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YouTube

디지털 현장기술지(인류학)

미국의 캔사스 주립대학의 문화인류학과의 교수와 학생들이 '디지털 현장기술지 작업반'을 만들어 "매개된 문화"라는 웹사이트(http://mediatedcultures.net)를 운영하고, 유튜브에 디지털 문화를 주제로 한 여러 비디오를 만들어 올리고 있네요...

작업반의 블로그(http://www.mediatedcultures.net/ksudigg/)에서,
유튜브(http://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ksudigg&search=)에서,
'유튜브에 대한 디지털 현장기술지'라는 프로젝트의 페이지(http://mediatedcultures.net/youtube.htm)에서,
비디오들을 볼 수 있는데...

여기의 몇 가지 비디오들이  '비디오 도가니' 혹은 네트워크문화를 어느 정도 설명해 주는 듯도 하구요...

아래 세 가지 비디오...

Information R/evolution



The Machine is Us/ing Us (Final Version)


A Vision of Students Toda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유튜브의 변주 혹은 대안 비디오사이트!

비디오공유사이트의 대표격이 된 유튜브! 어떻게 이렇게 성공하게  되었는지 상세하게 살펴보면 재밌는 얘기가 많을 것 같은데요...

Home


어쨌든, 유튜브의 성공/인기에 기댄 변주 혹은 그에 대한 대안 사이트들이 몇몇 있습니다:

인터넷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고 미쳐오고 있는 포르노 산업에서 하나쯤 만들었을 법 하죠!

Pornotube.com is undergoing maintenance.


"시사/이슈에 대한 비디오와 오디오 (파일)의 공유"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폴리튜브(politube)! 자원활동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 정도의 소개가 있는데, 어떤 사람들이 이걸 만들었는지 조사는 해볼 곳은 있고요...



그리고 일본의 노동넷이 만든, 노조튜브!

UnionTube について: http://video.labornetjp.org

참고:[유튜브? 노조튜브(일본)] 에 관련된 글.


이 노조튜브는, 호주의 "인게이지미디어"가 자유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누구나 설치하여 온라인비디오공유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루미를 가지고 만든 것이네요


    "비디오 공유하기, 플루미!"

   
plumi.org || engagemedia.org


참고:[대안적 비디오공유사이트 FOSS1: 플루미!!!] 에 관련된 글.



더 있었던 것 같은데... 일단 이 정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민운동단체의 온라인비디오(사이트) 활용?

또 유튜브라서 그렇지만, 일단 몇 개의 비디오

* Contest to End Youth Homelessness / 올린이: YouthNoise


* ONE Vote '08 / 올린이: TheONECampaign



* Share Your Story at the 92nd Street Y Street Fair / 올린이: 92ndStreetY




위의 세 비디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뭐, 여러가지 있을 텐데...
그 중의 하나는, 유튜브가 최근에 시작한 "비영리 프로그램"(Non-Profit Program, http://youtube.com/nonprofits)에 낚인 시민사회단체들의 캠페인 비디오라는 점입니다...



유튜브가 비영리적인 사업을 한다? 시민사회단체들의 신청을 받아서 그 단체에서 하는 캠페인의 전용 채널을 만들어주고, 업로드 용량도 많이 주고, 노출도 많이 되게 해주고("Promoted Videos"), 곧바로 후원받을 수 있게 구글의 온라인 결제 기능을 수수료 없이 설치해준다는...

이 글의 제목을 시민운동단체의 온라인비디오(사이트) 활용이라고 했지만, 사실 그 반대로의 힘이 더 크게 작동하는 것이라과 봐야겠죠. 유튜브의 시민운동 활용... 전유...

현재와 같이, 넓게 둘러쳐 표현하자면, 현재와 같이 폭넓어지는 흐름으루다가 자본의 운동과 사회운동이 뒤섞이는 때가 또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국에서도 그런 사례들이 많고, 더 많아질 듯 한데...
(단적인 예로: 아, 넷!님의 [UCC축전이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유튜브의 문화이론을 위한 9가지 가설(헨리 젠킨스)

["주희를 소개합니다." or 사이비 참여미디어] 에 관련된 글.

Henry Jenkins, "Nine Propositions Towards a Cultural Theory of YouTube", blog: www.henryjenkins.org, May 28, 2007

이 길지 않은 글에서, 헨리 젠킨스는 9가지 질문들을 통해 유튜브 - 넓게 보면 온라인비디오공유사이트들에 대한 문화연구의 꺼리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 질문들만 정리해 봅니다:
  1. 혼성 미디어 공간(hybrid media space)
  2. 다양한 풀뿌리 공동체들 간의 만남의 장소
  3. 아마추어들이 중개하는 상업적 콘텐츠와 틈새 소비자 공동체의 만남
  4. 사회적 연결망 사이트들로 확장: 유튜브 가치는 펌질에 의존
  5. 시민 저널리즘을 위한 중요한 장소(site)
  6. 대중 참여 정치, 대중 정치 참여의 기회 제공
  7. 주류 미디어를 하나의 소스로 사용하며 미디어산업 위협
  8. 사회적 기예(skills)와 문화역능으로서 사회연결망 형성 중요
  9. 수렴되기도 하는 참여문화
아, 헨리 젠킨스는 "융합문화"라는 책(2006)으로 알려진... 그의 블로그에서도 다양한 글들이: http://www.henryjenkins.org/

Convergence Culture Cover


생각난 김에, 인터뷰 영상: "Henry Jenkins on digital media and learnin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립싱크(lip-syncing) 비디오

우선, (임의로 찾아본) 몇 가지 보면...

* 산화머니


* Numa Numa


* 차이니즈보이즈: i want it that way spoof


이 선수들은 블로그도 있네요: The Dormitory Boys - Life is short, make fools of yourselves while you can!
이러한 립싱크 비디오들은 어떻게 봐야할까요?

재밌게? 재밌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고...

문화연구 차원에서, 이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한 글도 있네요:

The Fab 4 Million - YouTube and the neglected art of lip-syncing,

저 위의 글을 대충 스윽 보면서, 드는 생각들을 적어보면:
- 대중문화 스타들에 대한 그 팬들의 모방 혹은 패러디, 널리 알려진 매스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소비자들의 모방 혹은 패러디
- 손쉬운 장기자랑; 문화산업과 대중문화에서의 대중들의 어떤 표현 욕망?
- 엔터테인먼트 혹은 상업 대중문화에 대한 풍자?
- 모방, 패러디, 오마주, 되섞기(remix) 등의 어떤 매니아 문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네트워크문화 관련 유튜브의 비디오들

일단, 몇 가지 검색되는 대로 찾아본 것들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술작품 속의 여성

놀라운... 덧글들에도 그렇게 써있고...

Women In Art





500 Years of Female Portraits in Western Art
Music: Bach's Sarabande from Suite for Solo Cello No. 1 in G Major, BWV 1007 performed by Yo-Yo Ma
For a complete list of artists and paintings visit http://www.maysstuff.com/womenid.htm
http://www.myspace.com/eggman91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호치민?

호치민  Ho Chi Minh / 정윤석 / 2007 / 5min




올려진 곳: http://soyio.net/17

이런 식의 편집, 구성을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무슨 장르가 될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공유(지)기반 또래 생산: Yochai Benkler

2006년 말에 독일, 베를린에서 Wizards of OS 4라는 국제회의가 있었나 봅니다.
거기에 온, 요차이 벤클러(Yochai Benkler)에 대한 짧은 인터뷰: 공유(지)기반 또래 생산(commons-based peer production)이 뭐냐?에 대해...




Yochai Benkler @ Wizards of OS 4 (youtube 비디오)

벤클러는 2006년에 "네트워크의 부"라는 책: The Wealth of Networks: How Social Production Transforms Markets and Freedom, University Press, 2006 (링크를 가보시면, 책 전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에서,
네트워크정보경제에 대해 분석하고, 특히 지식, 정보, 문화에 대한 독점 소유권인 지적재산권의 문제들을 공유지(commons)에 입각해 비판하고 있는데요, 네트워크정보경제, 특히 공유(지)기반 또래 생산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사회적 생산" 양식을 확장하고 있다고 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디어 공공영역에 대한...

1. 칼 맑스의 공공영역에 대한 강의!!!
The Public Sphere and The Internet w/ host Karl Marx




유투브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bHixAB3NKo8
This video was done for my New Media class with Michael Strangelove & inspired by his book "Empire of the Mind".


2.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된 공공영역 혹은 네트워크된 대안 공공영역
Alternative Networked Public Sphere





유투브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9IcEZTk2qP0
퍼블릭 액세스(PEG Access) 인터넷을 네트워크된 대안 공공영역으로 보고 있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