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진보의 말하기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3/08/22
    사과 2
    ou_topia
  2. 2013/08/20
    '진보'의 말하기란?(36)
    ou_topia

사과 2

1. 기도

 

하나님 앞에서는 받침대(substantia)와 거기에 부과 된 것(attributum) 간의 관계가 뒤집어 진다. 새사람이 되는 것은 하나님이 ‘네가 정의롭다’고 말하면서 주는 겉옷. 그러나 인간의 받침대는 여전히 죄.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발을 딛고 서있는 받침대는 보지 않으시고 오로지 정의로운 겉옷만을 보신다. 이 루터의 고백이 내 고백이 되기를 희망한다.

 

대타는 타자(他者)를 대신하여 들어오는 대타(代打)가 아니라 타자(他者)의 자리에 타자(他者)를 넘어서는 ‘비타자’(非他者, “non-aliud”)로 들어오시는 하나님. 쿠자누스의 하나님이 나를 지키는, 지켜보는 하나님이 되기를 희망한다.

 

‘비타자’인 하나님 안에서 사과를 구하는 사람의 운동과 사과하는 사람을 받아주는 사람의 운동이 만나기를 희망한다.

 

 

2. 오류

 

가리키는 일에서 오류를 범했다.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을 정확하게 가리키는 일은 아마 사유의 바탕일 것이다. 이런 근본적인 차원에서 오류가 있었다.

 

“위안부 피해 이용녀 할머니”를 나는 ‘위안부 피해’, 그리고 ‘이용녀 할머니’로 읽지 않고 ‘위안부 피해’, ‘이용녀’, 그리고 ‘할머니’로 읽었다. 이름을 서술구로 읽은 것이다.

 

3. 오류의 원인

 

1) 

 

한문의 한글표기와 관련된 한글사용 특유의 상황은 지나간다.

 

2)

 

‘지성’에 요구되는 신중이 없었다. 지성이 신중을 다한다는 표징은 글의 사운드 체크를 해보면 알 수 있다. 뭔가를 묻은 사운드가 있는지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자아를 넘어서 타자를 향하고 그를 진정 존중하는 글에는 오로지 타자의 대답으로만 채워질 수 있는 열린 물음이 있다.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기본적인 [질문특유의] 소리다. 이 소리는 간혹 빤히 바라보는 눈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글에 이런 물음이 없다.

 

3)

 

“위안부 피해 이용녀 할머니”란 표현으로 가리켜지는, 한반도란 땅에서 언제부터 언제까지 어떤 경험을 하고 살았던 이용녀라 불리던 분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 이런 관심결여는 “이용녀”가 이름이었다고 알았을지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이름을 안다고 해서 아는 게 아니다. 이름이 대상을 틀림없이 가리키는 서술의 다른 표현이라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이름을 이걸 넘어선다. 이름은 내가 말을 건네고 나에게 대답하면서 나를 묻는 사람을 가리키고 그를 존중하는 상황의 대명사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진보'의 말하기란?

 

말은 의식의 표출과 동시에 은폐다. 그리고 그 은폐기제의 원리와 작동을 추적하는 게 심리학 혹은 정신분석이고.

 

“위안부 피해 이용녀 할머니”

 

심히 불쾌하고, 읽으면 읽을수록 화가 치밀어 오르게 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이곳 진보넷 채널광장에서도 아무런 비판 없이 위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더 화난 이유다.

 

왜?

 

1. 

순전히 내 개인의 문제일 거다. 내 안에 있는 할머니의 이미지는 절대 “이용녀”가 되지 않는다. “이용녀”라는 수식이 있을 수 없다. 어렸을 때 옆에 계셨던 할머니는 항상 정숙한 모습이었고, 이제 와서 생각해 보면 이용, 거래 등등 이 세상의 말이 통용되지 않는 곳에 계셨다. 누가 알겠소만, 살아버린 날들이 살날들보다 더 많은 나이가 되어 시골에 갔을 때 가장 반가운 모습은 하얀 고무신, 하얀 저고리에, 하얗고 검은 머리를 비녀로 정돈한 정숙한 모습의 할머니였다. 지붕만 달랐지 옛 초가집 모습의 집에서 내외분이 깔끔하게 생활하고 계셨다. 

 

2. 

“이용”은 도구의 대명사다. “이용녀”는 주체가 없는 도구일 뿐이다. 주체성을 박탈하는 이 말은 강제와 폭력을 은폐하고 있다. 폭력에 의해 끌려간 할머니의 주체성을 다시 한 번 박탈하고 있다.

 

3. 

“이용녀”는 일본이 씀직 할 만한 말이다. 조선의 여성들이 “이용당하긴”했지만 강제와 폭력은 없었다고. 마치 돈 벌게 해주겠다는 거짓말로 다른 나라 여성들을 서구에 데리고 와서 성매매를 강제하는 것과 동일시하는.

 

그럼 어떻게 표현해야 하나?

 

일제에 의해 끌려간 할머니의 주체성이 부각되어야 한다. 일제를 견디고 살아남으신 분들이시다. 이용당하신 분들이 아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