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일본다녀왔습니다3..^^

3. 기미코선생님의 사례 - 나중에 한국 교사의 일상적 모습이지 않을까 생각되요....ㅠㅠ

지난 20여년간 8차례의 징계
기미가요와 히노마루 거부로 이번에 정직3월
2006년 7월 1일 복직
그런데.....

징계사유가 궁금하다?
예를 들자면, 1999년 어느 수업 시간...당시 일본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옴진리교 사건과 관련하여, [옴진리교의 여러 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절대 복종"이다. 그럼 우리 사회(일본)의 일상 생활에서 '절대 복종'의 경우는 없을까? 기미가요 명령을 받은 교장선생님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를 수업 시간에 예시로 제시...징계!!! (편집자 : 헐~~~~)
2001년 일본내 군국주의를 우려하는 발언을 수업 중에 함...징계!!! 헐~~~~ 이 싸움 중에, 일본의 보수우익단체 선전차량 70여대가 집 앞으로 몰려 와서 규탄집회 및 방송 진행...경찰에 신고했으나 출동하지 않음...(편집자 : 이런~~~~나도 몸 조심해야지ㅠㅠ)

옮긴 학교는?
도쿄도의 어느(이름을 잊어 버렸음ㅠㅠ) 중학교....

옮긴 학교의 반응은?
학부모들의 요구 - 아이들에게 편향된 교육을 시키지 마라

전체 조회 시간에 학생들에게 인사 - 학생들의 야유 "물러가라" "필요없다"(기미코 선생님은 이런 모습에 대해 자신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학교장과 일부 학부모가 퍼뜨리고 있는 것 같다고 이야기했음. 기미코 선생님은 지난 10년동안 1년에 한 번씩 강제 전보를 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는 학교의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기미코 선생님과 가까워졌을 때 학생과 학부모들의 동요와 기미코 선생님에 대한 지지를 우려해서랍니다..이런이런)

수업 시간 - 수업할 때 다른 교사가 입회해서 감시(매 수업시간마다) [일본은 교육과정 수정 및 2002년부터 수업시수가 줄어들면서 과원교사가 발생하자 한 수업에 2명의 교사가 같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고 함. 기미코 선생님의 경우는 이를 악용한 사례)

기미가요와 히노마루에 대한 의견은?
국가 이익을 위해서 애국심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국가 이익이란 사실 경제논리, 자본의 논리이다. 군사대국화(군국주의) 부활을 위해 애국심을 강요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며 학생들을 착한 노예 또는 온순한 부하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는 1989년 학습지도요령 개정(기미가요와 히노마루 규정) 때부터 시작된 것이었는데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렇게까지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아니 믿지 않았다. 89년 학습지도요령 개정 때 나를 포함한 일부 선생님들이 이것을 우려하여 개정반대 싸움을 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런데, 조금씩 조금씩 밀려와서 어느 순간에 한꺼번에 밀려 와 있는 것이다. 이 때서야 인식하는 것이 안타깝다. 한국의 선생님들은 우리의 오류를 반복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일본교원평가로 인한 현장은?
도쿄도의 국공립학교는 교원평가 도입 이후 동료교사와 협력하는 분위기는 진작에 사라졌고, 경쟁적 관계가 일반적이다. 학급 내 이지메를 숨기거나, 필수 교과를 가르치지 않거나 등등...교사는 더이상 학생을 바라보지 않는다...자신만을 바라본다(챙긴다)
더군다나 정부의 교육정책 혹은 학교운영에 대해 다른 목소리를 내려는 경우 상당한 용기가 필요할 뿐더러 구조적으로 더욱 힘들어졌다. 그것이 바로 평가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 편집자주 : 도쿄도는 고교평준화가 되어 있지 않고, 입시경쟁이 치열하며, 교원평가가 도입됨으로써 입시가 교사의 능력을 가름하는 잣대로 작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이지메 등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학생들의 부정적 반응으로 일상적이라고 들었으며 이런 문제에 대해 교사들이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 한다. 자기의 앞가림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지메 등의 문제 부각이 본인의 평가에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4. 일본교사 모임의 활동 - 다음 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