어 놓은 결과가 어찌되었든간에..
아름다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는 이제 내 자리로 돌아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1 2005/04/15 13:01


발견했다...딱!.....이건데...
어떻게 하면 이걸 가질 수 있을까.....
정말이지...
갖고싶다..
사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15 13:00 2005/04/15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