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해외직접투자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9/10/19
    [한국은행]해외직접투자(FDI) 어떻게 봐야하나
    재영

[한국은행]해외직접투자(FDI) 어떻게 봐야하나

 산업구조 고도화ㆍ경쟁력 강화 필수조건

 

2003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나가는 해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FDI)가 크게 늘고 있다. FDI란 해외에 있는 기업의 경영권을 획득 할 목적으로 지분 등을 취득하는 것을 뜻한다. 경영권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단순히 자금 이동에 불과한 간접 투자와는 구별된다.

우리나라의 FDI는 2003년 약 40억 달러에 머물렀지만 2006년에는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특히 제조업의 FDI는 같은 기간 2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엔 부동산업과 건설업의 FDI도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FDI가 늘면서 우리 경제의 앞날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FDI로 인해 생산 설비가 해외로 이전되고 자금도 유출된다는 것이 그 이유다. 기업들이 해외에 투자하는 대신 국내에 투자했다면 국내 생산능력도 확대되고 고용도 그만큼 늘었을 텐데 해외에 투자했기 때문에 이 같은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국내 기업의 기술이 투자 대상국으로 이전될 경우 장래에 그 나라에서 경쟁 기업이 자라나 우리 기업을 위협하는,소위‘부메랑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FDI 확대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로 FDI는 경제적으로 부정적 효과만 있는 것일까? FDI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FDI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FDI 유형은 일반적으로 △노동력 지향형 △시장 지향형 △경영여건 지향형 △기타(자원 공급, 기술 확보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노동력 지향형 FDI는 상대국의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해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한 FDI를 말한다. 예컨대 노동력이 풍부하고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인도 등 으로 생산 공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전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노동력 지향형 FDI 중 생산공정 전부를 해외로 이전할 경우 그만큼 국내 고용은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기업이 국내에 핵심 생산 설비는 남기고 부수적?보조적인 생산 설비만을 해외로 이전하거나 새로 공장을 건설하는 경우엔 국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해외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함으로써 국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제품 생산을 확대한다면 결과적으로 국내 설비 자본이 더욱 확충되고 국내 고용도 늘어날 수 있다.

시장 지향형 FDI는 해외시장 개척이나 수출 대상국의 보호무역 정책을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직접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다. 예를 들어 수출 대상국이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면 직접 투자를 통해 그 나라에서 직접 생산함으로써 높은 관세를 회피해 수출 시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FDI도 국내 경제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FDI를 선택하지 않았더라도 기업은 높은 관세 때문에 국내 생산을 늘리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경영여건 지향형 FDI는 국내보다 해외의 기업경영 여건이 좋을 경우 국내 투자 대신 FDI를 선택한 경우를 일컫는다. 이 경우는 FDI가 국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국내 기업경영 여건이 좋았다면 국내에서 설비를 확장해 고용이 증가했을 텐데 기업이 해외 투자를 선택함으로써 국내에서 이 같은 기회가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기업은 이 밖에도 해외에 있는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거나 기술 확보를

 

위해 FDI를 선택할 수 있다. 기업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할 수도 있지만 이보다 직접 자원을 생산하는 것이 이로울 경우 FDI를 선택한다. 또 기업은 선진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 혁신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지역에 진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FDI는 기업의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기술 수준을 높임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 기업들의 FDI는 주로 세계 각지의 생산 설비를 연계적으로 활용하면서도 해외에서의 생산 활동이 국내생산 기반을 유지 강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조선업의 경우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직접 투자를 통해 해외에서 선박 블록을 만든 이후 국내에 들여와 완성 배로 건조하고 있다. 이 같은 FDI는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

최근 주요 선진국들은 FDI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세계 각지를 대상으로 투자처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2000~2005년 국내총생산(GDP) 및 총투자 대비 해외직접투자 비율이 각각 2.5% 및 12.5%에 이른다. 대만 말레이시아와 같은 신흥 공업국의 경우도 각각 1.2%와 4.8%에 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이 비율이 0.6%와 2.1%에 불과하다. 이는 우리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선진국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FDI가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FDI 확대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다. FDI가 확대되어도 핵심 생산 설비를 국내에 남겨 두기 위해서는 투자 대상국에 비해 기술적 우위에 있어야 한다. 이는 기술 혁신이 지속돼야 함을 뜻한다. 국내 경영 여건이 외국에 비해 열악해 국내 투자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기업경영 여건을 개선하는 데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과도한 임금 상승 역시 적정 수준 이상의 FDI를 부추기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물가 안정 등에도 유의해야 한다.

 

 

 

 

 

 

시대따라 FDI 유형도 변해

 

우리나라의 주요 FDI 유형은 시대별로 달랐다. 1960년대에는 삼림 개발을 위해 인도네시아에 직접 투자한 것을 비롯 원유나 철광석 등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가 대부분이었다. 1970년대에는 외국에 조미료 공장을 설립하는 등 시장 지향형 FDI도 있었다. 다만 1980년대까지 FDI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1990년대 전반에는 해외의 저임금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FDI를 중심으로 비교적 활기를 띠었다. 당시 FDI는 섬유 의복 신발 등과 같은 경공업 부문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이 부문에서 FDI가 급증한 것은 국내 임금 상승 등으로 국내 생산으로는 더 이상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임금이 싼 국가로 이전한 데 기인한다. 이 같은 유형의 해외 이전은 국내 산업과의 연계성이 낮아 국내 고용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최근까지의 해외 투자는 경공업체가 생산 설비를 해외로 이전한 것과는 성격이 크게 다르다. 1990년대 후반에는 자동차 전기전자 등 중화학공업 부문에서도 FDI가 늘어났다.

2000년 들어서는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의 FDI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들 중화학공업 및 고도 기술산업에서는 핵심 생산 설비는 국내에 남기고 보조적인 생산 공정만 해외로 이전하는 형태로 FDI가 이루어짐에 따라 국내 산업과의 연계성이 유지되고 있다.

 

개인 해외직접투자도 급증세

우리나라의 FDI 통계에는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접투자도 포함된다. 우리나라 FDI를 투자주체별로 구분해보면 2006년 전체 FDI중 대기업 비중이 59%로 가장 높고 중소기업과 개인의 비중은 각각 32% 및 9% 수준이었다 . 개인에 의한 FDI도 2003년 이후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세계 부동산경기 호황 등으로 건설업과 부동산업 등에 대한 직접투자가 증가한 데 기인한다.

개인의 부동산업에 대한 FDI 역시 부동산업과 관련된 해외소재 회사의 경영권을 획득하기 위해 나간 투자이며, 단순한 주택구입 등 해외 부동산을 매입하기 위해 나가는 자금은 포함되지 않는다.

기업에 의한 FDI와 마찬가지로 개인에 의한 FDI도 우리나라의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