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이방인'의 마지막 문장, 위악과 냉소와 슬픔과 분노가 가득 찬 절규를 보라

그때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크게 울렸다. 그것은 이제 나와는 영원히 관계가 없어진 한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었다. 참으로 오래간만에 처음으로 나는 엄마를 생각했다. 엄마가 왜 한 생애가 끝나갈 대 약혼자를 만들어 가졌는지,

왜 다시 시작해보는 놀음을 했는지 나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거기, 뭇 생명들이 꺼져 가는 그 양로원 근처 거기에서도, 저녁은 서글품 휴식 시간 같았다.

그토록 죽음이 가까운 시간, 엄마는 거기서 해방감을 느꼈고, 모든 것을 다시 살아 볼 마음이 내켰을 것임에 틀림없다. 아무도, 아무도 엄마의 죽음을 슬퍼할 권리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나도 또한 모든 것을 다시 살아볼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마치 그 커다란 분노가 나의 고뇌를 씻어 주고 희망을 가시게 해주었듯, 신호들과 별들이 가득한 그 밤을 앞에 두고, 나는 처음으로 세계의 정다운 무관심에 마음을 열고 있었던 것이다.

세계가 그렇게 나와 닮아서 마침내는 형제같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나는 전에도 행복했고, 지금도 행복하다는 것을 느꼈다. 모든 것이 완성되도록, 내가 덜 외롭게 느껴지도록, 나에게 남은 소원은 다만, 내가 사형 집행을 받는 날 많은 구경꾼들이 와서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맞아주었으면 하는 것뿐이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1/05/12 17:44 2021/05/12 17:44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8434pjr/trackback/555

카뮈 '이방인' 마지막 부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방인'의 마지막 문장, 위악과 냉소와 슬픔과 분노가 가득 찬 절규를 보라

그때 밤의 저 끝에서 뱃고동 소리가 크게 울렸다.

그것은 이제 나와는 영원히 관계가 없어진 한 세계로의 출발을 알리고 있었다.

참으로 오래간만에 처음으로 나는 엄마를 생각했다.

엄마가 왜 한 생애가 끝나갈 때 약혼자를 만들어 가졌는지,

왜 다시 시작해보는 놀음을 했는지 나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거기, 뭇 생명들이 꺼져 가는 그 양로원 근처 거기에서도,

저녁은 서글픈 휴식 시간 같았다.

그토록 죽음이 가까운 시간, 엄마는 거기서 해방감을 느꼈고,

모든 것을 다시 살아 볼 마음이 내켰을 것임에 틀림없다.

아무도, 아무도 엄마의 죽음을 슬퍼할 권리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나도 또한 모든 것을 다시 살아볼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마치 그 커다란 분노가 나의 고뇌를 씻어 주고 희망을 가시게 해주었듯,

신호들과 별들이 가득한 그 밤을 앞에 두고,

나는 처음으로 세계의 정다운 무관심에 마음을 열고 있었던 것이다.

세계가 그렇게 나와 닮아서 마침내는 형제같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나는 전에도 행복했고, 지금도 행복하다는 것을 느꼈다.

모든 것이 완성되도록, 내가 덜 외롭게 느껴지도록, 나에게 남은 소원은 다만,

내가 사형 집행을 받는 날 많은 구경꾼들이 와서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맞아주었으면 하는 것뿐이었다.

'엄마'의 죽음을 알리면서 시작해 '나'의 살인을 거쳐 '나'의 사형집행을 예고하며

끝나는, 죽음에 관한 소설, 카뮈가 스물아홉의 나이에 발표한< 이방인>이다.

1946년 5월19일에 판매되기 시작한 이 작품 내용은 주인공 뫼르소는 어머니의 사망을 전하는 전보를 받고, 장례를 치르고, 아랍인을 총으로 살해하고,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는다.

20세기의 지성이자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 억압적인 관습과 부조리를 고발하며 영원한 신화의 반열에 오른 작품

어머니의 기이한 무관으로 표현된 세계의 모든 부조리한 단순성에 대한 기록이다. 오랜만에 만난 아들 앞에서 수줍은 미소를 지으며 조심스레 "또 올 거지?" 바쁜 것은 잘 알지만, 그래도 이따금....."이라고 말하는 어머니,

 

 

아버지는 1차 세계대전 중에 사망, 가정부로 일하는 어마니 아래서 가난하게 자란다. 아홉 남매 중 둘째로 태어나 장학생으로 알제대학 철학과에 입학, 장그르니에를 만나 사상적 스승으로 1934년 공산당에 입당하나 내적 갈등을 겪다가 탈퇴

1942년 『이방인』이 처음 발표되었을 때, 카뮈는 알제리에서 태어난 젊은 무명작가에 불과했다. 낯선 인물과 독창적인 형식으로 현대 프랑스 문단에 이방인처럼 나타난 이 소설은 출간 이후 한순간도 프랑스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빠진 적이 없는 걸작이 되었다. 프랑스 파리 갈리마르 출판사의 통계에 따르면 『이방인』은 지금까지 프랑스에서만 모두 733만여 부가 판매되었으며 연 평균 판매 부수는 19만 부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갈리마르 출판사 설립 이래 백여 년의 역사상 최고의 베스트셀러에 속한다. 『이방인』은 현재 전 세계에서 무려 백한 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이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판은 한국 최고의 불문학 번역가로 선정된 김화영 교수가 두 차례의 개역을 통해 원문에 가깝게 옮긴 번역본이다.

『이방인』은 작품 그 자체로 보나 20세기 서사 형식의 역사에 있어서나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는 작품으로 출판 당시부터 하나의 문학적 ‘사건’이었다. 양차 세계 대전을 겪으며 정신적인 공허를 경험한 당대 독자들에게 카뮈는, “영웅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으면서 진실을 위해서는 죽음도 마다하지 않는” 뫼르소라는 인물을 통해 관습과 규칙에서 벗어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한다. 현실에서 소외되어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이 죽음을 앞두고 비로소 마주하는 실존의 체험을 강렬하게 그린 이 작품은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워지는 고전의 품격을 발산한다.

『이방인』 출간 당시 롤랑 바르트는 이 짧은 소설을 “건전지의 발명”과 맞먹는 사건이라고 압축했다. 가에탕 피콩은 “지극히 현대적인 감수성을 완벽에 가까운 고전적인 형식으로 끌어올렸다.”라고 격찬했고 에마뉘엘 무니에는 “뼛속까지 고전적인, 다시 말해서 의도적이고 정돈되고 군더더기 없는 문체를 지향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거의 청교도적인 이 작가는 내면에 분열의 아픔과 어둠을 간직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1945년에 이미 사르트르는 이런 모든 평가를 종합하는 동시에 이 작품의 가치를 꿰뚫어보며 다음과 같은 예언적인 말을 남겼다.

“카뮈의 어둡고도 순수한 작품 속에서 미래의 프랑스 문학의 주된 특징들을 식별해 내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그의 작품은 우리에게 어떤 고전적인 문학을 약속한다. 그 문학은 아무런 환상도 주지 않지만 인간성의 위대함에 대한 믿음으로 가득 차 있고, 가혹하지만 불필요한 폭력은 배제하는, 열정적이지만 절제된 문학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방인 (L’Etranger) (세계문학전집)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1/05/02 21:41 2021/05/02 21:41
태그 :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8434pjr/trackback/556

자살했던 고 성완종 의원의 동생 성일종 의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힘당' 성일종 의원이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울림이 있는 말을 많이 했다. 성 의원의 인터뷰 기사에서 송곳처럼 날카로운 메시지 몇 개를 발견한 김에 한마디하고 넘어간다.

그의 형 성완종은 권력자들에게 접근하며 로비를 시도하다가 많은 좌절과 문제점을 노출하면서 자살을 하더니 그의 동생은 정치적인 후계자로 살아남은 것 같다. 성일종 의원의 자살 이후 동생이라도 다행히 괜찮은 정치인으로 성장한 것 같다.

글을 쓰다가 옆길로 샐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성일종이 말한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우선 소개한다. 성일종은 "DJ가 반쯤 해놓은 것, 그 마지막 절반을 이쪽(국민의힘)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재선, 충남 서산태안)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수차례 언급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참 훌륭했다"라며 그의 리더십을 높게 평가했다. 그는 대한민국 미래의 걸림돌로 지역주의를 지목하고, 이를 타파하는 것이 보수혁신의 남은 과제라고 진단했다. 통합을 통한 지역주의 타파, 김대중 전 대통령이 'DJP 연합'과 'PK 끌어안기'로 절반쯤 이룬 그 목표를 국민의힘이 이어가야 하는 것이 자기의 구상이라고 했다.

일전에 수구꼴통인 홍준표 의원도 DJ만이 퇴임 후 온전히 편안한 여생을 누렸다고 언급한 것을 보았다. 박정희를 닮아 지독히도 평생 DJ를 욕하던 인간들이다. 사실 DJ만큼 갖춰진 분도 드물고, DJ만큼 평생 노력하며 갈고 닦은 정치인도 드물다. 아무리 해도 여타의 정치인들은 거목 밑의 잔가지에 불과할 뿐인데 칭찬은커녕 업적을 인정하는데도 인색한 사람들이었다.

또 ’서병수의 탄핵 부정에서 주류 의견을 재확인하는 기폭제‘가 됐다면서 도로 영남당 도로 과거 회귀 말고, 역발상 하여 윤석렬, 김동연, 장성민, 원희룡 같은 인재들을 다 모아 보수 버전의 DJP 연합을 통한 확장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성일종 의원은 김종인 전 위원장의 가장 큰 공은 무엇이라고 평가하나?의 질문에서

"제일 잘하신 것은 우리 당을 중도로 확장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호남과의 동행이다. 호남과의 동행 차원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한 여러 문제들도 이번에 해결하지 않았나? 5.18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를 공법단체로 올려드린 것, 또 희생자의 방계가족도 5.18 유족회의 회원으로 들어가실 수 있도록 해드린 것, 호남에 제2의 지역구를 두고 교류 활동을 했던 것이라 대답하는 대목이었다.

그렇다. 몽고제국을 보더라도, 유목민들은 멀리 넓고 크게 보며 이동하는 생활을 하는 속성이 있어서인지 좁쌀처럼 좁은 행보를 하면 살아남지 못했다. 몽고제국은 개방성과 속도전을 특징으로 한다. 대중 선생의 개방성과 포용력은 폐쇄적이고도 정통성이 부족한 군사정권 하의 상처투성이 대한민국 정치판에 독보적이고도 대승적인 것이었다.

내가 뭐 성일종 이라는 사람이 국회의원이 되어 국힘당에 잘 안착하고 있는지 알게 뭐람 이 정도로 ’성일종‘이라는 정치인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했었다. 오늘 ’오마이뉴스의 인터뷰 기사‘를 보며 그가 고인물에 머물지 않고 흐르는 물처럼 창의적인 발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다.

국힘당 국회의원이나 정치인이래야 TV화면에 비추는 저 지긋지긋하게 심심하고 고리타분한,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하는 정국에서 대통령 대행이 되어 온갖 무게를 다 잡던, ’나 지금 대통령 대행이야!‘ 하며 보수의 묵은 맛을 잔뜩 풍기는 황교안 등이었다. 민주당의 다른 의원들도 실물을 보면 실망스럽기 그지없었다. 인간이 잘생기고 못생긴 그런 것을 따지는 게 아닌,

아무튼 뉴스든 정보든 소식이든 친좌파, 친우파 매체 가릴 것 없이 골고루 봐야 할 필요성을 또다시 절감했다. 이번 ’국힘당‘의 성일종 의원의 오마이뉴스 인터뷰 기사가 이런 경우다. 조.중.동에서 돋보이는 것은 집요하고도 넓고 깊은 취재력이다. 특히 조선일보와 TV조선은 시청률이라는 마력에 목을 매고 무리와 편법과 편향된 시각을 보이는 무리수의 끝판왕이라서 경계를 해야 할 매체라는 것을 잊지 말자고 다짐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39329&PAGE_CD=ET001&BLCK_NO=1&CMPT_CD=T001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1/04/29 15:23 2021/04/29 15:23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8434pjr/trackback/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