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논문을 쓰는가? 이 문제는 여전히 논쟁중이다. 나 자신과 말이다. 대학에서 그나마 비정규교수로 남아있기 위해서, 더 노골적으로 말하자면 쫓겨나지 않기 위해서 2년에 한 편이라도 쓸 수밖에 없다고 말하는 것은 좀 슬프다.

전국 대학에 비정규교수가 10만여명 된다고 한다. 10만 명이 2년에 한 편씩 논문을 쓰고 학회지에 투고한다고 생각하면 1년에 5만편의 논문이 '생산'된다. 비정규교수가 논문을 쓰는 이유는 나와 비슷하거나 같을 거라고 생각한다. 연구성과는 업적이고 업적을 많이 쌓아야 여러가지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사실 나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논문을 쓴다는 사람을 만나보지 못했다. 이건 나의 불행이자 우리 공동체의 불행이기도 하다. 그래서 여전히 묻는다. 논문을 이렇게 생산하면서까지 대학에 비정규교수로 남아야 하는가?

그렇다면 전임교수들은 왜 논문을 쓰는가? 전국대학에 전임교수의 수 또한 8만 여명에 달할텐데, 전임교원과 비정규교수의 논문편수를 합하면 1년에 거의 1만여 편에 이를 텐데 이 논문들은 어떤 가치를 가지는가?

전임교수들이 논문을 쓰는 이유는 세세하기 모르지만 내가 아는 한에서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승급 심사를 위해, 이런 저런 명목으로 연구비를 받기 위해서 일거다. 결국 이런 노문을 연구업적물이라고 부른다. 업적인 셈이다. 무엇을 위해?

그러면 이 논문들은 누가 읽는가? 나는 일주일에 제법 여러편의 논문을 읽는다. 강의 준비를 하면서, 나의 논문과 관련한 주제이기 때문에. 어떤 점에서 나는 순수한 학문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논문을 찾아 읽지 않는다. 일전에 동료 선생님과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의 논문을 4 사람 정도는 꼭 읽는다고 한다. 누구냐고 물었더니, 논문 심사위원 2~3명과 자신의 아내, 그리고 나라고 말한다. 물론 나는 박선생님의 논문은 꼭 읽는다. 왜 읽느냐고? 우선 관련 강의를 하고 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나의 학위 논문과 관련해서 읽는다.

 
[세상읽기]정신노동의 위기
홍기빈 |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인공 지능이 과연 인간을 압도할 위협이 될 것인가는 많은 논쟁이 있는 문제이다. 빌 게이츠나 일론 머스크와 같은 이들은 그 위험을 분명히 인식해야 하며, 인공 지능의 발전에 대해 명확한 제한을 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유명도나 경륜에 있어서나 이에 못지않은 많은 이들은 이러한 걱정은 기우일 뿐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나는 비관론 쪽에 더욱 끌린다. 주머니 속의 스마트폰도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내가 인공 지능에 대해 무얼 알아서가 아니다. 인공 지능과 경합을 벌이게 될 인간의 정신노동이 갈수록 왜소해지고 쇠퇴하고 있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 때문이다.

얼마 전 화제가 되었던 AP통신의 기사가 있었다. 애플사의 당기순이익 발표가 있은 직후 이를 분석한 기사였는데, 화제가 되었던 것은 그 기사의 내용이 아니라 그 기사의 작성 과정이었다. 사람이 쓴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이 쓴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기사 작성 프로그램은 애플사의 보고서를 놓고 이와 관련된 수백 개의 리포트와 문서들을 참조해 단 30분 만에 분석기사를 내놓은 것이다. 이는 분명히 컴퓨터 과학의 진보를 보여주는 사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인간 정신노동의 쇠퇴를 보여주는 일이기도 하다. 오늘날 우리가 정신노동이라고 부르는 일련의 작업이 총체적인 인간 이성의 복합적이고 미묘한 작업이라기보다는 사실상 컴퓨터 프로그램과 다름없이 일련의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진 기계적 과정이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이는 회사 실적 보고서에 대한 기사라는 게 원래 그렇게 정형화되어 있는 자료들을 놓고 정형화되어 있는 정보들을 뽑아내는, 뻔하게 정해진 기사라서 그런 것 아니냐고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오늘날의 신문과 여러 미디어에서 그렇지 않은 기사가 얼마나 되느냐고 묻는다면 어떨까. 비단 저널리즘뿐만이 아니다. 가장 고단위의 정신노동 산물이라고 할 학술지 논문의 생산 과정과 생산물의 내용은 놀랄 정도로 정형화되어 있고 이러한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핵심 어구와 핵심 논지의 방향을 입력하면 알아서 논문의 초벌을 생산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심지어 그렇게 투고된 논문을 심사하는 프로그램까지 존재한다는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다. 

각종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매일매일 감가를 겪고 존재가치마저 위협당하는 정신노동의 직종은 그 외에도 무수히 많다. 이른바 제3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그 귀결인 전면적인 자동화(이 또한 오늘날 대단히 고색창연한 용어가 되었다)로 인해 노동이 위협을 받게 된다는 경고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위협은 비교적 단순하다고 말할 수 있는 노동에만 적용되는 일이 아니다. 지금처럼 정신노동이 정형화되고 기계화되는 쇠퇴 과정이 계속된다면, 기자건 교수건 변호사이건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이다. 

말할 것도 없이 이러한 변화는 우리에게 지금 존재하는 노동시장, 보상체계, 교육시스템 전반을 근본적인 차원에서 다시 생각하고 다시 설계할 것을 촉구한다. 이러한 기술 변화의 흐름을 되돌릴 것이 아니라면, 인간도 사회도 이러한 흐름에 적응해 나가면서 기계와 데이터의 흐름이 아니라 이성과 감성과 육신을 가진 인간만이 할 수 있고 또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새롭게 찾아나가야만 한다. 

지금 우리가 상당한 숙련이라고 여기는 능력과 기능의 많은 것들은 조만간 거의 모든 이들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능력이 될 수 있으며, 지금까지 분명히 상당한 정신노동이라고 여겨져왔던 많은 것들이 데이터와 소프트웨어의 조작으로 간단하게 대체될 만한 것이 될 수 있다. 지금처럼 일련의 알고리즘으로 얼마든지 분해가 가능한 정신작용을 기계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삼을 수는 없는 일이며, 그것에 과도한 가치와 보상을 부여할 수도 없게 된다. 


기사 작성 프로그램이 쓸 수 없는, 오직 사람만이 쓸 수 있는 기사는 어떤 것일까. 임용과 재임용에 혈안이 된 대학의 연구자들이 끊임없이 쏟아놓는 종이 덩어리가 아니라 정말로 집단적인 지식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논문과 저서란 어떤 것일까. 기계와 소프트웨어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날개로 삼아 이전까지 누구도 가보지 못했던 정신과 생각과 감정의 높이까지 올라갈 수 있는 능력은 어떤 것일까. 기계적 과정으로 환원할 수 없는, 진정 ‘인간적인’ 활동의 영역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여기에서 떠오르게 되며, 정신노동의 미래라는 문제는 그 질문이 가장 첨예하게 제기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5/26 12:53 2015/05/26 12:53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353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