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자원봉사자와의 대화

  • 등록일
    2008/11/15 23:40
  • 수정일
    2008/11/15 23:40
이주노동자센터에서 자원봉사를 하러온 학생의 학부모와 대화를 나누었다.
자원봉사활동을 함께하면서 마음 아픈 일이 늘어나고 있다는 학부모의 말씀을 듣는다.
왜 진작 몰랐는데.... 노동재해를 당한 이주노동자들이 있는 병원 병문안을 하면서 이주노동자들이 한글을 몰라 작업장에서 노동재해를 당하고 있어 직접 자가용을 몰고 일요일마다 이주노동자들을 데리고 한글교실에 데려온다.
처음에는 아이의 자원봉사 접수를 위해 오셨다가 알아나가면서 마음이 아프시다는 학부용의 말을 들으면서 참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일인데... 너무 무심하게 넘어가고 있는 한국인들 아니 지역민들이 무심하게 다가왔다. 그래도 이 학부용처럼 이주노동자들의 현실을 마음속으로 인지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학부모와의 대화... 얼마전 네팔인중 형이 데모때문에 경찰에 의해 연행되어 눈물을 짖던 이주노동자 그리고 형이 경찰서에서 나와 오토바이를 타다 교통사고로 이승의 삶을 등진 사건과 네팔인, 필리핀인, 방글라데시, 베트남인, 중국인 들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네팔의 민주화 투쟁사례를 통해 이들이 버마(현재 랭군) 민주화투쟁을 하고 있는 분들과 같이 고국에 돌아가면 탄압을 받을 민주인사라고 말을 해주고 네팔의 왕정의 폭압과 네팔인의 해외 민주화 투쟁(유럽, 일본, 미국, 한국, 홍콩 네팔 믽모임의 기자회견 및 민주화 염원을 위한 그/녀들의 행보를 말하였다.)사례를 설명하고, 필리핀인 제니씨의 누나의 병고로 인한 사망소식을 접하고 센터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던 것을 지켜본 이야기, 얼마전 고국으로 돌아간 라삐네 아버지가 작업도중 과로사로 사망한 이야기, 베트남 여성이 사업장의 한국인에 의해 성폭행을 당해 원하지 않은 임신으로 낙태를 하게 한 이야기(낙태를 금지하지만 어쩔 수 없었다. 그녀의 눈물 짖는 모습으로 인해 도저히 생명을 살려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지 못하였다.), 중국인 권홍매씨의 국제결혼한 가정이 다 행복하게 살지 못하고 남편의 의처증으로 구타와 폭행으로 이해 고통 받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 자원봉사자 학부용은 이 이야기를 듣고는 이주노동자가 처한 현실을 조금이라도 알아 차린듯 고개를 떨군다. 오늘 한글교실과 병원에서 노동재해를 입은 이주노동자의 밝은 미소뒤에 한국에서의 처한 노동현실이 어떠한지를 조금은 알아차린 듯이 고개를 떨군다.

이 이야기는 다른 센터도 마찬가지 이다. 그렇다고 마음만 아파할 사항이 아니다. 그/녀들이 스스로 이주노동자노동조합을 건설하여 이러한 기본권리 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소수자로 전락하여 처한 현실에 언제까지 한탄만 하고 가슴아파할 일이 아님을 이 일에 접하면서 알고 있다. 그들에게 알량한 지원이나 마음 아파해주는 것이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녀들과 함께 이러한 사건들이 해소되고 자유롭게 고국과의 왕래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권리조차 보장받고 있지 못한 현실이 문제이다.

자유롭게 노동할 권리와 이동할 권리가 무엇보다 이들에게 소중하다. 단지 돈을 벌러 왔다는 곱지 않은 시선을 말하기전 그/녀들이 처한 현실을 직시하였으면 한다. 그/녀들은 불쌍하다는 말로 시혜를 받기를 거부한다. 당당히 인간으로서 대우받고 싶어하고 자신의 정당한 노동을 인정받고 싶어한다. 그러나 사업주는 그/녀들을 이용해 저임금 장시간 노동이으로 악용하고 있다. 그나마 빨간글씨의 날짜를 쉬게하는 사업주는 그나마 낳은 조건에서 일을 한다.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르지만 자원봉사자 학부용과의 대화에서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의 일부를 이야기해 주었다. 네팔인은 오늘에서야 형의 죽음소식을 듣고 단식을 하다가 오늘 밥을 먹고 기운을 내고 있다고, 이 일이 오산에서 뿐이더냐..... 전국에서 이러한 일들은 일상이라는 이름으로 비일비재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다만, 우리는 이주노동자 그/녀들과 함께하고 있지 않기에 잘 모를 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