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은빛 호각, 이시영, 창비시선 230] 그리고 연상

 

책가방에 넣어 다니다 보면, 어느새 책갈피는 조금씩 찢어지기 시작한다. 사실 책가방이라기 보다는 거의 잡동사니 창고쯤 되는 것이라, 이것저것에 짓눌리다보면 서점에서 처음 샀던 모양을 온전하게 보존한채 책꽃이로 넘어가는 일은 드물게 된다. 특히나 이번 시집처럼 2년에 걸쳐 읽는다면 말이다. 2004년부터 2005년을 걸쳐 읽다보니 뒤죽박죽 앞뒤로 옮겨가며 손떼만 가득하다. 

 

개인적으로는 시집을 어렵게 읽지 않는다. 더 오래 깊히 느끼고 싶은 시가 없지는 않았지만, 날 계속 머물게 하는 시가 아니라면 그냥 훑고 지나가는 편이 좋다고 여기기 때문에 더 그렇다. 그래서인지 난 시를 '감상한다'고 하지 않고 '읽는다'라고 한다.

 

각설하고, 이시영의 '은빛 호각'은 참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시인의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인물 혹은 이시대의 굵직한 사건 - 예를 들면 이라크 전쟁, 금강산 기행, 이사 그리고 공간의 연상으로 비롯되는 회상 - 이 소재가 되어 이야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제2부는 시의 길이도 몇행되지 않는 짤막한 선문답같은 시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의 산문시의 지리한 고통의 여정을 겪은 독자만이 간결하지만 여운을 남기는 시를 읽을 자격이 있다는 시인특유의 장난질이 녹아 있는 시집의 구성은 아닐었을까?

 

/*

 

철거

 

오늘 아침 또 한식구가 집을 비우고 떠났는데

마당을 깨끗이 쓸어놓고 갔다

대빗자루 자국 선명한 그 위로

오늘은 어떤 햇살도 내리지 말거라

 

*/



 

위 시에 한참을 머물렀다. 어쩌면 감상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그 감상에는, 감정의 배설에만 익숙하며 아주 사소한 일에도 소리높혀 외치는 나의 무색한 일상도 들어 있었다. 무엇보다,  내 머리속에 한참동안 잊혀진 1995년과 1996년의 철거가 진행되고 있는 봉천5동이 그려졌다. 가슴 한편이 자꾸 울렁거리며 눈시울이 붉어지고 있었다.

  

 

사진동아리엔 많이 있을 법한데, 정작 찾아보려니 아직 공부방활동을 하고 있을지 모를 후배들의 홈페이지에 있는 두 사진밖에 없다. 몇년 되지 않은 사이 꽤 많은 일이 열리고 닫히는 모양이다.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