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치적 이해관계만을 계산하는 언론들

 

정치적 이해관계만을 계산하는 언론들
 
박시후 성폭행 의혹과 국정원, 부정개표와 국민연금
 
두루객 | 등록:2013-03-08 08:45:47 | 최종:2013-03-08 09:02:48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한 유명 연예인의 성폭행 여부의 진실싸움이 한 달을 채우다시피 온 언론에서 도배되고 있다. 사건의 진실이 어떠했든 박시후는 이미 ‘성폭행’ 등의 문란함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인기스타의 반열에서 낙오될 것임이 분명하다.

성폭행이 사실이라 할때, 그럼에도 무죄선고를 받을려는 법정싸움을 해본들 '명예회복'은 고사하고 앞으로의 미래가 순탄하지 않을 것이어서 덫 없다. 성폭행 혐의가 허위라 할 때도 박시후는 이미 문란한 성관계를 가졌던 이미지화로 인기의 부활이 어렵게 되었다.

유교 사회의 그 옛날도 아닐진데 일반적인 성관계에도 불구 연예인이라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는 것이 부당하기도하지만 그것을 뛰어넘는 우리 사회가 아니라면 유명 연예인들과 관련해 우리나라의 언론보도가 신중해야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강제적 성관계가 사실이라면 지탄을 받아야 함이 당연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박시후가 얻었던 불명예 상처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물론 유명 연예인기에 국민이 알아야할 권리는 누구도 막지 못한다.

그러나 과연 박시후 사건을 보도하는 언론들의 태도가 국민의 알권리 및 사회 정의를 위한 것이라 말할 수 있을까? 연예인 사건이라는 호기심을 이용한 보도 도배가 아닌 국민의 알권리 및 사회정의를 위한 것이라고 말하기엔 고개를 젖게하는 그들의 이중성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무명 연예인을 상대로 했던, 조선일보 사주 등 사회 지도층들의 성접대 문화가 고발된 장자연 사건에서도 일부 몇 몇을 제외하고 그들은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권력층과 연계된 사건이서 법정 다툼으로 그들과 엮는 게 싫다는 귀차니즘도 있겠지만 권력층과 연계된 언론 사회의 침묵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박시후의 성폭행 사건은 어찌보면 그 수 많은 성폭행 사건의 일부이자 일반인 사건과 다를게 없다. 단지 유명 연예인기에게 부각될 뿐이지만 일반인들의 나쁜 짓 같으면 언론의 한 부분만을 차지하다 넘어간다.

그럼에도 한 달을 채우다시피 도배 보도 되었던 박시후 사건과 비교해 국정원의 선거개입 사건은 진보언론을 제외한 그 어느 언론에서도 찾을래야 찾을 수가 없었다.

방송장악 MBC와 KBS, 그리고 종편과 조중동은 박시후 사건을 보도해도 국정원의 불법선거 문제에 집중적으로 파혜치는 관심의 보도 등이 보이지가 않았다. 민주화 이후 그 동안에 전무후무한 사건인데도 말이다.

이런 비슷한 사례의 경우는 또 있었다. ‘다케시마 표기’를 요구하는 일본 총리 앞에서 “기다려달라”는 MB 발언의 요미우리 보도 당시 MBC와 KBS 및 조중동은 김길태 살인사건 보도로 도배하다시피 했다. 뉴스의 초점을 흐리기 위한 목적 면에서 박시후 및 김길태 사건이 서로 동일하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박시후는 MB정권의 경찰청이 촛불시위 문화를 매도하기 위한 영상 홍보에 출연한 적이 있어 그를 옹호하려는 의도는 추호도 없다.


국민연금 폐지 주장과 ‘대선 수개표’ 요구

 

 

국민연금 폐지 주장의 회원수들이 7만이 넘을 정도로 국민연금 논란이 뜨겁다. 국민연금으로 기초연금 재원을 충당한다는, 부자증세조차 없는 복지 공약의 박근혜 인수위의 방안 때문에 더욱 뜨겁다.

모든 노인에 20만원의 기초연금을 주겠다는 공약을 차등지급으로 뒤집어버려 연금은 연금대로 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국민연금 고갈에 따른 걱정으로 국민연금 받지 못할 것이라는 소문들도 섞여 국민연금 폐지론으로 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언론들은 7만이 넘는 국민연금 폐지 주장의 회원수를 보도하며 찬반논쟁의 프로까지 선보이기도 했다. 운전 중의 교통사고로 죽는 경우가 빈번하다 해서 자동차를 없앨 수 없듯이 '국민연금 폐지론'이 옳다고만 할 수 없고 개인적으로도 찬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7만이 넘는 회원수에 이르는 폐지론도 무시할 수 없는 바, 언론들이 이런 상황을 반영하고 보도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하지만 국민연금 폐지론자들 중에는 민간보험사와 관련된 사람들이 있다는 소식도 전해진다. 그렇더라도 그렇지 않는 일반인도 없지 않는 바, 국민연금 폐지의 찬반을 떠나 언론이 외면하지 말아야하는 것은 여론의 자정 능력을 위해서라도, 국민연금 정책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해서라도 너무나도 당연하다.

하물며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사회정의를 위해 부정개표 의혹의 의구심으로 대선 수개표를 요구하는 서명이 20만명이나 넘었다면 언론은 마땅히 그 실상을 낱낱이 알리고 보도해 줘야한다.

▲ 재외 유권자들이 18대 대선 당시 국정원의 선거개입 의혹이 있다며 이를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재외 유권자들은 지난1월 15일 세 번째 성명을 발표해 국정원 여직원의 선거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국정조사와 청문회를 통한 진실규명을 촉구했다.

그런데도 작금의 언론들은 수개표 촉구를 위한 해외동포 및 아고라 서명의 열기를 보고도 침묵으로 일관하고 말았다. 해외 언론에서도 박근혜 부정 선거 의혹을 보도하는 판에 ‘ 우물안의 개구리’가 될려는 언론의 침묵 행태를 들여다 보면 여야의 각 계파에 줄서서 정치적 이해관계만을 계산하는 언론인들이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낳게 하고 있다.

90%라던 50대 투표율이 실상 84%에 그쳤다는 뉴스는 대선 부정개표 의혹을 확신케 해줬다. 방송3사를 제외한 모든 출구조사에서 문재인 후보가 앞섰다는 사실에도 불구 51,6% 득표율로 박근혜가 이겼다는 근거가 50대의 90% 투표율 주장었다.

하지만 호남의 압도적 야당 지지 현상을 감안할때 84% 투표율 50대의 문재인 지지 비율이 호남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최소로 잡아 35%으로 가정한다면 박근혜 당선은 매우 불가능한 일이다. 호남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문재인 지지율이 30프로 이하라는 것도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전자개표기의 조작 및 오류설이 두려워 굳이 ‘투표지 분류기’라고 변명하는 선관위의 석연치 않는 해명은 국정원의 불법 선거개입 및 새누리당 ‘십알단 및 일베 회원’들의 여론조작 행태와 겹쳐 부정선거 의혹을 더욱 확신케 했다.

이 모든 것을 유기적인 것으로 연결짓는 의혹 생산에 게을리하는 언론이라면 언론의 자격도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