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관람하다. 임영웅 연출, 홍대의 조그만 소극장 '산울림'. 항상 대박의 웃음으로 시작해 연극이 끝날 무렵엔, 아주 심하게 뒷통수를 얻어 맞는 인상을 주는 부조리극의 대명사 말이다.

 

2005년 3월 26일의 느낌은 사뭇 달랐다.

 

등장인물 네명 - 디디, 고고, 포조, 럭키 - 의 주된 문제는 하루하루가 심심하다는 거다. 매일매일 고목나무 하나 있는 공터에 놀러오는 밑바닥 인생 디디와 고고는 물론이거니와, 거의 말을 하진 않지만 생각이 너무 많은 노예 럭키를 끌고 다니는 포조는 하루의 무료함을 달래볼까 하고 디디와 고고와 얘기를 나눈다.

 

디디와 고고는 하루는 '고도'를 기다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사실 수 개월째 혹은 수년째 '고도'를 기다려온 것 같다. 그치만 극중에서 '사람'처럼 묘사되는 고도는 어김없이 만날 약속을 내일로 미루고 그들의 지루한 일상은 또 다시 연장된다. 삶의 목표가 고도를 만나야 하는 사람들, 극중 내내 고도는 죽음을 그들에게 안겨줄 신(神)이나 죽음자체를 상징한다. 개인적으로는 죽음으로 번역하고 싶지만.

 

이틀에 걸친 얘기인 것도 같지만, 사실 매일매일이 똑같다. 극중 인물의 시간관념도 그들의 적지 않은 육체적 나이(치매)가 곁들어지면, 이틀은 '어제와 오늘'의 그것이 아니라, 수일 혹은 수개월의 시간차를 사이에 둔 어떤 날들이다. 막이 바뀐 시점에 이파리가 하나도 없던 나무에 무성하게 자란 잎이 이런 해석을 가능케 한다.

 

네덜란드 화가 에셔의 그림이 연상케 하는 구성이 연극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계속 올라간 듯 한데 다시 처음인 쳇바퀴의 삶이 혹 나에게서도 보이고 있는지를 반추해본다.

 

 


 

Waterfall, Escher, 1961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