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지금의 나는(8)
- 노란리본
- 2009
-
- 재회(3)
- 노란리본
- 2009
-
- 오우, 본~!(3)
- 노란리본
- 2007
-
- 아침 고요 뻐스
- 노란리본
- 2007
-
- 아- 어쩌란 말이냐(5)
- 노란리본
- 2007
이 사진이 마음에 드는건 순전히
인생행로에 여러가지로 답답한 분 오세요,
라는 문구 때문.
하하-
얼마전 국립박물관으로 루브르전을 보러 갔더랬다. 사실, 보통때라면 고 알량한 서너시간을 내기 어려워 날짜를 그냥 흘려 보냈을테지만, 어쩌다 생긴 표를(정말 어쩌다 생기고야 말았는데, 평생가야 시사회 당첨 한번도 안걸리던 내게 이런 기회가;;) 썩히기가 아까워 전시 끝물에, 그것도 오전 시간을 내어 가게 됐던 것.
* 새롭게 알게된 몇 가지.
- 나는 자극적인 그림에 반응한다는 사실. <프시케와 에로스> 같은 순수한 아름다움을 주제로 하는 작품이나 코로의 풍경화처럼 물흐르듯 잔잔한 작품보다, 오히려 외젠들라크루아류의 강렬함쪽으로 감정선이 흐른다는것.
- 야콥반루이즈달의 <폭풍우>. 작가 이름도 처음 듣고, 작품도 처음 봤는데, 근래 드물게 내 심장을 '출렁'하게 만든 그림. 나중에 웹상으로 찾아보았으나 도무지 그 느낌은 안나던데.. '내가 빠리로 가야하는 이유' 리스트에 하나 더 추가.
- 제리코의 <메두사호의 뗏목>은 충격적이다. 난파당한 뗏목 위에 죽은 시체를 안고 슬퍼하는 사람과 아마도 그 시체의 다리를 잘라 먹었을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 그런데 이 작품은 습작이므로 루브르에 있는 또다른 원본과는 틀리겠지. 원본은 루브르에서 반출이 안되는 작품 중 하나. 그림이 너무 커서 그런다던가?
- 외젠들라크루아가 늘상 그리는 강인함, 적극성, 호전성은 외려 그의 신체적 허약함이라는 한계에서 기인한다던데, 그래서인지 주인공들 눈빛은 그림의 전체 주제와는 동떨어진 방향으로 향하는듯한 느낌이 있다.
- 그림 주인공의 풍경이 그 허리 아내로 내려오거나 그 위로 올라갔을 때의 느낌은 판이하다는 것. 이건, 고야의 <마리안네데 발트슈타인 부인의 초상>을 보면 잘 나타나는데, 자기 허리 아래 풍경들 위에 군림하는 듯한, 그것들을 아래로 내려보는듯한 자만의 시선이 주는 그 느낌. 역시, 구도가 중요하다.
- 루브르의 작품들을 검색할 수 있는 싸이트 발견, 오호.
http://cartelen.louvre.fr/cartelen/visite?srv=crt_frm_rs&langue=fr&initCritere=true
* 도록을 사고 싶었으나.. 2만원의 장벽을 넘지 못했음..
* 전시보다 더 반가웠던 것은, 4월부터(아마도..?) 오르세전을 한다는 현수막 내용.
인상주의 작품들이 대거 반입될꺼라는 기대에 벌써부터 흐뭇.
이게, 그 유명한 <프시케와 에로스>
얘가, <폭풍우>
이게, 외젠들라크루아의 그림. 사자의 눈빛과 자세는 '호전적'이라고만 하기에는 뭔가 부족한;;
밀레는 유명한 화가다.
만종, 이삭줍는 여인들 등의 작품으로 농촌의 풍경과 노동의 경건함을 그린 화가로 잘 알려져있는데
당시에 밀레는 평단으로부터 하층민의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그려 사회바판을 선동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건 그의 그림을 제대로 보지 않고 하는 오해일 뿐이다.
밀레의 그림에 농촌은 있으나,
정작 농민은 있지 않았다.
농민들의 얼굴은 뚜렷한 형체없이 단순히 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윤곽만이 그려져 있을뿐.
생활고에 찌들린채 내일에 대한 기대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가야 하는 그들의 일그러진 초상을 그리지 못한 탓에
그의 그림은 결코 민중적이거나 저항적이지 못한채
그저 농촌 풍경만을 묘사하는 바르비종파의 화풍으로 이어지고 만다.
며칠전 당대회를 거치며
나는 다시 한번 이런 생각을 했더랬다.
지금 우리의 운동 속에
민중은 어떤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가.
몇몇의 선동적 주체가 정치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내려주기만 한다면, 기다렸다는듯 넙죽 그 깃발 아래로 앞다퉈 뛰어들어올 것이라는 환상.
진보정치라는 것은 소위 말빨좀 있는 명망가들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생활정치는 그보다 한 단계 아래에 위치한 것이라는 착각.
이를 극복하지 못하니
민중을 그리는 시각은,
2007년의 암울한 사회 속에 그저 빌딩이나 혹은 나무나 자동차 같은
한 요소로써만 묘사될 뿐이다.
민중들의 문제는
정밀화처럼 세밀히 묘사되고
그에 대한 해법은
수채화처럼 투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삶은 불안하고
정치는 불만가득한채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 풍경은 안개속처럼 흐릿하지만
그 속 민중들의 표정과 행동의 디테일은 풍부하게 묘사되는,
.. 밀레와는 다른 식의 풍경화가 보고 싶다.
프라이버시권의 예외 상황.
- 국가로부터 어떤 용역이나 재화를 분배받을때,
- 국가의 주요활동에 참가할때(투표, 선거출마),
- 국가시설을 이용할때(도로를 차량으로 이용하기 위해 번호판을 다는 등),
- 면허제도등을 통해 국가가 보호해주는 독점권으로부터 혜택을 받을때,
-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험한 일을 하는때(비행기나 배를 탈때)
- 기타, 또 뭐가 있을까?
위의 공익을 압도할만한 프라이버시권의 적용상황이 실재하는가?
BBC에서,
세계정세에 제일 악영향을 주는 나라가 어디냐,
는 내용으로 여론조사를 했다는데.
아래처럼 4개국이 뽑혔단다.
- 이스라엘 56%
- 이란 54%
- 미국 51%
- 북한 48%
조선일보는 어떻게 생각할까;;
지역위 활동이 힘들다
비빌 언덕도 없다
사람을 만나라는건 아무 대안도 못된다
뭘 갖고 만나
무슨 지향으로
만나서 뭘 도모해
누굴 만나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드는건 그 무리의 특기
오래가진 않겠지만
계속 맘 속에 남아 힘들거 같긴 하다
'주장'만 하던 선배들은 정작 이럴때 주변에 아무도 없다
사실 극장에서 표를 구하지 못해,
얼결에 본 영화가
별 기대가 없어서 그랬는지 꽤 괜찮았다.
오히려, 정작 며칠전 본
여튼,
물론, 이영화가 노미네이트된건 훨씬 더 많은데,
여주인공은 여우주연상에(게다가, 이 분은 무려 두개의 영화씩이나 노미네이트됨)
또다른 여자 조연이 여우조연상에(DANI 라고 하는데.. 누구였는지 당췌..)
크리스토퍼톰슨씨와 그의 엄마는 최고 씨나리오상에(오! 톰슨!!)
그리고, 편집부문상.
Meilleur acteur dans un second rôle | |
Dany Boon | La doublure |
François Cluzet | Quatre étoiles |
André Dussollier | Ne le dis à personne |
Guy Marchand | Dans Paris |
Kad Merad | Je vais bien, ne t'en fais pas |
Meilleur espoir féminin | |
Déborah François | La tourneuse de pages |
Marina Hands | Lady Chatterley |
Mélanie Laurent | Je vais bien, ne t'en fais pas |
Aïssa Maïga | Bamako |
Maïwenn | Pardonnez-moi |
Meilleur réalisateur | |
Rachid Bouchareb | Indigènes |
Guillaume Canet | Ne le dis à personne |
Pascale Ferran | Lady Chatterley |
Philippe Lioret | Je vais bien, ne t'en fais pas |
Alain Resnais | Cœurs |
Meilleur premier film | |
13 Tzameti | Gela Babluani |
Les fragments d'Antonin | Gabriel Le Bomin |
Je vous trouve très beau | Isabelle Mergault |
Mauvaise foi | Roschdy Zem |
Pardonnez-moi | Maïwenn |
Meilleure musique écrite pour un film | |
Armand Amar | Indigènes |
Mathieu Chedid | Ne le dis à personne |
Jérôme Lemonnier | La tourneuse de pages |
Mark Snow | Cœurs |
Gabriel Yared | Azur et Asmar |
Meilleur court-métrage | |
Bonbon au poivre | Marc Fitoussi |
Fais de beaux rêves | Marilyne Canto |
La leçon de guitare | Martin Rit |
Le mammouth Pobalski | Jacques Mitsch |
Les volets | Lyèce Boukhitine |
Meilleure photo | |
Patrick Blossier | Indigènes |
Éric Gautier | Cœurs |
Julien Hirsch | Lady Chatterley |
Christophe Offenstein | Ne le dis à personne |
Guillaume Schiffman | OSS 117 - Le Caire nid d'espions |
Meilleurs décors | |
Dominique Douret | Indigènes |
Maamar Ech Cheikh | OSS 117 - Le Caire nid d'espions |
Jean-Luc Raoul | Les brigades du tigre |
François-Renaud Labarthe | Lady Chatterley |
Jacques Saulnier | Cœurs |
Meilleur montage | |
Martine Giordano | Quand j'étais chanteur |
Yannick Kergoat | Indigènes |
Sylvie Landra | Fauteuils d'orchestre |
Hervé de Luze | Cœurs |
Hervé de Luze | Ne le dis à personne |
Meilleurs costumes | |
Marie-Claude Altot | Lady Chatterley |
Jackie Budin | Cœurs |
Charlotte David | OSS 117 - Le Caire nid d'espions |
Pierre-Jean Larroque | Les brigades du tigre |
Michèle Richer | Indigènes |
Meilleur film étranger | |
Babel | Alejandro Gonzalez Iñarritu |
Little miss Sunshine | Jonathan Dayton, Valérie Faris |
Le secret de Brokeback Mountain | Ang Lee |
The Queen | Stephen Frears |
Volver | Pedro Almodovar |
혼자 떠나는 여행은
생각만큼 낭만적이지도
오롯이 유쾌하지만도 않다
우연히 만나게 되는 로맨스도
석양에 부서지는 은빛 바다도
영화속 이야기인걸.
외로움과 배고픔,
어떨땐 낯선이들의 시선과 싸워야 할때도.
게다가 잘 곳을 미리 정하지 못한채라면
그 서글픔은 더해진다는걸
아마도 혼자 여행해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을거다
하지만
커피콩 한움큼을 책상위에 펼쳐놓았는데도
또, 반나절동안 양치질을 무려 세 번이나 해주었는데도
시들어버린 홍당무같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간단히 짐을 꾸려
터미널로 나가자.
거기엔,
적어도 나침반을 든채 길을 잃어버린 기분따위는 없을 것이므로.
영화속 설정 없이
딱히 목적도 없이
왜 지금 내가 훌쩍 가방을 꾸리는지
아마도 혼자 여행해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을거다
댓글 목록
썩은돼지
관리 메뉴
본문
이 사진이 마음에 안드는건 저 뒷통수가 아는 사람이라는 거부가 정보
산오리
관리 메뉴
본문
이 사진이 맘에 드는건 저 머리묶은 뒷태가 이쁘다는거...부가 정보
왼쪽날개
관리 메뉴
본문
이 사진이 맘에 드는건 저 노출 오버된 귓볼이 이쁘...퍽~ -_-;;;부가 정보
스머프
관리 메뉴
본문
이 사진이 맘에 드는건 '흑백사진' 이라는 거...부가 정보
새벽길
관리 메뉴
본문
이 사진이 맘에 안드는 건 위에 있는 분들이 맘에 들어하기 때문에... ㅌㄷㅌㄷ부가 정보
모임방
관리 메뉴
본문
이사진이맘에드는건.....내 바탕화면이기때문에...ㅋㅋㅋ
부가 정보
정양
관리 메뉴
본문
사진씨리즈 계속 올려보도록 하죠하하-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