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규라는 작가를 잘 알지 못한다.

다만 보기 드물게 드꺼운 책의 두께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이 표지로 나와 있다는 이유가 책 선택의 이유였다.

종종 책을 고르고 읽을때 참 이상한 기준을 갖고 있다는 생각을 할때가 있는데.

이번이 그런 경우인것 같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는

벨라스케스의 또다른 작품 왕녀 마그라리타라는 작품을 보고 작곡가 모리스라벨이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라는 것을 작곡 했다고 한다.

이 곡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이라는 친절한 설명이 덧붙어 있다.

지금은 인터넷에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라는 곡을 듣으며 이 글을 쓰고 있다.

 

연애 소설이라고 말할수도 있겠지만

단순한 사랑 얘기는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를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가? 작가는 사람들의 부끄러움과 부러움이라고 한다.

다른 이들의 삶을 부러워 하면서 끊임없이 자신을 부끄럽게 여기는

그래서 더 많은 돈, 스펙을 갖길 원하고

더 많은 명성을 얻길

더 아름다워지길 바란다고 말한다.

이러한 부러움과 부끄러움은 사람들로 하여금 '나'와 '자신'은 있어도

'자아'는 없는 그런 삶을 살게 한다고.....

 

빛나도록 아름다워보이는 이들은 사실은 스스로가 빛이 난다기 보다는

부러움과 부끄러움으로 바라보는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

수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갖는 빛이 모여서 사랑받기 때문에 아름다운 사람들은 그토록 빛이 나 보인다고..

 

그럼에도 자아를 잃게 하는 세상에서

'사랑' 또 다른걸 꿈꾸게 하는데 그것은 다름아닌 상상력.

사랑하는 사람을 현실의 그것과는 다르게 보게하는 상상력.

 

보는 순간 몸이 얼어붙을 것 같이 못생긴 한 여성과

그녀를 사랑하게 된 한 남성.

그리고 이 둘 사이에서 마치 중재자처럼, 혹은 조언자처럼 등장하는 요한.

 

'내가 못생겼어도 날 사랑햇을까요?'라는 아내의 물음에서 책을 고민하기 시작했다는 작가는

질문을 받고 10년의 시간이 흐른뒤

 

못생긴 얼굴에, 비정규직이고, 가난한 집에는 돌봐야 할 부모가 있고

특별한 능력도 없는 여성이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못생겼다는 이유로 주변의 비웃음과 동정을 받아야 했던 여성

단 한번도 사랑이란걸 꿈꾸지 못했던 여성은 삶에 대한 기대도 희망도 없었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처럼 살아가야 하는, 그래야 상처받지 않는 그런 인생이었다.

그녀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해줄 한 사람을 만나고

결국 자기 스스로 일어설 힘을 얻게 된다.

그러다 이러저러한 우여곡절끝에 그 남자와 헤어지고...

한 십년의 시간이 흐른뒤 다시 재회한다는 마무리까지는 너무나 평범한 결론이지 않았을까 생각됐는데.

 

9회말 투아웃 상황에서 결론은 두가지의 길로 뻗어 나간다.

 

그러니까 완전히 다른 두가지의 결말이 나란히 붙어 있다. 

 

하나는 주인공 남자의 시선에서 그려진 해피엔딩(여차여차 헤어진 그녀와 다시 만나 행복했데요~)

그리고 다른 하나는 요한과 그녀의 시선에서 보는 세 사람의 사랑과 삶....

 

두가지다 맘에 드는 결론이다.

결론은 혹시라도 읽고 싶은 사람들에게 민폐가 되지 않기 위해 슬쩍 넘어간다.

 

작가가 결론과 덧붙여 쓴 작가의 말은 참으로 따뜻하다.

 

----------------------------------------------------------------------------------------------------------------------------------------

'이제 서로의 빛을 서로를 위해 쓰시기바랍니다. 지금 곁에 있는 당신의 누군가를 위해, 당신의 손길이 닿을 수도 있고... 그 손길을 기다리고 있을 누군가를 위해, 말입니다. 그리고 서로의 빛을 밝혀가시기 바람지다. 결국 이세계는 당신과 나의 <상상력>에 불과한 것이고, 우리싀 상상에 따라 우리를 불편하게 해온 모든 진리는 언젠가 곧 시시한 것으로 전락할 거라 저는 믿습니다.'

 

사랑하시기 바랍니다.

더는 부끄러워 하지 않고

부끄러워 하지 않는

당신 <자신>의 얼굴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저는 그것이

우리의, 아름다운 얼굴이라고 생각합니다.

------------------------------------------------------------------------------------------------------------------------------------------

 

부끄러워 하지 않고

부러워 하지 않고

온전히 나 자신으로,

사랑이 없는 생활이 아니라

사랑이 있는 삶을 살고 싶다.

 

 

 

 

4대강 공사장이 빗물이 확 휩쓸려 버렸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을 갖고 있는 비오는 금요일, 토요일에 읽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7/17 11:56 2010/07/17 11:56
Tag //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dalsang/trackback/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