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나도 보수다

일상 2012/02/19 20:04

어제 늦은 밤 앤서니와 맥주를 마시면서 푸념하듯이, "한국 여성들은 연애의 목적이 결혼이야" 이렇게 말했더니 앤서니는 미국 여성들도 그렇다고 말한다. 36살인 앤서니는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으로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친다. 물론 학원에서.

앤서니는 대학에서 International relationship을 전공했다. 세부적으로는 한국과 일본, 아르헨티나의 수입과 수출 모형을 공부했단다. 그래서 내가 한국과 일본의 유사성에 대해, 그리고 한국과 아르헨티나와 공통점으로 오랜 기간의 군부독재를 언급했더니 잘 모르는 모양이었다. 좀 설명해주었더니 내가 너무 정치적이란다. 미국인들은 대체적으로 정치적으로 보수적이다. 자본주의 체제를 넘어서는 다른 사회체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내가 만난 젊은) 미국인들은 대체로 '사회주의=독재, 자본주의=민주주의'라는 도식을 굳건하게 지키고 있다.

그들의 반사회주의적 성향이 때론 거북하기도 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한국인보다 훨씬 더 열린 자세를 가지고 있다. 이성관계에서는 물론이고 동성애에 대해서 우리의 보수성은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한국에서 만난 이들은 인종적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동양계나 흑인들과 자유롭고 편하게 잘 지내는 걸 보면 내가 어느 정도 편견을 가지고 있는 모양이다. 특히 흑인 남성과 백인 여성들 사이의 교류나 관계는 인종적 틈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다른 면에서도 그렇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 친구들을 만나면서 나는 내가 가진 협소한 시각과 편견과 마주치면서 깜짝 놀란다.

 

저녁 먹으면서 우연히 읽었는데 포스팅하려고 한겨레신문 웹사이트를 이리저리 뒤져도 찾기가 쉽지 않았다. 다른 칼럼이나 기사들은 굵은 글씨와 헤드라인으로 크게 장식되어 있는데 이 글은 어디 귀퉁이에 살짝 숨겨둔 모양이다. 이렇게 뒤져서라도 찾은 까닭은 '글이 읽기가 참 좋았다'고 말 할 수 있어서다.

 


나는 보수다, 겁쟁이다
/한겨레신문

내가 몸담고 있는 학과의 젊은 교수들의 정치적 성향은 제각각이다. 월가 시위에 동조하는 지역 시위가 내가 사는 동네에서 열릴 때, 나는 목마른 사슴이 우물을 찾듯이 카메라를 둘러메고 학생들과 쏘다니며 모처럼 흥에 겨웠지만 의외로 동료 교수들 반응은 썰렁했다. 공화당 티파티랑 뭐가 다르냐며 못마땅해하는 축도 있었고 그래 봤자 소용없을 거라고, 세상은 그리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냉소주의자도 있었다. 정치적 외향만을 따져볼 때 동료들 가운데 나는 분명 진보에 가까운 사람이다. 그러나 가족과 사적 영역으로 들어가 보면 나는 여전히 고루한 보수, 혹은 겁쟁이 소시민에 가깝다.

내 동료 중 한명은 아이 셋 딸린 이혼녀와 결혼했다. 그에게는 초혼이었다. 2남1녀 중 딸아이는 지적 장애를 가졌다. 좋은 대학에서 박사학위 받은 총각 교수가 아이 셋 딸린 이혼녀랑 결혼을 하는 건 한국에선 매우 이례적인, 드라마에나 나올 법한 설정 아닌가. 가족을 동반한 식사모임에서 그가 딸아이랑 즉석에서 지은 노래를 흥얼흥얼 부르는 걸 들었다. 사뭇 감동적이었다. “넌 정말 훌륭한 아빠다” 했더니 “아빠가 다 그렇지 뭐. 특별할 게 있나” 하는데 내 얼굴이 달아올랐다. 분명 내 감동의 코드는 “자기가 낳은 자식도 아닌데…”라는 고정관념에서 나왔을 터. 그는 딸아이를 돌보기 위해 모든 수업을 오전에 마치고 오후 두시에는 칼같이 퇴근을 한다. 목요일 저녁은 가족과 텔레비전 보는 날이라며 약속도 잡지 않는다.

또다른 동료 교수는 일벌레다. 매달 논문 한 편씩을 써낼 만큼 부지런하고 재기 넘치는 젊은 연구자인데 유대인인 그는 동네 바에서 노래하는 흑인여성과 결혼했다. 둘 다 음악을 좋아하니 있을 법한 일이긴 하지만 밤무대 흑인가수와 백인 대학교수의 조합이 여전히 낯설다. 요즘엔 딸 쌍둥이를 낳고 돌보느라 코빼기 보기도 힘들다. 나보다 두 해 먼저 부임한 여자 동료도 있다. 인형처럼 또릿또릿한 외모에 누구에게나 다정다감해서 여자인 내가 봐도 단박에 반할 만큼 매력적인 여성이다. 그는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았다. 아이 아빠하고는 한집에 같이 살면서 아이를 키우지만 결혼은 안 하고 산다. 다른 이에게 소개를 할 때도 호칭은 “남편”이 아니라 “파트너”다. 사생활에 대해선 묻지 않는 게 예의기도 하지만 난 내 속에 웅크린 완고한 고정관념을 들킬까 겁나 자세한 얘기를 묻지 못한다.

내가 이십대에 배운 진보에는 빠져 있던 무언가가 그들에겐 있다. 패싸움과 체벌과 소지품검사를 학창시절의 아련한 추억으로 간직한 중년세대는 일찌감치 거세당한 자유주의의 상상력. 인습과 체면의 허식에 번번이 진저리를 치면서도 못 이기는 척 적당히 타협하는 편안함에 길들여진 탓일까. 내 자식만큼은 나와 다르게 자라게 하고 싶은데 어쩜 그 걸림돌이 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 등골이 오싹해진다.

이진순 미국 올드도미니언대학 교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19 20:04 2012/02/19 20:04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219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