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제이 굴드, 리처드 도킨스, 테리 이글턴

스티브 제이 굴드를 비판하는 글들을 더러 읽었다.

이덕하라는 사람이 쓴 글은, 자신의 몰이해를 알아차리지 못한 비방에 가까웠고 -

어쨋든 굴드와 도킨스의 가장 큰 갈림은 '적응'에 있을 터다.

굴드는 삼각소간과 같이 의도치 않은 부산물이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이라면, 도킨스는 모든 게 적응의 결과라는 입장이다. 유전자가 진화의 기본단위라고 치더라도, 한 유전자가 한 표현형만 발현시키는 게 아니라는 것은 진즉 규명되었다. 한 표현형을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단수가 아니라는 사실도 규명되었다.

한국의 무당개구리가 전세계에 퍼져나가면서 같이 퍼진 곰팡이균 때문에 각지 양서류가 많이 죽는다 한다. 아마 몇 세대가 지나면 그 곰팡이균 면역을 획득한 개체들이 다수를 점하게 될 것이다. 그 면역과 관련된 유전자가 단순히 곰팡이균 면역 형질만 발현시킬까? 이건 너무 단선적인 시각이다.

'핀치의 부리'를 계속 읽고 있는데, 우선 미세한 변이를 추적하고, 종분화가 어느 시점에 일어나는지 추적하는 부분까지 읽고 있다. 읽는 속도가 잘 안나는데, 굴드의 책일 읽으며 익숙했던 진화의 개념과는 확연히 달라서다. 전문가가 아니다보니 어떤 대목에서 어떤 쟁점이 있다는 걸 정밀하게 서술하지는 못하겠는데, 진화를 적응의 결과로 전제하는 데에 가장 큰 차이가 있는 듯 하다. 생존에 유리한 형질이 더 많이 살아남는다는 건데, 부리의 길이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한다. 표현형과 유전형이 1:1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 생존에 영향을 미친 부리의 길이 외 다른 표현형(부리의 길이와 상관관계가 높은)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이 의문이다. 지금 읽는 대목은 변이의 축적이 종분화로 도약하는 신비에 관한 것인데, 생각해보면 변이의 축적과 종분화는 특별한 관계가 있긴 어렵다. 새롭게 탄생한 종이 갖고 있는 형질이 그 시점의 환경에서 생존하는데 유리해서 더 많이 생존했다는 게 자연선택의 결론일 것이다.

나머지는 더 읽고나서 보충해야지.

테리 이글턴의 도킨스 비판과 스티브 제이 굴드-리처드 도킨스 사이의 의견 차이는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예전에도 이걸 정리해보고 싶다는 글을 쓰지 않았을까 싶은데, 여전한 바람이다.

2019/04/27 23:29 2019/04/27 23:29

2019/03/16

'과학적 속물주의'에 반대하는 '황빠'식의 데마고기

- 이게 대체 무슨 말일까. 황빠가 과학적 속물주의에 반대한다는 유언비어가 있다는 뜻일까? 그런 유언비어가 있었나? 이거야말로 데마고기인데..

아니면 '황빠'라는 게 데마고기였고, '과학적 속물주의 반대'가 황우석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황빠'라는 담론과 유사한 유언비어라는 뜻일까? 그렇다면 과천은 황우석의 작업을 과학으로 인정하는 것인가?

이것도 아니면, '과학적 속물주의'에 반대하는 것이 황우석에게 맹목적이었던 '황빠'들 식의 유언비어와 비슷하다는 것일까? 당시 맥락상 이쪽일거라고 짐작해 보는데, 정말 이런 의도로 쓴건지 확신이 안선다. 하도 괴랄한 입장을 많이 봐와서.. 과학적 속물주의에 반대한다는 건 당시 한겨레 신문엔가 실렸던 칼럼일 거다. 

그리 중요한 맥락은 아니긴한데, 아무튼 도통 이해가 안돼서.

출처는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와 대안노조 p17.

 

그리고 p18에서는 리민치를 참고하라고 각주를 달아놓는데, 리민치의 분석은 노동자연대의 평대로 상당히 어설프고, 난 읽으면서 중화주의가 이런것인가 하는 인상을 받았다. 중국에 대한 과도한 무게중심을 두는 결론들이다. 이 중에도 참고할 부분은 있겠으나, 제로 이윤율이라는 전제도 그렇고 현실에 발딛지 않은 글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의 부상과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종말
중국의 부상과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종말
리민치
돌베개, 2010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와 대안노조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와 대안노조
윤소영
공감, 2008

 

2019/03/16 09:49 2019/03/16 09:49

지나간다2019/03/01

우라우문떼야/어려서 편가를 때마다 했던 구혼데, 그 뜻이 항상 궁금했었다. 일본어 잔재가 아닐까 짐작만 했을 뿐. 위키백과를 보니 나온다. 우라와 오모떼가 어원인가 보다.
2019/03/01 09:35 2019/03/01 0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