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Reconstruction

 



영화는 아주 차분한, 시나리오 작가 혹은 영화속 소설가의 독백으로 시작한다. 대충 '한 남자가 있었다고 하자' 였을 거다. 시작된지 얼마되지 않아, 어느 길 모퉁이를 혼자 걸어나오게 설정한 후, 다시 여러 군중 들 속에 동일한 발걸음을 내딛는 '알렉스'를 곧바로 보여준 후에야 영화제목이 화면을 가득채운다. 이로써 영화속 소설이 시작된다. 그리고 그 소설은 아주 '비극적'이라는 독백도 곁들인다.영화, 정확히 말해 영화속 소설의 줄거리는 이렇다.


'알렉스'라는 남자와 그의 애인 '시몬느'가 있었는데, 지하철에서 우연찮게 마주친 '아메'라는 여인에게 눈길이 닿은 알렉스가 '아메'에게 달려간다. 공교롭게도 '아메'는 강의로 정신없이 바쁜 영화속 소설가의 부인이며, 그 소설가는 '알렉스'와 '아메'의 불륜도 목격하게 된다. '아메'는 일에 노예가 되다시피 한 소설가와 결별을 선언하고 '알렉스'와 로마로 떠날것을 약속하며 K 카페에서 기다린다.

한편 '알렉스'는 '아메'와의 격정적인 하룻밤을 보내고 자신의 하숙집에 들러 로마로 떠날 차비를 하려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하숙집은 온데간데 없고 여태 알고 지내던 친구, 애인, 하숙집 주인이 자신을 전혀 모르는 낯선 이방인으로 취급하는 것에 당황해 한다. 이제 남은 건 자신을 알아주는 어젯밤의 '아메'밖에 남지 않았다. 그런데 '아메'역시 자신을 모른다며 여전히 '발뺌'을 한다. 그나마 다행인건 자신을 낯선 타인으로 인식한 '아메'가 자신에게 호감을 느끼고 로마로 함께 떠나자는 제안에 선뜻 입을 맞춘다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의 사랑함을 확인한 '알렉스'와 '아메'는 저녁 8시 K카페에서 만나 로마로 떠날것을 약속하지만, '알렉스'는 '시몬느' - 물론 '시몬느'에게 '알렉스'는 낯선 타인이지만 - 와의 감정을 정리하는 데 머뭇거리다 결국 약속시간을 놓친다.


그리고 영화는 다시 '알렉스'를 뭇 군중속에서 길모퉁이를 돌아 나가려는 모습으로 설정한 후, 곧바로 군중들을 제거한후 혼자 길모퉁이를 돌아 나가는 모습으로 마무리한다. 이것으로 영화속 소설은 끝이 난 셈이다.

영화 전반에 걸쳐 펼쳐져있는 모호한 설정은 영화속의 영화, 정확히 표현하면 영화속 소설의 전개라는 독특한 구성에 기인한다. 처음엔 하나의 영화속의 시간의 비틀기쯤으로만 보였지만. 시간 비틀기로만 이해하기엔 너무 많이 뒤틀려 있다.

극중 '아메'와 '시몬느'는 일인이역이었는데, 이는 영화속 소설가가 아내를 등장인물로 내세웠지만, 그 아내의 억제된 욕망에 근거해 소설석 또 다른 인물을 창조했기 때문일거다. 즉, 소설가의 아내는 일상에서 남편에게 충실한 인물 - 시몬느 - 이었을것이나, 그 내면에 채워지지 않는 사랑에 불만을 품고 있는 또다른 인물 - 아메 - 를 만들어내, 소설의 주요 모티브로 삼았던 것이다.

알렉스가 영화속 일상에서 전혀 낯선 타인으로 자리매김하는 수 많은 장면은 알렉스가 영화속 소설 주인공이기를 거부하고 영화속 현실로 뛰쳐 나왔기 때문이다. 이런 해석에 기초해 알렉스, 아메, 시몬느, 소설가 등도 영화속 소설와 현실을 넘나들며 동분서주 한다.


'Reconstruction'은 멱집합(Power set), 재귀(Recursive Programing)의 구성을 영화로 가져온 Stylish Love Story - 영화에 초대한 선배의 소개말을 빌면 - 이다.


위와 같은 소설속 소설, 영화속 영화 같은 이야기는 그리 참신한 얘기꺼리는 아니다. 단지 그 것이 SF 에서 주로 발현되었기에 관객들에게 큰 부담이 없었을 테다. 'Matrix 3(Reloaded)는 지금 껏 현실이라고 믿고 있었던 관객들을 비웃기라도 하듯 그 현실을 또 하나의 Matrix로 보여주고, '13층'은 게임속의 게임 또 그 게임속의 게임을 재귀적으로 보여주며 게임속 인물이 게임밖으로 뛰쳐 나오는 황당한 그림을 반복해서 보여준다. 그치만 이런 설정을 멜로물에 넣어버리면 아주 혼란스럽다.

'Reconstruction'은 제목처럼  다시 불이 켜진 극장을 나서며 재구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재구성이 황당하게 느껴진다면, 광화문 씨네큐브로 달려가 덴마크 감독 크리스토퍼 부(Christoffer Boe)가 만든 'Reconstruction' 보고 Reconstruct 해보시라. 2003년 깐느영화제에서 황금카메라상을 받았다고 하니, 졸립더라도 두눈은 크게 열어두시라.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