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이것이 인간인가

오랜만에 다시, 독서일기. 그동안 아껴두었던 프리모 레비의 책을 이번에 읽었다. 인간에 대한 회의와 불신 속에서 스스로의 인간성에 대해서 치열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는, 또 자신이 살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이성과 감정, 기억을 가진 인간이라는 사실을 잊어야만 하는 역설적 상황. 가슴 아릿한 구절이 너무 많았다. 아우슈비츠를 떠올리면 한국의 감옥은 훨씬 더 견딜만한 곳일 것이라는 묘한 위안.

 

"역사와 삶 속에서 '누구든지 가진 사람은 더 받을 것이며 못 가진 사람은 그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라는 잔인한 법칙을 실감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인간이 홀로 존재하며 삶을 위한 투쟁이 원초적인 메커니즘으로 축소되어버리는 수용소에서, 이 불공평한 법칙은 공공연히 효력을 발휘하며 모두에게 인정을 받았다. ..... 가장 간단한 방법은 굴복하는 것이다. 명령을 그대로 따르기만 하면 된다. 일터와 수용소의 규율에 따라서만 배급을 먹으면 된다." 

-134-135쪽

 

"'변화란 무조건 나쁜 것이다', 수용소의 격언 중 하나였다. 좀더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경험은 우리에게 모든 예측이 헛되다는 것을 수도 없이 보여주었다. 우리의 그 어떤 행동도, 그 어떤 말도 미래에 눈곱만큼의 영향도 미치지 않는데 뭐하러 고통스럽게 앞일을 예측하려 하겠는가? 우리는 고참 헤프틀링이었다. '이해하려 애쓰지 마라, 미래를 상상하지 마라, 모든 게 어떻게 언제 끝나게 될지 생각하며 괴로워하지 마라'는 게 우리의 지혜였다. '다른 사람에게 질문하지도, 스스로 자문하지도 말라'는 것이었다.

- 178-179쪽

 

"오늘은 바람이 불지 않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이상하게도 인간은 어떻게 해서든 자신이 운이 좋다고 생각한다. 어떤 상황이, 어쩌면 아주 보잘것없을 수도 있는 상황이 우리로 하여금 절망의 문턱을 넘지 않도록 해주고 계속 살아가게 해준다. 비가 오지만 바람이 불지 않는다. 혹은 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 하지만 오늘 저녁 내가 추가로 죽을 배급받을 차례라는 것을 안다. 혹은 상황이 더 안 좋아서 비가 오고, 바람이 불고, 보통 때와 다름없이 배가 고프다. 그러면 정말로 바닥에 누워 있는 것 같을 때마다 종종 그렇듯 정말로 마음속에 고통과 지루함밖에 느껴지지 않는데, 그러면 우리는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좋다, 나는 내가 원한다면 언제라도 전류가 흐르는 철조망을 건드리거나 달리는 기차에 뛰어들 수 있다. 그러면 비는 끝이 날 것이다."

-201쪽

 

"운명의 선물은 단번에, 가능한 한 철저히 즐기면 된다. 내일에 대해서는 전혀 확신할 수 없으니까."

-214쪽

 

"코만도의 동료들은 나를 부러워한다. 그러는 게 당연하다. 어떻게 내가 만족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아침에 내가 사나운 바람을 피해 실험실의 문지방을 넘어서는 순간 바로 내 옆에 한 친구가 등장한다. 내가 휴식을 취하는 순간마다, 카베에서나 쉬는 일요일마다 나타나던 친구다. 바로 기억이라는 고통이다. 의식이 어둠을 뚫고 나오는 순간 사나운 개처럼 내게 달려드는, 내가 인간임을 느끼게 하는 잔인하고 오래된 고통이다. 그러면 나는 연필과 노트를 들고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는 것을 쓴다."

-216쪽

 

 

- 어젯 밤엔 인천의 어느 구청에 단수여권을 발급하러 가는 꿈을 꾸었다. 4시 반이 마감이었는데 후다닥 뛰어가서 번호표를 발급받고 마지막 순서로 줄을 서는데 성공했다. 그런데 난 급한 마음에 인지를 안 사붙이고 일단 작성한 서류부터 냈는데 그 공무원이 이렇게 하면 안 된다고, 오늘 업무는 이제 끝이 났다고  다음에 다시 오라는 것이었다. 억울해서 그 공무원을 붙잡고 사정을 좀 했더니, 그럼 다음에 다시 찾아오되 대신에 신청 후 한시간 이내에 바로 여권을 받아갈 수 있도록 편의를 봐준다고 했다. 그런데 난 그 구청이 집에서 먼 곳이기에 그냥 다음에 서울에 있는 구청으로 가야지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꿈이 깼는데, 생각해보니 서울에 있는 구청으로 다시 가면 발급하고 나중에 또 한번 찾으러 가야하는 건데 그냥 인천의 그 구청에서 그 공무원의 제안을 받아들일걸 하는 후회가 들었다. 왜 이런 꿈을 꿨는지 모르겠다.-_-; 책 내용이랑은 상관이 없지만 여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