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 있을거에요...;;
-----------------------------------------------------------
시를 쓴다는 게, 살아간다는 게 참 무거웠다. 크레딧이 올라가는 데 그 무거움 때문에 쉽사리 일어서지지 않았다. 잦아드는 화면이 그 아이와 주인공, 혹은 우리 모두가 눈앞에 둔 검은 물결 같았다.
-시라는 것은 아름다운 것. 누구나 시를 마음에 담고 있댔다. 시를 쓴다는 것은 본다는 것. 그 대상을 샅샅이 느끼는 것. 새들이 무엇을 노래하는 지 궁금해 하는 그녀에게 삶은 어쨋든 아름다움이 있는 곳이다.
하지만 시를 노래하는 입으로 음담패설을 뱉는 사람도 있고, 그녀의 삶도 평온하지는 않다. 시는, 삶은 그렇게 아름다움 보다 구질구질함이 더 눈에 띄는 곳이다.
-시를 쓰기 위해 대상을 본다는 것은, 내가 그 대상이 되어가는 일이기도 하다. 죽은 이의 삶을 반추하며 그 이의 마음을 짚어보는 것.
-왜 그랬냐며 손자를 뒤흔들지만 손자를 둘러싼 이불은 벗겨지지 않는다. 죄의식이 본성이라면, 본성에는 외투가 둘러쳐져 있어 그것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 껍질을 벗는 것은 자신의 나약함을 드러내는 일일지도 모른다. 그녀는 진절미를 내며 음악이 흘러나오는 컴퓨터의 전원을 내려버린다. 요란한 껍데기들에 대한 혐오가 있다. 하지만 그것은 그 껍데기 내면에 순수가 있으리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녀가 요구하는 속죄는 단호하고 가혹하다. 식탁위에 죽은 학생의 사진을 올려놓기까지 하지만 손자의 시선은 다른 곳을 향해 있다. 텔레비젼을 보고, 밥을 먹고, 오락을 하고.. 마음에 흠집 하나 나지 않았을 것 같은 그 태연함이 위태롭다.
-살구는 땅에 자신의 몸을 던진다. 다음 생을 위해. 추락은, 그렇다. 추락은 이 생이 아닌 다음 생을 기약하는 것이다. 노인의 성욕을 풀어주며, 뜸벅해지는 자신의 기억력을 보며, 삶의 구질구질함을 체화해가며, 그녀는 점점 시에 가까워진다.
-아름다움을 찾아 시를 쓰려는 행위는 현실의 고통을 외면하는 아름답지 못한 일이 될 수 있다는 역설을 깨닫고, 결국 아무것도 쓰지 못한 종이에는 빗방울이 떨어지고 형체없는 얼룩을 남긴다. 위자료를 건네는 건 속죄일 수 없다. 그녀는 손자를 경찰에 넘기며 배드민턴을 친다.
-그리고 그녀는 종국엔 자신이 그 아이가 되며, 시를 완성한다. 나를 뒤쫓던 것 모두를 사랑했지만, 검은물결 앞에 서게 된 그 아이. 아름답지 못한 삶을 피하지 않고 온전히 체화하는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다.
박하사탕과는 달라진 것 같다.(밀양은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그런데 사람들 말이 밀양과도 달라졌단다.) 그 땐 개인이 치르기엔 가혹한 죄값이라는 얘기를 던졌지만, 이번엔 오히려 치뤄지지 않는 죄값에 대해 얘기 던진다. 노무현의 죽음이 영향을 미쳤다고는 하나, 대상을 바꾸면 용산, 쌍용자동차, 삼성반도체, 곳곳에 만연한 죽음들에 대한 얘기이기도 하겠다. 전쟁지역에서 아이를 잃은 고통을 호소하는 부모의 영상으로 영화가 시작하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타인의 고통을 바라보는 우리 모두가 그 고통의 원인을 제공한 가해자일 수 있지만, 그 고통을 내것으로 삼지는 않는다. 시를 쓴다는 것은 대상을 깊숙이 보는 것이고, 대상 내면의 문제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 고통들에 내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는, 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래서 삶이라는 건, 속죄하며 괴로워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사람들은 외려 너무 떳떳이 살아가고 있는데, 그렇게 죄의식 없는 그들을 대신해 내가 죽을 수 있어야지 않느냐고 질문 던지는 것 같다. 그 속죄를 우리는 종교적으로는 익숙하게 알고있다.-Jesus
그리고 시를 쓴다는 건, 그 대상이 되는 것이다. 단지 그 대상을 관찰하고 세밀하게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이 겪은 고통을 혹은 환희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말이다. 이건 자신이 가해자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 어쨋든 타인의 시선인 가해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다. 속죄를 하기 위해서는 내가 그 사람의 삶을 체득해야 한다. 그 사람의 고통을 모르는데, 나의 잣대로 재는 것은 대상화시키는 방법의 하나일 뿐이다.
내 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말하는 장면에서 눈물이 났다. 아름답다는 건 삶의 풍진을 겪는 와중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가장' 아름다울 순간은 삶의 길이와 상관없이, 어느 때도 될 수 있다. 심지어 삶의 첫번째 기억일수도 있다. 그러고보면 아름답다는 것은 순간의 찬란함은 아니지 않을까? 나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은 아직 도래하지 않았을까? 내가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순간은 어떤 순간인가? 도래하지 않은 찬란한 기억을 기다리는 게 아니라, 끝을 한정짓지 않고 지속되는 삶의 과정에 쌓여온 기억들을 다복다복 쓰다듬어 주는 속에서 아름다움이 만들어지는 것 같다. 그건 구질구질한 내 삶을 외면하거나 부끄러워 하지 않고 따뜻하게 되새김질 하는 일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게 문제겠다 싶기도 한데, 아무튼, 나이 든 여성의 몸이 그렇게 야할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정확히 어떤 부분이 마음에 걸리는 걸까.. 나이든 여성을 중성적인 존재로 생각하는것? 그래서 뒤집어 여성 일반을 성적인 대상으로 전제하는 것?)
시 다른 리뷰
http://blog.naver.com/melt21?Redirect=Log&logNo=140106947176
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7394.html
Comments
ATOM Feed : http://blog.jinbo.net/imaginer/atom/comment/137
"사람들은 각 개인의 일상적인 삶과 남들의 고통이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저는 개인의 일상이 누군가의 고통과 연결돼 있다고 봐요. '시'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도 마찬가지예요. 우리 발 밑에 안 보이는 물줄기가 연결돼 있듯 모두 서로 관련이 있어요. '시'는 개인의 이야기이면서도 집단과 공동체의 이야기입니다." - 이창동 인터뷰 중 일부
덧,
발 밑에 흐르는 깊은 강 - 레이먼드 커버
뭐든, 아는 만큼 보이겠지. 저 작가도 읽어봐야지...
얼마전 알았는데,
김연수 소설에 레이먼드 커버가 종종 등장한다.
레이먼드 커버의 '대성당'을 김연수 작가가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