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노동운동] 노동운동, 지역에서 길을 묻다 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동자라는 이름으로 호명되는 순간, 투쟁적이고 특별해 보이는 사람들은 사실 평범하고 별 볼일 없는 나 자신입니다. 나는 보편적 권리를 향유할 바로 그 사람입니다. 그런데 임금노동의 굴레에서 노예로 살아가다 보면 회사 밖의 삶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한 현실을 넘어야 한다 생각하기에 현실과 정면으로 마주하려고 합니다. 노동운동이 직면한 현실과 지역과 노동운동이 만나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직설적이고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 <2011지역운동포럼 in 수원>에서 두 번째로 노동운동이 지역에서 길을 묻습니다.
 
불분명성과 불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발 세계경제위기가 사회구성원 특히 노동자들의 삶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에서, 총선과 대선을 치를 2012년 선거 국면을 능동적이고 자주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운동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비판과 문제의식이 적지 않습니다. 이는 지역총파업과 총궐기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보다 ‘더 열심히, 더 많은 이들이 함께, 더 자주 활동하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인 총궐기의 돌파구를 만들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활동 틀 거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습니다. 
고용과 생존에서 연대로, 노동 혹은 생산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작업장 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제도정치와 비제도정치의 통일적 확산으로 나가려는 노력은 노동운동 내부에서부터 스스로에게 강요된 순응의 고리 혹은 일상화되고 내면화된 공포의 그림자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나아가 노동자로서 산사람으로서 보편적 권리를 향유할 주체로 서나가야 할 것입니다. 
 
2. 세부 토론주제
1) 노동(조합)운동, 이대로 좋은가
-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현실 진단
 
2) 노동(조합)운동에서 ‘정치’란?
- 현장 정치 vs 삶의 정치
- 제도 정치 vs 비제도 정치
- 2012년 총대선, 노동(조합)운동의 길
 
3) 지역운동으로서 노동(조합)운동의 방향과 실천은?
- 노동(조합)운동에서 지역이란
- 지역운동과 노동(조합)운동의 통합적 관계맺기의 가능성
- 구체적 실천과제는 무엇
 
4) 마무리
- 패널별 마무리 토론
 
○ 토론은 100분토론 형식
○ 토론 시작 전, 노동운동에 관한 인터뷰(10분) 영상상영
○ 의제별 패널 토론 후 청중토론 진행
1) 노동(조합)운동, 이대로 좋은가
-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현실 진단
 
2) 노동(조합)운동에서 ‘정치’란?
- 현장 정치 vs 삶의 정치
- 제도 정치 vs 비제도 정치
- 2012년 총대선, 노동(조합)운동의 길
 
3) 지역운동으로서 노동(조합)운동의 방향과 실천은?
- 노동(조합)운동에서 지역이란
- 지역운동과 노동(조합)운동의 통합적 관계맺기의 가능성
- 구체적 실천과제는 무엇
 
4) 마무리
- 패널별 마무리 토론
 
○ 토론은 100분토론 형식
○ 토론 시작 전, 노동운동에 관한 인터뷰(10분) 영상상영
○ 의제별 패널 토론 후 청중토론 진행
1) 노동(조합)운동, 이대로 좋은가
-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현실 진단
 
2) 노동(조합)운동에서 ‘정치’란?
- 현장 정치 vs 삶의 정치
- 제도 정치 vs 비제도 정치
- 2012년 총대선, 노동(조합)운동의 길
 
3) 지역운동으로서 노동(조합)운동의 방향과 실천은?
- 노동(조합)운동에서 지역이란
- 지역운동과 노동(조합)운동의 통합적 관계맺기의 가능성
- 구체적 실천과제는 무엇
 
4) 마무리
- 패널별 마무리 토론
 
○ 토론은 100분토론 형식
○ 토론 시작 전, 노동운동에 관한 인터뷰(10분) 영상상영
○ 의제별 패널 토론 후 청중토론 진행
 
1) 노동(조합)운동, 이대로 좋은가
- 노동(조합)운동에 대한 현실 진단
 
2) 노동(조합)운동에서 ‘정치’란?
- 현장 정치 vs 삶의 정치
- 제도 정치 vs 비제도 정치
- 2012년 총대선, 노동(조합)운동의 길
 
3) 지역운동으로서 노동(조합)운동의 방향과 실천은?
- 노동(조합)운동에서 지역이란
- 지역운동과 노동(조합)운동의 통합적 관계맺기의 가능성
- 구체적 실천과제는 무엇
 
4) 마무리
- 패널별 마무리 토론
 
○ 토론은 100분토론 형식
○ 토론 시작 전, 노동운동에 관한 인터뷰(10분) 영상상영
○ 의제별 패널 토론 후 청중토론 진행
 
3. 일시 : 12월 2일(금) 오후 7시
 
* 아래 자료는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모두발제 형식으로 발표할 자료입니다. 참고바랍니다.

 

2010년 포럼에서 노동의제인 ‘노동운동, 지역에서 길을 묻다’를 주제로 처음 진행한 바 있습니다. 당시의 문제의식은 지역 총파업과 총궐기를 위해서 노동(조합)운동이 처한 현실을 돌아보고, 연대의 실태를 진단하고 해결해 나갈 방안을 지역차원에서 찾고자 했던 것이었습니다. 포럼이후 전국금속노조 경기지부차원에서 매주 화요일 교섭위원들을 중심으로 지역차원의 공동선전을 진행하고, 민주노총 경기도본부차원에서 지역도민대회를 추진하는 등 일정한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질적인 총파업과 총궐기를 위한 과제는 진행형으로 길을 찾기 위한 부단한 물음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1. <2011지역운동포럼 in 수원>에서 두 번째로 노동운동이 지역에서 길을 묻습니다.
 
불분명성과 불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발 세계경제위기가 사회구성원 특히 노동자들의 삶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에서, 총선과 대선을 치를 2012년 선거 국면을 능동적이고 자주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운동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비판과 문제의식이 적지 않습니다. 이는 지역총파업과 총궐기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보다 ‘더 열심히, 더 많은 이들이 함께, 더 자주 활동하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인 총궐기의 돌파구를 만들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활동 틀 거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습니다. 
고용과 생존에서 연대로, 노동 혹은 생산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작업장 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제도정치와 비제도정치의 통일적 확산으로 나가려는 노력은 노동운동 내부에서부터 스스로에게 강요된 순응의 고리 혹은 일상화되고 내면화된 공포의 그림자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나아가 노동자로서 산사람으로서 보편적 권리를 향유할 주체로 서나가야 할 것입니다. 노동자들의 현실을 온전하게 마주하고, 임노동의 굴레에 갇힌 임금노예가 아닌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산 사람의 권리를 재전유하고, 마침내 지역 총궐기를 현실로 만들 다르게 살아갈 새로운 판짜기를 함께 모색해나가고자 합니다.
 
2. 프로그램(안) 
: 노동운동, 지역에서 길을 묻다 2 <모두 발제에 이은 100분토론 방식으로 열린토론>
○ 노동운동관련 영상보기(노동자대회를 중심으로 한 관련 영상)
○ 노동(조합)운동 활동가의 속내 듣기(현실, 진단, 방향, 제언 등 모두 발제) 
○ 패널 4~6인의 생각 나누기(모두 발제 내용을 중심으로 심화토론)
○ 노동의제 참여자 질문과 주장 듣기
 
3. 일정(가안)
- 12월 2일(금) 오후 7시  천주교수원교구수원대리구청 내 청소년문화원
 
2010년 포럼에서 노동의제인 ‘노동운동, 지역에서 길을 묻다’를 주제로 처음 진행한 바 있습니다. 당시의 문제의식은 지역 총파업과 총궐기를 위해서 노동(조합)운동이 처한 현실을 돌아보고, 연대의 실태를 진단하고 해결해 나갈 방안을 지역차원에서 찾고자 했던 것이었습니다. 포럼이후 전국금속노조 경기지부차원에서 매주 화요일 교섭위원들을 중심으로 지역차원의 공동선전을 진행하고, 민주노총 경기도본부차원에서 지역도민대회를 추진하는 등 일정한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질적인 총파업과 총궐기를 위한 과제는 진행형으로 길을 찾기 위한 부단한 물음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1. <2011지역운동포럼 in 수원>에서 두 번째로 노동운동이 지역에서 길을 묻습니다.
 
불분명성과 불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발 세계경제위기가 사회구성원 특히 노동자들의 삶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에서, 총선과 대선을 치를 2012년 선거 국면을 능동적이고 자주적으로 임하기 위해서는 노동(조합)운동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비판과 문제의식이 적지 않습니다. 이는 지역총파업과 총궐기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까지 해왔던 것보다 ‘더 열심히, 더 많은 이들이 함께, 더 자주 활동하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인 총궐기의 돌파구를 만들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활동 틀 거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습니다. 
고용과 생존에서 연대로, 노동 혹은 생산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작업장 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제도정치와 비제도정치의 통일적 확산으로 나가려는 노력은 노동운동 내부에서부터 스스로에게 강요된 순응의 고리 혹은 일상화되고 내면화된 공포의 그림자를 성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나아가 노동자로서 산사람으로서 보편적 권리를 향유할 주체로 서나가야 할 것입니다. 노동자들의 현실을 온전하게 마주하고, 임노동의 굴레에 갇힌 임금노예가 아닌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산 사람의 권리를 재전유하고, 마침내 지역 총궐기를 현실로 만들 다르게 살아갈 새로운 판짜기를 함께 모색해나가고자 합니다.
 
2. 프로그램(안) 
: 노동운동, 지역에서 길을 묻다 2 <모두 발제에 이은 100분토론 방식으로 열린토론>
○ 노동운동관련 영상보기(노동자대회를 중심으로 한 관련 영상)
○ 노동(조합)운동 활동가의 속내 듣기(현실, 진단, 방향, 제언 등 모두 발제) 
○ 패널 4~6인의 생각 나누기(모두 발제 내용을 중심으로 심화토론)
○ 노동의제 참여자 질문과 주장 듣기
 
3. 일정(가안)
- 12월 2일(금) 오후 7시  천주교수원교구수원대리구청 내 청소년문화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