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인터넷 자료들 모으는 곳입니다.

Russia’s Managed Democracy

Russia’s Managed Democracy

Perry Anderson

Under lowering skies, a thin line of mourners stretched silently outside the funeral hall. Barring the entrance, hulking riot police kept them waiting until assorted dignitaries – Anatoly Chubais, Nato envoys, an impotent ombudsman – had paid their respects. Eventually they were let in to view the corpse of the murdered woman, her forehead wrapped in the white ribbon of the Orthodox rite, her body, slight enough anyway, diminished by the flower-encrusted bier. Around the edges of the mortuary chamber, garlands from the media that attacked her while she was alive stood thick alongside wreaths from her children and friends, the satisfied leaf to leaf with the bereaved. Filing past them and out into the cemetery beyond, virtually no one spoke. Some were in tears. People dispersed in the drizzle as quietly as they came.

The authorities had gone to some lengths to divert Anna Politkovskaya’s funeral from the obvious venue of the Vagankovskoe, where Sakharov is buried, to a dreary precinct on the outskirts that few Muscovites can locate on a map. But how necessary was the precaution? The number of mourners who got to the Troekurovskoe was not large, perhaps a thousand or so, and the mood of the occasion was more sadness than anger. A middle-aged woman, bringing groceries home from the supermarket, shot at point-blank range in an elevator, Politkovskaya was killed for her courage in reporting the continuing butchery in Chechnya. An attempt to poison her had narrowly failed two years earlier. She had another article in press on the atrocities of the Kadyrov clan that now runs the country for the Kremlin, as she was eliminated. She lived and died a fighter. But of any powerful protest at her death, it is difficult to speak. She was buried with resignation, not fury or revolt.

In Ukraine, the discovery of the decapitated body of a journalist who had investigated official corruption, Georgi Gongadze, was sufficient outrage to shake the regime, which was brought down soon afterwards. Politkovskaya was a figure of another magnitude. A better historical comparison might be with the murder of Matteotti by Mussolini in 1924. In Russian circumstances, her moral stature as an opponent of arbitrary power was scarcely less than that of the Socialist deputy. But there the resemblance ends. The Matteotti Affair caused an outcry that nearly toppled Mussolini. Politkovskaya was killed with scarcely a ripple in public opinion. Her death, the official media explained, was either an unfathomable mystery, or the work of enemies of the government vainly attempting to discredit it. The president remarked she was a nobody whose death was the only news value in her life.

It is tempting, but would be a mistake, to see in that casual dismissal no more than the ordinary arrogance of power. All governments deny their crimes, and most are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lies about them. Bush and Blair, with still more blood on their hands – in all probability, that of over half a million Iraqis – observe these precepts as automatically as Putin. But there is a difference that sets Putin apart from his fellow rulers in the G8, indeed from virtually any government in the world. On the evidence of comparative opinion polls, he is the most popular national leader alive today. Since he came to power six years ago, he has enjoyed the continuous support of over 70 per cent of his people, a record no other contemporary politician begins to approach. For comparison, Chirac now has an approval rating of 38 per cent, Bush of 36 per cent, Blair of 30 per cent.

Such eminence may seem perverse, but it is not unintelligible. Putin’s authority derives, in the first place, from the contrast with the ruler who made him. From a Western standpoint, Yeltsin’s regime was by no means a failure. By ramming through a more sweeping privatisation of industry than any carried out in Eastern Europe, and maintaining a façade of competitive elections, it laid the foundations of a Russian capitalism for the new century. However sodden or buffoonish Yeltsin’s personal conduct, these were solid achievements that secured him unstinting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where Clinton, stewing in indignities of his own, was the appropriate leader for mentoring him. As Strobe Talbott characteristically put it, ‘Clinton and Yeltsin bonded. Big time.’ In the eyes of most Russians, on the other hand, Yeltsin’s administration set loose a wave of corruption and criminality; stumbled chaotically from one political crisis to another; presided over an unprecedented decline in living standards and collapse of life expectancy; humiliated the country by obeisance to foreign powers; destroyed the currency and ended in bankruptcy. By 1998, according to official statistics, GDP had fallen over a decade by some 45 per cent; the mortality rate had increased by 50 per cent; government revenues had nearly halved; the crime rate had doubled. It is no surprise that as this misrule drew to a close, Yeltsin’s support among the population was in single figures.

Against this background, any new administration would have been hard put not to do better. Putin, however, had the good luck to arrive in power just as oil prices took off. With export earnings from the energy sector suddenly soaring, economic recovery was rapid and continuous. Since 1999, GDP has grown by 6-7 per cent a year. The budget is now in surplus, with a stabilisation fund of some $80 billion set aside for any downturn in oil prices, and the rouble is convertible. Capitalisation of the stock market stands at 80 per cent of GDP. Foreign debt has been paid down. Reserves top $250 billion. In short, the country has been the largest single beneficiary of the world commodities boom of the early 21st century. For ordinary Russians, this has brought a tangible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Though average real wages remain very low, less than $400 dollars a month, they have doubled under Putin (personal incomes are nearly two times higher because remuneration is often paid in non-wage form, to avoid some taxes). That increase is the most important basis of his support. To relative prosperity, Putin has added stability. Cabinet convulsions, confrontations with the legislature, lapses into presidential stupor, are things of the past. Administration may not be that much more efficient, but order – at least north of the Caucasus – has been restored. Last but not least, the country is no longer ‘under external management’, as the pointed local phrase puts it. The days when the IMF dictated budgets, and the Foreign Ministry acted as little more than an American consulate, are over. Gone are the campaign managers for re-election of the president, jetting in from California. Freed from foreign debt and diplomatic supervision, Russia is an independent state once again.

Prosperity, stability, sovereignty: the national consensus around Putin rests on his satisfaction of these primordial concerns. That there may be less in each than meets the eye matters little, politically speaking, so long as their measure is memories of the abyss under Yeltsin. By that standard the material progress, however relative, is real. But the stratospheric polls reflect something else as well – an image of the ruler. Putin cuts a somewhat colourless, frigid figure in the West. In cultures accustomed to more effusive styles of leadership, the sleek, stoat-shaped head and stone-cold eyes offer little purchase for affective projection. In Russia, however, charisma wears another face. When he came to power, Putin lacked any trace of it. But possession of the presidency has altered him. For Weber, who had the Hebrew prophets in mind, charisma was by definition extra-institutional – it was a kind of magic that could only be personal. He could not foresee postmodern conditions, in which the spectacle is a higher power, capable of dissolv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Once installed in the presidency, Putin has cultivated two attributes that have given him an aura capable of outlasting it. The first is the image of firm, where necessary ruthless authority. Historically, the brutal imposition of order has been more often admired than feared in Russia. Rather than his portrait suffering from the shadow of the KGB, Putin has converted it into a halo of austere discipline. In what remains in many ways a macho society, toughness – prowess in judo and drops into criminal slang are part of Putin’s kit – continues to be valued, and not only by men: polls report that Putin’s most enthusiastic fans are often women. But there is another, less obvious side to his charisma. Part of his chilly magnetism is cultural. He is widely admired for his command of the language. Here, too, contrast is everything. Lenin was the last ruler of the country who could speak an educated Russian. Stalin’s Georgian accent was so thick he rarely risked speaking in public. Khrushchev’s vocabulary was crude and his grammar barbaric. Brezhnev could scarcely put two sentences together. Gorbachev spoke with a provincial southern accent. The less said of Yeltsin’s slurred diction the better. To hear a leader of the country capable once again of expressing himself with clarity, accuracy and fluency, in a more or less correct idiom, comes as music to many Russians.

In a strange way Putin’s prestige is thus also intellectual. For all his occasional crudities, at least in his mouth the national tongue is no longer obviously humiliated. This is not just a matter of cases and tenses, or pronunciation. Putin has developed into what by today’s undemanding standards is an articulate politician, who can field questions from viewers on television for hours as confidently and lucidly as he lectures journalists in interviews, or addresses partners at summit meetings, where he has excelled at sardonic repartee. The intelligence is limited and cynical, above the level of his Anglo-American counterparts, but without much greater ambition. It has been enough, however, to give Putin half of his brittle lustre in Russia. There, an apparent union of fist and mind has captured the popular imaginary.

The combination of an oil and gas bonanza with a persona of clear-headed power has been enough to demarcate Putin, in public opinion, decisively from what came before and to assure him mastery of the political scene. The actual regime over which he presides, however, although it has involved important changes, shows less of a break with Yeltsin’s time than might appear. The economy that Yeltsin left behind was in the grip of a tiny group of profiteers, who had seized the country’s major assets in a racket – so-called loans for shares – devised by one of its beneficiaries, Vladimir Potanin, and imposed by Chubais, operating as the neo-liberal Rasputin at Yeltsin’s court. The president and his extended ‘Family’ (relatives, aides, hangers-on) naturally took their own share of the loot. It is doubtful whether the upshot had any equivalent in the entire history of capitalism. The leading seven oligarchs to emerge from these years – Berezovsky, Gusinsky, Potanin, Abramovich, Fridman, Khodorkovsky, Aven – ended up controlling a vast slice of national wealth, most of the media and much of the Duma. Putin was picked by the Family to ensure these arrangements did not come under scrutiny afterwards. His first act in office was to grant Yeltsin immunity from prosecution, and he has generally looked after his immediate entourage. (Chubais got Russia’s electricity grid as a parting gift.)

But if he wanted a stronger government than Yeltsin’s, he could not afford to leave the oligarchs in undisturbed possession of their powers. After warning them that they could keep their riches only if they stayed out of politics, he moved to curb them. The three most ambitious magnates – Gusinsky, Berezovsky and Khodorkovsky – were broken: two fleeing into exile, the third dispatched to a labour camp. A fourth, Abramovich, though still persona grata in the Kremlin, has opted for residence abroad. Putin has taken back under state control parts of the oil industry, and created out of the country’s gas monopoly a giant conglomerate with a current market capitalisation of $200 billion. The public sector’s share of GDP has risen only modestly, by about 5 per cent. But for the time being, the booty capitalism of the 1990s has come to a halt. In regaining control of some stretches of the commanding heights of the economy, the state has strengthened its leverage. The balance of power has shifted away from extraordinary accumulations of private plunder towards more traditional forms of bureaucratic management.

These changes are a focus of some anxiety in the Western business press, where fears are often expressed of an ominous statism that threatens the liberalisation of the 1990s. In reality, markets are in no danger. The Russian state has been strengthened as an economic agent, but not with any socialising intent, simply as a quarry of political power. In other respects, Putin has taken the same underlying programme as his predecessor several steps further. Land has finally been privatised, a threshold Yeltsin’s regime was unable to cross. Moscow boasts more billionaires than New York, yet a flat income tax of 13 per cent has been introduced, at Yegor Gaidar’s urging. A highly regressive ‘unified social tax’ falls on those who can least afford it. Welfare benefits have been monetised and slashed. Key economic ministries remain in the hands of committed marketeers. Neo-liberalism is safe enough in Russia today. The president has made this clear to all who are interested. On a visit to Germany in October, brushing aside questions about the death of Politkovskaya, he told his hosts: ‘We do not understand the nervousness of the press about Russia investing abroad. Where does this hysteria come from? It’s not the Red Army that wants to come to Germany. It’s just the same capitalists as you.’

The political system put together since Yeltsin’s departure is a similar mixture of novelty and continuity. It is now de rigueur for Western journalists – even the most ardent boosters of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New Russia, or the humblest spaniels of New Labour, anxious not to smudge Blair’s friendship with Putin (two roles that are not always distinct) – to deplore the muzzling of the media, the neutering of parliament and the decline of political freedoms under Putin. These realities, however, all have their origins under Yeltsin, whose illegalities were much starker. No act of Putin’s compares with the bombardment of the parliament by tanks, or the fraudulent referendum that ensued, imposing the autocratic constitution under which Russia continues to be ruled. Yet because Yeltsin was considered a pliable, even if somewhat disreputable utensil of Western policies, the first action was applauded and the second ignored by virtually every foreign correspondent of the time. Nor was there much criticism of the brazen manipulation of press and television, controlled by the oligarchs, to engineer Yeltsin’s re-election. Still less was any attention paid to what was happening within the machinery of state itself. Far from the demise of the USSR reducing the number of Russian functionaries, the bureaucracy had – few post-Communist facts are more arresting – actually doubled in size by the end of Yeltsin’s stewardship, to some 1.3 million. Not only that. At the topmost levels of the regime, the proportion of officials drawn from the security services or armed forces soared above their modest quotas under the late CPSU: composing a mere 5 per cent under Gorbachev, it has been calculated that they occupied no less than 47 per cent of the highest posts under Yeltsin.

Serviceable though much of this was for any ruler, it remained a ramshackle inheritance. Putin has tightened and centralised it into a more coherent structure of power. In possession of voter confidence, he has not needed to shell deputies or forge plebiscites. But to meet any eventuality, the instruments of coercion and intimidation have been strengthened. The budget of the FSB – the post-Communist successor to the KGB – has trebled, and the number of positions in the federal administration held by personnel brigaded from security backgrounds has continued to rise. Over half of Russia’s key power-holders now come from its repressive apparatuses. In jovial spirit, Putin allowed himself to quip to fellow veterans in the Lubyanka: ‘Comrades, our strategic mission is accomplished – we have seized power.’

Still, these developments are mainly accentuations of what was already there. Institutionally, the more striking innovation has been the integration of the economic and political pillars of Putin’s system of command. In the 1990s, people spoke of the assorted crooks who grabbed control of the country’s raw materials as syroviki, and of officials recruited from the military or secret police as siloviki.[1] Under Putin, the two have fused. The new regime is dominated by a web of Kremlin staffers and ministers with ‘security profiles’, who also head the largest state companies quoted on the stock market. The oligarchs had mixed business and politics flamboyantly enough. But these were raids by freebooters from the first into the second domain. Putin has turned the tables on them. Under his system, a more organic symbiosis between the two has been achieved, this time under the dominance of politics. Today, two deputy prime ministers are chairmen, respectively, of Gazprom and Russian Railways; four deputy chiefs of staff in the Kremlin occupy the same positions in the second largest oil company, a nuclear fuel giant, an energy transport enterprise and Aeroflot. The minister of industry is chairman of the oil pipeline monopoly; the finance minister not only of the diamond monopoly, but of the second largest state bank in the country; the telecoms minister of the biggest mobile phone operator. A uniquely Russian form of cumul des mandats blankets the scene.

Corruption is built into any such connubium between profits and power. By general consent, it is now even more widespread than under Yeltsin, but its character has changed. The comparison with China is revealing. In the PRC, corruption is a scourge detested by the population; no other issue arouses the anger of ordinary citizens to such a degree. The central leadership of the CCP is nervously aware of the danger corruption poses to its authority, and on occasion makes a spectacular example of officials who have stolen too much, without being able to tackle the roots of the problem. In Russia, on the other hand, there appears to be little active indignation at the corruption rife at all levels of society. A common attitude is that an official who takes bribes is better than one who inflicts blows: a change to which Brezhnev’s ‘era of stagnation’, after the end of the terror, habituated people. In this climate, Putin – so far, at least, lacking the personal greed that distracted Yeltsin – can coolly use corruption as an instrument of state policy, operating it as both a system of rewards for those who comply with him, and of blackmail for those who might resist.

The scale of the slush funds now available to the Kremlin has made it easy, in turn, to convert television stations and newspapers into mouthpieces of the regime. The fate of NTV and Izvestiya, the one created by Gusinsky, the other controlled by Potanin, is emblematic. Both are now dependencies of Gazprom. ORT, once Berezovsky’s TV channel, is currently run by a factotum from the FSB. With such changes, Putin’s control of the media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prehensive. What is left over, that ownership does not ensure, self-censorship increasingly neuters. The Gleichschaltung of parliament and political parties is, if anything, even more impressive. The presidential party, United Russia, and its assorted allies, with no more specific programme than unconditional support for Putin, command some 70 per cent of the seats in the Duma, enough to rewrite the constitution if that were required. But a one-party state is not in the offing. On the contrary, mindful of the rules of any self-respecting democracy, the Kremlin’s political technicians are now putting together an opposition party designed to clear the bedraggled remnants of Communism – liberalism has already been expunged – from the political scene, and provide a decorative pendant to the governing party in the next parliament.

In sum, the methodical construction of a personalised authoritarian regime with a strong domestic base is well under way. Part of its appeal has come from its recovery of external sovereignty. But here the gap between image and reality is wider than it is on the domestic front. Putin came to power on the crest of a colonial war. In March 1999, the West launched its attack on Yugoslavia. Planning for the reconquest of Chechnya began that same month, under Yeltsin. In early August, Putin – then head of the FSB – was made prime minister. In the last week of September, invoking hostile incursions into Dagestan, Russia launched an aerial blitz on Chechnya explicitly modelled on Nato’s six-week bombardment of Yugoslavia. Up to a quarter of the population was driven out of the country, before an invasion had even begun. After enormous destruction from the air, the Russian army advanced on Grozny, which was besieged in early December. For nearly two months Chechen resistance held out against a hail of fuel-air explosives and tactical missiles that left the city a more completely burnt-out ruin than Stalingrad had ever been. At the height of the fighting, on New Year’s Eve, Yeltsin handed over his office to Putin. New presidential elections were set for late March. By the end of February, the Russian high command felt able to announce that ‘the counter-terrorism operation is over.’ Putin flew down to celebrate victory. Clinton hailed the ‘liberation of Grozny’. Blair sped to St Petersburg to embrace the liberator. Two weeks later, Putin was elected by a landslide.

Such was the baptism of the present regime, at which holy water was sprinkled by the West. Bush added his unction the following year, after looking into the Russian president’s soul. In return for this goodwill Putin was under some obligation, which persisted. The occupation of the country did not end national resistance: Chechnya became the corner of hell it has remained to this day. But no matter how atrocious the actions of Russian troops and their local collaborators, Western chancelleries have tactfully looked away. After 9/11, Chechnya was declared another front in the war on terror, and in the common cause Putin opened Russian airspace for B52s to bomb Afghanistan, accepted American bases in Central Asia, and primed the Northern Alliance for Kabul. So eager was Moscow to please Washington that in the emotion of the moment, it even abandoned its listening post in Cuba, of scant relevance to Enduring Freedom in West Asia. But it soon became clear there would be little reward for such gestures. In December 2001, the Bush administration scrapped the ABM Treaty. Russian friends were sidelined in the puppet government installed in Afghanistan. Jackson-Vanik trade restrictions were not repealed.

In this climate, it was asking too much for Russia to underwrite the war on Iraq. Still, the US was not to be antagonised. Left to his own devices, Putin would have preferred to say the bare minimum about it. But once France and Germany came out against the impending invasion, it was not easy for him to sidle quietly off-stage. On a visit to Paris, Chirac cornered him into a joint communiqué opposing the war – though the French alone threatened a veto in the Security Council. Once back home, Putin took care to phone Bush with expressions of sympathy for his difficult decision, and made no fuss about the occupation. Yet by the end of his first term in office, the terms of Russia’s relationship with the West had changed. A fortnight after Putin was re-elected in mid-March 2004, Nato expanded to Russia’s doorstep, with the accession of the Baltic states. But even if Washington had given Moscow little or nothing, Russia was no longer a supplicant. Oil prices, little more than $18 a barrel when Putin came to power, were now over $40, and rising rapidly towards their current level at $60 plus – netting Russia a windfall of $37 billion in extra revenues in 2005 alone. More autonomy was now affordable. The upshot so far has remained quite limited: clumsy attempts to check further Western entrenchment along Russia’s southern marches, by browbeating Ukraine and Georgia; refusal to derogate control of pipelines to Europe; revision of offshore concessions in Sakhalin. But Russia’s shadow as an energy giant is lengthening. It is now the world’s largest producer of gas and, after Saudi Arabia, the second largest exporter of oil. As Europe becomes more dependent on its energy, the country’s leverage is bound to grow. No diplomatic revolution is in prospect. But Russia has ceased to be a ward of the West.

How has the change been received there? Reactions to Putin’s regime vary, but they form a certain pattern, falling within a given range. At one end of the spectrum, there is virtually unconditional endorsement of the Russia that is now emerging. The leading exponent of this view, the economist Andrei Shleifer, helped – not coincidentally – to lay the foundations of the new order, working in Moscow as one of the drafters of Yeltsin’s privatisations, and beneficiaries of the proceeds. Project director of the Harvard Institut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financed by the US government to promote ‘economic reform in support of open markets’ in the former USSR, he was prosecuted by the Justice Department on his return to the US for criminal conduct – cashing in on his insider position for investment purposes. Harvard had to pay $26.5 million, and Shleifer and his wife $3.5 million to settle the charges against him. This was the scandal that led to the downfall of his patron Larry Summers, who as Clinton’s deputy secretary of the Treasury set up the Harvard project, and was then implicated in the pay-out, as president of the university. Shleifer’s central contention, set out in an article written with Daniel Treisman in Foreign Affairs in 2004, is that Russia has become a ‘normal middle-income country’: that is, a society with much the same growing prosperity, degrees of political and economic freedom, levels of corruption and inequality, restrictions on the media and controls on the judiciary, consumer choice and contested elections, as can be found in Mexico or Turkey or the Philippines, or anywhere else with a statistical per capita income of some $8000 a year.

Shleifer concedes that, like most such places, which fall ‘somewhere between textbook democracy and a full-fledged authoritarianism’, Russia may not be a particularly secure or just society. But – and this is what matters – it is par for the course within its global bracket, which given the debris left by Communism is a remarkable achievement. For many Russians, to be congratulated on rising to the company of Turks or Mexicans might leave mixed feelings. But by lowering the standard of relevant comparison, an unequivocally affirmative conclusion can be reached. Russia is a perfectly normal country for its level of development. It is exceptional only in the historical handicaps it has had to overcome to get there, and so unusually admirable.

Few verdicts are quite as upbeat as this. More common is the approach to be found in writers for the Financial Times – another investor in the new Russia, with a joint venture in the media – which has devo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country, consistently talking up its prospects, while expressing dutiful regrets at the shadows or side effects of progress. Inside Putin’s Russia by Andrew Jack, the paper’s Moscow correspondent, illustrates the genre. Decent space is accorded the failings of the regime, and proper anxiety voiced about the future of liberties under it, without dwelling unnecessarily on these – ‘criticising without animosity and making the right allowances for peculiarities of history and culture’, as the FT put it. Chechnya, inevitably, figures prominently among the allowances. Jack explains that it is wrong to blame Putin, himself a ‘prisoner of the Caucasus’, excessively for a situation ‘where Chechnya and Russia have been at war of one sort or another ever since the two cultures first collided three centuries ago’: euphemisms to rank in some universal treasury of colonial apologetics. The results of the conflict may be unfortunate, but it is a sideshow. What matters is the balance sheet of Putin’s ‘liberal authoritarianism’. Here, the touchstone is thoroughly reassuring. In building a society ‘infinitely better for its citizens and foreign partners than the USSR’, Putin has achieved the essential: he has ‘cemented the transition from Communism to capitalism in a way that neither of his predecessors was able to achieve’.

Of course, since property rights remain insecure and justice is arbitrary, there continue to be grounds for concern. Delicately, Jack ventures the thought that, despite his achievements, ‘Putin’s commitment to democracy and market reform is questionable.’ A robuster brand of optimism was expressed by the late Martin Malia. Author of The Soviet Tragedy – a passionate requisitory of Bolshevism from the liberal right, ideologically parallel to François Furet’s Past of an Illusion (the two were close friends), but intellectually everything it is not, a work of brilliant historical imagination – Malia, after championing Yeltsin, did not balk at his successor. There was no chance, he explained, that Putin could revert to a traditional authoritarianism in today’s Russia, since the path to modernisation no longer lay through military-bureaucratic power of a Petrine, let alone Stalinist stamp. It required instead high levels of education and foreign investment, if Russia was to compete in the relevant contemporary arena, not battlefields but globalised markets. There was little cause to be exercised by Putin’s style of political manipulation, which was much like that of Bismarck or Giolitti in their time. Fears of renewed repression were misplac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 longer tolerated gross violation of human rights, as Bosnia and Kosovo had shown. The conflict in Chechnya was an exception, for there the ‘national honour’ rather than Russia’s ‘territorial integrity’ was at stake. But now that the deed was done, there would be no need to repeat it. ‘As the Chechnya war recedes into the past, the pressure on Russia to observe the new higher norms of international and civic morality will prevent Putin from doing anything extreme.’

Malia offered this absolution in April 2000. Seven years of torture and killing later, the norms – after Grozny, Baghdad – have staled, and the past has not passed. It would be wrong to say that no authorised opinion in the West did better than this. Among journalists, the Washington Post correspondents Peter Baker and Susan Glasser have produced a hard-hitting survey of the new Russia, Kremlin Rising, that puts the palliators of the Financial Times to shame.[2] Among historians, Richard Pipes, at one with Malia in hostility to Communism, but in temperament and outlook the all but complete opposite, has struck a characteristically dissonant note. Whereas Malia believed it was essentially the First World War that blew Russia off course from a normal Western development, which it could now rejoin, Pipes has always held that the roots of Soviet tyranny lay in age-old autocratic traditions of Russian political culture, a view he has recently reiterated in an elegant monograph, Russian Conservatism and Its Critics.[3]

In this vision, Putin’s regime occupies a natural place. Russians, the argument goes, lacking social or national cohesion, an understanding of property or wish for responsibility, cynical about democracy, wary of one another and fearful of outsiders, continue to value order over freedom. For them anarchy is the worst evil, authoritarian rule the condition of a peaceable life. Putin is popular, Pipes has explained in Foreign Affairs, ‘precisely because he has reinstated Russia’s traditional model of government: an autocratic state in which citizens are relieved of their responsibilities for politics and in which imaginary foreign enemies are invoked to forge an artificial unity’. Such bleak thoughts,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from Shleifer’s good cheer, are less well received in Western chancelleries. There, constructive relations with Moscow, intact throughout the wars in Chechnya, are proof against minor embarrassments like the assassination of a critic or a defector. A billionaire property developer is worth a UN tribunal; who cares about a stray journalist or émigré? Noting with relief that in the Litvinenko investigation, witnesses are inaccessible and extradition unthinkable, the Economist has confided to its readers that ‘such frustrations may not be all bad,’ since ‘British diplomats’ biggest worry is not that Scotland Yard will be flummoxed, but that it might succeed.’

Too much has been invested in the triumph over Communism for any deeper doubts about the destiny of Russia. Either blemishes are normal and superable at this stage of development. Or they are the regrettable but unavoidable costs of capitalist progress. Or they are indurated vices of the longue durée. That the West itself might be implicated in whatever is amiss can be excluded. The US ambassador to Moscow in the late 1980s, Jack Matlock, has explained why: ‘Presidents Reagan and Gorbachev, in effect, co-operated on a scenario, a plan of reforming the economy, which was defined initially by the United States. The plan was devised by the United States, but with the idea that it should not be contrary to the national interests of a peaceful Soviet Union.’ Gorbachev ‘adopted the US agenda, which had been defined in Washington, without attribution, of course, as his own plan’. Adult supervision – the term once employed by another US envoy, Zalmay Khalilzad of Kabul and Baghdad, to describe his country’s relations with the world at large – was even closer under Yeltsin. By these lights, if anything goes wrong, the progenitors are certainly not to blame. See Iraq today.

At Politkovskaya’s funeral, the three principal forces behind Yeltsin’s regime were all on hand. Two of them, hypocrisies obliging: the West, in the persons of the American, British and German ambassadors; and the oligarchs par personne interposée, in the figure of Chubais, to most Russians more odious, as their procurer, than the oligarchs themselves. The third, in authentic grief, waiting outside: the tattered conscience of the liberal intelligentsia. In 1991, of all domestic groups it was mainly this stratum that helped Yeltsin to power, confident that in doing so it was at last bringing political liberty to Russia. Clustered around the presidency in the early 1990s, when it occupied many policy-making positions, it supplied the crucial democratic legitimation of Yeltsin’s rule to the end. Not since 1917 had intellectuals played such a central role in the government of the country.

Fifteen years later, what has become of this intelligentsia? Economically speaking, much of it has fallen victim to what it took to be the foundation of the freedom to come, as the market has scythed through its institutional supports. In the Soviet system, universities and academies were decently financed; publishing houses, film studios, orchestras all received substantial state funding. These privileges came at the cost of censorship and a good deal of padding. But the tension bred by ideological controls also kept alive the spirit of opposition that had defined the Russian intelligentsia since the 19th century – and for long periods been its virtual raison d’être.

With the arrival of neo-liberalism, this universe abruptly collapsed. By 1997, budgets for higher education had been slashed to one-twelfth of their late Soviet level. The number of scientists fell by nearly two-thirds. Russia currently spends just 3.7 per cent of GDP on education – less than Paraguay. University salaries became derisory. Just five years ago, university professors got $100 a month, forcing them to moonlight to make ends meet. Schoolteachers fared still worse: even today, average wages in education are only two-thirds of the national rate.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tself, only 10 to 20 per cent of Russian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have preserved Soviet standards of quality. The state now provides less than a third of their funding. Bribes to pass examinations are commonplace. In the press and publishing worlds, which had seen an explosion of growth in the years of perestroika, circulation and sales shrank remorselessly after 1991, as paper costs soared and readers lost interest in public affairs. Argumenty i Fakty, under Gorbachev the country’s largest mass-circulation weekly, sold 32 million copies in 1989. It is now down to around three million.

For a time, even with shrinking sales, the better newspapers provided a lively variety of reportage and commentary, in which many good journalists won their spurs. But as factional struggles broke out in Yeltsin’s court, and the grip of different oligarchs on the media tightened, corruption of every kind spread through the press, from back-handers and kompromat to abject propaganda for the regime. In this atmosphere, a race to the bottom followed, in which the crudest tabloids, devoted to sensations and celebrities, predictably won out. Meanwhile, the print media as a whole were losing importance to television. Initially a dynamic force in awakening and mobilising public opinion – it played a key role in the overthrow of the old order in August 1991 – Russian TV started with a high level of professional skills and public ambitions. But it too sank rapidly under the tide of commercialisation, its most-watched programmes descending to levels of crassness and inanity rivalling deepest America. Among the educated, so despised has the medium become that Russia must be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oday where one can be regularly told, with a look of contempt at the question, as if it went without saying, that the speaker has no television set in the house.

All this was demoralising enough for an intelligentsia that, whatever its internal disputes, had always taken its role as Kulturträger for granted. But with the starving of the universities, the decline of the press and the infantilisation of television, came a further alteration.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money became the general arbiter of intellectual worth. To be needy was now to be a failure, evidence of an inability to adapt creatively to the demands of competition. Pushed by economic hardship, pulled by temptations of success, many who were formed as scholars or artists went into business ventures of one kind or another, often of dubious legality. Some of the oligarchs started out like this. The spectacle of this migration into a universe of shady banking and trading, ‘political technology’ (campaign-running and election-fixing) and public asset-stripping, in turn affected those left behind. Others, who had specialist scientific skills, got better jobs abroad. In these conditions, as the common values that once held it together corroded, the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that distinguished the traditional intelligentsia has been steadily weakened.

The result is a cultural scene more fragmented, and disconnected, than at any time within memory. The collapse of the centralised book and periodical distribution system that existed in Soviet times has created difficulties for independent publishers, leaving the field outside Moscow and St Petersburg to four or five big commercial houses which own their own outlets in the provinces, publishing mostly trash while angling for textbook contracts from the government. The most significant literary enterprise is Novoe Literaturnoe Obozrenie, started in 1992 and now Russia’s leading literary journal, whose small book publishing arm produces about 75 titles a year, concentrated in the humanities. Founded and managed by Irina Prokhorova, sister of the magnate who is Potanin’s partner in Norilsk Nickel, it also runs a cultural-political journal, Neprikosnovenny Zapas (‘Emergency Supplies’), that offers a forum for intellectual debate, and has just launched – a sign of the times – a lavish journal of fashion theory. The most coherent attempt to create something like the equivalent of the Silver Age milieu at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the NLO project can be regarded as a modest oasis of reflection in an increasingly philistine scene. But by the same token it remains an enclave, liberal in temperament, but detached from politics proper. To its left, a scattering of tiny, no doubt mostly transient publishing houses has sprung up, and twigs of a radical counter-culture can be seen. In the very centre of New Russian ostentation in Moscow, hidden upstairs in a side street just behind the gross parade of luxury stores on the Tverskaya, the shabby Phalanster bookshop lives up to its Fourierist overtones: posters of Chávez, translations of Che, biographies of Bakunin, at last – just out – the Russian edition of Deutscher’s masterpiece, his Trotsky trilogy, all this amid every other kind of serious literature.

Outside, the Tverskaya with its boutiques and chain stores sets the tone. The culture of capitalist restoration looks back, logically enough, to the object-universe of late tsarism, whose garish emblems are everywhere. Moscow retains its autumnal beauty, even if as elsewhere – Weimar or Prague – too much new paint tends to coarsen older buildings rather than reviving them. But now it is enveloped in a smog of kitsch, like ancient regalia buried within a greasy wrapper. The city has become a world capital of bad taste, in which even the postmodern can seem a caricature of itself. All this physical trumpery reflects the dominant landscape of the imaginary. Within a few years, Russia has spawned a mass culture fixated on postiche versions of the dynastic past. The country’s most successful author, Boris Akunin, writes detective novels set in the last third of the 19th century. Among other stirring deeds, his upright hero Erast Fandorin thwarts a plot to hold the coronation of Nicholas II to ransom.

More than 15 million copies of the Fandorin series have been sold since 1998, and box-office hits have duly followed. The Councillor of State, in which Fandorin rescues the throne, stars Russia’s favourite actor/film-maker Nikita Mikhalkov, an ardent monarchist who plays Alexander III in his own patriotic blockbuster, The Barber of Siberia. Mikhalkov is a middlebrow figure, but higher up the scale, Alexander Sokurov, the country’s leading art-film director, reproduces much the same sensibility in his film Russian Ark, in which a prancing, gibbering Marquis de Custine leads a motley company of historical figures, in a 360° continuous camera movement round the Hermitage, that concludes with a final maudlin tableau of the Romanov court on the tragic eve of its fall, worthy of the Sissi series. (In The Sun, yet more striking camerawork, and even sicklier schmaltz, give us the quiet dignity and humanity of Hirohito, as he converses with an understanding MacArthur.)

This dominant vein of Russian poshlost today covers the gamut from pulp to middle-market to aestheticising forms, but it is the first of these that is most revealing of mutations in the culture at large. For, characteristically, a phenomenon like the Fandorin series is not the product of a Russian Grisham or King. Boris Akunin is the pseudonym of a trained philologist and translator of classical Japanese, Grigory Chkartashvili, inspired – he avows – by Griboedov, Lermontov, Tolstoy, Dostoevsky; his hero combines traits of Chatsky, Pechorin, Andrei Bolkonski and Prince Myshkin, with a touch of James Bond for good measure. Coquetting in the manner of a latter-day Propp, he has set out to illustrate the 16 possible sub-genres of crime fiction, and 16 character types to be found in it. Hugely successful pulp, marketed as serious fiction and produced by writers from an elite background, would be an anomaly in the West, if we except a single bestseller, never repeated, from Umberto Eco, though there is a close parallel in the astronomic sales and standing of China’s leading practitioner of martial arts fiction, Jin Yong, holder of various honorary positions at universities in the PRC. In Russia, it is a pattern: high-end intellectuals hitting the jackpot in low-end literature – Akunin is not alone – are one of the kinks of the encounter between the intelligentsia and the market.

The poverty of all this retro-tsarist culture reflects the impossibility of any meaningful repossession of the world of the Romanovs. The old order incubated a rough-hewn capitalism, but itself remained patrimonial to the end, dominated not by merchants or industrialists, but nobles and landowners. No living memory connects with this past: it is too different, and too remote, from the present to serve as more than vicarious pap. The Soviet past, on the other hand, remains all too immediate, and so in another way unmanageable. With few exceptions, the intelligentsia repudiates it en bloc. The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is deeply divided: between those who regret the fall of the USSR, those who welcomed it, and those – perhaps the majority – whose feelings are mixed or ambivalent. The Soviet Union was not the Third Reich, and there is little sign of any Vergangenheitsbewältigung along German lines. In the culture at large, the tensions in social memory have produced a patchy amnesia.

Such tensions have certainly not silenced the arts. Fiction aiming at more than entertainment has never avoided the Soviet experience. Since the 1990s, however, representations of it have tended to become volatilised in the blender of de-realisations that typifies much current literature. Russian fiction has always had strong strains of the fantastic, the grotesque, the supernatural and the utopian, in a line that includes not only Gogol and Bulgakov – presently the two most fashionable masters – but such diverse figures as Chernyshevsky, Leskov, Bely, Zamiatin, Nabokov, Platonov and others. What is new in the current versions of this tradition is their cocktail of heterogeneous genres and tropes of an alternative reality, which seeks to maximise provocation and dépaysement. But such formal ingenuity, however startling, tends to leave its objects curiously untouched. The same techniques can dispose of Communist and post-Communist realities alike, as a single continuum. In Viktor Pelevin’s most lyrical work, The Clay Machine-Gun, the Cheka of the Civil War, the bombardment of the White House and the contemporary Russian mafia dance and merge in the same phantasmagoria. At its best, such literature is splendidly acrobatic. But, satirical and playful, most of it is too lightweight to impinge on deeper structures of feeling about the past.

Scholarship is another story. There, the tensions in public feeling often seem to have had the effect of sealing off the Soviet experience as a radioactive area for serious reflection or research. In the universities, scholars prefer to concentrate on epochs prior to the Revolution. The situation of Russia’s leading authority on the Stalinist period, Oleg Khlevniuk, is expressive. A young party historian reduced to penury with the collapse of the USSR, he was rescued almost accidentally from having to try his luck in business by a research contract from the Birmingham Centre for Russian and East European Studies. Fifteen years later, he still depends essentially on Western grants. The History of the Gulag was published by Yale, and has been translated into several other Western languages. Incredibly, there is no Russian edition of it.

From the opposite background, Nikita Petrov was a youthful dissident and early organiser of Memorial, the glasnost-era civic organisation. Later, picked as a radical democrat for the commission set up by Yeltsin to supply evidence for the outlawing of the CPSU as a criminal organisation, he was given access to secret police archives, of which he made good scholarly use. His latest book is a biography of Khrushchev’s KGB chief, Ivan Serov. Today, Memorial is a shadow of its former self: no longer a political movement, but a residual institution funded from the West, amid general indifference to its work among the Russian population. As for research, since the mid-1990s sensitive archives have been essentially closed – only about twenty pages a day are available from Stalin’s personal files, for the thirty years of his power, a fraction of what any modern ruler generates – and mid-level bureaucrats obstruct any inquiries likely to affront the new nationalism. But in fact, Petrov remarks, there is now little interest in critical study of the Soviet past – revelations of its crimes no longer have any impact. His major work on Yezhov, written with the Dutch scholar Marc Jansen – an astonishing portrait of the man and his time – has never found a publisher in Russia. Can translation costs be the only reason? In his view, the popular mood is now one of incurious nostalgia for Stalinism. In 1991 Petrov could not have imagined such a political reversal would be possible.

Economically, culturally, psychologically, the Russian intelligentsia has been pulled apart by the changes of the last fifteen years. The term itself is now repudiated by those for whom it smacks too much of a common identity and a revolutionary past: contemporary intellectuals should shun the suspect traditional term intelligent in favour of the neologism intellektual, of healthier American origin, to denote the new independent-minded individual, distinct from the collective herd of old. Such dissociations themselves have a long history, going back at least to the denunciations of the radical intelligentsia by Vekhi, the famous symposium of writers on the rebound from the 1905 Revolution, who might now be called neo-conservative, but were then nearly all liberals. Today, vigorous questioning of the self-images of the contemporary intelligentsia can be found across the spectrum, but attacks on its historical role again occur mainly in liberal journals – the debate in the autumn in Neprikosnovenny Zapas is an example. But their context has altered. The events of 1991, not those of 1905-7, constituted the first revolution liberals could call their own. Politically, how then does Russian liberalism stand today?

Hostility – often, in private, verbally extreme hostility – to Putin’s regime is widespread. But of public opposition there is little. The reason is not only fear, though that exists. It is also the knowledge, which can only be half-repressed, that the liberal intelligentsia is compromised by its own part in bringing to being what it now so dislikes. By clinging to Yeltsin long after the illegality and corruption of his rule was plain, in the name of defence against a toothless Communism, it destroyed its credibility in the eyes of much of the population, only to find that Yeltsin had landed it with Putin. Now, with a mixture of bad conscience and bad faith, it struggles to form a coherent story of the change.

Why, people in these circles often complain, do the Western media portray the 1990s as a time of chaos, crime and corruption – negative stereotypes of every kind – when in fact it was the freest and best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country, yet treat Russia today as a democracy, when ‘we live under fascism’? True, certain intellectuals have also taken to denigrating the 1990s, but that is out of resentment at having lost the privileged living they enjoyed under the Soviet system, when they got comfortable salaries and flats and had to do nothing, whereas now they have to find some genuine work in the market. What then of the personal and institutional continuities between the Yeltsin and Putin regimes? Oh, those. Our mistake was to have been naive about the kind of human society the Soviet system had created, which quickly reasserted itself and produced Putin – who, in any case, ‘is not the worst’ it could have thrown up. In other words, whatever has gone wrong in Russia, it was not Yeltsin’s fault, or their own.

It was clear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August overturn that a test of the new Russian liberalism would be its handling of the nationalities question, where the old – Vekhi and its sequels – had conspicuously failed. During the first Chechen War, it acquitted itself honourably, opposing Russia’s invasion and welcoming its acceptance of defeat. But the second Chechen War broke its moral spine. A few protests continued, but by and large the liberal intelligentsia persuaded itself that Islamic terrorism threatened the motherland itself, and had to be crushed, no matter what the cost in lives. A year later, America’s own war on terror allowed a gratifying solidarity with the West. Today, few express much enthusiasm for the Kadyrov clan in Grozny: most prefer to avoid mention of Chechnya. Leading courtiers of Yeltsin, still flanking or advising Putin, are more outspoken. Gaidar has explained that it is difficult for outsiders to understand ‘what the aggression against Dagestan in 1999 meant for Russia. Dagestan is part of our life, part of our country, part of our reality’ (sic – Russians make up 9 per cent of the population). Thus ‘the issue was no longer the Chechen people’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t was the question of whether Russian citizens should be protected by their own government.’ Chubais has been blunter: Russia’s goal in the new century, he recently declared, should be a ‘liberal empire’.

Such views are naturally welcome enough in the Kremlin, though these particular voices are something of a liability. Around the regime, however, are more credible forces, recruited from the democrats of 1991, who provide it with critical support from a distinctive position within the liberal tradition. Grouped around the successful weekly Ekspert – a business-oriented cross between Time and the Economist – and in the back-rooms of United Russia, their outlook could be compared to Max Weber’s in the Second Reich. The fall of the USSR was, they believe, the work of a joint revolt by liberal and national (not just Baltic, Ukrainian or Georgian, but also Russian) forces. But under Yeltsin, these two split apart, as more and more Russians with a sense of national pride felt that Yeltsin had become a creature of the Americans, while liberals remained bound to him. Putin’s genius, in this version, has been to reconcile national and liberal opinion once again, and so create the first government in Russian history to enjoy a broad political consensus. The market-fundamentalism and retro-Communism of the 1990s, each now a spent force, are no longer alternatives. In bringing calm and order to the country, Putin has achieved ‘hegemonic stability’.

By their own lights, the intellectuals who articulate this vision – typically from scientific or engineering backgrounds, like many novelists – are clear-eyed about the limitations and risks of the regime, which they discuss without euphemism. Putin’s style is to give concessions to all groups, from oligarchs to the common people, while keeping power in his own hands. He is ‘statist’ in every instinct, despising and distrusting businessmen; though he does not persecute them, he affords no help to small or medium enterprises, so that in practice only the huge raw materials and banking monopolies thrive. Politically, he is a ‘presidential legitimist’, in a Congress of Vienna sense, and so will respect the constitution and step down in 2008 – after choosing his successor. Who might that be? Here, they show some nervousness. For even if Putin does not decide on a third term, he will still be very much at large – only 55, and having amassed huge power, informal as well as formal, in his hands. How would a hand-picked successor cope with him? To this, they have no real answer, beyond joking that Russians don’t bother talking of a third term, but rather of a fourth or a fifth. Their concern focuses on the successor himself. In favour of strong government but not a dictatorship, patriots rather than nationalists, they are fearful of what the future might bring, should a tougher rather than milder heir be chosen, or another major outrage like the seizure of the Moscow theatre or the school in Beslan allow the ‘special services’ to impose an emergency regime in Russia.

Those who have cast their lot with hegemonic stability risk repeating the trajectory of the original liberal intelligentsia under Yeltsin, who kept thinking that their advice and assistance could steer him in the right direction, only to find that he gave them Putin, under whom they tremble. Unable to come to terms with their own responsibilities in backing the attack on the White House and the fake referendum on the constitution, with all that followed, they are now reduced to complaining that a ruinously Sovietised Russian people have proved incapable of accepting the gift of democracy ‘we were striving to bring them’. Today’s national-liberals are more lucid than the democrats of the 1990s, but it is not clear that they have much more real influence at court than their predecessors. If one of the candidates they most fear – the defence minister, Sergei Ivanov, or even the pallid premier, Mikhail Fradkov, for example – were to be put into the Kremlin, they could find themselves in much the same situation as the limpets of Yeltsin. They hope it will be someone more amenable, like Putin’s other favourite, the first deputy premier Dmitri Medvedev, whose task is to give a socially caring face to the regime. But they will have no more say in the choice than other citizens.

Historically, Russian liberalism came in a variety of shades, and it would be wrong to reduce them all today to the pupils of Hayek or Weber. Amid the different adaptations to power of the period, one mind of complete independence stands out. Tall but stooped, almost hunched, with the archetypal bookish look of a scholar, in a square, squinting face lit up with frequent ironic smiles, the historian Dmitry Furman is of White and Red descent. His grandmother, who brought him up and to whom he was always closest, was an aristocrat, his grandfather – the couple were separated – a high Stalinist functionary, who even as a deputy minister lived quite poorly, devoted to his cause and work. Furman explains that he grew up without any Marxist formation, yet no hatred of Communism, regarding it as a new kind of religion, of which there had always been many sorts. After graduating, he did his research on religious conflicts in the Late Roman Empire, and then became a specialist in the history of religions in the Academy of Sciences. He never wrote anything about contemporary events, or had anything to do with them, until perestroika.

When the USSR collapsed, however, he was virtually alone among Russian liberals in regarding the overthrow of Gorbachev as a disaster. For a year afterwards, he worked for the Gorbachev Foundation, and then returned to the Academy of Sciences, where he has since been a researcher at the Institute of Europe, and a prolific essayist on the whole zone covered by the former USSR. He has perhaps the most worked out, systematic view of post-Communist developments of any thinker in Russia today. It goes like this. The country is a ‘managed democracy’: that is, one where elections are held, but the results are known in advance; courts hear cases, but give decisions that coincide with the interests of the authorities; the press is plural, yet with few exceptions dependent on the government. This is, in effect, a system of ‘uncontested power’, increasingly similar to the Soviet state, but without any ideological foundation, which is evolving through a set of stages that parallel those of Russian Communism. The first phase sees the heroic destruction of the old order, a time of Sturm und Drang – Lenin and Yeltsin. The second is a time of consolid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a new, more stable order – Stalin and Putin. The leader of the second phase always enjoys much broader popular support than the leader of the first, because he unites the survivors of the original revolution, still attached to its values, and the anti-revolutionaries, who detested the anarchic atmosphere and the radical changes it brought. Thus Putin today continues Yeltsin’s privatisations and market reforms, but creates order rather than chaos. The successor to Putin in the third stage – comparable to Khrushchev – is unlikely to be as popular as Putin, because the regime, like its predecessors, is already becoming more isolated from the masses. Putin’s high ratings in the polls are entirely a function of his occupancy of the presidency: the rulers of Kazakhstan or Azerbaijan – Nazarbaev or Aliev – can match them, because their systems are so similar.

But the regime in Russia will face a serious problem in 2008, and considerable tension is already being generated. Will Putin step down and hand over the presidency to a successor, or will he change the constitution and stay on? Either course is full of risks. He could easily change the constitution to let him stay in the Kremlin indefinitely, as Nazarbaev has done in Kazakhstan – the parliament will do what he wants, and the West would not complain too much. But this would install something closer to a traditional dictatorship than to a managed democracy, requiring an ideology of some kind, which Putin entirely lacks. So although he is now studying the interwar writings of the theorist Ivan Ilin, then a semi-Fascist émigré in Germany, the best guess is that he will not want to perpetuate himself in power, since this would require too great an ideological upheaval.

Might not nationalism provide such a basis, if it is not already doing so? Furman dismisses the possibility. Russian nationalism is too low-powered to take the place of democracy as a legitimation of Putin’s rule. It is not a fanatical force like the nationalism that sustained Hitler’s regime, rather an impotent resentment that Russia can no longer bully its neighbours as it once did. The current campaign against Georgians is an instance: an expression of the frustration of a former master-people, that has now to treat those who were once its inferiors as equals. The result is a pattern of sudden rages over minor issues, explosions that are then as quickly forgotten – disputes with Ukraine over this or that dam, clamours over Serbia, and so on. These are neurotic, not psychotic symptoms. Such petty rancours are not enough to found a new dictatorship. That is why legitimation by the West remains important to the regime, and is in some degree a restraint on it. Since it has no ideology of its own, and cannot rely on a broken-backed nationalism, it must present itself as a specific kind of democracy that is accepted by the G7 – Russia as a ‘normal country’ that has rejoined Western civilisation.

On the other hand, if Putin doesn’t change the constitution, and steps down from the presidency in 2008, there will also be a big problem for the system, since for the first time in Russian history there would then be two centres of power in the country – the new and the old president. This is a formula for political instability, as the bureaucracy would waver between two masters, not knowing which one to obey. Putin may think he will select a pliable successor, but historically this has never worked: such figures always want to exercise full power themselves. Stalin was picked as the least outstanding figure by the Party after the death of Lenin, for fear of the stronger personality of Trotsky, and he became an all-powerful despot. Khrushchev was selected as a compromise first secretary after Stalin, rather than the more powerful Beria or Malenkov – and promptly ousted them and seized power for himself. So it was too with the mediocre personality of Brezhnev, chosen as least dangerous by his colleagues. The pattern would be likely to recur after 2008.

Asked his view of Pipes’s diagnosis of Russia’s deep political culture – no popular understanding of democracy, or rule of law; tyranny always preferable to anarchy – Furman answers matter-of-factly: yes, it is more or less accurate, but Pipes is wrong to think this is uniquely Russian. It is a very widespread political culture, which you can see throughout the Middle East, in Burma, in Uzbekistan and elsewhere. We should not whitewash or embellish Russian political culture, but we should also not think of it as exceptional. Nor is it correct to imagine that there has been any significant revival of religion in post-Communist Russia. The Orthodox Church has been absorbed as an ele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officiates at baptisms and funerals. But not weddings – sexual life is completely secular – and rates of regular attendance at church are among the lowest in Europe.

If the second phase in the cycle of managed democracy is now coming to an end in Russia, what of the third and fourth phases, comparable to the Khrushchev and Brezhnev periods under Communism? The whole cycle, Furman replies, will be much shorter – not seventy, but about thirty years. We are probably at midpoint right now. As for the future: the Russian intelligentsia was briefly in power in 1991, but its ideology was primitive and its outlook naive. So when the democracy it wanted was discarded by Yeltsin, the defeat of democracy was the defeat of this intelligentsia too. Only when Russian intellectuals have produced a self-critical assessment of this experience will it be able to develop new and sounder ideals for the future.

This is an impressively level-headed diagnosis of the country’s condition. Its limitation lies in the unargued premise of the argument. Managed democracy à la russe is tacitly viewed as a transition that, with all its warts, leads towards genuine democracy. Within the very sobriety of the scheme, a hopeful teleology is at work. Only one terminus is possible: the liberty of the moderns embodied in the Western Rechtsstaat. Realist in its judgments about Russia, the model is idealist in its assumptions about the West. Certainly, the two remain very different. But can the differences, and their direction, be captured by Furman’s implied dichotomy? For who imagines the political systems of the West to be ‘unmanaged’ democracies? Their own regressions are not factored into the evolutionary scheme. The idealising side of Furman’s construction exposes itself to the tu quoque retorts with which Putin and his aides now relish silencing criticism by the West.

All of these debates revolve around the nature of the state. Society is less discussed. In the West, the historians of the USSR who challenged the Cold War paradigms of Pipes and Malia – Sheila Fitzpatrick has described their rebellion in these pages – famously focused on the activities and textures of daily life in the Soviet Union, as popular realities often at variance with official myths, though not necessarily undermining them: the outcome from below, rather than the intention from above. Post-Communism offers a vast field for research of this kind, looking at the ways in which ordinary people are surviving in the new institutional wilderness. Two Russian sociologists, both living abroad, have given us striking ethnographic descriptions of some of them. In How Russia Really Works, Alena Ledeneva, who teaches in London, takes us through the dense thicket of ‘informal’ practices – some entirely new, like kompromat, others a mutation of traditional forms, like krugovaya poruka – that have sprung up in politics, professions, business and the media, all of them breaking or circumventing official rules.[4]

For Ledeneva, they are essentially inventive kinds of illegality,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role of formal law in a society where legality itself remains perpetually discretionary and manipulated. As such, they at once support and subvert the advance of a more developed rule of law in Russia. Critical though her account of this paradox is, it comes with a wry affection and upbeat conclusion: all these ingenious ways of fixing or bending the rules contribute in their own fashion to an ongoing, positive process of modernisation. The underlying message is: the Russians are coping. Here it is Western modernity rather than democracy that is taken for granted, as the unspoken telos. A darker verdict can be found in Andrew Wilson’s Virtual Politics, a blistering study of the ‘political technology’ of blackmail and bribery, intimidation and fraud, in the electoral scene.[5]

Ledeneva’s study explores the world of those who are doing well out of Russian capitalism. At the very end of her book, she lets drop that informal practices which were ‘often beneficial to ordinary people in allowing them to satisfy their personal needs and to organise their own lives’ in times past – ‘before the reforms’, as she puts it – have now become a system of venality that ‘benefits the official-business classes and harm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e admission is not allowed to ruffle her sanguine conclusions, or uncritical notions of reform. Georgi Derluguian, working in the United States, is more trenchant. Few sociologists alive today, in any language, have the same ability to move from vivid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smallest transactions of everyday existence to systematic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grandest mutations of macro-history.

‘The collapse of the USSR,’ Derluguian argues, ‘marks more than the failure of the Bolshevik experiment. It signalled the end of a thousand years of Russian history during which the state had remained the central engine of social development.’ Three times – under Ivan IV, under Peter I and Catherine, and under Stalin – a military-bureaucratic empire was constructed on the vast, vulnerable plains, to emulate foreign advances and resist external invasions, powering its own expansionism. Each time, it was initially successful, and ultimately shattered, as superior force from abroad – Swedish in the Baltic wars, German in the Great War, American in the Cold War – overwhelmed it. But the last of these defeats has buried this form, since it was inflicted not on the battlefield, but in the marketplace. The USSR fell because the traditional ‘Russian state-building assets’, in Derluguian’s phrase, were abruptly ‘devalued’ by transformation of the world economy. ‘Capitalism in the globalisation mode is antithetical to the mercantilist bureaucratic empires that specialised in maximising military might and geopolitical throw-weight – the very pursuits in which Russian and Soviet rulers were enmeshed for centuries.’

In the ensuing disintegration – an implosion under pressure of the new environment – middle-levels of the nomenklatura seized what booty they could, morphing into private asset-strippers or brokers, or reinstalling themselves at different levels, with different titles, in the reconfigured post-Communist bureaucracy. Derluguian has much to say, both picturesque and painful, about this process as it worked itself out in the centre and on the periphery, where he comes from (with an intimate knowledge of the Caucasus). But he never forgets the losers below, ‘the silent majority of Russians’, who are ‘mostly atomised, middle-aged individuals, beaten-down, unheroic philistines trying to make ends meet as decently as they can’, after twenty years of betrayed expectations.

In such condi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frayed, precarious fabric of private lives – of a people now ‘profoundly tired and resistant to any public mobilising’ – and the global canvas on which the destiny of the state is written, seems enormous. Yet there is one traumatic knot that ties them together. In just five years, from 1990 to 1994, the mortality rate among Russian men soared – in peacetime – by 32 per cent, and their average life-expectancy plummeted to under 58 years, below that of Pakistan. By 2003, the population had fallen by more than five million in a decade, and is currently losing 750,000 lives a year. When Yeltsin took power, the total population of Russia was just under 150 million. By 2050, according to official projections, it will be just over 100 million. So many were not undone by Stalin himself.

Official demographers hasten to point out that high mortality rates were already a feature of the Brezhnev period, while low fertility rates are after all a sign of social advance, in syntony with Western Europe. The combination of a mortmain from the past and an upgrade from the future has been unfortunate, but why blame capitalism? Against these apologetics, Eric Hobsbawm’s judgment that the fall of the USSR led to a ‘human catastrophe’ stands. The starkness of the break in the early 1990s is not to be gainsaid. In the new Russia, as Aids, TB and sky-rocketed rates of suicide are added to the list of traditional killers – alcohol, nicotine and the like – public healthcare has wasted away, on a share of the budget that is no more than 5 per cent: half that of Lebanon. A sense of the sheer desolation of the demographic scene is given by the plight of women – more protected from the catastrophe than men – in contemporary Russia. Virtually half of them are single. In the latest survey, out of every 1000 Russian women, 175 have never been married, 180 are widows and 110 are divorcees, living on their own. Such is the solitude of those who, relatively speaking, are the survivors. There are now 15 per cent more women alive in this society than men.

In power-political terms, a relentless attrition of Russia’s human stock has obvious consequences for its role in the world, the subject of urgent addresses to the nation by Putin. What will remain of the greatness of the past? In the 1970s, foreign diplomats were fond of describing the USSR as ‘Upper Volta with rockets’. From one angle, Russia today looks more like Saudi Arabia with rockets, although against the waxing of its oil revenues must be set the ageing of its missiles. That the country, even if it has now regained a certain independence, has so come down in the world haunts not only its governing class, but many of its writers. The possible spaces of empire – past or future, native or alien – have become one of the leitmotifs not only of its political discussion, but of its literary imagination.

In the leading example of the ‘imperial novel’, now an accepted form, Pavel Krusanov constructs a counterfactual history of the 20th century. His bestseller Ukus Angela (‘Bite of the Angel’ – 200,000 copies) recounts a Russia that has never known a revolution, and instead of contracting in size, expands to absorb the whole of China and the Balkans, under the superhuman command of Ivan Nekitaev (‘Not-Chinese’), a tyrant of Olympian freedom from all morality. Vladimir Sorokin inverts the schema in his latest novel, Den’ Oprichnika (‘The Day of the Oprichnik’). By the year 2027 the monarchy has been restored in a self-enclosed Russia, surrounded by a Great Wall, and run by a reincarnation of Ivan IV’s corps of terrorists, under the thumb of China, whose goods and settlers dominate economic life, and whose language is the preferred idiom of the tsar’s children themselves.

These are fictions. The polyglot intelligence specialist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draws on Carl Schmitt and Halford Mackinder to counterpose powers of the sea (the Atlantic world centred on the US) to powers of the land, stretching from the Maghreb to China, but centred on Russia, as their natural adversary. Originally, Moscow-Berlin, Moscow-Tokyo and Moscow-Tehran featured as the three main axes in the front against America. Later, a Slavo-Turkish alliance has been conjured up. Borrowing the title of Armin Mohler’s work of 1949, Dugin terms the eventual victory of the powers of the land over those of the sea the ‘conservative revolution’ to come. His colleague Aleksandr Prokhanov, ‘the nightingale of the general staff’, doubles as bestselling novelist, with Gospodin Geksogen, a conspiracy tale of Putin’s ascent to power, and theorist of a new Eurasian imperium, celebrated in his Symphony of the Fifth Empire, just out. These are writers who have dabbled in the murky waters of the far right, but today enjoy a wider political and intellectual entrée. Dugin’s Geopolitics carries an introduction from the head of the strategy department of the general staff. Prokhanov’s Symphony, covered on national television, was launched under the patronage of Nikita Mikhalkov, in the presence of representatives of the ruling United Russia and the neo-liberal Union of Right Forces, Gaidar’s party.

The extravagance of these dreamlands of imperial recovery is an indication not of any feasible ambition, but of a psychology of compensation. The reality is that Russia’s rank in the world has been irreversibly transformed. It was a great power continuously for three centuries: longer – this is often forgotten – than any single country in the West. In square miles, it is still the largest state on earth. But it no longer has a major industrial base. Its economy has revived as an export platform for raw materials, with all the risks of over-reliance on volatile world prices familiar in First and Third World countries alike – over-valuation, inflation, import addiction, sudden implosion. Although it still possesses the only nuclear stockpile anywhere near the American arsenal, its defence industry and armed services are a shadow of the Soviet past. In territory, it has shrunk behind its borders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Its population is smaller than that of Bangladesh. Its gross national income is less than that of Mexico.

More fundamental in the long run for the country’s identity than any of these changes, some of them temporary, may be the drastic alteration in its geopolitical setting. Russia is now wedged between a still expanding European Union, with eight times its GDP and three times its population, and a vastly empowered China, with five times its GDP and ten times its population. Historically speaking, this is a sudden and total change in the relative magnitudes flanking it on either side. Few Russians have yet quite registered the scale of the ridimensionamento of their country. To the west, just when the Russian elites felt they could at last rejoin Europe, where the country properly belonged, after the long Soviet isolation, they suddenly find themselves confronted with a scene in which they cannot be one European power among others (and the largest), as in the 18th or 19th century, but face a vast, quasi-unified EU continental bloc, from which they are formally – and, to all appearances, permanently – excluded. To the east, there is the rising giant of China, overshadowing the recovery of Russia, but still utterly remote to the minds of most Russians. Against all this, Moscow has only the energy card – no small matter, but scarcely a commensurate counter-balance.

These new circumstances are liable to deal a double blow to Russia’s traditional sense of itself. On the one hand, racist assumptions of the superiority of white to yellow peoples remain deeply ingrained in popular attitudes. Long accustomed to regarding themselves as – relatively speaking – civilised and the Chinese as backward, if not barbaric, Russians inevitably find it difficult to adjust to the spectacular reversal of roles today, when China has become an industrial powerhouse towering above its neighbour, and its great urban centres are exemplars of a modernity that makes their Russian counterparts look small and shabby by comparison. The social and economic dynamism of the PRC, brimming with conflict and vitality of every kind, offers a particularly painful contrast, for those willing to look, with the numbed apathy of Russia – and this, liberals might gloomily reflect, without even the deliverance of a true post-Communism. The wound to national pride is potentially acute.

Worse lies to the west. The Asian expanse of Russia, covering three-quarters of its territory, contains only a fifth of its population, falling fast. Eighty out of a hundred Russians live in the quarter of the land that forms part of Europe. Catherine the Great’s famous declaration that ‘Russia is a European country’ was not so obvious at the time, and has often been doubted since, by foreigners and natives alike. But its spirit is deeply rooted in the Russian elites, who have always – despite the urgings of Eurasian enthusiasts – mentally faced west, not east. In many practical ways, post-Communism has restored Russia to the ‘common European home’ that Gorbachev liked to invoke. Travel, sport, crime, emigration, dual residence are letting better-off Russians back into a world they once shared in the Belle Epoque. But at state level, with all its consequences for the national psyche, Russia – in being what cannot be included in the Union – is now formally defined as what is not Europe, in the new, hardening sense of the term. The injustice of this is obvious. Inconvenient though it may be for the ideologues of enlargement to acknowledge, Russia’s contribution to European culture has historically been greater than that of all the new member-states of the EU combined. In the years to come, it would be surprising if the relationship between Brussels and Moscow did not rub.

Few peoples have had to undergo the variety of successive shocks – liberation, depression, expropriation, attrition, demotion – that Russians have endured in the last decade and a half. Even if these, historically considered, are so far only a brief aftermath of the much vaster turbulences of the 20th century, it is no surprise that the masses are ‘profoundly tired and resistant to any public mobilising’. What they will eventually make of the new experiences remains to be seen. For the moment, the people are silent: Pushkin’s closing line applies – ‘narod bezmolvstvuet.’

 

Footnotes

[1] Russian terms and phrases. Syroviki: those in control of syryo, or raw materials; siloviki: those in command of sila, or force; kompromat: compromising information; krugovaya poruka: literally, ‘circular pledge’, or mutual complicity; poshlost: (roughly) pretentious banality.

[2] Simon and Schuster, 464 pp., £20, September 2005, 978 0 7432 6431 0.

[3] Yale, 256 pp., £17.95, December 2005, 978 0 300 11288 7.

[4] Cornell, 288 pp., £12.95, October 2006, 978 0 8014 7325 4.

[5] Yale, 336 pp., £20, April 2005, 978 0 300 09545 6.

 

Perry Anderson teaches history at UCLA.

From the LRB letters page: [ 8 February 2007 ] Tanja Jeffreys, Editor, London Review [ 22 February 2007 ] Anders Stephanson, Gerard McBurne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영남노동운동연구소의 해산을 보며

영남노동운동연구소의 해산을 보며


김 정 호 / 사) 미래를 준비하는 노동사회교육원 소장


어수선한 세밑이다. 비정규악법과 로드맵 국회 통과의 쓰라린 기억이 가슴을 무겁게 짓누른다. 민주노총은 나름대로 총파업으로 저항했지만, 그 힘으로는 상황을 반전시킬 수 없었다. 더구나 지난 12월22일 로드맵이 국회를 통과할 때는 이렇다 할 투쟁도 조직하지 못하고 울분만 삭이면서 지켜보아야 했다. 올해 여름을 뜨겁게 달구었던 ‘하중근 열사 투쟁’에서도 민주노조운동은 결실을 거두지 못했다. 그나마, 올해 노동운동의 기억 중 가장 가슴 뿌듯한 것으로는 금속산별노조의 출범을 중심축으로 공공, 운수 부문 등에서 산별노조 시대가 활짝 열린 점을 꼽을 수 있겠다. 
금속산별노조의 출범으로 금속연맹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금속연맹의 해산은 새로운 출발을 위한 발전적 해산이라는 점에서 ‘아픈 기억’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에 알려진 영남노동운동연구소의 해산은 많은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1994년에 문을 연 영남노동운동연구소(이하 연구소)는 그동안 기업별노조 체제의 극복과 산별노조운동의 발전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해 왔다.

연구소가 발간한 산별노조와 관련된 각종 자료와 책자는 산별노조운동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우리 노동운동의 척박한 토양 속에서 금속산별노조의 청사진을 그리는 데 소중한 밑거름이 되었다. 연구소가 발간한 『산별노조 100문 100답』은 많은 노조 간부와 활동가들이 산별노조의 교과서로 활용했다. 내 경우에도 금속산업연맹과 금속노조에서 교육 선전 일을 하면서 연구소의 연구 성과물들을 엄청나게 ‘도용’해서 써먹었다. 외국의 산별노조가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활동을 어떻게 하는지 도저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달리 방법이 없었다. 요즘 고려대 이필상 교수의 논문 표절 사건이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지만, 내가 연구소의 자료들을 우려먹은 것과 견주면 그야말로 ‘새 발의 피’이다. 물론 차이는 있다. 나는 그렇게 마구잡이로 ‘도둑질’을 하면서도 “배워서 남 주자”는 구호를 내세우며 ‘당당’했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많이 도둑질해 가라”는 것이 연구소가 바람이었으니까. 김석준 이사장이 말했듯이 영남노동운동연구소는 하도 ‘산별노조’를 부르짖는 바람에 ‘산별 만능주의자’로 딱지가 붙여지기도 했다.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그것은 결코 부끄러운 딱지가 아닌 듯하다. 되레 연구소의 활동에 대한 ‘찬사’로 후대에 기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구소는 해산의 주요 배경으로 현장활동가들의 참여가 갈수록 떨어지고 연구 역량을 재생산하는 것이 어렵게 된 점을 들고 있다. 두 가지 중에서도 내 마음을 아프게 하는 것은 현장활동가들의 결합력 저하와 관련된 문제이다. 물론 연구소의 노력이 부족한 탓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더 중요한 이유는 우리 노동조합운동의 풍토에서 비롯된 탓이 크다는 생각이다. 다시 말해서 민주노조운동이 90년대 후반 제도권으로 들어간 이후 상당한 수준으로 ‘권력화’되면서 제도권 밖의 각종 연구소나 단체를 대상화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결합력이 더 떨어지지 않았는가 하는 점이다. 부끄러운 일이지만 나 자신부터 그랬던 것 같다. 앞서 밝혔듯이 아무 거리낌 없이 연구소의 연구 성과물들을 도둑질하면서도, 별다른 문제의식이 없었다.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지원이야말로 연구소의 본연의 기능이라고 생각했기에, 연구자들의 노력과 헌신에 대해서 별로  고마워할 줄 몰랐고, 그들의 남모르는 고충에 대해서도 헤아릴 줄 몰랐던 것이다. 과연 나만 그랬을까. 내가 보기엔 예전에는 말할 것도 없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우군’에 대해 ‘이용’만 할 줄 알고 있지, 함께 고민을 나누고 공동의 발전을 꾀하는 노력이 부족한 것 같다. 이제 민주노조운동은 예전과 달리 그 덩치나 재정 규모에서 상당한 힘을 갖고 있는데도 말이다.
지난 해 11월23일 역사적인 금속산별 완성대의원대회가 열리던 날, 대회장의 참관석 한켠에 앉아 있는 임영일 소장을 보았다. 단병호, 문성현, 이승필, 김창근, 심상정 … 금속산업연맹과 금속노조의 전직 임원들이 사회자의 화려한 수사와 박수 속에서 인사하는 장면을 보면서, ‘영남노동운동연구소에도 한 자리 쯤 마련해주었으면 좋았을텐데…’ 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기분이 씁쓸했다. 

교육원을 운영하면서 우리 노동운동에 ‘아래로부터의 연대, 내용 있는 연대’가 절실히 요구된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각종 집회의 연대사로 대표되는 판에 박힌 공식적 연대, 폼 잡고 보여주기 위한 연대가 아니라 제도권 밖을 향해서도 활짝 열려 있는 활발하고 생동력 있는 의사소통과 연대가 복원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연구소의 해산은 앞서 말한 두가지 상황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그것은 ‘산별전환’이라는 시대적 소임을 다했다는 평가 속에서 본격적인 산별시대의 산적한 과제들에 답하기 위한 새로운 틀을 모색하려는 몸짓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임영일 소장은『연대와 실천』종간호(2006년 12월호)에서 “노동문제 전문가들과 현장의 활동가들이 헌신적으로 참여하여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고 작업하고 활동하였던 역동적인 운동성을 지금의 조건에 맞게 다시 일구어 내지 않으면 안된다는 고민을 깊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 고민을 함께 나누려는 노력이 현장에서도 나와야 할 것이다.

2006년 12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8090’ 중고등학생운동을 말한다 기획 - 청소년인권운동, 길을 묻다 ⑤]

[기획 - 청소년인권운동, 길을 묻다 ⑤] ‘8090’ 중고등학생운동을 말한다
중고등학생운동의 역사를 되짚고 정리하는 좌담회
 
기사인쇄    
정리/고근예 
•일시: 2006년 9월 13일 •장소: 인권운동사랑방
•참가자
강주성 (80년대말 90년대초 KSCM(한국고등학생기독교총연맹) 지도간사, 푸른나무 무크지 기획, 푸른나무이야기모임)
구정인 (88-90 미림여고 직선제 활동, 90년대 참배움일꾼청소년회 활동)
권혜진 (87-88 석관중 직선제 활동, 흥사단 아카데미 활동)
손영호 (87-91 고등학생지도)
유윤종 (현재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전누리 (현재 민주노동당 청소년위원회)

사회 : 양돌규 (88년 벗사랑, 88-91 KSCM 활동)
정리 : 고근예

*87년부터 90년대 중반까지, 중고등학생운동의 역사를 되짚고 정리하는 좌담회를 가졌다.



양돌규) 우선 87년을 전후로 학교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분위기가 어땠는지 궁금하다.

구정인) 87년에 중3이었고 상도여중에 다니고 있었다. 상도여중은 숭실대 바로 옆이었는데 87년 6월에 한 달 동안 데모를 내내 하니까 도저히 수업을 할 수 없었다. 선생님들도 수업만 들어오면 어떻게 좀 그 이야기를 해볼까 했던 것 같다. 나중에 안 것이지만 상도여중에 전교조 선생님이 많았고, 이런 영향을 많이 받았던 것 같다. 한편으로 입시에 대한 부담도 컸다. 권위적이고 아주 억압적인 학교 분위기, 그리고 성적으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분위기에 대항해 수업거부를 했던 기억도 있다.

권혜진) 87년 6월 항쟁이나 이런 과정들이 과연 고등학생운동에 영향을 미쳤는가? 그런 게 핵심인데, 분명 영향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당시 “군정종식”이라는 포스터가 있었는데, 이런 것들이 나한텐 사실 영향이 있었다. 우리가 군부독재였구나 하는 것을 알게 해주는 선동적 포스터라고 생각이 드는데, 그런 것들 보면서 참 반했었다. 대통령도 직선제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졌고 그럼 학생회장은 누구지 이런 생각이 들었었다.

강주성) 그때 노동운동이라든지 학생운동은 명확하게 계급계층운동으로 자리를 잡았는데. 고등학생운동이 독자적으로 전체 사회에서 운동세력의 하나로서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처음 시작을 했다. 그런데 이런 고민은 이전에, “고등학생들이 어리다.” “청소년은 주변인이다,” 이런 걸 많이 배운데서 비롯된 것이다. 실제 이러한 개념규정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교육이 집단적 교육체제로 시작되면서 기인한 것이다. 그런 교육들이 내 머리 속이나 당사자들 머릿속이나 누구나 다 있었던 때다. 이러한 대상을 가지고 과연 이게 운동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이 집단이 스스로 자기 운동 논리와 운동 힘들을 조직화해서 전체 운동의 한 부분운동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한 것이다.

손영호) 87년 같은 경우는 내 기억에 두 가지였던 거 같다. 그때 가장 큰 이슈가 사회민주화라거나 운동의 폭발적 성장과 고등학생 관련해서는 그 당시 연세대에서 있었던 86년 그 의식화편지 사건이다. 그게 의외로 좀 대학 내에서는 파장이 컸다. 이유는 대상이었다. 그전까지는 의식화 대상이라고 하면 대학생, 농민, 노동자, 뭐 시민. 그렇게 생각하다가 고등학생한테 넓혀졌던 것. 그 당시 내용은 별게 아니었다. 그렇지만 그런 것을 시도한 자체가 신선했다. 그걸 겪으면서, 사회민주화운동 흐름에서는 청소년들을 의식화대상을 보는 그런 경향들이 하나 있었다.
또 하나는 그 당시에 교육민주화 운동이 가장 활발할 때였다. 대중운동 전 단계에서 소규모 운동이라든지 학내 교사 중심의 그런 것들이 기억에 많다. 85년-87년 오면서 급격히 늘었던 거 같고 교육민주화운동 측면에서는 교육모순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 측면에서 교사들이 많이 고민했던 거 같고, 또 한 측면에서는 당사자인 학생들도 거기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

권혜진) 강주성씨나 손영호씨는 당시에 지도하러 들어오신 건데, 과연 고등학생들 삶의 문제로만 들어왔는가? 고등학생을 지도하러 들어왔던 사람들이 운동의 재생산을 위한 의도는 전혀 없었던 것인지 묻고 싶다.

강주성) 있었다. 여하간 운동은 영역과 지평이 넓어야 하는 거다. 그런 점에서 고등학생들을 사회변혁의 한 세력이라고 본 거다. 그런데 그전 선배들은 고등학생들을 조기교육의 장으로 봤다. 그들의 기본적 관점은 고등학생운동을 하는 게 아니라, 활동가의 재생산구조로서의 고등학생운동, 그런 관점이 많았다. 나와 손영호 씨는 그것은 결과적인 것이고 나는 그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설정한 것은 아니었다. 고등학생들이 학내민주화라거나 자기 권리, 그리고 일련의 활동을 통해 사회에 대한 의식이라거나 인권에 대한 의식이라거나, 자생적인 운동적 자생력을 갖고 독자적인 운동으로 발전하기 바랬었다.

권혜진) 그때는 대학에 진학하면 용서가 되었는데, 안 가면 노동운동을 해야 된다고 생각했다. 나는 개인적으로 문화운동을 하고 싶었는데 배신자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도저히 소통이 안 되는 그런 부분들이 있었다. 그런 관점을 가진 선배들에 의해 고등학생운동이 그 자체로 발전하는 데 저해되는 부분이 있지 않았을까?

강주성) 그건 선배의 한계라기보다는 그 시기 운동적 한계였다. 그때는 모든 운동판이 그랬다. 그것으로부터 자유롭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그나마 진일보했다고 보는 건 그전에 고등학생운동한다는 고등학생을 보면, ‘대학생2’였다. 그건 고등학생운동이 아니라 대학생에게 영향을 받은 고등학생 몇몇이 그룹화되어서 운동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그 전에는 소홀하게 봤던 직선제, 학내민주화, 보충자율학습 철폐, 문제교사에 대한 항의, 이런 것들은 대학생에게 교육받은 친구들이 관심이 없는 거였는데 그런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운동을 끌어가고자 했던 것들은 일정한 발전이라고 생각한다.

서고련, 고등학생운동이 있음을 알리다

양돌규) 87년 대선 이후 구로구청에서 투표함을 가지고 농성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 서고련이 결성이 되었고 명동성당에서 대통령선거가 부정선거라며 농성을 시작했다. 서고련 활동의 의의와 한계를 평가한다면?

권혜진) 사실상 서고련이 무엇을 외쳤는지가 많이 알려지거나 하진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서고련이라고 하지만 서고련에 맞는 대표성을 갖고 모인 것이라기보다는 소모임 대표들이었고 서고련이라는 명칭에 걸 맞는 조직구성은 아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하지만 그때 당시에 이러한 모형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겠구나 하는 것, 그리고 당시 고등학생운동을 하던 사람들이 각자 개별적으로 운동을 하던 과정에서 한곳에 모일 수 있던 최초의 시도가 아니었는가 싶다.

강주성) 연합체, 그런 간판을 걸 만한 조직 내용은 아니었고 이후 많은 친구들이 서고련이 갖는 운동 행태나 사고방식에 대해 여러 가지 비판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집단이 공식적으로 간판을 걸고 사회적으로 움직였다는 것은 고등학생운동사에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구정인
구정인) 세상에 고등학생운동이라는 게 있다는 것을 선포한 듯했다. 물론 대학생이 지도하는 너무나 대학생스러운 그런 거, 굉장히 낯설고 굉장히 운동권 같은 느낌을 많이 줬지만 그때 고등학생운동하던 친구들에게는 '꿈의 서고련'이었다. 우리도 저런 걸 만들어야겠다는 이야기를 90년대 초반까지도 했었다. 서고련은 명동성당에 잠깐 모여서 그 이후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게, 여러 평가가 부정적이었던 원인인 듯했다.

양돌규) 서고련의 문제가 서고련의 한계였나 고등학생운동의 한계였나?

강주성) 둘 다다. 서고련의 한계란 게 전체 운동의 한계가 나타나는 건데 고등학생운동이 그런 간판을 걸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대학생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손영호) 87년 대학로에서 가졌던 학생의 날 행사와 홍대에서 한 자살학생 위령제가 기억에 남는데, 고등학생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동료들과 함께 해결해 나가고 만들어갈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서고련에 대한 기억이 많진 않은데 명동성당이라는 당시 상징적인 시위장소에 고등학생까지 왔구나하는 정도의 생각이었다.

왼쪽부터 양돌규, 유윤종
양돌규) 최근에 서고련 활동했던 사람들은 만났을 때 하는 이야기가 서고련 깨지고 나서 88년초에 어디로 갈 것이냐, 서고련 맴버들 안에서 논란이 있었다고 한다. 서고련을 가져가자는 쪽과 서고련을 가져갈 필요 없이 학교로 들어가자는 쪽이었다고 하는데, 계속 서고련을 이어가자는 쪽이 아까 말한 88년 7월 17일 자살학생 위령제를 주최한 그쪽이었다. 이런 것을 보면 어떤 면에서 서고련이 전과 같은 선도적인 정치투쟁에서 방향을 선회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대중운동의 길목

유윤종) “대통령부터 반장까지 직선제로..”라는 구호도 있었고, 당시는 학생회 직선제 요구가 굉장히 대중적이었던 것으로 아는데, 직선제 학생회에 대해 학생들의 호응은 어떠했나? 요즘은 학생회 법제화를 하자고 해도 학생들 대다수가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는 분위기다. “맞는 말이야” 싶어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분위기는 아니다. 학생회 직선제는 과거엔 어땠는지 궁금하기도 하다. 그리고 간선제랑 직선제랑 차이가 궁극적으로 무엇이었는가? 당시 직선제 학생회가 제기된 게 그냥 대통령도 직선제니까 우리도 하자고 제기되었던 것인가 아니면 정말로 직선제가 필요하다고 느껴서 제기가 되었는가?

구정인) 딱히 직선제라기보다는 일단 대학교도 그렇고 80년대 중반에 학생회가 학도호국단에서 바뀌면서 학생회에 대한 의미가 부상된 것이 고등학교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일단 직선제를 하면 유세를 해야 하고 공약도 있어야 한다. 당시 학교에서는 써클도 못 만들었고 학생들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는데 직선제를 하면서 유세를 하고 교문 앞에서 인사를 하고, 어떤 학생회를 만들겠습니다, 공약을 내걸고 유세하는 것 자체가 큰 파장이었다. 대통령 선거의 영향으로 직선제와 간선제를 인식하는 건 민주냐 반민주냐의 느낌이 강했다.

권혜진) 학생회 직선제는 제일 싸우기 좋은 명분이었던 것 같고 당위적인 것이었다. 지금에 와서 직선제 학생회가 어떤 의의를 갖느냐고 평가하는 것은 최근에 주장되는 학생회 법제화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는데 실제 간선제 학생회장과 직선제 학생회장의 권한 자이는 별로 없다. 그런데 지금 만약 학생회 법제화를 통해 학생회가 예산권을 갖고 운영위원회 참여해서 의견을 발표할 수 있고 권한을 가져서 공약이 헛공약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공약들이라고 한다면, 다시 한 번 민주적 학생회 건설이라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을 듯하다. 사실상 우리는 직선제는 이뤄냈지만 내용은 이뤄내지 못했던 면이 있다.

오른쪽부터 손영호, 강주성, 권혜진


강주성) 개별 학교의 상황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을 거 같다. 어쨌든 간에 88년도에 직선제 공청회를 KSCM에서 했는데 그때도 학생들이 많이 왔다. 그 이후에 직선제 학생회가 실제 이뤄진 학교가 상당히 많았다. 그런 것들은 어쨌든 일단 고등학생운동이 운동으로서, 대중운동으로서 발전해 나가는 데 있어서, 대중들의 권리의식들을 함양하고 하는 데 중요한 요소였다.

손영호) 현재 직선제가 별로 효용성이 없다는 건 권익을 위한 활동들이 활발하지 않아서 나오는 이야기 같다. 사실 당시 직선제가 이슈화된 것은 뭔가 주장하고 권리를 찾으려고 보니까 대표가 필요했고 대표를 어떻게 만들 것이냐 생각하게 된 것이다.

구정인) 학생회 법제화를 갖추는 것과 학생회를 잘 운영할 수 있는 주체들이 준비되어 있는가의 문제와는 좀 상관없는 별개의 문제라 생각한다. 그냥 자기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는 대표가 있어야 하고 그 사람은 당연히 존중 받아야 하고, 그 과정에서 결국 그런 민주적인 훈련 과정에서 주체들을 생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유윤종) 나는 학교 다닐 때 생각을 좀 다르게 했다. 소모임에서 학생회장과 접촉을 해서 이야기를 해보니까 이 학생이 꼴통이었다. 그럼 우리가 학생회보다 학생 여론을 더 받아버리겠다, 그러면서 전단지 뿌리고 학생회보다 우리가 힘 센 조직이 되면 되는 거 아니냐. 좀 뭐랄까, 꼭 우리가 제도적 대표성을 가질 필요가 있느냐, 지지라는 것은 투표해서 뽑힌 것과는 상관없다, 지지는 그때그때 받아내면 된다는 식으로 생각을 했다.

양돌규) 시간의 흐름 만큼이나 학생회나 운동의 모델에 대한 생각은 좀 다른 거 같다. 대의나 대표성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조직화를 역동적으로 해나가는, 운동과 흐름들을 중심으로 조직화의 상들을 가져 나가는 것 역시도 괜찮은 게 여기는데, 과거라면 그런 상상이 잘 안 되었지만 그게 요즘의 그것, 몸으로 짝짝 달라붙는 조직화의 상이 아닐까 한다.

구정인) 시대의 변화라고 생각한다. 처음 서고련 만든 것도, 당시 최고 조직은 전대협이었다. 학생회를 만들어야겠다는 것은 아마 그런 상이 있지 않나. 학생회라고 하면 당연히 생각하는 게 학생들 요구를 대변하는 훌륭한 조직이라는 상이었다. 지금은 대학 학생회도 전혀 그렇지 않다. 지금은 모든 학생회가 학생의 의견을 대변하는 훌륭한 조직이라는 개념이 아니다. 그때는 모든 운동하는 사람들이 학생회를 많이 해서 그런 상이 나왔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학생회에 과도하게 당시만큼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 같다.

89년 전교조 투쟁

양돌규) 89년에 이제 그야말로 기록적인 47만여 명 학생들이 전교조 사수를 위해 싸움을 대중적으로 벌였다. 그 당시 분위기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

구정인) 88년도 말에 학교 소모임을 처음 만들어 직선제 투쟁을 시작했고, 동시에 전교조 선생님 사수투쟁도 함께 했다. 직선제 투표가 89년 7월이었는데 전교조가 출범하고 탄압받던 때라서 학급에 유세를 들어가면 나오는 질문이 ‘선생님 해직되면 데모를 할 거냐 안 할 거냐’가 핵심이었다. 민주파냐 아니냐를 구분하는 식이었다.

양돌규) 학교가 입시교육에 찌든 상황에서 전교조의 출범이 학생들에게는 다른 의미를 가졌던 것 같다.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기회로 여긴 것은 운동하는 고등학생만의 생각이 아니었을 것 같다.

구정인) 전교조에서 말하는 '참교육'이 얼마나 눈물 나게 다가왔는지 모른다. 콩나물이 아니라 콩나무를 키우는 교육을 하고 싶다라고 했던 구호가 기억난다. 사회적으로 노동조합이라고 지탄도 받았지만 전교조가 학생들한테 지지를 많이 받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다.

강주성) 학생들의 그런 지지와 참교육에 대한 호응, 이런 것은 전교조가 간판을 달고 한국사회에서 할 수 있었던 아주 중요한 요소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걸 운동적으로 소화하지 못했다는 건 전교조가 가지고 있는 한계다.

손영호) 교육이라는 것도 현장을 놓고 보면 어쨌든 교사하고 학생하고 학부모가 해결해야할 목표가 있다. 그 목표를 학교 단위의 모순들이 첨예화되었을 때는 오히려 대처하기가 좋았다. 분명히 학생들과 교사들도 동일한 입장, 동일한 현상을 갖고 논할 수 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학생들은 교육의 주체로서 진정 인정한다면 권리나 그런 것에 대해 더 자각을 했어야 하는데, 학생들의 자율적 움직임이나 권리 확보 이런 것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간과한 것은 있다.

90년대 초반 고등학생운동의 숨고르기

양돌규) 91년으로 넘어간다. 91년 공안정국 후 고등학생운동의 하강, 소멸. 이렇게 이야기하면 좀 그렇지만 92년 93년 이때 분위기를 이야기해 보자.

권혜진
권혜진) 개괄적으로 90년대 초반의 운동을 정의하자면 90년대 아이들을 가지고 80년대 방식으로 운동했다. 그래서 하향곡선을 그렸던 것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90년대 초반부터 또 다른 고등학생운동의 흐름이 그 이면에 자리잡고 있었지 않았나 싶다. 학생복지회 같은, 그런 학생 생활에 관련된 문제, 문화 이런 것들에 대한 제기가 조금씩 살아나면서 한바퀴 바뀌는 과도기적 상황이 아니었는가.

양돌규) 세대의 변화라고 한다면 91년 5월 투쟁 이후 92년이 되었을 때 고등학생운동의 바뀐 분위기라는 것도 한편 생각해보면 89년 전교조 사수 투쟁을 경험한 학년이 모두 졸업한 상황이라고 하는 것도 일정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

권혜진) 그런 요인도 분명 있겠지만 사회전체가 바뀌는 흐름도 무시할 순 없다. 결국 89년 전교조를 겪었던 그 세대들이 마지막 불꽃을 피웠던 91년도 그 열정과 감동 그리고 패배. 그러면서 사실 그것을 더 연장시키고 싶고, 그 열정들을 더 다듬어서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싶던 게 오히려 더 발목을 잡는 시기였다. 실질적으로 그때 당시 고등학생운동을 지도하던 사람들이 그걸 겪고 나서 이제 고등학생운동에 전망이 없다고 다 떠나버리는 시기도 그때부터였다.

강주성
강주성) 그것은 기존의 운동이 갖고 있는 본질적인 한계였다. 운동을 밑에서부터 가져 온 것이 아니라 멀리서부터 가져 왔기 때문이다. 실제 사람이 변화가 되는 과정도 의식이 변화가 되면 생활도 변화가 될 것이라고 봤던 게 많은데, 오히려 지금에 보면 운동이라는 게 삶에 천착해서 삶의 모든 부분에서 변화가 되고 그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각들이 변화가 되고 오히려 이러한 과정에서 더 큰 집단으로 발전이 되고 대중운동도 된다고 본다. 하지만 그 당시만 해도 그때 많은 선배나 사회운동했던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대중들 속에서 대중들이 요구하는 바에 의한 대중운동을 한다고 했지만 실제적으로는 대중운동을 거의 한 사람들이 없었다. 그래서 의식이 무너지고 이념이 무너지면서 모든 운동권이 쇠퇴하는 과정에서 고등학생운동도 역시 쇠퇴한 것이다.

권혜진) 학교에서 사실은 중요하게 기반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게 학내 소모임인데, 소모임 활동이란 것도 졸업하면 사라지는 것이다.

강주성) 제일 큰 문제는 사실 학교별로 재생산 구조가 없던 거다. 너무 그 운동의 경험이 짧고 내용도 없는 상황에서 선배들이 떠나가면 선배들을 대체할 수 있는 후배 리더 그룹들이 나와야 하는데 그런 구조가 없었다.

구정인) 사실 그때 운동이 쇠퇴한 결정적 원인은 89년도 대중적 운동이 많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탄압이 있었다는 것이다. 전교조 교사들 해직 후, 집중적으로 학생들 징계가 정말 많았었고 동아리실이며 동아리를 아예 없앴다. 우리는 이런 징계를 철회시킬 수 없었고 또 무기력했다. 그래도 이후에 90년, 91년에는 어쨌든 학교활동을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했다. 전교조는 계기였던 것 같다. 계기를 통해서 그냥 일시적인 분위기가 좋았던 것 같고 오히려 그게 조직화되어 있거나 의식적인 활동으로, 운동으로 정립되지 못하니까 결국 버티지 못하는구나하는 생각을 했다.

현실에 발 딛은 청소년 운동으로

권혜진) 결국은 자발적이고 자기 현장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으면 운동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자기 생활에 기반하지 않은 운동은 운동이 아니다. 예를 들면 고등학생이 통일운동을 해야 되느냐 말아야 되느냐 이런 게 있었다. 현재도 복지의 문제나 삶의 질 문제로 다가서야지 그렇지 않으면 고등학생운동이 유지되기 힘들다고 본다. 결국 자기 문제로 출발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강주성) 모든 개인이나 집단이나 경험하고 실천하는 속에서 의식과 실천의 수준이 죽 높아질 거다. 그런데 이게 어디까지 높아질 것인가. 자연스러운 과정은 높아지는 게 아니라 높아지다가 평면으로 가는 것이다. 이거는 운동이 아니다. 운동은 이렇게 평면으로 가는 과정에서 계기가 목적의식적으로 주어져서 터닝포인트로 전화가 되어야 한다. 질적 전화. 그것이 운동이다. 그런데 뭐, 복지나 이런 어떤 현장의 요구를 중심으로 하는 건 맞다. 운동으로서 맞다. 그게 기본이라고 본다. 과연 그럼 언제 통일 운동을 할 것인가? 발전하다가 어떤 적당한 기점에서, 잘 보고 통일운동을 해야 하는 것이다. 안 그러면 자기 계급의 이해에 그냥 빠져서 다른 모든 운동들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는, 지금과 같은... 노동조합 운동이 환경운동에 관심이 있나? 노동조합 운동이 의료운동에 관심 있나? 그렇게 되었을 때 집단주의, 계급 이기주의적 운동이 되는 거다. 그런 면에서 고등학생들도 이후에 통일운동도 해야 되는데 문제는 지금의 수준이 그렇게 되지 않기 때문에 일단 기본과 현실에 천착해서 운동하는 것은 맞다.

구정인) 정리를 하자면 그 시대가 확실히 남긴 게 있다면 세상을 바꾸는데도 청소년이 사회적 역할을 하게 되면 그것이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그리고 청소년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 청소년 시기에도 참고 기다리는 게 아니라 행복하고 자기 주장을 하고 자기 삶을 개척할 권리가 있다고 하는 확고한 신념을 갖게 된 게 그때 운동의 힘이고 지금까지 남아 활동하게 하는 동력이기도 하다.

손영호) 학생으로서 인권이 있다. 행복할 권리가 있다. 이게 가장 중요한, 쟁취해야 할 목표이다. 나도 아들이 있고 자라는 애들이 있지만, '왜 학생은 20년 동안 불행해야 해?' 이것이 가장 근본적인 질문이다. 어떻게 보면 그것이 학벌사회를 위한 희생이고, 사회적으로 계급을 무리 없이 편제하기 위한 교묘한 술책이기도 한데, 그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는 것이 가장 본질적인 이슈이다. 학생으로서의, 청소년으로서의 인권, 행복할 권리. 우리는 미래를 존재하는 인내해야 할 유보해야 할 삶이 아니다. 이거를 가장 중심적으로 봐야 할 거 같다.
인권오름 제 22 호 [입력] 2006년09월20일 3:41:1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겨레]‘고교생운동’ 처음으로 주목한 양돌규씨

“한총련의 씨앗은 고등학생 운동”
고졸뒤 노동운동하다 늦깍이 공부
고교운동 경험 20여명 면접·구술
91년 5월 투쟁 중추적 역할 밝혀

안수찬 기자

‘고교생운동’ 처음으로 주목한 양돌규씨

격동의 근현대사를 거친 한국에서 ‘운동사’가 차지하는 학문적 위치는 작지 않다. 여러 학자들의 노력으로 이제 어지간한 역사적 사건 대부분이 학문적 분석·검토를 거쳤다. 그러나 좀체 ‘학문적 시민권’을 얻지 못하는 운동사의 한 영역이 있다. 고등학생 운동이다.

양돌규 성공회대 석사(사회학)는 지난 7월 학위논문으로 ‘민주주의 이행기 고등학생운동의 전개과정과 성격에 관한 연구’를 썼다. 박사도 아닌 석사학위논문이지만, 그 의미는 허투루 지나칠 게 아니다. 선행연구가 사실상 전무했던 분야를 개척했기 때문이다. 단행본이나 자료집의 형태로 청소년의 일탈·저항, 전교조 지지운동 등을 거론한 경우는 있었지만, 이 시기 고등학생들의 조직적·의식적 운동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중반에 이르는 시기의 전국적 고등학생 운동의 실상을 조사·분석했다. 서울·부산·광주·대구 등에서 ‘고등학생협의회’ 등 크고 작은 고등학생 모임들이 만들어져 민주화 운동의 한 구석자리를 점했던 시기다. 양씨는 전국의 고등학생 운동 경험자 20여명을 만나 구술을 듣고 관련 자료를 섭렵하면서 논문을 썼다.

그는 <한겨레> 인터뷰에서 “당시 활동가들을 만나보니, 각자의 응어리가 너무 커서 그때의 기억을 돌이키지 않으려는 경우가 많았다”며 “구술을 녹취하는 과정이 자연스레 그들의 응어리를 풀어주는 역할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 응어리는 무엇일까. “1991년 5월 투쟁을 보세요. 당시 민주주의를 외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6명의 학생 가운데 3명이 고등학생 운동 출신자고 1명은 고등학생이었습니다. 제가 보기엔 당시 투쟁의 핵심은 ‘고등학생 운동 세대’가 죽음으로 항거했던 데 있습니다.”

그는 한총련을 고등학생운동 세대와 연결시켜 해석했다. “조직적 고등학생운동의 세례를 받은 친구들이 대학에 입학하던 시기와 그 세대의 마지막이 대학을 졸업하는 시기가 한총련의 탄생 및 쇠퇴와 일치합니다. 이 세대의 순환과 학생운동·민주화운동의 순환이 맞물렸던 것이죠.”

1973년 출생인 양씨 스스로가 고등학생운동 세대다. “아버지는 <동아일보> 해직기자 출신이고 어머니는 노동소설을 쓰시는 분이라 자연스레 ‘물들었다’”며 웃는 그는 “함께 운동했던 친구들 절반이 그랬던 것처럼” 고교 졸업 직후 울산 지역의 공장에 들어가 노동자 생활을 시작했다. “너무 힘들어서” 1년여만에 공장을 나온 그는 그제야 대학을 들어갔고 지금껏 뒤늦은 공부와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사회과학 출판사, 전태일기념사업회 등에서 일했던 그는 현재 민주노총 정책실에서 ‘민주노총 10년사’ 작업을 돕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앞으로의 학문적 목표를 궁리중이다.

그는 한국 노동운동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해나갈 생각이지만, 고등학생 운동에 대한 관심의 끈도 놓지 않을 결심이다. 양씨는 “조직적 고등학생 운동 세대의 구술을 더 수집하는 동시에, 민주화 담론이 아닌 인권담론을 중심으로 삼고 있는 90년대 후반 이후의 청소년인권운동에 대해서도 계속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글 안수찬, 사진 이종근 기자 ahn@hani.co.kr



» 1990년 6월24일 경북대 소강당에서 고등학생, 교사, 대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김수경 열사 추모결의대회. 당시 경화여고 3학년이었던 김수경은 학생회 탄압 등에 항의하며 90년 6월5일 영남대 인문관 옥상에서 투신 자살했다. 같은해 9월에는 충북 충주고 2학년 심광보, 다음해 5월에는 전남 보성고 3학년 김철수가 각각 교육민주화 등을 주장하며 투신·분신 자살했다. 사진제공 양돌규·김수경열사추모사업회.

기사등록 : 2006-08-25 오후 08:52:39 기사수정 : 2006-08-25 오후 09:17:4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논문서 고교생운동 과정 분석(성공회대 양돌규씨) / 경남도민일보

 

“학교 안바뀌면 고교생운동 부활”

성공회대 사회학과 양돌규씨, 논문서 고교생운동 과정 분석

 

김성찬 기자 kim@idomin.com

 

지금의 청소년 인권 상황이 80~90년대 상황과 다를 바 없으며,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무더기 퇴학과 구속, 심지어 항의자살 사태까지 낳았던 80년대 고교생 운동이 다시 불붙을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그리고 2000년대의 고교생 운동은 80·90년대에 비해 새로운 프레임을 가진, 즉 ‘인권담론을 근간으로 한 운동’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10여년 동안 국내 고등학생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을 연구한 논문을 쓴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양돌규씨는 자신의 석사학위 논문을 통해 “지금 한국의 학교 현장이 19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반처럼 다시금 기로에 서 있다”면서 “학교 현장이 학생들의 인권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편돼야 하는 숙제 앞에 놓여 있다”고 주장했다.

양씨는 더불어 지난 민주화 이행기에 학교 체제에 항의하는 유인물을 배포하고, 자신의 사상과 견해를 밝혔다는 이유만으로 부당하게 징계를 받거나, 학교로부터 추방당했던 학생들에 대한 학교 당국의 사과와 징계 취소 조치 또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문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 6월 경남도민일보가 보도한 ‘마산공고 사태’전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했다.

양씨는 “마산공고 사례를 주목해야만 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지금의 청소년 인권 상황이 80~90년대 상황과 다를 바 없다는 사실”이라면서 “또 다른 마산공고 학생들이 90년대를 넘어 지금까지도 춘천고, 대광고, 동성고에서 양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입시경쟁과 학교규율로부터 조금이라도 벗어나려는 학생들의 시도(두발규정 폐지, 비상식적인 징계 금지, 강제 0교시와 보충·자율학습 폐지 등)에 대해 가해지는 학교의 탄압 양상은 지금도 여전하다는 설명이다.


“마산공고 퇴학 사례 아직 여전…경직된 분위기 유지 방증”

논문은 ‘이처럼 과거 고등학생운동이 현재 청소년 인권운동과 맞닿아 있다는 사실은 역설적으로 한국의 교육현장이 그만큼 경직된 채 스스로를 유지해왔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꼬집었다.

이 밖에도 논문은 고등학생운동을 태동기, 발전기, 심화기, 하강기, 전환기 등 다섯 시기로 구분해 고찰하고 있다.

△첫 번째 1985~1987년 6월민주항쟁 이전까지의 태동기에는 중고등학교에 광범위하게 소모임이 조직되는 한편으로 파주여자종합고등학교와 같이 자발적인 대중투쟁이 존재했었다. △두 번째 6월민주항쟁 이후부터 1987년 12월 서울지역고등학생연합회(서고련)의 명당성당 농성까지의 발전기에는 학생회 직선제 등 학내민주화투쟁이 벌어지는 한편 서고련은 명동성당에서 대통령 선거 부정선거 규탄 농성도 펼친다.

△세 번째는 심화기로 1988년부터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사수와 학생탄압분쇄 투쟁까지다. 심화기에는 정치적 성격으로부터 학내민주화투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투쟁이 벌어지는데 특히 전교조가 출범하던 1989년 고등학생들은 연인원 50만 명에 이르는 폭발적인 대중투쟁력을 보여줬다.

△1990년부터 다음해 5월투쟁까지의 하강기에 이르자 학교뿐만 아니라 교육당국 경찰 등까지 고등학생들에 대한 탄압에 나섰고, 이 가운데 김수경, 심광보, 김철수 등 학생들이 희생되는 사건들이 있었다. △1992년부터 1994년 조직사건에 이르는 마지막 전환기를 거치면서 학생운동은 점차 소멸해가지만 다른 한편 인권담론이 떠오르면서 청소년 인권운동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게 된다.

덧붙여 양씨는 80~90년대 고등학생운동의 성격을 “교육민주화를 위한 운동이자 병영적 통제 아래서 감옥과 같은 규율체제 속에 있던 학생들 스스로의 인권을 찾고,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몸부림”이었다고 평가했다.

 

2006년 08월 18일
김성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등학생운동자료/시민의신문]민주화의 불꽃, 학교를 삼키다.

사회를 흔든 ‘학생인권’ 함성
[인권오름]기획 - 청소년인권운동, 길을 묻다 ①
새로운 청소년인권운동의 발원지, 최우주씨 사건
 
2006/6/2
인권운동사랑방
청소년인권운동사 연구를 시작하며

체벌, 두발규제, 강제자율학습, 입시경쟁교육 등 각박한 현실 속에서 한국의 청소년들은 하고픈 말도 많을 터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들은 권리를 주장할 자격이 없거나 부족하다고 간주되어 사회적 의사결정의 과정에 자신의 목소리를 온전히 반영할 수 없는 존재들이다. 21세기 들어 청소년들의 다양한 ‘반항’이 사회의 주목을 받았던 것도 그러한 기존 시각에 충격을 줬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청소년들이 자신의 권리를 얻어내기 위해 싸워온 역사는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 청소년인권운동의 역사를 발굴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은 그 때문이다.

청소년인권운동사 연구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사건들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 배치하고 알리기로 한다. 이미 잘 알려진 사건의 경우에도 체계적인 해석을 덧붙여 그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는 현재 청소년인권운동의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되는 운동의 단절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이다. 앞으로 청소년인권운동에 발을 들이려는 사람, 또는 이미 청소년인권운동을 시작한 사람에게도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만드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 첫 번째로 우리는 1995년 최우주 씨 헌법소원 시도 사건을 다루고자 한다. 이 사건이야말로 1990년대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새로운' 청소년인권운동의 출발점이자 발원지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편의 글, 한국사회를 흔들다

“저의 바램은 아주 상식적인 것입니다. 방과후의 시간을, 방학 동안의 시간을 당연히 학생들 자신의 적성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학생 개개인에게 돌려달라는 것입니다.”

최우주 씨의 헌법소원 의사 표명 이후 하이텔에 개설된 토론방에서는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인권운동사랑방

최우주 씨의 헌법소원 의사 표명 이후 하이텔에 개설된 토론방에서는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1995년 7월 22일 하이텔 게시판에 올라온 이 한 편의 글은 이후 청소년 인권운동의 획을 긋는 사건으로 발전했다. 당시 강원도 춘천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최우주 씨는 학교의 강제 자율학습과 보충수업 시행과 관련해 청와대, 교육부, 강원도교육청 등에 민원을 제출하며 게시판에 글을 올렸다. 본래 헌법소원을 내려다 절차상의 문제로 민원을 제기하게 된 최우주 씨는 ‘학교가 학생의 기본권을 짓밟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최 씨의 민원에 대해 교육청은 “보충, 자율학습의 강제성은 사실이 아니며 학생들의 기본권을 침해했다고 보는 것은 무리”라면서 보충, 자율학습은 “희망학생, 희망교과에 한해 실시하게 되어 있다”는 공허한 답변만 내놓았다.

교육당국의 이런 무성의한 답변과는 대조적으로 언론과 하이텔에서의 반향은 적지 않았다. 같은 달 26일에는 강원도민일보, 27일에는 중앙일보 사회면에 관련 기사가 났고, 29일에는 전교조에서 ‘강제자율학습이나 보충수업이 사라져야 한다’는 내용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이윽고 8월 3일 하이텔에서는 [최우주 군의 학교 문제, 함께 따라가 봅시다]라는 제목의 토론방이 개설되어 학생 인권에 관한 논의를 확산시켰다. 당시 하이텔 토론방에서는 최우주 씨의 문제제기 방법에 대한 비판과 재반박에서부터 체벌, 보충수업, 분반, 입시교육, 심지어 선거연령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청소년문제와 교육구조 전반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최 씨 본인은 몇몇 교사로부터 자퇴나 전학을 가라는 말을 듣기도 했고, 한때 교장으로부터 ‘민원을 취하하고 학교에 순응하든지, 혼자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을 빠지든지, 아니면 전학/자퇴를 선택하라’는 강요를 받기도 했다.

개혁도 민주화도 말뿐, 변하지 않는 학교

최우주 씨로부터 촉발된 일련의 논쟁은 95년 당시의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당시 교육과정의 획일성과 경직성 개선, 다양성과 인간성 존중이라는 교육목표를 내건 6차교육과정이 도입되었고, ‘5.31 교육 대개혁’ 방안이 정부 차원에서 발표되었다. 5.31 교육 대개혁에 담긴 ‘경쟁력 향상, 교육의 질 제고’는 교육에 신자유주의적 요소를 도입, 경쟁교육을 한층 심화시킬 가능성과 학교 구성원들의 부담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위험을 안고 있어 교육계 내부에서 상당한 논란거리였다. 당시 하이텔 토론방에서도 말뿐인 교육 청사진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찾아볼 수 있다. “근데.. 교육개혁이라는 게 대단히 애매하고 좀 수긍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더군요. 현재 학교에는 이렇게 할 것이다라는 말만 있고 구체적인 말도 안 나오고 있으며 선생님들께서는 교육개혁 신경쓰지 말라고 하십니다.”

한편 문민정부가 들어선 이후 한국 사회는 표면적으로는 민주화의 열기가 곳곳에서 끓어오르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 입장에서 볼 때 학교는 여전히 비민주적이고 전근대적인 질서를 강고하게 갖추고 있었다. 하이텔 토론방에서도 변하지 않는 학교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우리들은 20세기에 살고 있고 이젠 21세기라는 또 다른 세계로 달려나갈 것입니다…그런데 우리들의 학교라는 곳은 아직도 19세기적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그 시대 방법으로 교육을 하고 학생을 이끌고 또 학생들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믿는 것 같습니다.” 사회적으로 일고 있는 민주화 흐름과 달리 학교의 반민주적 질서가 학생 인권에 대한 문제의식을 촉발시킨 요인이 되었던 셈이다.

또한 ‘민주화’라는 말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져가고 또 금방이라도 사회가 민주화될 것 같은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인권’이나 ‘기본권’, ‘헌법’ 등의 개념이 좀 더 빈번하게 사용된 점도 최우주 씨가 헌법소원을 생각하게 된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 우리들의 오아시스

하이텔 토론방은 최우주 씨 사건이 하나의 ‘반짝’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다른 청소년들이 서로의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결집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사회에서 발언의 통로를 갖지 못하고 있던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소통하고 표명할 수 있는 매체에 목말라 있었다. 당시 활성화되기 시작한 PC통신 공간은 그런 청소년들에게 오아시스와 같은 존재였다.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하기 위해 새로운 매체인 온라인 공간에 몰려들면서 하이텔이나 나우누리 등은 사회적인 광장의 역할을 했다. 학교에서 당한 모욕적인 일, 부당한 일을 이제는 온라인 공간에서 다수와 나눌 수 있게 되었으며 문제의식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고민 등도 공유할 수 있었다. 최우주 씨가 적극적으로 헌법소원까지 생각하며 민원을 냈다는 자체도 충분히 화제가 될 만한 것이었으나, 그 행동이 다른 청소년들의 의식이나 의지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준 것은 분명 온라인이라는 새로운 영역의 등장에 힘입은 바가 컸다.

학생, 인권을 말하다

최우주 씨의 글은 청소년에게도 기본권, 인권이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헌법소원이라는 방법을 선택한 것부터 청소년, 중고등학생도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주체임을 전제로 한 것이다. 

최 씨의 글은 다시 읽어봐도 유의미한 탁월한 문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강제 자율학습이나 보충수업은 학생 자신의 의사를 무시하는 것으로 존엄성과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 이렇게 부당하게 감금된다는 점에서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다, 방학 동안 강제학습 때문에 교회수련회에 참석할 수 없으므로 종교의 자유를 침해한다 등 최 씨는 이 글에서 헌법의 구체적 조항을 열거하며 자신의 권리를 조목조목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당시 토론에 참여했던 김한울 씨는 “헌법소원은 단순한 해결방법이 아니라 학생도 ‘인권’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 상징적 행위였다”고 말했다. 전영민 씨 역시 “‘학생도 사람이다'라는 문제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던 것 같다”고 해석했다.


하이텔 토론, 학생인권단체 결성으로 이어져

최우주 씨 사건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김한울 씨는 “최우주 씨가 구체적인 행동을 보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토론방에서 사람들의 이야기는 점점 이런 학교 문제가 하루 이틀만의 문제냐, 토론만 해서 뭐가 달라지냐는 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번에도 흐지부지 끝나서는 되겠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왔다. 전부는 아니었겠지만 몇몇이 이런 분위기에 공감했고, 토론 종료 후에 <학생인권회복회> 결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라고 회고한다. 하이텔 토론방에서 「학생인권회복회....모집 합니다...」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던 전영민 씨는 이에 대해 “어떤 사람들에게 이 사건은 모일 수 있고, 뭔가 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품는 힘이 됐다”고 말한다. 이처럼 최우주 씨 사건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했고, 직접적으로는 <학생인권회복회>(이후 학생복지회로 바뀜)를 탄생시키는 결실을 맺게 된다.


중고등학생 운동, 인권운동으로 부활하다

지난 3월 열린 청소년인권활동가 워크숍. 이제 청소년들이 인권의 이름으로 억압에 맞서는 모습은 낯설지 않다.
인권운동사랑방

지난 3월 열린 청소년인권활동가 워크숍. 이제 청소년들이 인권의 이름으로 억압에 맞서는 모습은 낯설지 않다.

청소년인권운동사의 측면에서 최우주 씨 사건은 80년대 후반 90년대 초의 참교육 운동과 함께 타오르다 쇠퇴해가던 중고등학생 운동을 ‘인권’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다시 일으켰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최우주 씨의 헌법소원 사건을 계기로 하이텔과 나우누리 등에 <학생복지회>가 생겨나면서 인권의 측면에서 청소년문제·교육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형태의 운동이 성장해갔다. “학생인권”이 하나의 독립된 개념으로 널리 퍼져나간 것 또한 학생복지회 결성 이후부터였다. 이후의 문제제기나 운동에서 학생 인권이 전면에 나서게 된 이유도 최우주 씨의 헌법소원 시도가 끼친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전까지의 청소년운동은 비록 인권이슈를 다루고 있기는 했지만, 인권 개념을 전면으로 내세우지는 않았다. 그러나 최우주 씨 사건 이후 인권개념을 중심에 둔 새로운 의미의 ‘청소년 인권운동’이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다. 

인권오름 제 2 호 유윤종(청소년인권활동가네트워크,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민주화의 불꽃, 학교를 삼키다
[인권오름] 기획- 청소년인권운동, 길을 묻다 ②
87년 항쟁과 고등학생운동, 청소년인권운동의 뿌리
 
2006/6/2
인권운동사랑방

1987년 12월, 150여명의 고등학생이 명동성당으로 속속 모여들었다. 그들은 “노태우를 당선시킨 기성세대 각성하라!”, “군부독재 타도하여 민주교육 쟁취하자!”라는 구호를 외치며 19일부터 철야농성에 돌입했다(*).

농성 시작일에 대한 기억의 혼재  
* 신문 등 공식 기록상으로 농성 시작일이 19일로 되어 있지만, 농성 참가자의 증언 중에는 16일 대통령 선거 당일부터 명동성당에 모이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때는 바야흐로 13대 대통령선거에서 군부독재 정권과 한 몸통이나 다름없었던 민정당의 노태우 후보가 당선(12월 16일)된 직후. 당시 농성에 참여했던 ‘서울지역고등학생연합회’(서고련) 학생들은 13대 대통령선거는 부정선거인 만큼, 비록 민정당이 승리했더라도 부정선거에 항의하기 위해 시민들이 들고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은 겨울 칼바람 속에서도 87년 민주항쟁의 상징이었던 명동성당으로 찾아들었다.

민주화 세력이 부정선거에 항의하며 일어설 것이라는 이들의 예상은 빗나갔다. 5박 6일간의 투쟁은 쓸쓸히 막을 내렸고 농성 참가자들은 제각각 흩어졌다. 그러나 이 농성은 80년대 중반부터 전사회적으로 확산됐던 민주화운동의 흐름 속에서 매우 주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87년 폭발적으로 뿜어져 나왔던 민주화의 불꽃이 미완의 불꽃으로 사그라질 위기에 처했을 무렵, 기성세대의 각성을 촉구했던 고등학생들의 외침은 그만큼 의미심장한 것이었다.

이처럼 당시 고등학생들의 운동이 좀더 조직화된 방식으로 학교의 변화를 넘어 정치의 중심으로까지 파고들 수 있었던 데는 무엇보다 민주화라는 대격변이 열어젖힌 ‘인식과 실천의 해방구’가 그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전두환 신군부정권 하에서 강요됐던 억압적 입시체제 아래서 바로 옆 친구들과의 치열한 경쟁만을 강요했던 학교에 대한 저항의지는 그렇게 민주화의 열기와 맞물리면서 폭발적으로 터져 나왔다.

학내 민주화와 인간다움을 찾아

80년 광주항쟁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삼청교육대 설치 등 이른바 ‘사회정화’ 조치를 통해 정권의 기반을 다진 전두환 군사정권의 폭압은 교육현장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7.30 교육개혁조치’ 이후로 강화된 입시경쟁, 학도호국단을 통한 군대식 통제도 고등학생들의 열망과 외침을 막지는 못했다. 특히 80년대 중반에 이르면서는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학내 민주화와 인간다움, 비리 척결에 대한 열망이 솟구치기 시작했다.

청구상업학교 교사, 학생들이 서울시교위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 출처: 중등 우리교육 90년 11월호)
인권운동사랑방

청구상업학교 교사, 학생들이 서울시교위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 출처: 중등 우리교육 90년 11월호)

85년 3월 의정부시 복지중고에서는 잡부금 징수 금지, 학교장 퇴진 등을 요구하며 수업거부와 인근 야산에서의 농성이 시작됐고, 같은 해 목포여상에서는 여고생들이 학교측의 교사 탄압에 항거해 수업 거부, 등교 거부, 시험거부 등으로 맞섰다. 85년 ‘민중교육지’에 대한 정권의 대대적 탄압 이후 오히려 걷잡을 수 없는 불길로 타오른 교육민주화 운동은 고등학생운동의 성장에도 불을 댕겼다. 이듬해인 86년 5월에는 원주고를 시작으로 원주시 몇 개 고등학교에서 자율학습을 거부하고 학생들이 집단 귀가하는 일이 잇따라 일어났고, 7월 서울의 중대부고에서는 2학년 학생 5백여 명이 두발자유화, 자율학습 폐지, 강제 보충수업 금지 등의 요구를 내걸고 운동장에서 연좌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비록 이들의 투쟁이 연속적으로 전개되지는 못했지만, 엄혹한 군사정권 하에서도 민주화와 인간다움에 대한 열망은 그렇게 전국 곳곳에서 학교의 빙벽을 허물어뜨리기 시작했다.

반장에서 대통령까지 직선제로

87년에 접어들면서부터 학생들의 요구는 점차 학도호국단의 자리를 대신한 학생회의 직선제 쟁취 쪽에 무게를 두기 시작한다. 학생 자신의 권익을 대변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대중적인 조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공감대를 넓혀나갔고, 대통령 직선제 쟁취의 경험은 학생회 직선제 쟁취 운동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87년 3월 진주 대아고에서, 4월에는 서초고에서 직선제 학생회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더니 6월항쟁 이후에는 그 움직임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경기도 파주여종고, 광주 대동고, 서울 석관고, 구로고 등 전국 학교에서 폭발적인 시위가 이루어졌는데, 민주적 학생회 쟁취라는 요구를 좀더 분명히 내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백일이 넘게 장기적인 투쟁을 벌였던 파주여종고, 2천여명이 수업거부에 들어간 이래 명동 가두시위와 시교위 농성 등으로 확대됐던 정화여상 등의 사례는 당시 고등학생 운동의 역량이 비약적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는 좋은 보기이다. 그 결과 88년 말 서울 1백 여교, 전국 400 여교에서 직선제를 얻어낸 것으로 알려진다.

사진 출처: 중등 우리교육 90년 11월호
인권운동사랑방
사진 출처: 중등 우리교육 90년 11월호.

학생회 직선제 요구는 고등학교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88년 서울 석관중학교에서는 ‘민주 돌곶이회’라는 소모임이 결성되어 간선제 학생회장 당선을 한동안 저지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또 교외에서 진행된 4.19 기념행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당시 모임을 이끌었던 권혜진 씨(88년 당시 중3)에 따르면 처음에 8명으로 시작했던 모임이 2학기에 들어서면서 60명으로까지 확대됐다고 한다. 혜진 씨는 “87년 6월 항쟁에서 대통령을 직선제로 뽑자는 사회적 외침이 중학생이었던 당시에 매우 인상적이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있던 것들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던 시기였다.”라고 회상한다. 그는 “옆 학교인 석관고등학교에서 학생회장 직선제운동을 했기 때문에 ‘종이비행기 날리기’, ‘아침이슬 부르기’ 같은 시위도 볼 수 있었고, ‘우리도 한번 해보자’ 했던 것이다. 그래서 유인물을 만들어 뿌리고, 후배들도 만나 직선제하자고 설득하고 다녔다.”라고 설명한다.

민주항쟁의 경험, 조직화에 불 댕겨

이러한 학내 운동에 기반이 된 것은 각종 소모임들이었다. 87년의 사회적 격랑을 전후하여 사회모순과 교육모순을 함께 고민했던 학생들은 학교별, 지역별로 다양한 비밀 소모임을 꾸리게 된다. 용산고의 ‘용민민투’, 석관고의 ‘석민연’, 대원고의 ‘목마름’ 등이 대표적이다. 당시 소모임에서는 학교문제를 고민하면서 교내민주화를 위한 활동을 벌이는 한편, 사회 문제에 대한 토론과 학습도 이뤄졌다. 고등학생 소모임은 87년 민주항쟁의 영향을 받은 고등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함께 고등학생운동을 고민해온 기존 활동가들의 결합으로 더욱 확산되었다. 당시 KSCM(한국고등학생기독교운동총연맹) 활동가였던 강주성 씨는 “그때는 지역별로, 학교별로 소모임이 많았다. KSCM이나 푸른나무 이야기모임 같은 공개단체에서 활동하는 학생들도 있었지만, 언더에서 소모임으로 활동하던 학생들도 많았는데, 그런 모임을 지원하는 성인활동가도 있었다”라고 말한다.

당시 개별 학교 차원을 넘어 고등학생들이 참여했던 대표적 공개단체는 흥사단과 KSCM이 있다. 흥사단 서울지부가 개최한 87년 11월 학생의 날 행사에는 1천5백여 명의 중고생이 참석하여 공식적인 대중집회의 물꼬를 텄다. 흥사단은 그 후 고등학생아카데미(고아)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사회참여 활동을 지원했고, 특히 KSCM과 함께 4.19 기념행사나 학생의날 행사를 대규모로 열어 당시 학생들을 결집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KSCM은 88년 2월 ‘자율적 학생회를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는데, 이 공청회에만 4~5백 명의 학생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이들 공개단체들은 ‘학생회비 운영’, ‘소모임 운영’에 대한 공청회를 계속 이어가면서 고등학생 운동의 의제를 던지는 역할을 담당했다. 한편, 푸른나무 출판사에서 만든 <푸른나무> 무크지를 통해 모인 ‘푸른나무 이야기모임’도 있다. <푸른나무>는 당시 진보적 교사와 학생들에게 알려진 청소년 잡지로 학생회 직선제와 자율적 학생회 운영에 대한 토론,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읽자는 주장 등이 담겨 있었다. 이러한 내용의 공개단체 활동은 90년대 초까지 지속되었다.

푸른나무 이야기 모임과 KSCM을 지도했던 강주성 씨는 87년을 기준으로 전후 고등학생 운동의 차이를 ‘대중성’에서 찾는다. 주성 씨는 “고등학생 운동을 했던 사람들 중에도 학생회 직선제 구호나 공개활동에 대해 ‘정치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비판적인 입장을 가진 이들이 있었다. 하지만 대중운동이 되려면 대중들의 요구와 정서에 맞게 내용과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당시 고등학생 운동으로 활발히 전개된 학생회 직선제 운동은 대중성에 기초한 활동이었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고등학교에서 흥사단 활동을 한 권혜진 씨는 ‘조직화’에서 특징을 찾았다. “87년 이전은 자발적 운동의 태동기라고 생각된다. 그러던 것이 87년 6월 이후 조직적 흐름을 가지게 됐다.” 87년 이전의 고등학생운동이 산발적이고 고립적으로 이뤄졌다면, 87년 이후의 도드라진 점은 바로 대중성에 바탕을 둔 조직화가 이루어진 데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 인권운동의 맹아이자 뿌리

당시 고등학생 운동은 민주화의 열기가 들불처럼 번져나갈 때 고등학생도 사회의 일원으로서 시대의 요구를 외면하지 않고 독재정부에 대한 저항을 이어나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모순으로 얼룩진 사회에 파열음을 내며 조금씩 열려지고 있던 변혁의 공간에서 고등학생들은 자신들만의 운동 의제도 찾아나갔다. 민주화와 자신들의 삶 사이에 가교를 놓으면서 독자적인 운동의 세력화를 꿈꿨던 것. ‘학생자치권 보장’, ‘두발자유화’, ‘보충.자율학습 철폐’ 등의 구호는 학교의 민주화, 학생 삶의 민주화를 요구했던 것이었다. 당시 터져 나온 구호들은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학생 청소년 인권운동에서 핵심적인 과제로 남아 있는 것으로서, 당시 고등학생운동이 지금의 청소년인권운동의 맹아이자 뿌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급작스런 성장만큼 한계도 존재했다. 개별 학교를 잇는 조직적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사회적 분위기에 발맞추어 상대적으로 운동의 경험이 적은 고등학생들에게도 너무 많은 짐을 지우면서 부담을 주었던 점도 힘겨움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용산고에서 ‘용민민투’ 활동을 한 서준섭 씨는 고등학생 시절을 회상하면서 현재 인권운동을 고민하는 후배들에게 이렇게 전한다.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그 고등학생 운동이 제 삶의 뿌리에요. 정신적으로 성장했던 고향이라고 생각해요. 그 어린 나이에 사회랑 부딪치면서 고생도 많이 했고 시행착오도 겪었고. 지금 친구들이 어떤 활동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열심히 했던 친구들도 지금 와서 약간 회한 같은 게 있으니…. 그 나이에 움직이고 뭔가를 시작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고, 그렇게 하려면 강해야죠. 무척 강해야지 그것이 바탕이 되어 인생에 밑거름이 되고 계속 발전할 수 있고…. 청소년들이 많이 강해졌으면 좋겠어요.”

인권오름 제 6 호  전누리(청소년인권활동가네트워크, 민주노동당 청소년위원회)

들불처럼 번진 청소년들의 참교육 운동
[인권오름] 기획 - 청소년인권운동, 길을 묻다 ③
“굴종의 삶을 떨쳐 반교육의 벽 부수고”
 
2006/6/29
인권운동사랑방
꺼지지 않은 불씨

1987년 6월 항쟁의 불꽃은 한 번 타오르고 끝날 것이 아니었다. ‘고등학생운동’(*)도 그 영향을 받은 곳 중 하나였다. 청소년들은 1987년을 계기로 더욱 본격적인 자주적 학생회 운동, 교육 정상화 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고운의 불길은 거기에서 전진을 멈추지 않았다. 학생회 직선제 운동을 비롯한 1987년 직후의 운동은, 오히려 1989년부터 시작된 ‘참교육 운동’의 예고편이었다고 할 수 있었다.

억압이 있는 곳에 저항이 있다

1980년대 학생들의 생활은 너무나 비참했다. 전두환 정권은 본고사 폐지와 내신성적 반영, 대학입학인원 확대, 전일수업제 대학 운영, 과외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교육정책을 발표했다. 내신성적 반영은 고등학생들을 더욱 성적경쟁 속으로 내몰리게 만들었다. 과외금지 이후 과외가 음성화되자 정부는 학교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을 전면 허용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강제적인 자율학습과 보충수업 속에서 신음하게 되었다. “집에 다녀오겠습니다.”라는 그 당시의 인사는 그런 현실을 반영하고 있었다. 실업계 고등학생들도 전두환 정권의 정책에 따라 뒷전으로 내몰리게 되면서 열악한 상황에 처했다. 입시경쟁 강화와 학교에서 밤 12시가 넘어서야 돌아오는 일상의 반복, 억압적인 학교 상황, 열악한 교육 등이 청소년들에게 미친 영향은, 1980년대의 자살학생 수 증가를 통해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인권오름

자살한 청소년들의 유서는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울렸다. 자살했던 학생들이 남긴 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써있었다. “친구들은 감정도 없는 사람 같고 다 똑같아 보입니다. 전혀 개성이 없어 보입니다. 이 친구들을 이렇게 만들어 버린 어른들이 밉습니다.” “공부가 인생의 전부입니까? 저희는 쓸모없는 2차 방정식 값을 구하기 위해 진정으로 필요한 부모님과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을 잃었습니다. 공부 못하는 저 같은 사람들은 모두 죽어야 합니까?” 특히 1986년 서울사대부속여중 3학년 학생이 남긴 유서에 쓰인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라는 구절은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켜 같은 제목의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견딜 수 없는 현실은 학생들은 물론이고(**) 교사들까지 들고 일어나게 만들었다. 1989년 5월 2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참교육”을 내세우며 창립식을 가졌다. “참교육”은 일그러진 교육 현실에 대한 저항의 기치였다. 전교조 창립 초기부터 활동했던 교사 김융희 씨는 당시 참교육 운동에 대해 이렇게 증언했다. “애들을 독재체제에 적합한 인물로, 말단 병사나 노예처럼 압박하는…. 그런 현실에 대한 안티감이 (참교육 운동은) 굉장히 강했다. …학교는 애들 성장을 중심으로 돌아가야 되는데 군대교육이나 일부 교장의 사리사욕이나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으니깐. 그런 것들이 아팠다. 완전 비교육자들이었고 비교육적인 분위기였다. 이건 교육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이처럼 억압적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기에 전교조의 “참교육” 구호는 괴로운 학교생활을 경험하고 있던 청소년들에게도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1989년에 고등학생이었던 구정인 씨(미림여고 소모임 활동)는 “입시경쟁 때문에 학생들이 3일에 한 번씩 죽는 상황에서 교사들도 전교조를 통해 참교육이라는 구호를 들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아이들을 죽이는 교육이 아니라 살리는 교육…. 교사들의 양심선언이었다. 단순히 노조운동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살리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콩나물을 키우는 교육이 아니라 콩나무를 키우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구호가 너무나 호소력 있게 사회적 반향을 불러일으켰다.”라고 회상했다.

그랬기에 1989년에 시작된 ‘참교육 운동’은 교사만의, 전교조만의 운동이 아니었다. 참교육 운동의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것은 전교조였고 그것을 주도한 것도 전교조였지만, 참교육 운동의 주체는 비인간적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모든 교육주체들이었다. 전교조의 생각과 학생들의 생각이 완전히 일치한 것은 아니었으나, 그 방향과 대의는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것이었으며, 청소년들은 참교육 운동을 지원하는 역할뿐 아니라 스스로 참교육 운동을 만들어가는 역할을 했다.

“선생님을 지키자!”에 담긴 뜻

판화과 김준권의 1990년도 작품
인권오름
판화과 김준권의 1990년도 작품 "얘들아! 얘들아!"

정부는 전교조에 대한 대대적 탄압에 나서 전교조에 가입한 교사에 대한 해임.파면.면직과 함께 사법처리를 강행했으며 그 결과 1989년 9월까지 1700명이 넘는 교사가 교단을 떠나게 되었다. 학생들은 이에 반발하여 전교조 교사를 지키기 위한 투쟁에 나섰다. 불만이 누적되어 있던 차에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던 ‘좋은 선생님들’에게 핍박이 가해지자 인간적인 분노까지 더해져 학생들의 운동은 대중적으로 번져갔다. 운동 속에서 학생들이 내걸었던 “선생님을 지키자!”라는 구호는 그런 분노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이 모두 담겨 있는 것이었다. 이는 단순히 전교조 교사를 지지하고 지킨다는 것만을 의미했던 것이 아니라 참교육의 기치에 대한 동의였고, 강제적 보충수업.자율학습, 입시경쟁 등으로 얼룩진 교육에 대한 반대였다.

학생들의 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리본달기, ‘밤샘공부’(하교 거부), 수업시간에 전체 학생이 뒤로 돌아앉기에서부터 점거농성, 단식농성, 시위, 심지어 투신까지…. 학생들은 개별 학교 단위에서 전교조 교사들을 지키고 참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저항에 발 벗고 나섰다. 광주 광덕고와 문성고 학생 3천여 명은 이사장실 점거 농성으로, 광주 동아여중고생 4천여 명과 송원학원의 중고생 8천여 명은 운동장 농성으로 징계위원회를 무산시켰다. 서울 구로고등학교의 류호철 씨 등 2명은 “직위해제 철회” “참교육 실현”을 요구하는 시위 도중 3층에서 투신하여 참교육에 대한 절절한 열망을 보여줬다. 인천 세일고의 경우, 해직된 선생님 수업에 대리강사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수업을 거부한 채 한 달 간 경찰과 대치하기도 했다. 전교조 학생사업국에 보고된 것만 하더라도 1989년 한 해 동안 전교조를 지지하며 투쟁에 나선 전국 학생들의 수가 250여개 학교, 47만 명을 넘어섰다.

단위 학교를 넘어선 싸움

싸움은 개별 학교 단위에서만 이루어지진 않았다. 6월 17일 연세대학교 광장에서 열린 ‘참민주교육을 위한 고등학생결의대회’를 비롯하여, ‘광주지역고등학생대표자협의회’(광고협), ‘부산지역고등학생대표자협의회’(부고협), ‘마산.창원지역고등학생대표자협의회’(마창고협), 그리고 ‘나주지역고등학생연합’, ‘목포지역고등학생연합’ 등의 결성은 학교를 넘어서 지역별로 이루어진 고등학생들의 연대를 보여준다.

인권오름

특히 광고협은 최초로 결성된 고등학생대표자협의회로서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 광고협은 20여개 학교에서 중고생 2만여 명이 참여한 연합집회를 조직하고, 같은 날 5천여 명이 참가한 전남대 시위 등을 실행했다. 이후에도 광고협은 광주 시내 전학교 학생들의 통일된 행동으로 해직교사들의 출근 투쟁을 지원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펼쳤다. 자주적 학생회 투쟁의 결실로 생긴 학생회연합회가 발전하여 이루어진 부고협도 탄압을 뚫고 부산대에서 발대식을 치르고 전교조를 지지하는 투쟁에 나섰다. 마창고협을 비롯하여 다른 지역의 연합체들도 정부와 학교의 탄압 속에 힘겹게 참교육 운동을 해나갔다.

정부와 학교의 탄압으로 많은 학생들이 징계를 당함에 따라 광고협 이형준, 부고협 의장 황순주(둘은 11월22일 시작), 남서울상고 학생회장 김설준(11월23일 동참), 마창고협 부의장 전경국(11월26일 동참) 등 4명의 학생들은 평민당 중앙당사에서 구속학생 석방과 학생 징계 철회를 요구하는 단식 투쟁을 벌여 각 지역 고협들의 연대를 실천했다. 학생들은 4인의 단식 농성을 지지하며 동조 행동에 나섰다. 광고협 집행부 26명이 전남대에서 4일간 동조단식을 했고, 전남대 5.18 광장에서 6백여 명의 고등학생들이 지지집회를 가졌다. 부고협 70여 명은 부산대에서 이틀간 단식농성을 벌였고, 서울 평민당사를 격려 방문한 학생 2백여 명도 규탄집회를 가졌다. 전교조도 호응하여 단식투쟁 지지와 전교조 탄압 분쇄를 위한 철야농성에 들어갔다. 고등학생 대표자 4인은 12월 2일 ‘학생탄압 분쇄 및 참교육 실현을 위한 교사, 학생, 학부모 결의대회’를 가진 후 단식농성을 풀었다.

인권오름

이후 학생들은 학교나 정부와 싸우는 과정에서 목숨을 버리기도 했다. 1991년 전남 보성고의 김철수 씨는 노태우 퇴진과 참교육 실현을 외치며 분신했다. 이런 식으로 김철수 씨를 비롯하여 심광보 씨(1990년 분신), 김수경 씨(1990년 투신) 등이 전교조와 학생들에게 가해진 탄압에 죽음으로 항거했다. 교사 김융희 씨도 “가장 기억에 남는 건 당시 투쟁에서 목숨을 던진 학생들”이라며, 학생들이 죽은 소식을 접했을 때 정말 분노가 들끓었다고 회상했다.

독자적인 길을 닦은 청소년들

이처럼 참교육 운동이 거세게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전교조 교사들의 양심적인 외침과 요구가 청소년들의 요구와 맞아 떨어졌기에 가능했다. 비인간적 교육 속에서 최소한의 권리조차 누릴 수 없었던 청소년들은 그런 현실을 바꾸고자 끊임없이 싸워왔으며, 그 싸움은 전교조 창립이라는 계기로 더욱 촉발되었다. 전교조 교사와 학생들의 유대 속에 운동은 대중적으로 확산되어 갈 수 있었고, 학생들은 전교조 교사가 우리 이야기를 대신해주고 우리 대신 희생당한다는 생각에 참교육 운동에 한층 더 열성적으로 참여했다.

<신동아> 89년 9월호 기사. '충격보고'라는 문구가 인상적이다.
인권오름

<신동아> 89년 9월호 기사. '충격보고'라는 문구가 인상적이다.

한편으로 참교육 운동 때 보여준 학생들의 동원력과 조직력은 그동안 축적되어 왔던 운동의 조직적 기반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학생들의 저항의 구심점은 1987년 6월 항쟁의 흐름 속에 조직되어 온 소모임, 동아리, 학생회 등이었다. 학교 안에 존재하던 동아리나 소모임 등에서 학생들은 사회비판적 의식을 키워가고 있었고, 또 그런 조직들의 자주적 학생회 투쟁으로 세워진 직선제 학생회에 적극적이고 의식 있는 학생들이 진출하면서 학생회 조직은 운동에서 상당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흥사단 아카데미나 KSCM(한국고등학생기독교운동총연맹), YMCA 등의 공개단체들도 조직적인 운동에 한몫했다.

구정인 씨는 “고1부터 탈춤반 활동을 하고 봉천놀이마당에서 청소년패였던 ‘바발패’ 패장이 되었는데, 학생의날 준비위원회 회의를 나가보니 KSCM, 흥사단, 바투 등 단체와 개별학교 소모임들이 많이 와 있었다. 이때 행사를 하고 처음 큰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던 것 같다.”라며 소모임들이 참교육 운동에서 한 역할을 증언했다. 구정인 씨는 미림여고에 재학 중이던 1988년 12월에 학내 소모임을 꾸리고 학생회 직선제 투쟁과 학생회 선거운동을 조직하는 등의 활동을 펼치다가 참교육 운동이 시작되자 그 흐름을 이어갔다. “우리 학교 교사 한 명이 전교조였는데, 이분이 징계위에 회부가 된 상태였다. …전교조가 계속 출근투쟁을 하니까 우리 소모임에서 유인물을 뿌리는 상황이 됐다.”라는 것이다. 미림여고 학생들은 이후 을지로에 있던 재단사무실 앞에서 징계위원회 개최 저지 시위를 열었는데, 그 과정에서도 소모임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부고협 1기 의장을 맡았고 단식투쟁을 하다 제적당했던 황순주 씨(1987~1989년 용인고 학생회 활동)는 1988년에 학내 시위를 벌여 직선제 학생회를 쟁취했다. 황순주 씨는 용인고 최초의 직선제 학생회장이 되었고, 이후 학생회장들의 모임을 만들어 서로 고민을 공유하였다. 그러다가 전교조 사태가 급박하게 돌아감에 따라, 1989년 8월 이 학생회장 모임은 부고협으로 전환된다. 황순주 씨는 자율학습 반대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며 출마하여 1기 의장으로 당선되었다. 이는 전교조 사수 투쟁 이전부터 청소년들이 자신들만의 주체적인 활동을 준비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황순주 씨는 참교육 운동과 그 이전부터 있어온 고등학생운동의 관계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부산지역 고등학생들도 이런 세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우리의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으고 있었다. 학생을 대표하든 학생회를 대표하든 연합체 형식의 조직을 준비해서…. 당시 정권에서 전교조 교사가 학생들을 선동했다고 선전했는데, 선생님을 뺏기는 상황이었고 교육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촉발되고 있었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의 문제도 같이 제기하자면서 나갔던 것이다. 우연처럼 보이지만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각각 주체별로 준비를 해왔던 것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전교조 투쟁만을 위해 만든 조직이 아니었다. 교육 주체로 자주적으로 나선 것이었다. 전교조 교사를 보호하는 것은 일부분이었다.”

학생들이 전교조 지지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이고 주체적인 운동을 펼치려 했음은 여러 문건에서도 확인된다. 광고협은 “우리는 단순히 교원노조 지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교육의 주체인 학생으로서 당연히 주장해야 할 권리인 참교육과 민주교육을 목청껏 부르짖으며 학내의 비민주적 요소들을 척결하고 학내 민주화를 쟁취하려는 발전적인 싸움으로 한 차원 높은 싸움을 온몸으로 전개해야 될 것이다.”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1989년 7월 20일 발표했다. 마창고협도 같은해 9월 30일 발족선언문에서 “우리 학우들의 단결된 힘으로 우리를 입시 전쟁과 철저한 이기주의적 인간으로 내몰고 있는 사회 풍토를 개선하고 민주 시민의 예비단계로서 모든 학생회 활동들을 자율적으로 민주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또한 우리 학우들의 자율적 능력을 무시하고 단지 의무와 순종적 인간만을 요구하는 관료주의적 교육자와 재단에게 우리의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여야 하며 또한 이것은 우리의 의무인 것입니다.”라며 그 창립목적을 밝히고 있다.

탄압받는 고등학생운동

참교육 운동을 거치면서 고등학생운동은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 이전까지 정부의 탄압은 주로 기존의 대학생운동 세력 등이 중고등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참교육 운동에서 중고등학생들이 격렬하고 대중적인 힘을 보여주자 직접 학생들을 탄압하는 것으로 그 형태가 바뀌었다.

1989년, 문익환 목사 방북 이후 노태우 정권은 ‘공안정국’을 조성하였고,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운동세력들이 위축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런 와중에 정부는 중고등학생들을 회유하는 한편 집중적인 탄압을 가했다. 정부는 학생회나 소모임 등에 대한 전면 압박에 들어갔다. 체벌과 징계를 통해 주동자들을 처단하는 한편 학생회의 독립적 예산권을 뺏는 등 학생들이 투쟁을 통해 얻어낸 학생회의 권한을 상당부분 위축시켰다. 참교육 운동에 역량을 집중한 조직들은 그러한 탄압 속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교사 김융희 씨는 당시 정부의 탄압을 이렇게 전했다. “애들 요구를 수용해서 변화하는 듯한 제스처를 취하면서 주동자에 대해서는 엄격히 탄압했다. 교사와 경찰은 물론 교장까지 나선 전방위 압박에다 굉장히 엄한 체벌과 징계도 있었다. 학생회도 제도적으로 축소시켰다. 그때는 학생회비를 따로 걷어서 학생 예산권이 독립되어 있었는데 그것도 없어졌다. 대대적으로, 그때부터 억눌린 게 지금까지도 온 것이다. 별로 회복이 안 되었다.”

청소년들의 참교육 운동이 보여준 것

정부는 참교육 운동을 탄압하면서 “전교조가 학생을 선동한다.” “전교조가 학생을 이용해 먹는다.”와 같은 비난으로 청소년들의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투쟁을 폄하했다. 실제로 학생들이 스스로 거리로 나서는 것을 보수적인 성인들은 상당히 불안하게 느꼈기 때문에 이런 선전은 먹혀들었다. 청소년들이 스스로 주체로 선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성인 집단의 입장에서는 매우 불안한 일이었다.

인권오름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청소년들의 참교육 운동은 전교조에 완전히 종속된 것이 아니었다. 학생들은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조직을 갖추고 있었고, 전교조 사수와 학생자치권 운동을 동시에 전개하기도 했으며 투쟁 과정에서 자율학습 폐지 등 학생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고 하기도 했다. 비록 “참교육”에 대한 공감이 학생들의 대중적 투쟁을 끌어내긴 했지만 당시 학생들의 운동을 주도했던 청소년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전교조 교사들을 통해 대변되기만을 바라진 않았던 것이다.

청소년들이 전개한 참교육 운동에 대해 구정인 씨는 “4.19, 5.18에 이어 고등학생이 사회변혁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것을 현실화한 것이었다. …자기 현실을 바꾸는 것뿐 아니라 사회변혁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90년대 중반까지도 그런 생각이 확고했다.”라고 말했다. 청소년들 스스로가 사회변혁의 주체임을 참교육의 불꽃으로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의 고등학생운동은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과 사회변혁.민주화의 관점이 따로 분리되지 않고 혼재해 있었던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오성 씨(1989년~1991년 대원고에서 활동)에 따르면, 그 당시에도 교육이나 학생들의 삶, 권리에 집중한 쪽과 정치적 이슈에 집중한 쪽의 내부적인 의견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앞서 인용된 마창고협 발족 선언문 등 당시 각종 선언문이나 성명서의 표현들도 청소년들의 권리 의식을 보여주며, KSCM이 발표한 결의문에는 “학생들에 대한 극심한 인권 탄압이 수시로 행해지고 있는 이러한 교육현실은 실로 분노할 일”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등 “인권”의 언어가 조금이나마 엿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모습들은 ‘민주화’라는 흐름 속에서 청소년들의 권리 찾기가 독립적인 운동으로 나아갈 기미를 보이고 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1980년대 고등학생운동의 흐름은 비록 대대적인 탄압과 사회운동 전반의 침체로 인해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지만, 그 당시부터 청소년들의 권리의식 성장과 청소년인권운동의 조짐은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다.

* 1980년대~1990년대 초반에는 “청소년운동”이란 말이 아닌 “고등학생운동”이란 표현을 주로 썼기에 그 현장성을 존중하여 이렇게 표기했다. 대학생들의 운동과 구별되는 의미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한다. 중학생들도 참여하긴 했으나 다수가 고등학생이었다는 점에서 고등학생운동이란 용어를 쓴 것으로 보인다. “중고등학생운동”이란 말을 쓰기도 한다.

** 참교육 운동 이전의 학생들의 저항에 관해서는 이전 기사 “민주화의 불꽃, 학교를 삼키다”를 참고하기 바란다.
 

인권오름 제10호 유윤종(청소년인권활동가네트워크,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자주민증 도입 신중히

“전자주민증 도입 신중히”
 
[한겨레 2006-04-17 20:36]    
 

[한겨레] 인권운동사랑방, 참여연대, 진보네트워크센터 등 시민단체이 17일 오전 서울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전자주민증 도입 반대와 주민등록제도 개혁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회견에서 진보네트워크센터 활동가 지음(오른쪽)씨가 “전자주민증이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며 개인정보보호법 제정과 개인정보 감독기구의 설립을 촉구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전자주민증 도입안을 확정하고 입법 수순에 들어갈 예정이다.

박종식 기자anaki@hani.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그들”은 선거에서 왜 졌을까? 울산, 지방선거 후(전편)

   

“그들”은 선거에서 왜 졌을까?
울산, 지방선거 후(전편)

 
5·31 지방선거에서 울산의 진보정치 세력은 졌다. 기반이 약했던 남구와 중구 등에서 작지 않은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동구와 북구청장의 수성 실패와 반토막 난 시장후보의 득표는 ‘참패’라는 표현이 과하지 않은 결과다. <매일노동뉴스>가 선거가 끝난 후인 5일과 6일 양일간의 울산의 모습을 담았다.<편집자 주>


울산 북구 호계동은 경주 방향과 북구청쪽 방향으로 양분돼 있다. 북구청 방향의 절반은 재래시장이 들어서 있고, 논밭이 적지 않게 자리잡고 있다. 울산 북구 어느곳보다, 노인들이 눈에 많이 보이는 지역이기도 하다.

방앗간, 농기구점, 비료가게, 장독가게 등 시골장터에서만 보이는 가게들이 적지 않게 눈에 들어 왔다.

▲ 울산에는 당선자들의 감사인사를 담은 플래카드가 곳곳에 걸려 있었다. 울산의 진보세력은 동구와 북구에서 실권했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객원사진기자

'그놈들' 혹은 '저놈들'


농협 하나로마트 옆쪽 대폿집에서 낮술을 한잔 하고 나서는 노인들에게 말을 걸었다. 버스를 기다리는 노인들의 손에는 새로 산 농기구 몇개가 들려져 있었다.

“그래도 이상범 구청장이 일은 잘한다고 평가받았던 것으로 아는데요, 이번엔 한나라당 구청장이 당선됐네요.”

“그 사람 계속 법원이나 들락거렸지, 일할 시간이나 있었나. 하자가 있으니까 법원 들락거렸지. 저놈들이 뭐, 법 지키면서 사나.”

“누가 됐는지 몰라. 나이 먹은 사람들이 뭐 아나. 그놈들은 떨어졌다고 하대?”

할아버지들은 몇마디 더 묻기 전에, “됐다, 됐다” 하면서 기자를 물렸다. 노인들은 민주노동당 후보들, 현대차 노조를 기반으로 한 세력을 ‘그놈들’이라고 불렀다.

▲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의 퇴근길. 이들은 ‘선거’에 대해 입을 열지 않았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객원사진기자

“선거는 모릅니다”

현대중공업 퇴근시간 풍경은 언제 봐도 독특하다. 정문쪽에 노동자들이 탄 오토바이가 한 무더기 서 있다가, 신호등에 파란불이 들어오면 한꺼번에 나온다. 이들은 지난 1998년과 2002년, 재보궐선거까지 포함하면 3명의 진보정당 구청장을 만들어 준 힘이었다. 그러나 2002년 현대중공업 ‘민주파’ 노조가 무너진 후, 동구에선 더이상 민주노동당 출신 단체장과 국회의원이 배출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1998년 김창현 동구청장이 당선될 때, 3등인 정천석 당시 국민회의 후보를 8천여표 차이로 이겼다. 2인인 변재규 무소속 후보보다 2천표 정도 앞섰다. 김 구청장이 소위 ‘영남위’ 사건으로 구속된 후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도, 노동자들은 그의 부인인 이영순 후보를 선택했다.

2000년 이갑용 동구청장이 당선될 때에는 2등 정천석 후보를 6천표 이상 차이로 눌렀다. 이번 5·31 지방선거에서 정천석 후보의 선거공보에는 ‘정몽준 의원 지지후보’라고 써 있었다. 현대중공업의 민주노조는 몰락했고, 대주주인 정몽준 후보는 자신의 지지후보를 낙점하고 지원했다. 정천석 후보는 민주노동당 김종훈 후보를 1만2천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됐다.

김 후보의 득표율은 24.8%, 3등인 한나라당 박정주 후보(23.3%)를 어렵게 따돌렸다. 1998년, 김창현 후보는 28,436표를 받았지만, 김종훈 후보는 18,622표를 받는데 그쳤다. 민주노동당 표가 1만표 줄어드는 동안 동구 유권자 수는 1만8천명 가량 늘었다. 세번 민주노동당을 선택해 준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은 이번 선거에서 ‘회장님의 후보’를 택했다. 어떤 생각일까.

“서울서 온 기잔데요….” 서울말씨 쓰는 기자가 길이라도 물을 것으로 생각했는지, 잠시 쳐다보다가, ‘선거’ 이야기를 꺼내면 바로 고개를 돌리고, 갈 길을 갔다. “우린 선거 모릅니다.”, “바빠서요.”, “할 말 없습니다.”, “선거하러 안 갔습니다.” 등등.

드물게 냉랭한 반응이었다. 퇴근시간, 현대중공업 정문 맞은편, 현대백화점과 현대호텔 사이에 있는 현대문화공원 쪽으로 해가 지고 있었다. “성원에 감사한다”는 박맹우 한나라당 울산시장 당선자와 정천석 당선자의 당선사례가 그 앞으로 걸려 있었다.

▲ 현대자동차 정문 앞 양정동 골목길에서 어린아이가 혼자 놀고 있다. 한때 양정동에 모여 살았던 현대차 노동자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 자리에는 더 가난한 노동자들이 다시 정책했다 .양정동 일대는 곧 아파트 단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객원사진기자

염포 아파트는 ‘상떼빌’로


현대자동차 사택을 기점으로 나뉘는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길게 늘어선 현대자동차 공장 담벼락을 마주본 동네다. 1997년 대선에서 ‘계급투표’ 전략이 활용된 이후로 이 지역은 민주노동당 표심이 흔들린 적이 없다. 양정동 새마을 아파트와 염포 아파트를 중심으로 뭉쳐진 표심은 민주노동당이 기댈 든든한 언덕이었다.

2002년 양정동에서 이상범 구청장 후보는 3,308표를 얻어 1,339표를 얻은 김수헌 한나라당 후보를 눌렀다. 염포동에서 이상범 후보는 2,273표를 얻어서, 1,320표를 얻은 김수헌 후보를 눌렀다. 2~3배 차이로 누른 것이다.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도 민주노동당은 이 두 곳에서 이겼다. 그러나 표 차이는 현격히 줄었다. 양정동에서 민주노동당은 2,093표를 얻었고, 한나라당은 1,107표를 얻었다. 염포동에서 민주노동당은 2,985표를 얻었고, 한나라당은 2,187표를 얻었다.

양정동의 유권자는 2002년 7,526명이었지만 2006년에는 6,143명으로 줄었다. 염포동의 유권자는 2002년 6,663명이었지만, 2006년에는 10,247명으로 늘었다. 늘고 준 이유는 가보면 바로 알 수 있다.

과거 현대차 노동자들이 주로 살았던 염포 아파트는 ‘성원 상떼빌’ 아파트로 재건축 됐다. 구 거주지 사이로, 하얀 새 아파트가 들어섰다. 아파트 단지는 옆으로 펴져가고 있는 중이다. 인구는 늘었다.

▲ 양정동, ‘문화류씨’ 재실과 아파트 공사현장. 한때, 민주노동당 득표의 허파 구실을 했던 이곳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객원사진기자

'갑'이 떠난 그 집을 '을'이 채운다


양정동 초입에는 한창 아파트가 올라가고 있다. 양정동 부근이 전부 재개발 될 예정이다. 아직 다 짓지 못했고, 당연히 입주자도 없다. 인구는 줄었다.

아직 남아 있는 구시가지에는 현대차 정규직 노동자들이 거의 살고 있지 않다. 작은 방에서 젊은 시절 갓난 아이를 키우며 지냈던 노동자들은, 중소형 아파트로 이사갔다. 현대자동차 공장에서 차로 15분 거리에 매곡 현대아파트에는 한때 입주자의 70%가 현대차 노동자였다고 한다. 2006년 현재 매곡 현대아파트에 살던 현대차 노동자들의 절반 가량은 다시 떠났다.

그들은 남구와 중구쪽 중형 아파트로 이사를 갔다. 커가는 아이들의 ‘교육 문제’가 그 이유였다(교육 문제가 뭘 의미하는지는 다음 회에 다룬다). 새로 생기고 있는 아파트에는 ‘외지’ 사람들도 많이 들어오고 있다. 이전처럼 결집된 표심을 발휘할 수 없는 지역으로 바뀌고 있다.

현대차 노동자들이 떠난 양정동과 염포동에는 더 가난한 노동자들이 살고 있다. 유권자 79만명 중 40만명이 노동자인 도시 울산. 이 도시에서 더 벌고, 더 못 벌고를 가르는 기준은 복잡하지 않다.

완성차(또는 현대중공업) 정규직 노동자-1차 사내하청 노동자-1차 협력업체 정규직 노동자-2차 협력업체 노동자-3차 협력업체 노동자…. 사용자들의 계약관계에서 원청이냐 하청이냐에 따라, ‘갑’이냐 ‘을’이냐에 따라, 별수 없이 노동자들의 임금도 결정된다. 그에 따라 그들의 주거지도 결정된다.

▲ 울산 북구 중산동 풍경. 음식물 자원화 시설 옆으로 아파트 단지가 보인다. 앞으로 동천이 흐르고 있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객원사진기자

계급투표와 ‘우리가 남이가’의 차이는?


이번 5·31 지방선거엔선 고질적이던 울산 진보진영의 정파 갈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각 정파와 현장조직들은 ‘포지티브’한 방식으로 이를 해결했다.
서른명이 넘는 단체장, 기초·광역의원 후보, 그 중에는 좌파도 있고, 자민통도 있었다. 현대차 안의 현장조직 중 선거에 관심을 가진 현장조직들은 모두 자신의 후보를 냈다. 각 내부 권력들은 자기 조직 출신의 후보를 지원하고 지지했다. 그를 중심으로 선거를 치렀으니, 비토는 있을 수 없다. 각개약진했고, 그 결과는 성공도 있었고 실패도 있었다.

그러나 “선거본부의 집중력은 ‘개판’이 됐다”는 게 선거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의 말이다. 울산 북구의 진보진영은 무슨 슬로건을 내걸었을까. 한나라당의 독주를 막아달라고 유권자에게 호소했다. 조직 노동자들에게 ‘자기 후보’를 지지해 달라고 부탁했다.

“지난해 10·26 재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은 현장에서 해선 안 될 방식으로 선거운동을 했다.” 당시 정갑득 후보 선본에서 노동팀장을 했던 하부영 민주노총 울산본부장의 말이다.

당시를 기억해 보면 대략 이런 식이었다. 대세가 ‘저쪽’으로 기울었다는 징후가 굳어질 때 즈음인 10월20일.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해, 선거운동을 할 수 없었던 조승수 전 의원은 현대차 공장 앞에서 석고대죄를 했다. ‘용서’를 구했다. 선거 이틀 전인 24일 선본은 이소선 여사(전태일 열사의 어머니)를 모셔서 공장 안으로 들어갔다. 여사께선 눈물을 찍어내며 “노동자가 하나 돼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번 5·31 선거에서도 그랬다. 선거를 일주일도 안 남긴 상태에서 이상범 북구청장과 이갑용 동구청장이 퇴임하고, 선거운동에 전격 투입됐다. 이미 두 구청장은 공무원노조 파업자를 재대로 징계하지 않은 ‘직무유기’를 범한 죄로 직무가 정지된 상태였다.

두 사람은 각각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노조의 위원장 출신이다. 그들이 주로 유세한 곳은 현장이었다. “노동자는 노동자 찍어야 한다”고 호소하면 다 계급투표일까. 차라리 “우리가 남이가” “영도다리 빠져죽자”고 호소했던 그것과 닮아 있는 것은 아닐까.

하부영 본부장과 정창윤 전 울산시당 위원장은 닮아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았다. “현장의 표를 쥐어짠 것”이며 “표를 구걸한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은 마지막 보루’라는 말은 자랑스런 노동자의 자부심을 표현한 것일까.

▲ 일터와 쉼터, 그 사이에 우뚝 들어선 대형마트. 퇴근길 집으로 돌아가는 노동자의 양손이 무거워 질만도 하다. 울산에 진보정치가 넘어서지 못한 건 눈앞에 이 풍경이었다 .어쩌면 진보정치는 이 풍경을 넘어서기 위해 시작한 것인지도 모른다. ⓒ 매일노동뉴스 정기훈 객원사진기자

“건물 하나가 여럿 잡았다”


많은 사람들이 꼭 수성했어야 할, 수성할 만한 북구의 패배를 중산동 음식물자원화 시설의 탓으로 돌린다. 5·31 지방선거 개표날 밤, 울산을 잘 아는 민주노동당의 한 보좌관은 “건물 하나가 여러 사람 잡는다”며 장탄식을 하기도 했다.

표수만 살펴보면 그렇다. 음식물자원화 시설로 표심이 급격히 이반했던 농소1, 2동은 2002년의 경우 민주노동당이 크게 밀리지 않는 지역이었다. 2002년 당시 이상범 구청장 후보는 이 지역에서 6,963표를 얻었고, 김수현 한나라당 후보는 7,358표를 얻었다. 농지가 넓게 분포한 지역에서, 몇몇 아파트 단지의 표심을 기반으로 박빙의 싸움을 하던 지역이었다.

2006년의 경우 김진영 민주노동당 북구청장 후보는 이 두 지역에서 5,233표를 얻었고, 강석구 한나라당 북구청장 당선자는 8,626표를 얻었다. 395표를 지다가 3,393표를 진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김진영 후보는 3,898표 차이로 졌다.

행정 미숙과 시설에서 나는 냄새 때문에 표심이 돌아선 것일까. 믿었던 민주노동당에 대한 배신감 때문이었나. 급격한 주거환경의 하락으로 표심이 돌아선 것일까. 자원화 시설에 가보면,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이 부분 역시 다음회에 자세히 다룬다).

민심의 '심판', 무엇을 심판했을까

‘심판’. 동구와 북구는 8년간 민주노동당이 여당이었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서 완패했다. 표 차이도 컸다. 한나라당의 바람과 ‘자상 정국’을 감안해야 했을까. 계급정치가 시작되면 지역정치는 멸종할 것이라고 주장해 온 것은 민주노동당 자신이었다. 최소한 북구와 동구에선 자신의 말을 증명할 ‘의무’도 있었다.

안으론 내부정치에 집중했으며, 밖으로는 새로운 대안세력으로 자리잡지 못했던 것. 대기업노조가 공장 안 동료이나 사용자만 다른 노동자의 삶을 돌보지 않았던 것. 담장 바깥이지만 같은 노동자인 협력업체 노동자들을 위해 함께 싸우지 않았던 것. 회자되는 모순과 난맥은 많다. ‘귀족’이라 ‘욕’을 먹는 자들의 만든 정당이 유권자에게 심판당했다는 ‘심판론’을 전면 부인하는 울산의 진보정치인은 없다.

6월5일 울산에 도착했던 기자는 6월6일 현충일 휴일의 울산 풍경을 보며, 심판당한 그들 역시 연민해야 할 대상이라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울산 진보진영의 잘못은, 1998년 이후 10년간 광풍처럼 몰아닥친 그것과의 싸움에서 진 것이라는 것을 휴일을 즐기는 울산의 노동자를 보면서 알았다.

한나라당 선거참모 눈에 비친 민주노동당
“정파 갈등만 심각하고 대중 위한 연구는 없더라” 
“선거를 준비하면서, (민주노동당 부설) '진보정치연구소' 같은 데서 나온 자료들을 다 검토했다. 정파연합 세력의 한계가 여실히 보이더라. 울산시당과 공직자 간의 연계도 잘 안 되는 것 같고, 체계도 문제가 많아 보였다. 많이 좀 바꾸지 않으면 안 될 상태더라.”


이 말은 한나라당 강석구 울산 북구청장 당선자의 한 선거참모가 한 말이다. 5일, 강석구 당선자의 사무실에서 만난 이 선거참모는 “민주노동당은 내부 분열을 해결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활동가와 조합원의 괴리, 정파 갈등, 공직자와 당부의 괴리 등 민주노동당 내부의 문제를 이번 선거전에서 적극 활용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이나 민주노동당이 처음 출범할 때 의도가 나쁘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그런데 정파 연합으로 시작하면서 발생한 갈등이 심각한 것 같더라. 울산시당의 경우도, 몇몇이 시당을 장악했고, 순수한 노동자들은 그 사정을 잘 모르거나, 알아도 침묵해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진 말이다. “울산의 대기업 노동자 세력이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문제 삼을 수 없다. 그런데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는데, 어폐가 있는 것 아니냐. 민주노동당 선본에 비정규직을 대표하는 사람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비정규직 분과위원회 하나 없더라. 다 고임금 노동자들이다. 임금만도, 3~4배 격차가 나게 더 버는 사람들이 ‘대신해 해결하겠다’고 주장하는 게 맞는 것이냐? 그래서 우리는 마지막 TV토론에서 민주노동당쪽을 ‘로얄패밀리’라고 표현했다.”


이상범 전임 구청장의 구정에 대한 평가는 이랬다. “인정한다. 잘하셨다. 특히 시민 참여와 투명성 확보의 계기를 만드신 부분은 우리도 충분히 평가한다. 다만 (교부금 확보를 통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고, 지나치게 개발을 억제한 것도 문제라고 본다. 이 전 청장의 성과는 계속 이어가되, 실책이 있는 부분은 바꿔가겠다. 종합적인 계획이 있다.”


기자는 ‘만약 민주노동당 내부가 단결이 잘 된다면 (한나라당이) 질수도 있는 선거였다고 평가하는지를 물었다. 그러자 이런 답이 돌아왔다.


“내가 민주노동당에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은 세력을 확장하고 나서, 대중적 지지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한 흔적이 없다는 점이다. 왜 안 하는지 모르겠다. 자기들끼리 선명성 경쟁하고, 내부 정파싸움만 한 것 같다.”
 
정용상 기자  ysjung@labortoday.co.kr
2006-06-08 오후 3:32:00  입력    ⓒ매일노동뉴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심상정/시각-5.31이후]당내 정파 미래비전 중심 재편돼야…대선 인물중심 접근하면 뼈아픈 패배

 
 
 
> 뉴스 > 정치 | 시각-5.31평가
 
 
좌파정당 정체성 분명히 해야, 대선 후보 조기 가시화 위험하다
[시각-5.31이후]당내 정파 미래비전 중심 재편돼야…대선 인물중심 접근하면 뼈아픈 패배
 
2006년 06월 08일 (목) 13:17:46 정제혁 기자
 

<레디앙>은 5.31 선거 이후 [시각-5.31평가]라는 제목으로 몇 차례 글을 실은 바 있습니다. 후속 기획으로 [시각-5.31이후] 시리즈를 마련해 5.31 선거 이후 유일한 좌파 진보정당을 자임하는 민주노동당이 가야 할 방향, 해야 할 일 등에 대해 진보정당 안팎 인사들의 인터뷰와 기고 등을 실을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열린우리당 참패, 한나라당 압승으로 끝난 이번 지방선거는 정치사적 의미도 큰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번 선거를 이른바 민주파의 역사적 패배로 보기도 한다. 민주노동당은 이 거대한 정치적 지각변동의 한 가운데서 그러나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아직 갈 갈이 멀다는 사실을 깨달은 셈인데, 민주노동당은 이번 지방선거의 성과와 한계를 딛고 내년 대선으로 나아가야 한다.

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은 <레디앙>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선거를 "도덕적 주관주의로 무장한 신자유주의 세력에 대한 심판"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여당의 패배를 "민주화운동 세력의 도덕적 주관주의의 궤멸"이라고 평하고 "그들의 존재는 이미 역사적 시효를 다했다"고 했다.

국민정당론 vs 계급정당론 논쟁 진로 설정에 도움

심 의원은 여당의 직접적인 선거 패인을 '종합부동산세'에서 찾았다. 그는 "열린우리당은 보수화되어 있는 집단"이라며 "그 정체성에 비춰보면 종부세는 많이 나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주거안정 실현으로 연결되지 못하면서 그 누구도 지지하지 않는 대책이 되어 버렸다"고 지적하고 "종부세는 이미 실패한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민주노동당의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많은 당원들이 패배했다고 보고 있다"며 "그러나 민주노동당은 실력대로 받은 것"이라고 했다. 그는 "중요한 건 득표율 자체보다는 전략적 지지층으로부터의 득표율이 얼마나 신장됐느냐"라며 "거대정당의 정쟁이나 정치공학의 틈바구니에서 얻는 표보다는 우리의 전략적 지지층으로부터 얻는 표가 중요하다"고 했다.

심 의원은 '진보개혁세력 대표주자 교체론'에 대해 "국민정당론식 사고가 반영된 대표적인 슬로건"이라고 규정하고 "민주노동당은 좌파정당으로서 과연 누구를 대변해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분명한 전략이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정당론과 계급정당론의 논쟁이 우리 당의 진로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당과 상대적 차별성 노리는 건 공학적 접근, 독자적 전략이 중요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의 차별성 부족을 지적하는 견해에 대해 심 의원은 "열린우리당과의 차별성을 노리는 정치공학적 접근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하고 "중요한 건 기존 정당과의 상대적인 차별성이 아니라 진보정당, 서민정당으로서의 독자적 전략과 마스터플랜"이라고 했다.

심 의원은 인터뷰 내내 민주노동당의 정체성과 비전, 주요 전략 계층, 그에 맞는 활동방식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당의 이탈표를 끌어오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여당에서 한나라당으로 이탈한 표는 중산층 이상의 유권자로 당초 민주노동당이 흡수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하고 "이번에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49%, 정치에 절망한 이들" 가운데서 전략적 지지층을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라고 했다.

오는 대선과 관련, 민주노동당도 대권 후보를 가시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심 의원은 "대선공간에 대한 전망과 목표가 없는 상태에서 후보만 조기 가시화할 경우 거대 정당의 틈바구니에서 조기 고착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후보 조기 가시화 이전에 대선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대선을 통해 무엇을 남길 건지에 대한 전당적 토론이 필요하다"고 반대 입장을 보였다.

열린우리당 이탈표보다 절망에 빠진 불참자들 가운데 지지 획득이 중요

그는 오는 대선의 당 내부적 의미를 "민주노동당이 대안정당으로서 평가 받는 스타트라인"이라고 규정하고 "서민들을 어떻게 설득할 거냐는 자기 청사진이 구체적으로 있어야 함은 물론 진보적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이를 서민들과 나누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보수정당처럼 인물 중심으로 대선을 치르게 되면 되돌리기 어려운 패배를 맞이할 것"이라며 "단순한 지지율의 패배가 아니라 대안세력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조직적 성과를 실종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심 의원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국민참여 경선제에 대해 "국민경선제의 경우 민주노동당의 전략층인 다수 서민은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국민정당을 내세우는 정당에는 부합하는 전략일 수 있지만 민주노동당같은 서민정당은 경계해야 할 전략"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심 의원은 자신의 대선 후보 출마 가능성에 대해 "대선을 위한 당의 발전전략 속에서 함께 고민되고 검토돼야 할 문제"라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여당 패인은 종부세"

- 먼저 여당의 참패와 관련해 질문드린다. 이번 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원인은 뭐라고 보나. 

= 직접적인 영향은 열린우리당 내에서 진단하고 있는 것처럼 종합부동산세라고 본다. 열린우리당은 보수화되어 있는 집단이다. 그 정체성에 비춰보면 종부세는 많이 나간 것이다. 내가 수도권을 다녀보면 아파트 한 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느끼는 부담이 엄청나더라.

종부세 대상이 되는 집단의 이탈과 반발, 이게 여당 지지자가 한나라당으로 옮아 간 가장 큰 이유다. 특히 부담도 부담이지만 종부세를 통해 서민경제가 나아지거나 조세형평성이 실현되거나 하는 대의적 측면에서도 승복할 수 없는데 나만 당하기는 억울하다, 이런 인식도 깔려 있다.

- 여당은 부동산세의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 그러다 집 한채도 갖고 있지 못한 나머지 50%, 종부세 대상이 되지 않는 절대다수의 국민들로부터 치명타를 맞을 수 있다.

정부여당은 지금 운신의 폭이 전혀 없다. 왜 그런가. 지금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이란 것이 주택공개념이 전제되지 않은 단순한 투기대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투기 잡는 목적이 주거안정 실현으로 연결됐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보니 누구도 지지하지 않는 대책이 되어 버렸다. 현 정부는 종부세를 생명처럼 얘기하지만 이미 실패한 정책이다.

"투기대책, 주거안정 실현으로 연결돼야 성공"

- 열린우리당이 밀어붙일 수 있는 개혁의 최대치는 어디까지라고 보나. 그리고 그것이 우리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나.

= 열린우리당의 정체성은 신자유주의다. 신자유주의를 기본으로 시장에서 탈락한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자는 게 현 정부와 여당의 정책이다. 여당 내에는 신자유주의를 돌파할 철학이나 신념, 의지가 없다. 여당 의원들 면면을 보면 오히려 청와대 정도의 시장보완책 조차도 수용하지 못할 만큼 보수화되어 있다.

이번 지방선거는 386 민주화운동 세력의 도덕적 주관주의로 무장한 신자유주의 세력에 대한 심판이었다. 여당 내부에서 왼쪽이라고 하는 분들,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전혀 갖고 있지 않다. 여당 내 우파는 신자유주의로 단단히 무장해있고, 여당 내 좌파로 불리는 사람들은 경제사회 영역에 대해서는 아무런 자기철학이 없다. 오로지 도덕적 주관주의만 있는 것이 여당의 이른바 좌파다.

열린우리당에서 신자유주의의 한계를 부분적으로나마 돌파할 수 있는 동력은 없다.

"신자유주의 극복 철학없는 민주화세력 역사적 시효 끝났다"

- 부동산 정책과 세금 문제를 두고 여권 내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온다. 이것이 정계개편의 내용적 근거로 작용할 가능성은 없을까.

= 정책을 중심으로 한 정계개편은 힘들다. 여당 의원들은 선거에서 유리한 지형을 만들기 위한 정략적 정계개편을 하려고 할 것이다. 대통령은 자기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정치적 기반을 이미 상실했다. 여당조차도 전일적 협조관계에서 상대적 긴장관계로 돌아선 것 아닌가.

   
    ▲사진=심상정 의원실
때문에 개혁적 방향의 의제가 실현되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그나마 마지막 잔영이라도 갖고 있는 개혁적 조치들을 말끔히 씻어내는 방향으로 후퇴할 가능성이 크다. 재벌개혁 후퇴나 한미FTA처럼 신자유주의 정책에 충실히 부합하는 방향의, 열린우리당 뿐만 아니라 한나라당도 동의하는 그런 정책을 펼칠 것이다.

정책을 중심으로 놓고 볼 때 노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의 위상은 완전히 소멸됐다. 그 소멸의 방향은 자유주의로 출발해서 결국 신자유주의로 전일화되는 패턴을 통해 분해되어 나가는 것이다. 이걸 민주화운동 세력의 도덕적 주관주의의 궤멸이라고 봐도 좋다. 반독재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성과는 과거사가 됐다. 신자유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철학과 비전이 그들에겐 없다. 그들의 존재는 이미 역사적 시효를 다했다.

- 여당 내에서는 범민주세력대연합론이 나온다.

= 퇴행적이다. 아직도 과거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몽상에 불과하다.

민주세력 대연합론, 과거를 사는 사람들의 몽상

- 실현가능성은.

= 없다. 이번 지방선거가 실현가능성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번 지방선거는 서민경제 파탄과 민생실종에 대한 심판이라는 게 공통적인 평가다. 이는 독재대 민주니 하는 화두가 더 이상 잔영도 남지 않았다는 걸 의미한다.

- 여당내의 이른바 민주파는 '평화통일세력 대 수구냉전세력'의 구도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다. 이런 구도의 유효성은 있다고 보나. 또 실현가능성은.

= 그들의 마지막 남은 지푸라기가 결국 평화통일세력론이다. 그러나 미국과의 관계를 중심에 놓고 형성되는 평화통일의 비전은 불가능하다. 정부와 여당은 미국을 상수로 놓고 있다. 때문에 이들이 말하는 평화통일세력론이란 정계개편을 위한 정치적 수사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다.

또 수구냉전세력이라고 하지만 한나라당도 집권전략으로서 호남문제, 북한문제, 민생문제 같은 것들에서 기존과는 다른 포즈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 보수 정치권 내에서 평화세력과 수구냉전 세력을 구분하는 것은 선거전략의 일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술적인 의미 이상이 아니다.

신자유주의가 과거의 정치군사적 측면과 경제사회적 국면이 통합 단계로 나가고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 극복을 목표로 하는 진보세력만이 진정한 의미의 평화통일 세력이 될 수 있다.

노대통령 한미 FTA강행 배경, 남북관련 미국이 뭔가 보장있나 추측

- 예를 들어, 김대중 전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화해하면 '평화통일 대 수구냉전' 구도는 일거에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 박근혜 대표의 대선 전략의 핵심이 호남과의 화해고 그 정치적 상징인 DJ와의 화해다. 그러나 그 실현가능성 여부와는 상관없이 한나라당이 수구냉전 이미지를 벗어나는 것을 기본전략으로 갖고 있는 한 과거 냉전시절의 '평화통일/수구냉전' 구도는 형성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양측 공히 미국을 상수로 놓고 있는데, 이런 기본 전제를 공유하고 있는 세력을 구분하는 건 무의미하다.

- 대통령이 한미FTA에 그렇게 집착하는 이유는 도무지 합리적이지 않다. 우리가 모르는 다른 노림수가 있을까.

= 그게 불가사의하다. 무망한 얘기지만, 한미FTA를 통해 경제 발전의 토대를 세운다고 해도 노대통령 임기 중에 효과를 내긴 힘들다. 그럼 미래를 위해서 용단을 내린 거다? 난 대통령이 그렇게 순진한 사람이 아니라고 본다. 아마 둘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현 정부 내의 개방론자들에게 휘둘리고 있거나, 임기 내에 얻을 수 있는 다른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있거나. 남북경제공동체를 지향할 수 있는 조건을 미국이 보장하는 것과 관련있지 않겠나 막연히 추측하고 있다.

- 민주노동당에 대한 선거 평가다. 단도직입적으로 묻겠다. 민주노동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패배했나.

= 선거를 평가할 때마다 느끼는 건데 두렵고 부담스럽다. 선거 평가 방식부터 진보정당으로서의 자기 틀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보니 표심과 여론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 이번에도 그렇다. 민주노동당은 이번 선거에서 12% 득표했다. 이게 낮은 것인가. 많은 당원들은 패배했다고 보고 있다.

나는 생각이 다르다. 중요한 건 득표율 자체보다 전략적 지지층으로부터의 득표율이 얼마나 신장됐느냐다. 그걸 평가해야 한다. 거대정당의 정쟁이나 정치공학의 틈바구니에서 얻는 표보다는 우리의 전략적 지지층으로부터 얻는 표가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이번에 민주노동당은 실력대로 받은 것이라고 본다.

열린우리당 이탈표 민주노동당이 흡수하기 어렵다

열린우리당의 이탈표를 민주노동당이 흡수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 얘기를 하기 전에 열린우리당 이탈표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분석해봐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지지표의 31%는 한나라당으로 갔다. 대부분 종합부동산세 때문이다. 열린우리당 지지자 가운데 집 한채라도 있는, 중산층 이상 계층이 움직였다는 얘기다. 그 표를 민주노동당이 흡수할 수는 없는 거다.

민주노동당으로서는 실력만큼 받은 것이고, 바로 이 지점에서 앞으로 민주노동당이 나가야 할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

- 열린우리당과 차별성을 드러내지 못했다는 평가를 많이 한다.

= 열린우리당과의 차별성을 노리는 정치공학적 접근 자체가 문제다. 차별성을 위한 차별성은 원칙적으로도 맞지 않고 효과적이지도 않다. 민주노동당이 진보정당으로서의 가치를 확고히 세우고 그를 실현하기 위한 독자적인 정치전략, 조직전략을 쌓아올리면 열린우리당과의 차별성은 저절로 생긴다.

중요한 건 기존 정당과의 상대적인 차별성이 아니라 진보정당, 서민정당으로서의 독자적 전략과 마스터플랜이다. 이런 것들이 중심을 이루는 가운데 정세적인 요인을 결합해서 선거 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그 방향으로 가고 있지 않다.

- 민주노동당은 선거 중반 이후 '진보개혁세력 대표주자교체론'을 내걸었다.

= 좀 진부한 얘길지 모르겠지만 나는 국민정당론과 계급정당론의 논쟁이 우리 당의 진로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민주노동당은 좌파정당, 서민정당, 진보정당이다. 그러나 좌파정당으로서 과연 누구를 대변해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분명한 자기 전략이 있는가. 난 충분치 않다고 본다. 좌파정당으로서의 조직전략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

'진보개혁세력 대표주자 교체론'은 국민정당론 반영된 대표적 슬로건

그러다보니 말은 진보정당이라고 하면서 실천은 포괄적 국민정당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진보개혁세력대표주자론이 국민정당론식 사고가 반영된 대표적인 슬로건이다. 민주노동당은 자신이 지향해야 하는 전략적 주체를 대상으로 한 일상적인 조직활동, 그리고 이것을 뒷받침하는 정치활동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 이게 가장 큰 문제다.

- 계급정당론을 주장하는가.

=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계급정당론을 주장하는 건 아니다. 민주노동당이 서민정당을 표방한다면 그 서민이 과연 누구고, 무엇을 요구하는지, 그리고 그에 맞는 정책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얘기다.

서민정당이 추구하는 표적집단과 그에 대한 실천방법이 단단하게 깔려 있는 토대 위에서 외연을 어떻게 확대할거냐 하는 문제가 검토돼야 하는데, 지금은 기초가 닦여있지 않은 상태에서 포괄적인 외연 확대 중심으로 가고 있다. 그러다보니 기성정당, 보수정당 내의 개혁 범위 이상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

- 민주노동당의 선거운동 방식을 평가해달라. 민주노동당다움을 잃었다는 평가도 있다.

= 보수정치에 절망한 서민들에 접근하는 구체적인 정치의 모범을 보였어야 했다. 선거전략도 그런 방향으로 수립됐어야 했다. 그러나 그러지 못했다. TV 광고만 봐도 비정규직이든, 재래시장이든, 영세상인이든, 이들 전략적 계층에게 민주노동당의 정책과 활동의 성과물을 가지고 접근했어야 했는데 포괄적 국민을 대상으로 한 광고를 만들어서 내보냈다.

TV 광고 전략적 계층 없이 포괄적 국민 대상 곤란

- 300만표 득표, 300명 공직자 배출이라는 목표가 과도한 것은 아니었나. 또 그런 목표치를 잡았던 현실 인식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었나.

= 선거라는 것은 우리의 일상적인 조직활동, 정치활동의 성과물을 시장에 내다 파는 것이다. 일상적인 정치활동을 검증받는다는 관점에서 선거에 임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선거 그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선거에서 검증받을 일상적인 정치활동이 어땠느냐를 평가해야 한다. 선거의 목표가 일상적인 정치활동에 근거해서 설정된다면 선거 평가를 통해 일상적인 정치활동에 대한 방향점검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 당에서 설정한 300만표 득표, 300명 공직자 배출은 다분히 정치공학적 셈법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당내에 패배감만 팽배할 뿐 앞으로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치적 교훈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 일상적인 정치활동이 이뤄지는 공간은 지역이다. 민주노동당의 지역활동이 취약하다는 비판이 많다.

= 지역의 정치활동을 지원하는 패턴으로 당이 전환해야 한다. 이를테면, 중앙에서 자영업자나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만들 때 이런 것들이 지역의 조직전략에 밀도있게 결합되고 활용되고 또 거기서 검증되고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거다.

- 이번 지방선거 투표율은 51%였다. 나머지 49%는 투표를 하지 않았다. 득표율을 높이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51%의 투표자 가운데서 지금 보다 많이 득표하는 것, 투표하지 않은 49% 가운데서 새롭게 득표하는 것. 민주노동당은 둘 중 어느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나.

투표하지 않은 49%에 주목해야 한다

= 이번 선거에서 전체 51% 투표율 가운데 한나라당 지지표가 53%였다. 백분위로 환산하면 한나라당이 전체 유권자의 25%를 차지한 셈이 된다. 수십 년 동안 오로지 수구정치의 학습 효과밖에 없는 우리 현실에서 한나라당이 25% 득표한 것은 불가사의하고 과도한 일이 아니다.

투표하지 않은 나머지 49%는 다르다. 그들 가운데 상당수는 정치에 절망한 사람들이다. 시쳇말로 '정치가 밥 먹여주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 가운데서 얼마나 전략적 지지층을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

- 결과적으로는 전체적인 투표율을 높여야 한다는 얘긴데, 그게 가능한가.

= 서민주체들을 중심에 놓고 선거 전략을 운용하고 일상적인 정치조직활동의 집중적으로 강화하면 투표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이제 대선에 관한 질문이다. 민주노동당도 대권 후보를 가시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 민주노동당 당원으로서 불만이 하나 있다. 우리 당이 정치공학적 변수에 대해서는 기정 정치권 못지 않게 민감하고 빠르다는 거다. 대선후보 조기 가시화는 총선 이전부터 나온 얘기다. 물론 득표 전략 면에서 대권후보가 있으면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게 있다. 대권후보가 가시화돼서 무슨 얘기를 할 거냐다. 서민경제 발전에 대한 자기확신이 있느냐는 거다. 후보가시화 문제는 대선전략의 한 부분이다. 진보정당으로서 대선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건지 전략적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대선공간에 대한 전망과 목표가 없는 상태에서 후보만 조기 가시화할 경우 거대정당의 대선 후보들 틈바구니에서 조기 고착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김종철 후보가 그랬다. 후보 조기 가시화 이전에 대선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대선을 통해 무엇을 남길 건지에 대한 전당적 토론이 필요하다.

대선공간 활용 전략적 판단이 먼저, 후보 조기 가시화 서두를 필요없다

- 민주노동당에게 이번 대선의 의미는.

= 오는 대선이 대안정당의 비전을 가시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창당 이후 2004년까지가 창당기의 연장선에 있다면, 2007년 대선은 대안정당으로서 평가를 받는 스타트라인이다. 때문에 민주노동당이 진보정당으로서 서민들을 어떻게 설득할거냐는 자기 청사진이 구체적으로 있어야 하는 거다. 진보적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이를 서민들과 나누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이 모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걸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후보를 선정하면 되는 것이다.

당 내부적으로는 창당 전사에 뿌리를 두고 있는 각 정파나 분파가 미래 비전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 흐름으로 재편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만일 보수정당처럼 인물 중심으로 대선을 치르게 되면 민주노동당으로서는 되돌리기 어려운 패배를 맞이할 것이다. 단순한 지지율의 패배가 아니라 대안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조직적 성과를 실종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후보의 조기 가시화가 위험하다고 보는 것이다.

오는 대선의 전 과정은 진보정당의 내용을 중심으로 당 안팎의 인프라를 광범위하게 조직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노동운동 등 전통적인 기반세력과의 관계재정립을 포함해 당 안팎의 세력을 광범위하게 재조직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 일각에서는 국민참여 경선제의 도입 필요성을 말하기도 한다.

= 지금 우리 당은 창당기를 넘어서 성장기로 접어들고 있다.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종의 성장통이라고 본다. 집권기에나 검토할 수 있는 전략, 말하자면 튼실하게 성장한 토대 위에서나 검토할 수 있는 전략이다. 이런 것들이 많은 당원들을 불안하게 한다.

국민경선제는 국민정당에서, 민주노동당엔 안 맞는다

국민경선제는 지금 민주노동당에서 거론될 성격의 것이 아니다. 국민경선의 참여 대상은 결국 여론주도층이다. 민주노동당이 주목하는 다수 서민은 배제되고 있다. 그것은 국민정당을 내세우는 정당에는 부합하는 전략일 수 있지만 민주노동당 같은 서민정당은 경계해야 할 전략이다. 이런 이유에서 국민정당론과 계급정당론의 논점을 되새겨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던 것이다.

- 일각에서는 열린우리당 내 개혁파와 민주노동당이 손 잡을 가능성도 점치는 모양이다.

= 민주노동당은 자기 길을 간다. 그 과정에서 여당 사람들이 제 발로 걸어와서 들어오는 거야 말리지 않겠지만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열린우리당 내 이른바 좌파라는 사람들은 사회경제 노선을 포함한 좌파와는 너무 거리가 멀다.

- 심 의원께서도 대선 후보로 거론된다.

= 그런가. 대선을 위한 당의 발전전략 속에서 함께 고민되고 검토되어야 할 문제다.

- 끝으로,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북한 조평통에서 당선가능성 있는 진보 후보에게 표를 몰아줘야 한다는 성명을 냈다.

= 내용 여부를 떠나 주제넘은 처신이고 실질적인 영향력도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