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는 북에도 있다"… 북, 일본 규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는 북에도 있다"… 북, 일본 규탄
 
 
 
nk투데이 김혜민 기자 
기사입력: 2015/11/09 [00:20]  최종편집: ⓒ 자주시보
 
 

 

▲ 아베와 정상회담을 진행한 박근혜대통령     © 자주시보

지난 11월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일본의 아베신조 총리는 처음으로 한일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양국정상은 한일관계의 최대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문제해결에 가속도를 내기로 협의했다고 한다.이에 대한 북한의 공식적인 반응이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연합뉴스TV 캡처.

연합뉴스TV 캡처.

 

북한은 국가 차원의 공식입장을 기본적으로 외무성을 통해 발표해왔다.

11월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5일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는 조선 반도의 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북에도 있다", "일본은 조선 인민에게 저지른 모든 특대형 반인륜 범죄와 피해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인정하고 하루빨리 전체 조선 민족이 납득할 수 있게 배상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통해 북한의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TV 캡처.

연합뉴스TV 캡처.

 

또한 외무성 대변인은 “일본에 의해 조직적으로 감행된 성노예 범죄는 여성의 존엄과 정조, 육체를 깡그리 유린한 시효 불적용의 극악한 특대형 인권유린 범죄”라고 언급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즉, 북한이 북한에 생존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의 책임 인정과 배상을 강조한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 사진. ⓒ news.ijntv.cn

일본군 위안부 사진. 임신을 당한 여성도 찍혀있다. ⓒ news.ijntv.cn

 

북한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존재는 지난 2004년 서울에서 열린 과거청산을 요구하는 국제연대협의회의 국제회의를 통해 한국에 알려진 바 있다.

당시 ‘조선 일본군위안부 및 강제련행(연행) 피해자보상대책위원회’ 홍선옥 위원장 등을 비롯한 피해자 9명이 한국을 방문하였고, 리상옥 일본군 피해자와 그리고 징용으로 끌려갔던 황종수 피해자가 생생한 증언을 한 바 있다.

한편 북한의 조선 일본군위안부 및 강제연행 피해자문제 대책위원회 대변인도 6일 담화를 통해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농락되는 흥정물이 아니다”, “가해자인 일본이 국가적,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모든 피해자들과 그 유가족에게 진심으로 사죄하고 배상해야 한다”라며 북한 외무성의 입장을 지지했다.

 

포토저널리스트인 일본인 이토 다카시는 북한의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었다. 임신한다고 자궁을 들어내고 일본군이 재미로 위안부의 배에 문신을 새기기도 했다. 출처 : 인터넷.

포토저널리스트인 일본인 이토 다카시는 북한의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었다. 임신한다고 자궁을 들어내고 일본군이 재미로 위안부의 배에 문신을 새기기도 했다. 출처 : 인터넷.

 

한편 일본의 입장은 어떠할까?

11월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해결됐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 노동신문 사설도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이 “최근 일본군 성노예 문제를 주변 나라들이 외교카드로 쓰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서술했다.

또한 10월 27일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유엔주재 일본 외교관도 유엔총회에서 일제가 저지른 특대형 반인륜적범죄에 대해 사죄와 배상을 하라는 국제사회의 목소리에 도전해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문제는 이미 정리되였다”고 주장했다고 규탄했다.

노동신문은 이에 일본이 이런 입장을 취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11월 2일 노동신문은 "일본 반동들이 일제의 침략 역사를 미화 분식하는 밑바탕에는 그것을 되풀이하자는 범죄적 목적이 깔려있다"며 "일본이 역사적 교훈을 성실히 받아들이지 않고 지금처럼 죄많은 과거를 미화 분식하면서 군국화, 재침의 길로 계속 나“갈려고 한다고 비난했다.

즉, 북한은 현재 일본이 위안부 문제 등을 은폐하고 침략의 역사를 미화하는 이유가 군국주의 부활과 한반도 재침략을 위한 것이라고 바라본 것이다. 

 

김혜민 기자  NKtoday21@gmail.com    ⓒNK투데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