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동패 이름, ‘미완성’이라 했다. 미완성?

'인생은 미완성'이란 노래제목부터 떠오르는 건

생뚱맞어도 어쩔 수가 없다.ㅋ

 

듣자니, 무언가 덜 됐다는 뜻인 듯,

실은 ‘아름다움’을 이룬다는(좀더 정확힌 이뤄보겠노라는ㅋ) 다짐을 담고 있노라 했다.

일단, '내공부실'을 마치 컨셉인 양 수줍게 캄푸라치하려는 의도겠지.ㅋㅋ

헌데, 합정동 쪽 내 자취방 언저리에서 본 빌라 이름이랑 똑같구만.

그 빌라도 이름이 그렇던데. 우연의 일치?

 

‘마포얼짱’이란 연호가 따라붙는 조합원도 있으신 걸 봐선,

그 빌라 이름을 따라 붙인 걸까나 싶기도 하고.

그걸 안 보곤 불가능한 조어냐면, 뭐 물론 그건 아니지만서도.

 

 

그 ‘미완성’이 어제 명지대 정문에서 펼쳤던 율동을 보며 문득 든 생각.

무언가가 덜 됐다는 건 어쩌면, 공백이라기보다는

‘아름다움’을 생성하는 여백일지 모르겠구나 하는.

 

왜냐.

 

어찌 보면 대단찮을지도 모를 그네들 율동, 그 덜 된 여백에 흘러드는

“사랑해요, 또는 우윳빛깔 마포얼짱”이라는 환호. 그걸로도 모자라

열오를 비껴 선 응원의 몸짓들로 그 여백을 한껏 넓히는 또다른 율동의 흐름이

내가 있던 그곳을 일순이나마 재미나고 흥겨운 곳으로 만들었어서다.

 

물론 누군가에겐 폭소로, 다른 누군가엔 잔잔한 미소로,

아마도 또다른 누군가에겐 실소로, 저마다 다른 색조를 띠었겠지만 말이다.

 

(마치 자신의 직무가 이 “사회에 필요한 일”임을 충실히 숙지한 듯,

돌발 상황 정돈, 관리하느라 수고 참 많으셨던 어느 교직원 안면의 칙칙한 색조도

물론 놓쳐서는 아니 되겠다. 이런 따위 일이

(불특정 다수의 살림살이와 직결된) ‘직무’가 되는 사회가

당최 왜 존속, 심지어 ‘발전’해야 한다는 건지 모르겠어서다.)

 

 

일순이라 했지만, 따지고 보면 이런 돌발스런 순간의 다발이야말로

이곳 투쟁에 살아 있는 ‘빛깔’을 부여하고 있는 건 아닐까나, 싶었던 거다.

 

뭐, 이 모든 게 그저 돌발일 뿐이건만 웬 호들갑이냐고 할지도 모르겠다.

다른 집회에 가도 어렵잖게 볼 수 있는 광경 아니냘 수도 있다.

 

인정, 행여나 싶어 한 번 더 인정.

하지만, 그럼에도 드는 생각은 어쩔 수가 없다. (장기하 삘로ㅋ) 그게 뭐냐면..

 

 

그런 돌발들이 예측(그리하야 통제)가능한 계획의 공백을

얼마만큼 아름다운 여백으로 바꾸어낼지,

아니, 차라리 그런 돌발들 자체가 생동하는 여백들로써

얼마 만큼 우리 투쟁의 ‘전염성’을 높일 수 있을지에 따라

지금 투쟁은 물론, 아마 앞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는 모든 투쟁의 성패가

(오로지 그 때문만은 아니라 해도) 갈릴 수 있잖겠나 하는 생각.

 

 

어쨌거나, 적어도 내겐 상기한 단상을 자극한 연유로

이날따라 집회가 유달리 ‘아름다워’ 보였다는 거~ㅋㅋ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4/10 02:44 2009/04/10 02:44

 

Mar. 15, 2009, Commentary No. 253

 

 

미국에서 내전이?

("Civil War in the United States?")

 

 

 

 

온갖 종류의 금기가 깨지는 데 차츰 익숙해지고 있는 요즘이다. 전 세계 언론에서는 은행을 “국유화”하는 게 괜찮은 발상인지를 놓고 한창 토론중이다. 다른 누구도 아닌, 순결한 시장 자본주의의 사도이길 자처했던 자유지상주의자 아인 랜드의 수제자 앨런 그린스펀은 최근 이렇게 말했다. 은행 국유화는 백년 마다 한 번씩 일어나게 마련인데, 지금이 바로 그때일지 모른다고 말이다. 보수파인 공화당 상원의원 린드세이 그라함도 그린스펀의 견해를 따랐다. 케인지언 좌파인 앨런 블라인더는 이같은 발상에 대한 찬반론을 살폈다. <뉴욕타임즈>의 기고글에서 그는 찬성보다 반대에 좀더 가까운 견해를 밝히면서, 이 글에다 확연할 정도로 작심하고 지적 공력을 쏟았다.

 

다른 한편, 유명한 주요 보수파들의 국유화 제안 소식이 들린다 싶더니, 이젠 미국의 내전 가능성을 놓고서 진지한 토론이 한창이다. 반공 이데올로기의 전도사로, 카터 행정부 시절 국가안보 보좌관을 지낸 즈비그뉴 브레진스키는 지난 2월 17일 어느 아침 토크쇼 프로그램에 출연, 범지구적인 경제 붕괴의 파고 속에서 미국이 계급 갈등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고 했던 데 대한 설명을 요청받았다.

 

그는 당장 걱정이, “미국에서 이런 유별난 부가 역사적 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소수에게 이전됐”음을 알게 된 “사람들 수백만 명이 실업 상태로 끔찍한 곤경을 겪”으리라는 전망 때문이라고 밝혔다.

 

브레진스키는 1907년 대규모 은행업 위기 당시 위대한 금융업자 J.P. 모건이 일군의 부유한 금융업자들을 자기 집으로 초대, 서재에 가둔 뒤 그들이 펀드 투자차 쓰려던 돈을 은행안정화 자금으로 모두 용도 전환하겠다고 할 때까지 내보내지 않았던 일화를 시청자들한테 상기시켰다. 그는 말했다. “부유한 계급은 지금 어디 있는 걸까요? 그들, 수백만 달러를 벌었다는 그들은, 왜 뭔가 하려고 들지 않느냔 말입니다.”

 

그는 부유계급이 자발적 견지에서 뭔가 하려 들지 않을 때 “계급 간 갈등은 점차 증폭될 텐데,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한껏 고통을 겪는다면, 생각조차 하기 싫지만 폭동으로까지 불거질 수 있”다고 했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정치인과 공무원, 기업가, 투자자들을 주 독자층으로 매달 지구적인 시각에서 유럽 전망과 관련한 기밀 정보를 제공하는 단체 LEAP/EUROPE( http://www.leap2020.eu )에선, 지난 달 이슈로 지구 규모의 지정학적 재편을 파고들었다. 이 리포트가 그린 전망은 아름답지 못했다. 리포트는 유럽과 미국, 일본에서 내전이 일어날 가능성을 깊이있게 다뤘는데, “일반화된 형태의 대중봉기”가 여러 충돌과 준-내전을 부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리포트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충고는 이렇다. “자기가 사는 나라 혹은 지역이 대량으로 총기소지를 허용하는 곳이라면, 가능한 한 그곳을 떠나는 게… 최선이다.” 이런 조건에 들어맞는 나라로는, 미국이 유일하다시피하다. LEAP/EUROPE 대표인 프랑끄 비앙체리는 “미국에 유통 중인 총기가 2백만 정이며, 폭력조직들에 바탕한 사회적 폭력이 버젓한 지도 이미 오래”라는 데 주목했다. 이들 전문가가 강조한 건, “신체적 위험이 한계에 다다를 곳”이라는 이유로 미국을 떠나 유럽으로 거주지를 옮기는 움직임이 벌써 진행중이라는 점이었다.

 

브레진스키가 미국에 또다른 J.P. 모건이 출현해 “부유한” 계급이 마지못해서라도 감을 잡기 바란다면, LEAP/EUROPE의 리포트는 오는 4월 2일 런던에서 열리는 G20 회의를, 회의 참가자들이 “믿음직스럽고 과감한” 계획 아래 모인다는 것을 전제로 “마지막 기회”라 보고 있다.

 

이같은 분석들은 좌파 지식인들이나 급진적 사회운동 진영에서 나온 게 아니다. 이들 분석에는 현존 토대의 일부를 이루는 진지한 미국 및 유럽산 분석가들한테서 생긴 두려움이 가감없이 담겨 있다. 용어상의 금기가 깨지는 건, 바로 이들 부류가 진정 두려움을 느낄 때다. 그런 금기들을 깬 핵심적 이유는 1907년 J.P. 모건이 금융업자들을 서재에 가뒀던 것과 같은 중요하고도 재빠른 조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다.

 

1907년엔 더 쉬웠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원문보기http://fbc.binghamton.edu/253en.ht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3/22 04:09 2009/03/22 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