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들이란 누구나 자신의 아이들이 가장 똑똑하다고 생각한다. 정말 그렇게 생각할까? 모든 부모가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다. 나에게 조카가 넷 있다. 남동생의 아이들과 누나의 아이들. 동생의 아이들이야 이제 아직 어린 아이들이지만 누나의 아이들은 큰 애가 고3이니 어린애가 아니라 어른인 셈이다.

누나는 자신의 아이들이 그렇게 똑똑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남들보다 똑똑하기를 바라지도 않는 듯하다. 공부를 잘 못해도 아이들을 그렇게 야단치는 것을 보진 못했다. 아이들이 그냥 평범하게 잘 자라 주길 바랄 뿐이란다. "사회에 나가서 공부 잘하는 걸로 먹고사는 사람은 소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평범하게 산다. 그러니까 지가 하고 싶은 거 하고 사는 게 더 낫다."

그런데 나는 조카들이 그렇게 똑똑하지도 않고 평범하다는 사실이 만족스럽지 않다. 조카들은 집에서는 서로 원수처럼 싸우지만 친구들에게는 언제나 베스트 프렌드란다. 하루 종일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고 들어와서 문자하고 채팅하고, 심지어 채팅 창을 5개까지 열어놓고 수십 명과 동시에 채팅을 하기도 한다. "야 책 좀 읽지?" 그러면, "삼촌은 책 읽는 게 재미있나?" 그런다.

그러면서도 학원은 열심히 다닌다. 학원 왜 가냐 물으면, "삼촌은 말이 안 통해. 학원을 가야 친구들을 만나지. 학원 안 가고 혼자 있으면 좋나?" 사실 조카들에 대한 기대는 순전히 내가 만들어낸 억지 환상인지도 모르겠다. 차분하고 조용하고 책을 읽고 피아노 치고, 엄마와 대화하고 뭐 이런. 현실은 영 반대다 왈가닥에다 투덜이에다 고집불통이고 책보다 연예인 나오는 텔레비전 쇼 프로를 더 좋아한다. 내가 말하면 삼촌은 자기만할 때 그러지 않았냐고 대꾸한다.

나와 누나는, 동생은 그 때 아주 어렸는데, 시골 마을에서 자랐다. 그냥 산으로 들로 쏘다닌 것 외엔 뭐하면서 하루를 보냈는지 잘 기억나지 않는다. 자연 속에서 자연의 일부였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산에 올라갔다. 산에서 참꽃(진달래)을 따고 소를 먹이고 꼴을 베고, 강에서 놀았다. 그 시절에는 특별한 것이 없었다.

10살이 되는 해 부산으로 이사를 왔는데, 곧 적응하여 친구들과 어울려 놀았다. 그 때는 바다가 놀이터였다. 내가 영화 "친구"의 첫 장면을 인상적으로 기억하는 것은 그 때는 그렇게 놀았기 때문이었다. 거리에서 자전거를 빌려 타고, 롤러스케이트를 타러 다니고 동네 야구부를 만들어 야구를 하고 싸움박질 하고 그런 놀이들.

살아가는 방식이 다르면 생각하는 것이 다르다. 조카들과 나는 이미 삶의 방식이 다르고 생각도 다르다. 나는 이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고 늘 생각하면서도 자주 잊어버린다. 그래서 더 이 책을 읽고 싶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친구랑 자연 누비며 진짜 공부해요"

입력: 2008년 05월 02일 17:14:13 (경향신문)

곶자왈 아이들과 머털도사…문용포, 곶자왈 작은학교 아이들 | 소나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주도 조천읍 선흘리에 가면 아담한 학교가 있다. 이름하여 ‘곶자왈 작은학교’(cafe.naver.com/gotjawal)다. 이 학교는 이른바 ‘학습’을 위한 정규학교가 아니다. 이 학교 재학생들은 다만 머털도사와 제주도 곳곳을 돌아다니며 신나게 놀 뿐이다. 한데 신기하다. 그렇게 어울려 노는 가운데 아이들은 쑥쑥 자라고 세상에 대해 배워나간다. 그것이 머털도사, 아니 문용포 선생님의 교육방식이다.

2년 전 문을 연 곶자왈 작은학교는 마을학교의 역할과 자연학교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방과 후에 혹은 주말에 이곳을 찾는 아이들은 자연 속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힘을 길러나간다. 제 앞가림하는 힘을 키워주는 것, 그것이 바로 이 학교의 모토이다.

책은 머털도사와 작은학교 아이들이 사계절 동안 신나게 논 체험을 기록한 보고서이다. 아이들은 봄이면 들에 나가 냉이와 달래, 쑥, 광대나물 등 봄나물을 캐고 다듬어 부침개를 부쳐 먹고 꽃과 나무, 벌레 등을 관찰한다.

머털도사가 아이들에게 입말로 차분하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구성된 책은 작은학교 아이들의 체험활동과 아이들이 쓴 시, 활동상을 담은 사진과 일러스트 등이 더해져 생생하다. 한데 그 기록은 철저히 체험에 바탕하고 있다. 머털도사는 아이들에게 꽃과 나무의 이름을 아는 것이 우선이라고 가르치지 않는다. 지식으로서의 앎보다 스스로 느끼게 하고 체험해서 얻는 앎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까닭이다. 그는 맨발로 땅 위를 걸으며 때론 까칠하고, 때론 촉촉하고 때론 푸석푸석한 땅의 느낌을 온몸으로 느껴보라 권하며 오름에 올라가면 양지바른 땅 위에 누워 바람의 소리를 들어보라고 권한다.

여태껏 책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며 자란 아이들은, 직접 제 몸으로 차근차근 숲을 이해해 나가면서 버섯은 썩은 나무에서 자라고 풀잎으로도 피리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성적을 올리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건 이런 일이다. 밝고 바른 아이로 자라기 위해서는 세상이란 남과,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임을 스스로 깨우치도록 해야 한다.

며칠 뒤면 어린이날이다. 못다한 사랑을 값비싼 선물로 잠시 때우려 하기보다, 아이들이 세상을 체험하며 스스로의 힘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에 보탬이 되지 않을까. 인세의 50%는 곶자왈 작은학교와 분쟁지역 평화도서관을 돕는 데 쓰인다고 하니, 어린이들은 물론이고 자녀를 둔 부모 등 많은 사람들이 읽어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1만원. 〈 윤민용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15 10:59 2011/11/15 10:59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76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