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제목대로

98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5/07/14
    live8 by Paul McCartney
    HelterSkelter
  2. 2005/07/05
    라이브 8’ 콘서트 100만명 참가 대성황
    HelterSkelter
  3. 2005/06/22
    신중현 all
    HelterSkelter
  4. 2005/06/20
    게리 무어 파리
    HelterSkelter
  5. 2005/06/02
    the Beatles capitol years
    HelterSkelter
  6. 2005/05/27
    EMI는 비틀즈 최고의 컴필레이션 Rock 'N' Roll Music CD화를 허하라
    HelterSkelter
  7. 2005/05/27
    Beatles'66 Rubber Soul/Revolver
    HelterSkelter
  8. 2005/05/16
    cd 받아가랏
    HelterSkelter
  9. 2005/05/11
    비틀즈 앨범자켓의 비밀
    HelterSkelter
  10. 2005/05/08
    Rolling Stones
    HelterSkelter

live8 by Paul McCartney

라이브 8’ 콘서트 100만명 참가 대성황

http://music.aol.com/live_8_concert/live_now

live8live.com

http://music.channel.aol.com/live_8_concert/highlights

 

 

sir paul이 오프닝/피날레 주지 않으면 공연 참가 안하겠다고 반강제 협박을 해서 무대에 섰다더군... 폴경과 U2가 sgt.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복장으로 나와 라이브하는 모습 어떨지 정말 궁금하군 it was 20 years ago today... 이하 피날레 셑리스트

(사상 최초의 헤비메틀인 helter skelter는 어땠을 것이며 조지 마이클과 함께 한 The Long and Winding Road는?)

 

"Get Back, "Back in the USSR," "Drive My Car," a stinging version of "Helter Skelter," "The Long and Winding Road" and "Hey Jude," which featured many of the artists back on stage.

 

 

 

 

 

 
‘라이브 8’ 콘서트 100만명 참가 대성황
브래드 피트 “분노하자. 목소리를 높이자. 과감하자”
입력 :2005-07-03 11:50   런던·필라델피아·에든버러 = 로이터·AFP·AP·연합뉴스 
빈곤 퇴치를 촉구하기 위해 지구촌 4개 대륙 10개 도시에서 2일 일제히 열린 콘서트 '라이브8'에는 각국에서 100만명이 훨씬 넘는 청중들이 몰려 대성황을 이뤘다.

도쿄에서 가장 먼저 막이 오른 라이브8 콘서트는 시간대를 따라 런던과 파리, 로마, 베를린, 모스크바, 필라델피아, 요하네스버그, 배리(캐나다), 콘월(영국) 등지로 차례로 이어졌으며 특히 필라델피아에서는 100만명에 가까운 시민들이 공연장 주변 거리를 가득 메웠다.

이번 행사를 기획한 아일랜드의 록가수 밥 겔도프는 20만명이 운집한 런던 하이드파크 공연에 참석해 "더 이상의 변명은 필요없다"며 내주 스코틀랜드 G8(선진 7개국+러시아) 정상회담에 참석하는 각국 지도자들에게 아프리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마하트마 간디는 대륙을 해방시켰고 마틴 루터 킹은 인종을 자유롭게 했으며 넬슨 만델라는 국가를 해방시켰다. 그들이 모두 귀를 기울일 것이다"라고 역설했다.

AP통신은 지난 1985년 기아에 허덕이는 에티오피아 원조를 위해 라이브 콘서트를 기획, 기금 1억달러를 모았던 겔도프가 이번에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채무탕감과 원조확대, 공정거래에 대한 정치적인 압력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요하네스버그 공연에서 군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만델라 전 대통령은 각국 지도자들에게 다른 방법을 찾지 말고 망설이지 않고 헛된 약속이 아닌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라고 촉구한 뒤 "인간애의 말살을 피하는 건 바로 여러분들의 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아일랜드 록그룹 U2의 리드보컬 보노는 런던에서 비틀스 멤버였던 폴 매카트니와 함께 음반 '서전트 페퍼스 론리 하츠 클럽 밴드'로 공연을 시작해 팬들을 열광시켰으며 빈곤의 역사를 바꿔 새로운 역사를 만들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할리우드 스타 브래드 피트도 "분노하자. 목소리를 높이자. 과감하자"고 소리쳤다.

콘서트 참가인원은 베를린 15만명, 캐나다 배리 3만5천명, 도쿄 1만명 등으로 주최측은 집계했다.

한편 오는 6-8일 G8 정상회담이 열리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는 이날 빈곤퇴치를 주창하는 20만명의 시위대가 시내 거리에서 평화행진을 벌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아프리카 등지에서 수백만명의 생명을 파괴하고 있는 극심한 빈곤을 더 이상 참을 수 없다고 외쳤으며 이날 오후 에든버러에서 20만여명이 거대한 '인간 띠'를 만드는 이벤트를 연출했다.

고든 브라운 영국 재무장관은 에든버러에서 연설을 통해 빈곤과 싸움을 선언하면서 빈국들을 위해 채무 경감 확대와 지원 및 교역 개선을 약속했다.

브라운 장관은 "우리 시대 최대의 악을 없애기 위해 우리는 이 시대 최대의 도덕적 개혁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역설, 참가자들의 기립박수를 받았다.

한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이날 케이스 오브라이언 추기경이 대독한 메시지에서 빈국들에 대한 채무 경감과 함께 부유한 국가들이 세상의 가난을 줄여나가겠다는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에든버러 시위 참가자들과 G8 지도자들에게 자원의 좀더 공정한 분배를 강조하고 전세계에서 가난의 천형이 언젠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 데일리서프라이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신중현 all

 

 

 

* 신중현 (신중현)

신중현은 한국 록기타의 거성이다. 1943년 11월 13일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미8군쇼에서 ‘재키'라는 이름으로 활약하며 올맨 브라더스 등과 같은 곡들을 연주해 큰 호응을 얻어냈다. 그룹 에드 포(64) 이후 덩키스, 골든그레이브스, 더 맨(72) 등을 거쳐 이남이 등과 함께 74년 엽전들이라는 그룹을 조직했다. 그는 이 밴드에서 실험적이며 사이키델릭적인 하드록 사운드를 추구하며 한국 록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한편 이 기간동안 그는 박인수, 김추자, 장현, 이정화, 김정미, 장미리 등 많은 가수들을 발굴해 키워내기도 했다. 그러나 대마초 사건으로 인해 75년경 연예활동정지를 당하고 구속되고 말았다. 이때부터 그는 약 5년 동안 암흑 속에서 살아야만 했다. 그후 80년 11월 신중현은 뮤직파워라는 밴드를 이끌고 '아름다운 강산'을 크게 히트시켰다. 그리곤 83년 가을 이남이 등과 함께 세 나그네를 이끌고 전통적인 록 사운드를 연주했다.

그는 음악연주 및 공연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86년 이태원에 라이브 무대를 열었고 88년에는 ‘우드스탁'이라는 카페를 열기도 했다. 96년에는 여자들로만 구성된 기타스트라라는 일렉트릭 기타 위주의 대규모 밴드를 구성해 화제를 낳기도 했다. 그리고 얼마 전에는 그의 음악적 업적을 기리는 [A Tribute To 신중현]가 나와 다시 한번 한국 음악계에서의 그의 위치를 가늠하게 해주었다.

기타리스트로서 신중현은 벤딩기술과 비브라토를 독창적으로 잘 살리는 연주를 구사한다. 아마도 그의 벤딩들은 록기타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들만큼 개성적이며 특별한 것이다. 이것은 체구에 비해 유난히 손이 큰 그의 기이한(?) 신체적 조건과도 연관이 있어 보인다. 신중현 자신은 그러한 주법들을 국악적인 악기들에서 응용을 했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그는 블루스록 기타리스트이고 핑거링의 쓰임이 독특한 프레이즈를 연출하고 있다. 60년대 말엽에서 70년대 초반까지 그는 사이키델릭 하드록 기타를 추구했고 70년대 중·후반에는 블루스록을 연주했으며 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기타연주보다 어레인지나 곡만들기 등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사용장비
◇Fender Stratocaster(그는 오로지 펜더 기타만을 고집하는 펜더 매니아로 스트라토캐스터만 수십 여대 가지고 있다).
◇Marshall Amp

글/조성진



이달의 아티스트

살아있는 한국록의 연대기
신중현
(2000년 12월 13일)



무위자연 :: 1994/04
Body & Feel 2002/10/01
IN-A-KADDA-DA-VIDA (인.어.가.다.다.비.다.) (신중현 작품집) :: 2003/03/06
김삿갓 (재발매) :: 2003/12/23
김삿갓 1997
大韓民國樂音樂人 (4CD Set) :: 2002/04/26

 

 

  * 신중현 & 더 멘 ( )




거짓말이야 / 아름다운 강산 (신중현작품집) :: 2002

 

 

   * 신중현과 뮤직파워 (신중현과 뮤직파워)





신중현과 뮤직파워 1집 아름다운 강산 :: 1995/5
신중현과 뮤직파워 2집 내가 쏜 위성 :: 1999/1

* 신중현과 엽전들 (신중현과 엽전들)





신중현과 엽전들 1집 미인 :: 1994/7
신중현과 엽전들 2집 아름다운 강산 :: 1997/4
추상 (追想) :: 2003/02/12
1집 - 미인 : (1st Original Version) (신중현 작품집) :: 2003/09/02
연주곡 베스트 :: 1994/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게리 무어 파리

http://www.ultimate-guitar.com/tabs/m/moore_gary/parisienne_walkways_tab.htm

 

Get the most accurate Parisienne Walkways Tab by Moore Gary on the net @ Ultimate-Guitar.Com Parisienne Walkways Tab by Moore Gary
  Parisienne Walkways tab by Moore Gary
search for:    in   
  • submit your tab
  • submit your review
  • submit your article
  • FreshTabs - 0-9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Top100Tabs

    Parisienne Walkways Tab

     
    More: Moore Gary Tabs Comments / Print Tabbed by: Unregistered [11 votes]
    OTHER VERSIONS: [intro ver 1] [ver 2]
    Parisienne Walkways Tab by Moore Gary, www.Ultimate-Guitar.Com · Parisienne Walkways Tab @ 911Tabs.Com

    "Parisienne Walkways" by Gary Moore
    
     =====================================
    This tune means a lot to me, it was the first thing I learned to
    play on guitar. What's notated here is more an interpretation than
    a "note-for-note" transcription of a particular recording.
    Besides, I've never heard Gary play it the same way twice...
    Have fun!
    
    
                   [Repeat]
    ---------------------b---------------------------12---b---------b--------
    -------------------15(17)---15-13-12----------------13(15)----13(15)--13-
    ---------------------------------------14-12-10--------------------------
    --------------------------------------x----------------------------------
    -12/s--7/s---------------------------------------------------------------
    ------------8/s----------------------------------------------------------
    
    
    
    -------------------------------------------b-----------------------------
    -12--------h--p-----------15-13---10-12-12(13)---12-10-------------13-12-
    ----14---12-14-12--------------------------------------12--10-9----------
    ------------------12-14-----------------------------------------12-------
    -------------------------------------------------------------------------
    -------------------------------------------------------------------------
    
    
    [First Time]                                            [Second Time]
    ---------------------------------------------------     -----------------
    ----b----------------------------------------------     -----------------
    -14(16)---14-13------------------------------------     --13-14----------
    ----------------15---14-12-10----------------------     -----------------
    --------------------------------12/s---7/s---------     -----------------
    ---------------------------------------------8/s---     -----------------
    
    
    
    --------------b-------b---------------------b---------------b-------b----
    -14-15-17--18(20)--18(20)---18-18---12-13-13(15)--18-18---15(17)--15(17)-
    -------------------------------------------------------------------------
    -------------------------------------------------------------------------
    -------------------------------------------------------------------------
    -------------------------------------------------------------------------
    
    
    
    -------------b-------b-----------------------------b------b--------------
    ----12-13--15(17)--15(17)---15--15------------12-13(15)-13(15)-----------
    -14-------------------------------------13-14----------------------------
    --------------------------------------14---------------------------------
    -------------------------------------------------------------------------
    -------------------------------------------------------------------------
    
    
    [Play your favourite fast blues lick here....]
    -------------------------------------------------------------------------
    -12-12-13-12-10-12-10---10-----------------------------------------------
    ----------------------12--12-10-12-10---12-10--10------------------------
    -------------------------------------12------12--12-10-12-10--10---------
    ------------------------------------------------------------12--12-10-12-
    -------------------------------------------------------------------------
    
    
    
    -15-13------------------------------13--13-15-13--15--b-------------12---
    ---------12-13-15--12-13-15-12-13-15----------------15(17)--15-13-15--15-
    -------------------------------------------------------------------------
    -------------------------------------------------------------------------
    -------------------------------------------------------------------------
    -------------------------------------------------------------------------
    
    
                         [Pause for effect!....]
    ----------------------------------------b--------------------------------
    -13-15-16--13-12----------------------15(17)-----(feedback ad infinitum)-
    ------------------14-16--------------------------------------------------
    -------------------------------------------------------------------------
    -------------------------------------------------------------------------
    -------------------------------------------------------------------------
    
    
    
    ---------------------12-13--12-----b-------------------------------------
    -15-13-12-----------------15-----13(15)---13-12--------------------15-13-
    -----------14-12-------------------------------14--12---s--s--s----------
    ----------x------15----------------------------------12-/14/12/14--------
    -------------------------------------------------------------------------
    -------------------------------------------------------------------------
    
    
    
    -------------------------------------------------------------------------
    ---10-12-13--12-------------h--p-----13-12---------------12--------------
    -12-------------14-12---10-9-10-9-----------13-14---12-14--12------------
    ----------------------------------12-------------------------14----------
    -------------------------------------------------------------------------
    -------------------------------------------------------------------------
    
    
    
    -------------------------------------------------------------------------
    -----5-----------12------------------5-------13-15-15(17)15(17)(15)13-15-
    -5-7--5-----12-14--12---s--s-----5-7--5-----14---------------------------
    -------7--------------14/17/14---------7---14----------------------------
    -------------------------------------------------------------------------
    -------------------------------------------------------------------------
    
    [Don't stop, just soak up the vibe, dude!......]
    
    
    
    [Acoustic bit]
    -------0-----------0-----------1-----------1-----------1-----------1-----
    ---------1-----------1-------1---1-------1---1-------1---1-------1---1---
    -----2-----2-----2-----2---2-------2---2-------2---2-------1---2-------1-
    ---2-----------2---------0-----------0-----------------------------------
    -0-----------0-----------------------------------------------------------
    -------------------------------------------------3-----------3-----------
    
    
    
    -------0-----------0-----------1-----------1-----------1-----------0-----
    ---------1-----------0-------1---1-------1---1-------3---3-------0---0---
    -----0-----0-----0-----0---2-------2---2-------2---2-------2---1-------1-
    ---2-----------2---------3-----------3-----------0-----------2-----------
    -3-----------3-----------------------------------------------------------
    -------------------------------------------------------------------------
    
    
    
    -----------------------2----
    -------2-----------3-----2--
    -----2---2-----2-----4---2--
    ---2-------2-4---4-------2--
    -0--------------------------
    ----------------------------
    
    
    
    Craig Martin
    ======================================
    Compuserve: 100045,3402
      Internet: craigm@cix.compulink.co.uk
    ======================================
    
    #----------------------------------PLEASE NOTE---------------------------------#
    #This file is the author's own work and represents their interpretation of the #
    #song. You may only use this file for private study, scholarship, or research. #
    #------------------------------------------------------------------------------#
    #
    
    From: Malc Brookes <malc@malbro.demon.co.uk>
    Subject: TAB: Parisienne Walkways
    Date: Mon, 03 Nov 1997 21:57:22 GMT
    
    There is already a partial tab to this song on OLGA, but this is my
    own attempt at arranging the lead and rhythm parts together for one
    guitar, based on a tab I posted to r.m.m.g.t earlier this year.
    The key has been changed and there are one or two slight compromises
    to allow easier fingering, but on the whole I think it works well as
    an acoustic instrumental piece.
    
    Regards, Malc
    
    
    Parisienne Walkways by Phil Lynott and Gary Moore
    >From the album Back On The Streets by Gary Moore
    Tabbed by Malc Brookes (malc@malbro.demon.co.uk)
    
    
    Tuning:
    Standard, EADGBE.
    
    
    E|---------------------------|
    B|---------------------------|
    G|--------9----4----0------|
    D|---------------------------|
    A|---------------------------|
    E|-------12----7----3------|
    
    
        Em                          Am7
    E|--7---------5--------------|------------7-5------------|
    B|--------0-----8---7---5----|---------------------------|
    G|------0---0-------0---0-7--|--5-----5-----------5------|
    D|---------------------------|------5---5-------5---5----|
    A|----7-------7---7---7---7--|----7-------7---7-------7--|
    E|--0-----------0------------|--5-----------5------------|
    
    
        Am7add4                     G
    E|--5------------------------|------------5-3------------|
    B|------------8-7---5--------|--0------------------------|
    G|--------5-------------7-5--|--------0-----------0------|
    D|------5---5-------5---5----|------0---0-------0---0----|
    A|----5-------5---5---5---5--|----2-------2---2-------2--|
    E|--5-----------5------------|--3-----------3------------|
    
    
        Cmaj7                       Am/F#
    E|--3---------2-0------------|------------3-2------------|
    B|--------0---------3---1-0--|---------------------------|
    G|------0---0-------0---0----|--2-----2-----------2------|
    D|----2-------2---2---2---2--|------2---2-------2---2----|
    A|--3-----------3------------|----0-------0---0-------0--|
    E|---------------------------|--2-----------2------------|
    
        B7/F#                       Em
    E|--2------------------------|---------------------------|
    B|------------5-4------------|---------------------------|
    G|--------2---------5---4-2--|--0-----9----4----0------|
    D|------4---4-------4---4----|---------------------------|
    A|----2-------2---2---2---2--|---------------------------|
    E|--2-----------2------------|--0----12----7----3------|
    
    
        Em                          Am7
    E|--7---------5--------------|------------7-5------------|
    B|--------0-----8---7---5----|---------------------------|
    G|------0---0-------0---0-7--|--5-----5-----------5------|
    D|---------------------------|------5---5-------5---5----|
    A|----7-------7---7---7---7--|----7-------7---7-------7--|
    E|--0-----------0------------|--5-----------5------------|
    
    
        Am7add4                     G
    E|--5------------------------|------------5-3------------|
    B|------------8-7---5--------|--0------------------------|
    G|--------5-------------7-5--|--------0-----------0------|
    D|------5---5-------5---5----|------0---0-------0---0----|
    A|----5-------5---5---5---5--|----2-------2---2-------2--|
    E|--5-----------5------------|--3-----------3------------|
    
    
        Cmaj7                       Am/F#       B/F#
    E|--3---------2-0------------|------------3-2------------|
    B|--------0---------3---1-0--|------------------------4--|
    G|------0---0-------0---0----|--2-----2-----------4------|
    D|----2-------2---2---2---2--|------2---2-------4---4----|
    A|--3-----------3------------|----0-------0---2-------2--|
    E|---------------------------|--2-----------2------------|
    
        E           F#m/E           E
    E|--0------------------------|--0--|
    B|------------------------2--|--0--|
    G|--------1-----------2---2--|--1--|
    D|------2---2-------4---4----|--2--|
    A|----2-------2---4----------|--2--|
    E|--0-----------0------------|--0--|
    
    
                                    Am7
    E|--------------7-----/10----|--10--------8-8------------|
    B|--------9--10--------------|---------------------------|
    G|---------------------------|--------5-----------5------|
    D|---------------------------|------5---5-------5---5----|
    A|---------------------------|----7-------7---7-------7--|
    E|---------------------------|--5-----------5------------|
    
    
        Am7add4                     G/B         G
    E|--------------5-----8------|--8---------7-7------------|
    B|--------7---8--------------|--------0-----------0------|
    G|--------5-----------5------|------0---0-------0---0----|
    D|------5---5-------5---5----|----0-------0---0-------0--|
    A|----5-------5---5-------5--|---------------------------|
    E|--5-----------5------------|--7-----------3------------|
    
    
        Cmaj7                       Am7
    E|--------0---2-3----/7------|--7---------5-5------------|
    B|--------0-----------0------|---------------------------|
    G|------0---0-------0---0----|--------5-----------5------|
    D|----2-------2---2----------|------5---5-------5---5----|
    A|--3-----------3---------7--|----7-------7---7-------7--|
    E|---------------------------|--5-----------5------------|
    
    
        B7/F#                       Em
    E|--------------2-----5------|--5---------3-3------------|
    B|--------4---5--------------|--------0------------------|
    G|--------2-----------2------|------0---0----------------|
    D|------4---4-------4---4----|----2-------2-----2-----2--|
    A|----2-------2---2-------2--|----------------3-----4----|
    E|--2-----------2------------|--0-----------0-----0------|
    
    
        E                           Am7
    E|------------------13--12---|--10--------8-8------------|
    B|--------9-10-12-9---9---9--|--------5-----------5------|
    G|---------------------------|------5---5-------5---5----|
    D|--6-----6--7--9------------|----5-------5---5-------5--|
    A|--7------------------------|--0-----------0------------|
    E|--0------------------------|---------------------------|
    
    
        Am7add4                     G/B         G
    E|--------------5-----8------|--8---------7-7------------|
    B|--------7---8--------------|--------0-----------0------|
    G|--------5-----------5------|------0---0-------0---0----|
    D|------5---5-------5---5----|----0-------0---0-------0--|
    A|----5-------5---5-------5--|---------------------------|
    E|--5-----------5------------|--7-----------3------------|
    
    
        Cmaj7                       Am7
    E|--------0---2-3----/7------|--7---------5-5------------|
    B|--------0-----------0------|---------------------------|
    G|------0---0-------0---0----|--------5-----------5------|
    D|----2-------2---2----------|------5---5-------5---5----|
    A|--3-----------3---------7--|----7-------7---7-------7--|
    E|---------------------------|--5-----------5------------|
    
    
        F#/C#                       B           C
    E|--7------------------------|---------------------------|
    B|--------5---7-7-----5---5--|--7------------------------|
    G|------6---6-------6---6----|--------8-----------9------|
    D|----4-------4---4-------4--|------9---9-------10--10---|
    A|--4-----------4------------|----9-------9---10------10-|
    E|---------------------------|--7-----------8------------|
    
    
        B   (hold as long as possible)
    E|--7-----7~~~~~~~~~~~~~~~~~~|
    B|--7------------------------|
    G|--8------------------------|
    D|--9------------------------|
    A|--9------------------------|
    E|--7------------------------|
    
    
                                    Am7
    E|~~~~~~~~~~~~5--------------|------------7-5------------|
    B|--------------8---7---5----|---------------------------|
    G|------------------------7--|--5-----5-----------5------|
    D|---------------------------|------5---5-------5---5----|
    A|---------------------------|----7-------7---7-------7--|
    E|---------------------------|--5-----------5------------|
    
    
        Am7add4                     G
    E|--------5------------------|------------5-3------------|
    B|------------8-7---5--------|--0------------------------|
    G|--------5-------------7-5--|--------0-----------0------|
    D|------5---5-------5---5----|------0---0-------0---0----|
    A|----5-------5---5---5---5--|----2-------2---2-------2--|
    E|--5-----------5------------|--3-----------3------------|
    
    
        Cmaj7                       Am/F#       B/F#
    E|--3---------2-0------------|------------3-2------------|
    B|--------0---------3---1-0--|------------------------4--|
    G|------0---0-------0---0----|--2-----2-----------4------|
    D|----2-------2---2---2---2--|------2---2-------4---4----|
    A|--3-----------3------------|----0-------0---2-------2--|
    E|---------------------------|--2-----------2------------|
    
    
        Em          Am7             Em          C     Bm
    E|--0------------------------|---------------------------|
    B|--------0-----------1------|--------0------------------|
    G|----------0-------0---0----|----------0-------0--------|
    D|------2-----2---2-------2--|------2-----2---2-------4--|
    A|----2---------0------------|----2---------3-------5----|
    E|--0------------------------|--0-----------------7------|
    
    
        Em          Am7             Em          C     Bm
    E|--0------------------------|---------------------------|
    B|--------0-----------1------|--------0------------------|
    G|----------0-------0---0----|----------0-------0--------|
    D|------2-----2---2-------2--|------2-----2---2-------4--|
    A|----2---------0------------|----2---------3-------5----|
    E|--0------------------------|--0-----------------7------|
    
    
        Em
    E|-------0-------------------|
    B|------0--------------------|
    G|-----0---------------------|
    D|----2----------------------|
    A|---2-----------------------|
    E|--0------------------------|
    
    
    
    » Get More [Parisienne Walkways Tabs by Moore Gar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he Beatles capitol year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EMI는 비틀즈 최고의 컴필레이션 Rock 'N' Roll Music CD화를 허하라

     

     

    [제생각은...] EMI는 비틀즈 최고의 컴필레이션 Rock 'N' Roll Music CD화를 허하라
    글쓴이 : 정유석
    조회 : 60   스크랩 : 0   날짜 : 2003.09.13 03:13

    드디어 샀다. 비틀즈 최고의 컴필레이션 Rock 'N' Roll Music double LP
    http://aboutthebeatles.com/discography_lp_rocknrollmusic.html

    auction.co.kr의 모회사인 ebay.com에서 길목만 지키고 기다리다가
    비틀즈 최고의 컴필레이션인 Rock 'N' Roll Music(Vol.1&2)를 경매 마감 15분전에 운송료까지 토탈 단돈 10불에 배팅(bidding)해서 샀다.
    그토록 갖고 싶었던 것을 쥐게 됐으니 올해 남은 일들도 모두다 잘풀리기를...

    주지하는 바대로 자타가 공인하는 비틀즈의 최고 컴필레이션은 바로 이 Rock 'N' Roll Music 앨범이다.
    프로듀서 조지 마틴이 손수 선곡했으며 별도의 스테레오 리믹스 작업을 거쳤다고 한다.
    76년 최초 발매되어 빌보드 앨범차트 2위까지 올라갔으며
    리볼버 발매 10년후 지각 싱글컷된 Got To Get You Into My Life/ helter skelter 또한 빌보드 싱글차트 7위까지 올랐다
    (모르긴 몰라도 만약 66년 활동기때 발매되었으면 1위도 차지했으리라).
    http://aboutthebeatles.com/discography_singles_gottogetyouintomylife.html (url을 copy n paste해서 보시오)

    76년 최초반은 더블 앨범 발매였으나 80년에는 커버가 바뀌며 vol 1 & 2로 분리되었다. 아마도 재킷의 수정은 존레넌의 불만이 반영된듯하다.
    http://aboutthebeatles.com/discography_lp_rocknrollmusic1.html (url을 copy n paste해서 보시오)


    국내에서는 vol 2가 수정된 멋진 재킷으로 80년대 후반에 발매되었다.
    비록 최고의 금지곡이었던 존의 Revolution과 폴의 Back In The U. S. S. R.등 화이트앨범 원작은 누락되었으나(군바리 개새끼들! 무식한!)
    의사민주화 이후 해금 조치에도 불구하고 오아시스에서 계몽사/EMI로의 지난하고 짜증나던 배급사 변동 과정을 감안시
    고등어 시절 필자가 이 앨범이나마 먼저 접하게 된 것은 커다란 행운이었으며 나름대로 목마름에 대한 해갈이었다.

    설래임과 쇼킹함 속에서 현대 헤비메탈의 하나의 이정표인 Helter Skelter를 처음 접했으며
    연결되다가 끊어지다가 연결되다가 끊어지다가 리듬이 매력적인 조지의 Taxman,
    폴의 완벽한 작곡 솜씨를 보여주는 Got To Get You Into My Life,
    그리고 존의 걸출한 롹커 Hey Bulldog 등에서 조지 마틴 직접 선곡의 빛이 발했으며 모두 최고였다. 역시 비틀즈였다.
    I'm Down같은 곡은 Help 싱글 뒷면말고서는 어디에서 수록된 적이 없었기에 이 앨범이 아니었으면 당분간 듣기 힘들었을 것이다.

    필자가 이번에 취득할 버젼은 vol 1&2 완작으로 I Saw Her Standing There, Twist And Shout등 초기곡부터 해산직전의 Get Back까지 전시기에서 걸쳐 록큰롤 위주로 선곡되었다.
    AABA? 문법의 전형적인 미국식 록큰롤들 위주로 담은 관계로 초기곡들은 미국 록큰롤 고전의 커버버젼 중심으로 되어있다.
    (원래 비틀즈의 장기는 록큰롤의 테두리에서 리듬앤블루스, 컨츄리앤웨스턴 등 모든 장르를 망라하여 퓨젼믹스하는 것이 아니던가!
    그런 성향의 곡들보다 스트레이트한 정통 록큰롤 위주로 채워져있다는 말이다.).

    이 척박한 문화 3세계 후진국에서 비틀즈가 무슨 발라드 카페촌 밴드로 인식되고 있음은 참으로 유감이다. 아마도 발라드 등의 컴필레이션이 먼저 발매되어 선점한데 기인했으리라. 5대명반등 정규앨범이 아닌 컴필레이션부터 기형적으로 먼저 공개된 것 자체가 비극이었으며 최소한 주옥같은 금지곡 명곡들이라도 간헐적으로 공개되거나 이 앨범이 먼저 공개되기만 하였더라도 현재의 국내 세인의 평은 180도 달라졌을 것이다
    (다시한번 강조한다. 무식한 군바리 새끼들! 문화예술에 대해서는 일말의 이해도 없으며 오로지 일사불란함만을 강조하는... 전세계에 15억장 레코드를 판 밴드에 대한 예우가 아니다. 15억장이면 전세계 60억 인구의 1/4이란 말이다!
    "세상에는 비틀즈를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단지 비틀즈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만이 있을 뿐이다!").

    필자는 지금도 참 여전히 궁금하다. 본사는 왜 컨텐츠나 상업적으로나 모든 면에서 검증된 이 편집반을 여태껏 CD화 하지 않는지를...(조지마틴이 손수 선곡했단 말이다!)
    사실 수백종의 비틀즈 컴필레이션 중에 EMI에서 CD화하는 것은 극소수이기는 하지만
    최소한 이 앨범의 내용물은 73년 alpha/omega 해적판 컴필레이션에 대응하기위해 졸속으로 만든 62-66, 67-70에 비해서는 훨씬 충실하다
    (정말 개인적으로 지금이라도 62-66, 67-70 레드/블루 앨범의 졸속 선곡은 재조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처럼 one 컴필레이션 후속작이 기약도 없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이 앨범이라도 80년 수정된 커버에 Vol.1&2 한장에 묶어 CD화 할 것을 영국 EMI 본사에 탄원이라도 내야겠다. 동/참/하/라
    이하에 87년 당시 오아시스 발매반 앨범 속지 다시 붙인다.
    (솔직히 BBC live 발매로 이 앨범의 의의가 다소 퇴색된 측면은 있다. 즉 BBC는 Anytime At All을 제외한 초기 전곡을 담고 있으며
    나아가 Sweet little sixteen, Johnny B goode 등 기타 록큰롤 고전들까지도 담고있다)

    ps
    필자도 존과 같이 76년 커버에 거부감이 있어 배송물이 도착하면 국산 vol.2 커버(80년)를 대체하여 잘 붙여봐야겠다.
    집에 턴테이블이 모터가 고장나서 듣기는 힘들 것 같다. 그러나 비틀즈 LP는 큼직허니 앞에 쭉 펼쳐놓고 보기만 해도 기냥 배가 부른 것이다(특히 5대명반 LP 쭈욱---).
    이제 별도로 rubber soul만큼(또는 그보다 더) 커버가 아름다운 beatles for sale과 일종의 문화현상이었던 meet the Beatles LP를 따로 수배해봐야겠다.
    (실제로 이 두장은 평론가를 선정하는 5대명반에 이은 초기 걸작 앨범들이기도 하다.)

    이참에 턴테이블도 고쳐야겠다. 비틀즈의 사운드는 특히 LP로 들어야 한다. 카트리지 마찰에 의한 다이나믹한 비틀즈 사운드!
    사실 우리가 듣는 CD사운드는 임의적으로 편집되고 잘린 사운드에 불과하다.
    LP의 그 풍성한 아날로그 음량을 CD에 빠짐없이 담으려면 현 74분 CD가 10장이 소요될지 20장이 소요될지 예측이 안된다.
    (74분 capa의 기준 자체도 단지 최초에 카라얀 교양곡을 한번에 담으려는 인위적 설정에 불과했을 뿐).

    비틀즈 초기4장을 모노로 한정한 것은 졸속결정의 사기에 불과하다.
    물론 4장의 오리지날이 모노믹스였으며 비틀즈는 모노로 들어야 제맛이라는 당사자 및 골수들의 지지가 있으나
    그것은 단지 극소수설일뿐이며 LP시대에만 통용될 수 있는 얘기다. 이 초기4장에 대해 정부 문제를 떠나 모노/스테레오의 선택권은 보장되어야 한다.
    사실 스테레오 버젼이 새로 나와도 까짓거 투덜투덜 거리며 누구나 4장 다 다시살 의향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the Beatles... Rock 'N' Roll Music

    Vol.1


    I Saw Her Standing There* 폴
    Twist And Shout 존
    You Can't Do That* 존
    I Wanna Be Your Man* 링고
    I Call Your Name* 존
    Boys 링고
    Long Tall Sally 폴
    Rock And Roll Music 존
    Slow Down 존
    Kansas City/Hey Hey Hey 폴
    Money (That's What I Want) 존
    Bad Boy 존
    Matchbox 링고
    Roll Over Beethoven 조지


    Vol.2

    Dizzy Miss Lizzie 존
    Anytime At All* 존
    Drive My Car* 폴
    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 조지
    Night Before* 폴
    I'm Down* 폴
    Revolution* 존
    Back In The U. S. S. R.* 폴
    Helter Skelter* 폴
    Taxman 조지
    Got To Get You Into My Life* 폴
    Hey Bulldog* 존
    Birthday* 폴
    Get Back* 폴

    * Lennon/McCartney 작사작곡



    R'N'R MUSIC VOL.2(오아시스)

    비틀즈가 새로 탄생되었다. 그들은 신화속에서만 살아있는 그룹이 아니라 영원히 존재하는 록큰롤의 가장 위대한 이름으로서 컴팩트 디스크(CD)시대에 와서도 빛을 발하고 있는데 현재 캐피틀 레코드사 (비틀즈의 미국 발매원)는 데뷔앨범 'Please Please Me'에서부터 4집인 'Beatles For Sale'까지 모두 CD로 출반하여 CD차트 1~4위 (87.3.21일자)를 모두 휩쓸만큼 세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실로 60년대 중반 비틀즈의 전성기를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비틀즈이 모든 앨범은 CD로 속속 출반할 것이라니 그들의 명성은 다시한번 팝계를 주목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국내에는 본격적인 CD시대가 도래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감으로 느껴지지 않을 것이나 오아시스 팝스기획에서 지난 4월에 기존의 블랙 레콘로 공개한 4집이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음에 힘을 얻어 1~3집 역시 출반을 서두르고 있으며, CD로 소개되는 비틀즈의 앨범가운데 국내에 공개되지 않았던 레코드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한 모두 선보일 것이다.

    기실 오아시스 팝스기획에서는 오래전부터 비틀즈의 음반을 재정리하며 미공개 레코드의 출반을 계획하여 왔는데, 본 바닥에서 CD출반으로 조성된 열기는 반가운 동조자가 되어주었다. 국내에 미공개된 비틀즈의 앨범 가운데 'Beatles For Sale'에 이어 2번째로 공개되는 본 앨범 'Rock 'n' Roll Music Volume 2'는 계속되는 새로운 비틀즈의 붐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단단히 해낼 것이 틀림없다. 주옥같은 그들의 작품이 있기에 물론이려니와 그밖의 설득력있는 이유로, 재킷 사진이 한마디로 멋있다는 점이다. 수많은 비틀즈의 앨범가운데 재킷만으로도 그 진가를 인정받을 작품이라면 'Beatles For Sale'과 본 앨범이다. 오늘날 틴에이저들은 그들의 우상으로 아하, 듀랜 듀랜, 왬같이 꾸며지고 다듬어진 용모의 그룹을 손꼽는다. 그렇지만 위 두앨범에서 꾸밈없는 단발머리의 비틀즈를 보라. 비틀즈를 최근의 우상들과 비교함은 여러모로 잘못된 것이겠지만 그들의 수수한 차림새와 그들이 빚어낸 환호를 연상하면 벅찬 감동이 와닿는다. 저 유명한 "생일"(Birthday)는 지금까지 국내에 공개된 앨범속에 는 삽입되어 있지 않았던 관계로 원반이나 해적판을 뒤적거려야 했는데, 이 앨범의 등장과 함께 그러한 문제를 해소하게 되었다. 또한 앞으로 국내에 공개될 앨범들의 몇몇 곡을 담고 있어서 그 예고편의 가치를 지닌 앨범이라고도 할만하다. 더구나 비틀즈의 섬광이 극치에 달했던 명반, 'The Beatles'(일명 화이트 앨범)의 삽입곡중 3곡 ("Back In The U. S. S. R", "Helter Skelter", "Birthday", "Revolution"?)의 발췌되어 실린것도 주목할만 하다.

    앨범의 A면은 존이 절규하는 보컬과 조지의 리드기타가 끊임없이 대화하는, 제목 그대로 어지러울 정도의 록큰롤 "철없는 리지양"(Dizzy Miss Lizzie)로 시작되어 (이곡은 50 년대의 스타이며 비틀즈에게 영향을 준 래리 윌리엄즈의 대표작임) 'Something New'('64.7: 미국에서 발매된 4집-영국 A Hard Day's Night OST)앨범에 삽입되었던 밝고 신선한 리듬의 "언제라도"(Any Time At All), 폴의 베이스가 일품이며 그의 재능이 잔뜩 배어있는 "나의 차를 운전해요"(Drive My Car), 드럼과 기타가 인상적인 퍼킨스의 오리지널 "모두가 내 애인이 되길 원해"(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등으로 이어지고 백하모니가 느긋한 "전날밤"(The Night Before)과 "나는 실의에 빠졌어요"(I'm Down)로 끝이난다.
    B면은 80년대 헤비메틀을 예고했던 "미끄럼틀"(Helter Skelter)로 시작되어 (머틀리 크루가 그들의 두번째 앨범 'Shout At The Devil'('83)에 이곡을 Cover Version으로 삽입), 제목 만큼이나 코믹하고 풍자적인 "세금징수인"(Taxman), 바늘같이 예민하게 삽입된 브래스 섹션이 일품인 " 당신과 함께"(Got To Get You Into My Life), 존의 키보드로 시작되어 전 멤버들의 완벽한 호흡일치를 보여주는 "불독"(Hey Bulldog), "Ob-La-Di, Ob-La-Da"와 함께 화이트 앨범에서 가장 매력적인 넘버이자 비틀즈의 코믹한 세계를 잘 나타내고 있는 "Birthday"로 이어져 어느 한곡도 그냥 흘려버리지 못할 백미가 펼쳐진다. 69년부터 비틀즈의 해산설이 끈질기게 나도는 와중에 70년 5월에는 "돌아와요"(Get Back)가 담긴 최후의 앨범 'Let It Be'가 공개되었다.
    다시 돌아올 수 없는 비틀즈의 "Get Back"을 듣는 가운데 미증유(未曾有)의 기록으로 팝 사(史)에 찬연히 빛나고 있는 그들을 기념하거나, 편집한 음반들이 시공(時空)을 무시한 채 세계 곳곳에서 기획 또는 발매되고 있음을 상기하면서, 1976년에 공개되었던 편집음반 'Rock 'n' Roll Music, Volume 2'의 이야기를 끝내려 한다.

    이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은 비틀즈의 농축된 재능이 하나의 불가사의로 이루어낸 명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67.6)가 등장한지 꼭 20주년이 되는 해(달)이어서 본 앨범의 자켓과 함께 60년대로 돌아간 기분이다.

    <오아시스 팝스기획 : 87.6 김방섭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Beatles'66 Rubber Soul/Revolver

    http://www.youtube.com/watch?v=ex5BW8abTdw&search=beatles

    [MV] The Beatles: Paperback Writer / Rain

    Watch this video with our new Video Player

    The Beatles: Rain

    Watch this video with our new Video Player

     

     

    요번에는 비틀즈의 5대 명반 중 2장 되겠다. 초기 비틀즈가 후기 비틀즈로 도약하는 과정의 양대 명반이다. 앨범과 동시에 발매된 싱글까지 다 넣었더니 32트랙의 대작이 되었다. 직전 크리스마스 발매되는 등 모두 66년을 대상으로 한 앨범이다. 2년전 타계한 리드 기타리스트 George Harrison은 살아생전 두장이 volume 1 & 2라고 하였다. 그러나 Rubber Soul의 포크적 감성은 전작인 Help OST에 연장 선상이며 Revolver의 전자 사운드 지향은 이후 Sgt.Pepper 앨범의 가교적 역할에 가깝다. 전자가 따뜻한 느낌인 반면 후자는 차가운 사운드이다.

     

    이 앨범들로 비로소 비틀즈는 가수에서 아티스트로 도약하게 되었다. 사실 비틀매니아 리버풀 비트의 초기 4장의 앨범들도 흑인의 리듬앤블루스, 백인의 컨츄리앤웨스턴 등 모든 장르를 록큰롤의 범주 안에 획기적으로 melting시킨 공로를 인정받아야 하지만 이제 양 명반은 본격적으로 감상을 위한 앨범을 지향한다(당 앨범에 자극 받아 나온 명반들이 Rolling Stones의 Aftermath, Beach Boys의 Pet Sounds 등이다. 그러나 다음에 비틀즈가 Sgt.Pepper 앨범을 또다시 내자 비치 보이즈의 리더 브라이언 윌슨 심각한 신경쇄약에 빠졌단다).

     

    이러한 변화의 동력은 우선 밥딜런과의 만남이다. 이제 레넌은 본격적으로 의미있는 가사쓰기에 경주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비틀즈는 마리화나같은 마약을 배웠다. 앨범에 나타나는 몇곡의 초현실적인 분위기는 그러한 반영이다.

     

    특히 존레넌의 경우 65년 그리스도 발언으로 큰 상처를 입었다. 기독교를 안믿는 사람들도 비틀즈를 듣는다. TV같은 대중 매체는 기독교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 Beatles is more popular than Jesus라고 한 발언이 미국 극우수구 기독교 분자들인 KKK (aka White Angel)에 의해 매도되며 미국에서 레넌을 적그리스도로 몰아갔다. 자신의 진의와 와전된 멘트에 대해 결국 강제적으로 사과하는 과정에서 레넌은 크게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다. 자신의 성공과 비틀즈에 대해 회의에 빠지게 되었다(자전적인 Nowhere man의 가사를 보라).

     

    공연장에서의 반응도 비틀즈를 스튜디오 지향적으로 만들었다. 틴에이져 소녀들은 공연장에서 비틀즈가 무슨 노래를 부르는지도 2차적 관심이며 오로지 함성만 질러댔다. 이러한 분위기가 비틀즈를 더욱 스튜디오로 몰아넣었다(사실 사상 최초로 후반부에서 테잎 역회전 효과를 도입한 Rain(링고의 드럼이 돋보이는 최고의 싱글 B면곡)이나 이를 전면화한 Tomorrow never knows는 당시 기술로는 공연에서 재연할 수도 없는 것이었다. 복잡해져가는 악기 편성도 그렇고). 결국 66년 여름 비틀즈는 향후 더 이상 공연을 안하기로 결정한다. 비틀즈의 마지막 (비공식)공연은 69년 1월 을씨년한 날씨에 런던 애플 옥상 게릴라 컨서트 해프닝이 마지막이다.

     

    곡에 대한 구체적인 해설은 아래 창고닷컴 링크를 클릭해 보기를 바라며 특이한 곡들을 몇가지 제시해 보자면 Rubber Soul 3번째 트랙인 You won't See Me는 대위법적 화성 작곡으로 호평받았으며 the word는 완벽한 혼연일체의 화음을 들려준다. 10대때 존의 미완성곡 What Goes On에 링고가 처음으로 작곡에 참가했으며 전작 Help 앨범에서 누락곡되었다가 기사회생한 Wait은 여전히 날카롭고 세련된 록큰롤을 들려준다.

     

    Rubber Soul에 수록된 조지의 두곡도 상당한 퀄러티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음 앨범 Revolver에서 조지는 무려 3곡이나 자작곡을 수록하였다. 전작의 '노르웨이 가구'에서의 인도악기 citar 도입은 Love you to에서 raga rock으로 전면화된다.

     

    Rubber Soul 앨범에서 가장 뛰어난 곡은 마력적인 존의 음성의 Girl이며 반면 가장 떨어지는 곡은 폴의 I'm Looking Through You가 아닌가 싶다. 반면에 Revolver 앨범에서는 폴의 5곡 전곡이 마스터피스이다(링고 보컬의 Yellow Submarine까지 여섯곡). Yesterday를 업그레이드한 Eleanor Rigby에서 폴은 완벽한 클래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최고의 백미은 Here, There And Everywhere이다. 가장 후진곡은 마약상에 관한 존의 Doctor Robert라는 것이 사견인데 반면 And Your Bird Can Sing, She Said She Said, Tomorrow Never Knows 등을 통해서 롹 진영은 존의 음악에 더 열광했다(비틀즈 곡 중에서 최고의 기타 리프로 인정받는 곡들은 And Your Bird Can Sing, Day Tripper, Helter Skelter 화이트앨범 중 조지의 While my guitar gently weeps의 에릭 클랩튼 기타 솔로 등이다. 개인적으로는 싱글 버젼이 아닌 앨범 버젼의 Let it be 조지의 기타 솔로를 좋아한다).

     

    차트 흥행 기록을 보면 양 앨범 공히 영/미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Rubber Soul 앨범중 싱글컷 Nowhere Man이 차트 3위를 차지했는데 만약 이곡마저 1위를 했다면 비틀즈는 i feel fine부터 Paperback Writer까지 8연속 싱글 1위를 기록했을 것이다ㅠ.ㅠ Revolver 앨범 중 싱글컷 Yellow Submarine는 미국 빌보드 2위까지 올랐다.

     

    비틀즈 해산후 Stars on 45가 리바이벌한 Rubber Soul 앨범의 오프닝 Drive my Car가 차트 1위에 올랐다. Earth Wind Fire가 리바이벌한 Revolver 앨범의 브라스롹 Got to get you into my life 또한 차트 1위에 올랐다. 당시 비틀즈 원곡이 1위를 차지하지 못한 이유는 단지 싱글컷을 안했기 때문일 뿐이다.

     

     

    당 앨범을 들은 다음

    69년 말 해산 직전 밴드의 음반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Abbey Road 앨범을 반드시 사기를 바란다. 시냇물처럼 투명한 조지의 Here comes the sun, 존과 요꼬의 Beethoven 월광 소나타 역회전의 3화음으로 오프닝을 연후 opera medly가 압권이다. 좌우간 숙달된 조교의 지도는 계속된다. 쭈욱~~~

    (놀랍게도 이 두장 Rubber Soul/Revolver은 내가 가장 마지막으로 들은 비틀즈의 정규 앨범이다. 비틀즈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에 있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처음 들었을 때 Tomorrow Never Knows의 충격이란 다음작의 타이틀곡 Sgt.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을 들었을 때의 충격만큼 대단한 것이었다)

     

     

     

    (65/12)

    01 Day Tripper (single A) 존
    02 We can work it out (single A)  폴


    03   Drive My Car  폴
    04   Norwegian Wood  존
    05   You won't See Me  폴
    06   Nowhere Man (single A)  존
    07   Think For Youself  조지
    08   The Word  존
    09   Michelle  폴
    10   What Goes On (single B) 링고/존
    11   Girl 존
    12   I'm Looking Through You 폴
    13   In My Life 존
    14   Wait 존&폴
    15   If I Needed Someone 조지
    16   Run For Your Life 존

    (66/8)

    17 Paperback Writer (single A) 폴
    18 Rain (single B) 존


    19   Taxman 조지
    20   Eleanor Rigby (single B) 폴
    21   I'm Only Sleeping 존
    22   Love You To 조지
    23   Here, There And Everywhere 폴
    24   Yellow Submarine (single A) 폴 작곡/링고 보컬
    25   She Said She Said 존
    26   Good Day Sunshine 폴
    27   And Your Bird Can Sing 존
    28   For No One 폴
    29   Doctor Robert 존
    30   I Want To Tell You 조지
    31   Got To Get You Into My Life 폴
    32   Tomorrow Never Knows 존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3440&a_genre=100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56481&a_genre=100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3096&a_genre=100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3080&a_genre=100

     

    > Rock / Metal > 앨범상세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3095&a_genre=2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Rubber Soul

    제작사 : EMI
    발행일 : 1965/12
    장르 : Rock / Metal
    형태 : 1 CD
    수입품
    ▒ 죄송합니다.
        현재 재고가 없습니다.
    Wish List
                              01   Drive My Car
                              02   Norwegian Wood
                              03   Youwon' T See Me
                              04   Nowhere Man
                              05   Think For Youself
                              06   The Word
                              07   Michelle
                              08   What Goes On
                              09   Girl
                              10   I'm Looking Through You
                              11   In My Life
                              12   Wait
                              13   If I Needed Someone
                              14   Run For Your Life

                               

                              > Rock / Metal > 앨범상세

                               

                              http://www.changgo.com/changgo/n_detail.al_view?a_album=3438&a_genre=2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Revolver

                              제작사 : EMI
                              발행일 : 1966/08
                              장르 : Rock / Metal
                              형태 : 1 CD
                              ▒ 죄송합니다.
                                  현재 재고가 없습니다.
                              Wish List
                                                        01   Taxman
                                                        02   Eleanor Rigby
                                                        03   I'm Only Sleeping
                                                        04   Love You To
                                                        05   Here, There And Everywhere
                                                        06   Yellow Submarine
                                                        07   She Said She Said
                                                        08   Good Day Sunshine
                                                        09   And Your Bird Can Sing
                                                        10   For No One
                                                        11   Doctor Robert
                                                        12   I Want To Tell You
                                                        13   Got To Get You Into My Life
                                                        14   Tomorrow Never Know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cd 받아가랏


                                                         

                                                        연수야, 비틀즈 cd 받아가랏-1. 파란 시디


                                                        2장의 시디가 준비되어 있다. 수령은 나중에 할지라도 일단 설명부터 한다. 먼저 나의 설명 그담에 음반사 부클렛 설명이다.


                                                        일단 파란 시디부터 먼저 듣도록 한다.

                                                         

                                                        Beatles 파란 시디 1 plus

                                                        99년 크리스마스 때 발매된 21세기형 히트곡집이다. 본시디에는 영국 1위곡 20곡, 미국 빌보드 1위 싱글 20곡 해서 총 28곡의 영미 1위곡이 수록되어있다. 2000년도 한해에만 미국에서 900만장 이상 팔렸으며 우리나라에서도 50만장 이상이 팔린 베스트 셀러이다.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도 받았다(세상에 해산한게 몇 년인데).


                                                        비틀즈는 당연히 5대 명반을 들어야겠으나 이 음반은 아직 개념이 탑재되지 몬한 초심자에게 좋은 컴필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당시 공개된 싱글이 동시에 발매된 앨범 컨셉의 표본이라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로 비틀즈 5대 명반

                                                        65 아마도 가장 위대한 명반 Rubber Soul(19)

                                                        66 록 역사상 가장 혁명적인 앨범 Revolver(14)

                                                        67 비틀즈의 농축된 재능이 만들어낸 불가사의 Sgt.Pepper's-(1)

                                                        68 비틀즈의 섬광이 극치에 달한 명반 white album(8)

                                                        69 해산 직전 그룹이라고는 도저히 믿을수 없는 음반 Abbey Road(9)


                                                        기타 모든 앨범들이 서양 롹 역사에 있어서 모두 시금석이다. 영화 패닉룸을 보면 당뇨병에 지쳐 쓰러져 가는 딸에게 조디 포스터는 비틀즈의 모든 앨범을 순서대로 외우게 한다)


                                                        이하 수록곡을 소개한다(앞으로 사상 최초라는 레토릭이 지겹게 등장할꺼다. 그러나 사실이다).

                                                        1. Please Please Me : 62년말 싱글 Love Me Do로 데뷔한 비틀즈의 2번째 싱글로 63년초 영국 차트 1위곡이다. 이곡으로 비틀즈는 영국을 정복하게 된다. 물론 동명의 데뷔 앨범도 63년 내내 계속 영국 앨범 차트 석권(비틀즈 초기 음악의 특징은 흑인의 리듬앤블루스, 백인의 컨츄리앤웨스턴 등 온갖 종류를 비틀즈 작곡 롹 형식으로 전부 끌어들이는데 있다)


                                                        2. From Me To You : 63년중 비틀즈의 3번째 싱글로 영국 및 유럽에서의 인기 굳히기 곡이다. 7주 1위


                                                        3. She Loves You : 4번째 싱글로 선 주문 31만장에 영국 판매량 160만장 기록했으며 63년 중반 영국 및 유럽을 석권한 곡이다. 이로써 Beatlemania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64년 미국 진출후 빌보드 1위... 트레이드 마크 예! 예! 예!  놀라운 작곡


                                                        4. I Want To Hold Your hand : 역사적 싱글로 비틀즈의 5번째 싱글. 63년말 영국에서 'She Loves You'의 바통을 이어받아 정상을 차지했고(선 주문이 무려 94만장) 64년 미국의 최초 1위곡이다. 갑자기 한옥타브 상승하는 작곡이 독창적이다. 영국에서는 동시에 발매된 2집 With the Beatles 또한 데뷔작 Please Please Me를 누르고 앨범 차트 정상에 등극한다(원래는 이 곡 대신에 With the Beatles 앨범의 첫곡인 It Won't be Long을 싱글 컷하려고 했다 함).


                                                        5. Can't Buy Me Love : 64년 4월 4일 동시에 영/미 차트 정상을 점령. 작곡자인 폴이 단독으로 부른다. 비틀즈는 64년 4월 4일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대기록을 세우는데 하루 차트 100위권 안에 비틀즈의 노래가 9곡이 랭크되었으며 1-5위까지 모두 비틀즈였다. 또한 7주를 1위 차지한 I Want To Hold Your hand를 끌어내린 곡은 바로 She Loves You였으며(2주 1위) 이를 끌어 내린 곡 또한 Can't Buy Me Love로 비틀즈는 14주 연속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의 대기록을 세운다(이 기록은 1990년대 위트니 휴스턴의 I will always love you, 보이스 투 맨의 end of the road가 15주 연속 1위로 갱신된다).


                                                        6. A Hard Day's Night : 비틀즈 주연의 동명 영화 삽입곡으로 역시 동시에 영/미 차트 1위를 차지. 작곡자 존 레논의 더블 트랙 보컬이 특징. 영화는 영국 노동 계급 청년들을 잘 그려냈다고 호평받았으며 3집 OST 앨범 A Hard Day's Night은 최초로 Lennon-McCartney 작곡 컴비의 자작곡으로만 채워진 앨범이다.


                                                        7. I Feel Fine : 1964년 겨울 크리스마스 싱글로 이곡과 싱글 B면곡인 폴의 She's A Woman이 연말 차트에 올라 비틀즈는 한해 30곡을 차트로 올리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곡 I Feel Fine의 기타 피드백은 살아생전 레넌이 그렇게 자랑해마지 않았듯이 녹음 역사상 최초의 것이다. 또한 이곡의 연주도 멀티 기타 더빙에 기반해 있다. 아아 블루 노트의 도회적 세련미...


                                                        8. Eight Days A Week : 크리스마스 4집 앨범 Beatles for Sale 중의 1위곡. 폴의 작곡인데 존이 리드 보컬을 맡은게 특이하다. 전형적인 초기 비틀즈 롹 패턴 작곡이다. 이 시기 비틀매니아 열풍에 당사자 주인공들은 완전히 Knock Out된다(Beatles for sale 앨범은 가장 아름다운 커버 아트의 앨범으로 알려져 있는데 얼굴들에 피곤한 기색이 역력하다).


                                                        9. Ticket To Ride : 중기 비틀즈를 알리는 묵직한 사운드의 곡으로 링고의 드럼 테크닉이 뛰어나다(실제 이곡은 모든 드러머들이 좋아하는 곡이기도 하다). 작곡자 존은 이 곡의 헤비 메틀의 원형이라고 자랑스러워 했는데 65년 중순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오바다.


                                                        10 Help! : 비틀즈 영화 제2탄의 타이틀 송으로 여름을 강타했다. 비틀매니아 열풍에 지친 존은 이곡을 자전적인 애절한 블루스 곡으로 만들고자 했으나 싱글 발매 스케쥴에 쫓겨 결국 롹으로 편곡했다. 그 염원은 80년 존의 암살 후 티나 터너의 헌정을 통해 실현되는데 작곡 자체를 원채 잘해서 어느 버전에서나 빛을 발한다. independence, insocure 등 3음절 이상의 단어들이 등장하며 밥딜런의 영향을 받은 존의 사색적 가사쓰기로의 변화의 시도를 잘 보여주는 곡이다(65년 중반 비틀즈 5집 Help 앨범은 ticket to ride, help, yesterday 등 3곡의 빌보드 1위곡을 담고있으나 비틀즈 앨범 중 가장 맥이 빠진 앨범으로 평가된다).


                                                        11. Yesterday : 미국에서만 발표된 싱글. 2500여 차례 커버되어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많이 리메이크된 곡. 이 곡으로 폴 매카트니는 25세 이전에 빌보드 1위곡을 10곡 이상 보유한 아티스트라는 대기록 또한 세운다. 프로듀서 George Martin의 권유로 사상 최초의 현악 4중주를 어시스트했는데 처음에 폴은 만토바니(Mantovani)식으로 될까봐 거절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좋았고 향후 비틀즈가 기타 2대, 베이스, 드럼 식의 고전 롹큰롤 패턴에서 자유로워지는 계기가 된다. 폴 혼자만 녹음했기에 최초로 비틀즈 해산설이 나돌도록 한 곡(좌우간 기자 새끼들이란).


                                                        12. We Can Work It Out : 6집 Rubber Soul 앨범과 동시에 발매된 싱글이다. 이곡으로 비틀즈는 I feel fine부터 이곡까지 6연속 발매 싱글 빌보드 1위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된다(이 또한 90년대 위트니 휴스턴에 의해 갱신ㅠ.ㅠ). 발표 당시 미국에선 사이먼 앤 가펑클의 'Sounds Of Silence'와의 '번갈아 1위 경쟁'으로 화제. 사이먼 앤 가펑클의 것이 1966년 1월1일 먼저 정상을 차지했으나 'We Can Work It Out'이 이후 2주간 1위를 넘겨받았고 다시 1월 22일 'Sounds Of Silence'가 정상을 뺏었으며 다음주에는 다시 'We Can Work It Out'이 1위를 탈환하는 정상의 곡예전을 펼쳤다. 결과적으로는 3주 정상을 밟은 비틀즈의 승리!


                                                        13. Day Tripper : 폴의 We Can Work It Out'과 함께 양면 A싱글이었고 시원한 기타 리프가 돋보이는 곡. 서로 A면을 차지하려 경쟁하며 존과 폴의 경쟁심이 처음으로 노출됨(원래 불씨는 처음 만났을 때부터 있었슴. 10대의 존의 밴드에 얼굴도 엘비스 같고 노래도 잘하며 또한 작곡도 잘하는 놈이 들어왔을 때 존의 입장에서 과연 이놈을 받아들여 말어)


                                                        14. Paperback Writer : 66년 중순 7집 Revolver 앨범과 동시에 발매된 싱글로 영미 동시 차트 1위. Revolver의 다이나믹함을 대변하는 곡. 반면에 코러스 하모니는 그 나름대로 비치보이즈 수준 이상을 보여주었다. 링고의 드럼이 빛을 발하는 싱글 B면의 존의 Rain 또한 비틀즈의 가장 뛰어난 싱글 B면으로 평가받음.


                                                        15. Eleanor Rigby : 66년 앨범 Revolver 수록곡으로 영국에서는 양면 싱글 'Yellow Submarine'과 함께 1위에 올랐으나 미국에서는 뒷면에 실려 11위에 머물렀다. 폴의 작곡으로 yesterday를 업그레이드했으며 나오자마자 작곡자들이 격찬해마지 않은 곡. 이제는 완벽한 하나의 실내악이다. 소외에 대해 다룬 가사마저 뛰어나다.


                                                        16. Yellow Submarine : 동명의 애니메이션 영화(비틀즈는 정말 안한 게 없다!) 테마 곡으로 영국에선 'Eleanor Rigby'와 양면 싱글로 발표되어 등정(登頂)했으나 미국에서는 아깝게 2위. 폴이 링고를 위해 만들어준 곡으로 동요이나 중요한 것은 당시로써 혁명적인 사운드 테크닉! 당시에는 컴퓨터가 없을 때이며 모두 수작업으로 연출했다(앨범 커버를 연상케하는 사운드 콜라쥬!   앨범의 커버 아트는 66년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17. Strawberry Fields Forever : 67년초 싱글 양면인 Penny Lane과 함께 사상 최고의 싱글로 평가되는 곡이다. 실질적 고아인 존의 어린 시절 도피처인 구세군 사원 Strawberry Fields에 관한 곡으로 처음에 발라드로 시작해 사이키 아트의 전형을 보여준다(군악대 북장단에 불쑥 튀어나오는 현악음 등). 존의 목소리가 늘어지듯 들리는 것은 서로 다른 key의 두 곡을 기술적으로 스피드 조절하여 붙였기 때문이다. 이후 사상 최고의 명반인 Sgt. Pepper 앨범의 서전!(앨범의 피날레이자 비틀즈 최고의 걸작곡으로 평가되는 심판날의 장관 A day in the Life도 솔직히 이곡보다는 떨어진다는 것이 사견이다)


                                                        18. Penny Lane : 뒷면의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함께 팝 역사상 최우수 싱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역시 고향 리버풀 추억을 담은 폴의 곡으로 ‘양귀비를 팔고 있는 예쁜 간호사’ 음침한 극장에서 여친과 몰래하는 ‘four of fish and finger pie’ 등의 가사가 재미있다.


                                                        19. All You Need Is Love : 67년 후반 Sgt.Pepper 앨범 발매 직후 전세계의 TV가 링크하여 방영된 프로 [Our World]에 출연하여 실황 녹음한 기념비적인 곡. 약 4억 인구가 시청했을 것으로 추정. 당연히 영국에서 1위, 미국에서도 한달 뒤 1위. 히피의 테마인 사랑을 메시지로 담은 곡으로 프랑스 국가부터 자신들의 she loves you까지 네곡을 짜깁기했다. 존이 리드보컬(67년 비틀즈의 앨범 역량이 Sgt.Pepper에 결집되었다면 당시의 싱글들은 Magical Mystery Tour OST에 모였으며 이 편집반은 Penny Lane, All You Need Is Love, Hello Goodbye 등 3곡의 빌보드 1위곡을 담고있다).


                                                        20. Lady Madonna : 1950년대 로큰롤의 영웅 패츠 도미노(Fats Domino)를 떠올리는 쾌활한 곡조로 폴의 구르는 듯한 보컬이 매력. 68년 영국에선 정상을 밟았으나 미국에서는 4위.


                                                        21. Hey Jude : 68년 비틀즈는 아티스트들의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독립 창작을 위해 아티스트 사상 최초로 자체 레코드 회사를 설립하는데 이것이 바로 Apple Corp.이다(당시 존은 내츄럴 소샬리스트답게 사회주의 회사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경영 초보들인 비틀즈가 직접 운영해 막대한 퍼주기 적자로 비틀즈 해산을 앞당겼으며 여적찌기 스티브 잡스의 컴퓨터 회사 Apple-McKintosh와 상표권 분쟁 중이다. 이 회사에서 최초로 나온 싱글이 바로 이곡 Hey Jude이다(앨범은 동시에 나온 2장짜리 white album)

                                                        폴이 이혼이 임박한 존의 아들 줄리안을 위해 만들어준 곡으로 존은 그 메시지를 요코와의 결혼을 폴이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했다you have found her, now go and get her.... 러닝타임 7분10초로 그때까지 1위에 오른 곡으로는 팝 사상 가장 길었던 곡. 또한 8주간 차트 1위에 올라 당시로써는 최장 빌보드 1위 기록. 원래 존은 자신의 Revolution을 싱글 A면으로 하려 했으나 이곡을 듣고 바로 포기!


                                                        22. Revolution : Hey Jude  싱글의 뒷면 곡으로 비틀즈 싱글 중 가장 시끄러운 곡. 68년 앨범 the Beatles(앨범 표지에 아무 것도 안씌여있어 일명 white album)과 동시에 발매된 싱글로 68혁명에 관한 존의 내적 갈등을 담고 있는 곡이다.


                                                        23. Get Back : 영/미 모두 1위에 오른 마지막 곡. 건반주자 빌리 프레스톤이 참여했고 폴이 작곡과 보컬을 주도했다. 그룹의 헤게모니가 완전히 폴로 이양됐음을 웅변하는 곡. 69년초 이곡의 옥상 공연(사상 최초의 게릴라 컨서트) 이후로 비틀즈는 실질적으로 해산한 바나 다름없게 된다(비틀즈를 다시 담으려는 폴의 노력은 점점 let it be가 된다).


                                                        24. The Ballad Of John & Yoko : 영국의 마지막 1위 곡. 멤버 중 존과 폴만이 참여한 곡으로 가사에 '예수'가 나오는 바람에 69년 중엽 라디오에서 금지되는 수난을 겪었다. 제목만 발라드이지 배경 비트는 엘비스의 록큰롤Don't be Cruel이다. 미국에서는 8위.


                                                        25. Something : 비틀즈 싱글 최초로 존과 폴 아닌 조지 해리슨이 쓴 곡. 애초 미국에서는 'Come Together'와 별도로 발표되었으나 곧바로 양면 싱글이 되어 정상에 등극했다. 프랭크 시내트라가 '지난 50년 동안의 가장 위대한 러브 송'이라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한 곡(존과 폴이 작곡한 것으로 오해하곤 했지만). white album에서 Eric Clapton이 기타 리드를 잡은 곡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그리고 포크록인 Here comes the sun을 거치면서 조지가 이렇게 성장했다. 70년 해산 직후 조지 해리슨은 사상 최초로 그룹 싱글/앨범 1위, 솔로 싱글/앨범 1위의 그랜드 슬럼을 기록하게 된다.

                                                        26. Come Together : 위의 Something과 함께 69년말 실질적인 마지막 앨범 Abbey Road 의 수록곡이자 싱글곡. Abbey Road 앨범의 백미는 B면의 오페라이지만 존의 정치 지향을 담은 이곡 '단/결/하/라' 하나만으로 앨범 가치를 평가하는 이들도 많은 듯...


                                                        27. Let It Be : 초기 비틀즈로 돌아가자get back는 폴의 노력이 이제는 내버려둬let it be로...  아! 피아노 코드 7개만 가지고 만든 폴의 천재적 작곡 능력!  70년 초 미국에서 6위로 데뷔하는 싱글 사상 신기록을 낳으며 정상을 차지했다. 당시 존의 솔로 싱글 instant karma와 경쟁하였다.


                                                        28. The Long & Winding Road : 20번째 마지막 빌보드 1위곡. 63년 실질적인 활동을 시작하여 70년까지의 온갖 기록과 역사를 대변하는 곡(비틀즈 멤버들 그 누구로부터도 관심을 끌지 못한채 거의 방치되다시피한 공식적인 마지막 (편집)앨범 Let it be에는 타이틀 곡 및 The Long & Winding Road, Get back 등 3곡의 빌보드 1위곡을 담고 있다)

                                                         

                                                        ------------------------------------------------------------------

                                                         


                                                           Beatles, The / Beatles 1 [Emi 명반 재발매 시리즈]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Beatles 1 [Emi 명반 재발매 시리즈]

                                                        제작사 : EMI
                                                        발행일 : 2000/11/13
                                                        장르 : Rock / Metal
                                                        형태 : 1 CD
                                                        제조국가 : Holland
                                                        수입품

                                                        01   Love Me Do 

                                                        02   From Me To You 

                                                        03   She Loves You 

                                                        04   I Want To Hold Your Hand 

                                                        05   Can't Buy Me Love 

                                                        06   A Hard Day's Night 

                                                        07   I Feel Fine 

                                                        08   Eight Days A Week 

                                                        09   Ticket To Ride 

                                                        10   Help! 

                                                        11   Yesterday 

                                                        12   Day Tripper 

                                                        13   We Can Work It Out 

                                                        14   Paperback Writer 

                                                        15   Yellow Submarine 

                                                        16   Eleanor Rigby 

                                                        17   Penny Lane 

                                                        18   All You Need Is Love 

                                                        19   Hello 

                                                        20   Lady 

                                                        21   Hey Jude 

                                                        22   Get Back 

                                                        23   The Ballad Of John & Yoko 

                                                        24   Something 

                                                        25   Come 

                                                        26   Let It Be 

                                                        27   The Long & Winding Road 


                                                        전량 EMI 수입으로 유럽서 제작하고 아시아 국가에서 프린트. 



                                                        비틀즈는 기념물이 아니라 엄연한 '진행형'이다. 최신 히트곡 이상으로 그들의 음악은 우리 곁에 실재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비틀즈를 추종하고 그들의 곡 패턴을 재현하려는 신세대 밴드가 어디 하나 둘인가. 과거이자 현재이며 동시에 미래인 존재가 비틀즈다. 이번 베스트 앨범은 다시금 그들의 시공초월과 영생(永生)을 확연히 드러내 보인다.


                                                        어찌 보면 이번 앨범은 연대기인 [1962-1966](레드), [1967-1970](블루), [Past Masters Volume 1]·[Past Masters Volume 2]와 비슷한 성격을 가진 음반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차트 정상이란 대기록으로 공인된 곡만을 엮어놓았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다. 그야말로 '서구 음악 영토 정벌'의 발자취로서는 최적의 컴필레이션 음반이다. 따라서 비틀즈와 비틀즈 현상을 알려거든 이 앨범부터 시작해야 한다. 또한 비틀즈 곡에 대한 영국과 미국의 미묘한 시각차를 엿볼 수도 있다는 것도 이번 앨범이 갖는 매력이다.


                                                        먼저 'I Want To Hold Your Hand', 'She Loves You', 'Help!', 'We Can Work It Out', 'All You Need Is Love' 등 13곡은 영국과 미국의 팬들이 이구동성으로 환영했던 곡들이다. 또한 'Can't Buy Me Love', 'A Hard Days Night', 'Paperback Writer', 'Hello Goodbye', 'Hey Jude' 같은 곡들은 타이밍이 약간 달랐던 영국과 미국에서 거의 같은 날짜에 발표되어 양국의 차트 정상에 동시 등극했다. 영/미를 포괄하는 비틀마니아를 웅변하는 곡들인 셈이다.


                                                        그러나 두 나라간에 차이를 보인 곡도 많아 영국에서 1962년 발표되었던 첫 싱글 'Love Me Do'는 영국인들 사이에서 반응이 시원찮았던 반면 2년여가 흐른 뒤 미국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또 'Eight Days A Week'와 'Yesterday' 두 곡은 아예 미국에서만 단독으로 발표되어 1위를 기록했다. 'Penny Lane', 'Come Together/Something', 'Let It Be', 'The Long And Winding Road' 역시 미국에서만 정상을 밟은 곡들이다. 이 가운데 양면 싱글인 [Come Together/Something]의 경우 영국에선 1962년 'Love Me Do' 이래 처음으로 1·2위에 오르지 못한 채 4위에 머무는 푸대접(?)을 받기도 했다.


                                                        이와 반대로 'From Me To You', 'Yellow Submarine', 'Day Tripper' 'Eleanor Rigby' 'Lady Madonna', 'The Ballad Of John & Yoko' 등 6곡은 영국에서만 정상에 올랐다. 미국에서 'From Me To You'는 41위에 머물렀으며 'Day Tripper'도 'We Can Work It Out'의 뒷면에 실려 5위로 만족해야 했다. 'Yellow Submarine'는 아깝게 2위에 머물렀고 'Eleanor Rigby'는 이 싱글의 뒷면 곡으로 11위에 그쳤다.


                                                        'From Me To You'가 예시하듯 '영1위/미41위'는 두 나라의 정서적 편차를 확연히 드러내는 부분이다. 또 유사한 클래시컬한 곡임에도 'Yesterday'는 미국에서만, 'Eleanor Rigby'는 영국에서만 1위를 차지했다는 것도 다소 의아한 사실이다.


                                                        찬란한 넘버원 행진

                                                        1. Love Me Do : 영국에서는 62년 10월 발표되어 17위에 오르며 비틀마니아의 서곡을 울린 곡. 드럼을 세션맨 앤디 화이트가 대타로 연주해 화제를 모았다.


                                                        2. From Me To You : 미국에서 'I Want To Hold Your Hand'가 비틀즈 광풍을 상징한다면 영국에선 이 곡이다. 무려 7주간 정상을 차지했다.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의 편지 칼럼 'From You To Us'에서 제목을 빌렸다고 한다.


                                                        3. She Loves You : 선 주문 31만장에 영국 판매량 160만장 기록. 폴 맥카트니의 윙스(Wings)가 1977년에 발표한 'Mull Of Kintyre'가 깨기 전까지 싱글 최다 판매기록을 보유했다. 영국에서는 총 6주간 1위. 미국은 2주.


                                                        4. I Want To Hold Your hand : 역사적 싱글. 영국에서 'She Loves You'의 바통을 이어받아 정상을 차지했고(선 주문이 무려 94만장) 미국에서는 비틀즈 현상이라는 신기원을 이룩했다. 7주간 1위. 존과 폴이 버스를 타고 가다 즉흥적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5. Can't Buy Me Love : 동시에 영/미 차트 정상을 점령. 영국에서 발매 첫 주에 1,226,000장이 판매되었고 미국에서는 첫 주에 200만장이 팔려나감. 비틀즈 초기 로큰롤의 전형적 패턴.


                                                        6. A Hard Day's Night : 비틀즈 주연의 동명 영화 삽입곡으로 역시 동시에 영/미 차트 1위를 차지. 존 레논의 더블 트랙 보컬이 특징.


                                                        7. I Feel Fine : 1964년 겨울에 발매되어 영국에서는 선 주문 75만장에 5주간 1위였고 미국에서는 3주간 정상. 존이 리드보컬. 미국에서는 폴이 리드보컬을 맡은 뒷면의 'She's A Woman'도 4위까지 올랐다.


                                                        8. Eight Days A Week : 미국에서만 발표된 싱글로 템테이션스의 'My Girl'을 끌어내리고 정상에 올랐다. 1주일이 8일이라도 사랑을 위해선 부족하다는 내용. 초기 히트싱글에서 자주 구사된 '존-리드, 폴-백업' 보컬의 패턴을 취한 곡.


                                                        9. Ticket To Ride : 폴 매카트니가 리드 기타를 친 곡. 존이 작곡하고 노래한 흥겨운 로큰롤. 1965년 4월 영국에서 3주, 미국에서는 한달 지나 1주 1위.


                                                        10 Help! : 비틀즈 영화 제2탄의 타이틀 송으로 여름을 강타했다. 이 노래 히트 후 엘비스 프레슬리를 만났으며 영/미 똑같이 3주간 정상을 차지했다(영/미 같은 주간 1위로는 유일). 최근 폴이 "누군가의 구원을 요청하는 레논의 절실함이 지금도 메아리쳐 온다"고 말하면서 '비틀즈 베스트' 중 하나로 꼽은 곡.


                                                        11. Yesterday : 미국에서만 발표된 싱글. 2500여 차례 커버되어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많이 레코딩된 곡. 이 곡에서부터 폴 매카트니가 작곡 천재로 불리기 시작했다. 단 두 번만에 레코딩을 마쳤으며(첫번째 테이크는 [Anthology 2]에 실려있다) 폴은 처음부터 만토바니(Mantovani) 오케스트라 음악의 컨셉트를 구상했다.


                                                        12. Day Tripper : 영국에서는 'We Can Work It Out'과 함께 양면 싱글이었고 미국에서는 'We Can Work It Out'의 뒷면 곡이라는 불리함 때문에 5위에 그침. 폴과 존의 환상적 합작으로 로큰롤 리듬감이 압권.


                                                        13. We Can Work It Out : 존과 폴의 완벽한 공조체제를 과시한 건강한 메시지의 곡으로 발표 당시 미국에선 사이먼 앤 가펑클의 'Sounds Of Silence'와의 '번갈아 1위 경쟁'으로 화제. 사이먼 앤 가펑클의 것이 1966년 1월1일 먼저 정상을 차지했으나 'We Can Work It Out'이 이후 2주간 1위를 넘겨받았고 다시 1월 22일 'Sounds Of Silence'가 정상을 뺏었으며 다음주에는 다시 'We Can Work It Out'이 1위를 탈환하는 정상의 곡예전을 펼쳤다. 결과적으로는 3주 정상을 밟은 비틀즈의 승리!


                                                        14. Paperback Writer : 폴의 리드 보컬로 1966년 6월 동시에 영미 차트 정상을 밟은 곡. 당시 드물게 홍보 필름(뮤직비디오의 시작?)을 찍어 'Thank Your Lucky Stars'에 방송되었다.


                                                        15. Yellow Submarine : 동명의 애니메이션 영화(비틀즈는 정말 안한 게 없다!) 테마 곡으로 영국에선 'Eleanor Rigby'와 양면 싱글로 발표되어 등정(登頂)했으나 미국에서는 아깝게 2위. 존과 폴이 링고를 위해 만들어준 곡이다.


                                                        16. Eleanor Rigby : 영국에서는 'Yellow Submarine'과 함께 1위에 올랐으나 미국에서는 뒷면에 실려 11위에 머물렀다. 나오자마자 작곡자들이 격찬해마지 않은 곡. 기존 틀을 깨는 그야말로 폴의 '음악혁명'!


                                                        17. Penny Lane : 뒷면의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함께 팝 역사상 최우수 싱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97년 '모조'지 전문가대상 조사에서 비치 보이스의 'Good Vibrations'에 이어 2위였으나 팬들 리서치에선 1위. 이런 산뜻한 멜로디는 비틀즈(특히 폴) 아니면 누구도 만들지 못한다. 영국에서는 2위였지만 미국에서는 아쉬움을 메웠으며 뒷면 'Strawbery Fields Forever'도 8위에 올랐다. 한편 EMI는 이때까지 비틀즈 음반판매량이 세계적으로 2억장에 달했다고 발표.


                                                        18. All You Need Is Love : 전 세계의 TV가 링크하여 방영된 프로 [Our World]에 출연하여 실황 녹음한 기념비적인 곡. 약 4억 인구가 시청했을 것으로 추정. 당연히 영국에서 1위, 미국에서도 한달 뒤 1위. 히피의 테마인 사랑을 메시지로 담은 곡이다. 존이 리드보컬.


                                                        19. Hello Goodbye : 1967년 영국에서 7주간이나 1위를 차지한 메가 히트송. 미국에서도 3주간 정상을 점령했다. 폴이 주도적으로 작곡하여 리드 보컬을 맡은 곡.


                                                        20. Lady Madonna : 1950년대 로큰롤의 영웅 패츠 도미노(Fats Domino)를 떠올리는 쾌활한 곡조로 폴의 구르는 듯한 보컬이 매력. 영국에선 정상을 밟았으나 미국에서는 4위.


                                                        21. Hey Jude : 주지하다시피 폴이 이혼이 임박한 존의 아들 줄리안을 위해 만들어준 곡으로 존은 그 메시지를 요코와의 결혼을 폴이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러닝타임 7분10초로 그때까지 1위에 오른 곡으로는 팝 사상 가장 길었던 곡. 엘비스 프레슬리가 부른 유일한 비틀즈 곡이기도 하다.


                                                        22. Get Back : 영/미 모두 1위에 오른 마지막 곡. 건반주자 빌리 프레스톤이 참여했고 폴이 작곡과 보컬을 주도했다. 그룹의 헤게모니가 완전히 폴로 이양됐음을 웅변하는 곡.


                                                        23. The Ballad Of John & Yoko : 영국의 마지막 1위 곡. 멤버 중 존과 폴만이 참여한 곡으로 가사에 '예수'가 나오는 바람에 라디오에서 금지되는 수난을 겪었다. 미국에서는 8위.


                                                        24. Something : 비틀즈 싱글 최초로 존과 폴 아닌 조지 해리슨이 쓴 곡. 애초 미국에서는 'Come Together'와 별도로 발표되었으나 곧바로 양면 싱글이 되어 정상에 등극했다. 프랭크 시내트라가 '지난 50년 동안의 가장 위대한 러브 송'이라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한 곡(존과 폴이 작곡한 것으로 오해하곤 했지만).



                                                        25. Come Together : 존이 작곡해 부른 곡. 그의 사상이 담겨있으나 척 베리의 곡 일부를 표절했다 하여 고초를 겪기도 한 곡.


                                                        26. Let It Be : 존의 'Come Together'와는 기조가 다른 폴의 시각이 담긴 명곡. 영국에서는 2위였으나 미국에서는 6위로 데뷔하는 싱글 사상 신기록을 낳으며 정상을 차지했다.


                                                        27. The Long & Winding Road : 비틀즈답게 최후도 1위로 대미를 장식했다. 명 프로듀서 필 스펙터가 현과 콰이어를 동원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편곡해 뿌리의 느낌을 구현하려 한 폴을 당황시켰던 곡이다. 웅장미가 압권.


                                                        글 / 임진모

                                                        자료제공 / EMI


                                                        changgo.com 


                                                         

                                                        ==================================================================

                                                         


                                                        Beatles 빨간 시디 62-66


                                                        파란 시디를 충분히 들었으면 빨간 시디를 들어주면 되겠다. 비틀즈 음악을 전기-중기-후기로 나누지만 크게 나누면 전기 62-66과 후기 67-70이다. 본 음반은 이중 전자이며 파란색 ‘1’ cd로 보자면 거의 절반인 16번째 트랙 Yellow Submarine/Eleanor Rigby까지이다. 나중에 들으라고 한 이유는 비정규 outtatrack이 많이 담겨있기 때문이다(주로 anthology에서 선곡한).


                                                        트랙에 대해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01   I saw her standing there    62년 싱글 Love Me Do로 데뷔후 63년초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의 첫곡이다. 비틀즈의 전속 프로듀서인 조지 마틴과 비틀즈는 항상 앨범의 포문을 여는 첫곡 및 클라이막스 끝곡에 롹큰롤을 배치하도록 했다. 폴이 15살에 작곡한 이곡은 아마 비틀즈가 어느 활동 시대에 발표했어도 히트했을 최고의 작곡이다. 64년 비틀즈의 미국 입성시 I Want To Hold Your Hand의 싱글 B면이기도 했다.

                                                        02   Twist and Shout   63년초 데뷔 앨범의 피날레로 에벌리 브라더즈의 커버버젼이며 존의 롹커이다. 64년 미국에서 4주간 2위에 머무르다가 결국 내려왔는데 당시 비틀즈 노래의 최대의 적은 바로 비틀즈 자신이었다. 사상 가장 잘된 리메이크 중 하나로 평가되는데 참고로 필자는 이곡보다 4집 수록곡 Rock'n'Roll music을 더 치겠다(옛날에 샴프 CF에 삽입된).

                                                        03   Please Please Me : 비틀즈의 2번째 싱글로 63년초 영국 차트 1위곡이다. 이곡으로 비틀즈는 영국을 정복하게 된다. 물론 동명의 데뷔 앨범도 63년 내내 계속 영국 앨범 차트 석권(비틀즈 초기 음악의 특징은 흑인의 리듬앤블루스, 백인의 컨츄리앤웨스턴 등 온갖 종류를 비틀즈 작곡 롹 형식으로 전부 끌어들인데 있다). 본 버전은 초기 데모 버전이다.

                                                        04   From Me To You : 63년중 비틀즈의 3번째 싱글로 영국 및 유럽에서의 인기 굳히기 곡이다. 7주 1위. 당 버전은 앞부분 하모니카가 삭제된 different mix 버전이다.

                                                        05   She Loves You : 4번째 싱글로 선 주문 31만장에 영국 판매량 160만장 기록했으며 63년 중반 영국 및 유럽을 석권한 곡이다. 이로써 Beatlemania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64년 미국 진출후 빌보드 1위... 트레이드 마크 예! 예! 예!  놀라운 작곡

                                                        06   I Want To Hold Your hand : 역사적 싱글로 비틀즈의 5번째 싱글. 63년말 영국에서 'She Loves You'의 바통을 이어받아 정상을 차지했고(선 주문이 무려 94만장) 64년 미국의 최초 1위곡이다. 갑자기 한옥타브 상승하는 작곡이 독창적이다. 영국에서는 동시에 발매된 2집 With the Beatles 또한 데뷔작 Please Please Me를 누르고 앨범 차트 정상에 등극한다(원래는 이 곡 대신에 With the Beatles 앨범의 첫곡인 It Won't be Long을 싱글 컷하려고 했다 함).

                                                        07   It won't be long     영국 정규 앨범 2집 With the Beatles이자 미국 데뷔 편집 앨범인 Meet the Beatles(2란성 쌍둥이?)에서 쭉 3곡을 골라보았다. 앨범 오프닝인 이곡은 예! 예! 예! 초기 비틀즈를 잘 보여주는 곡이다.

                                                        08   Roll over Beethoven     척베리의 50년대 클래식을 리메이크한 곡으로 리드 기타리스트 George Harrison이 부른다. 그 밖에 척베리의 원곡보다 더 뛰어난 리메이크로 4집의 Rock and Roll Music이 있으며 BBC라이브 앨범 중의 Johnny B Goode, Sweet Little Sixteen(비치보이스 surfin USA의 원곡인)도 들을 만하다.

                                                        09   All My Loving     또다시 폴의 작곡 기량을 보여주는 곡으로 존의 웨스턴식 기타 또한 흥겹다. 이 트랙은 64년 2월 역사적인 미국 데뷔 무대인 Ed Sullivan show에서 골라보았다(당시 미국 범죄 발생율 zero라는 대기록이 또한 산출되었다).

                                                        10   Long Tall Sally     동명의 EP의 타이틀 곡으로 리틀 리차드의 원곡을 그보다 더 잘 소화해냈다. 한큐에!

                                                        11   Can't Buy Me Love : 64년 4월 4일 동시에 영/미 차트 정상을 점령. 작곡자인 폴이 단독으로 부른다. 비틀즈는 64년 4월 4일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대기록을 세우는데 하루 차트 100위권 안에 비틀즈의 노래가 9곡이 랭크되었으며 1-5위까지 모두 비틀즈였다. 또한 7주를 1위 차지한 I Want To Hold Your hand를 끌어내린 곡은 바로 She Loves You였으며(2주 1위) 이를 끌어 내린 곡 또한 Can't Buy Me Love로 비틀즈는 14주 연속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의 대기록을 세운다(이 기록은 1990년대 위트니 휴스턴의 I will always love you, 보이스 투 맨의 end of the road가 15주 연속 1위로 갱신된다). 이 트랙은 컨츄리앤웨스턴 스타일의 데모 버전이다. 원작이 뛰어나니 어느 버전이든 좋다. 이곡 포함해 A hard day's night 수록곡을 쭉 4곡 소개한다.

                                                        12 A Hard Day's Night : 비틀즈 주연의 동명 영화 삽입곡으로 역시 동시에 영/미 차트 1위를 차지. 작곡자 존 레논의 더블 트랙 보컬이 특징. 영화는 영국 노동 계급 청년들을 잘 그려냈다고 호평받았으며 3집 OST 앨범 A Hard Day's Night은 최초로 Lennon-McCartney 작곡 컴비의 자작곡으로만 채워진 앨범이다.

                                                        13   And I Love Her     초기 폴의 걸작 발라드. 보사노바 리듬 및 악기편성을 시도해봤다. 이정도면 클래식 아닌가? 뒷부분이 한마디 더 긴 독일 rare트랙이다.

                                                        14   If I fell     폴에 뒤질새라 존의 발라드. 존과 폴이 함께 부른다.

                                                        15 I Feel Fine : 1964년 겨울 크리스마스 싱글로 이곡과 싱글 B면곡인 폴의 She's A Woman이 연말 차트에 올라 비틀즈는 한해 30곡을 차트로 올리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곡 I Feel Fine의 기타 피드백은 살아생전 레넌이 그렇게 자랑해마지 않았듯이 녹음 역사상 최초의 것이다. 또한 이곡의 연주도 멀티 기타 더빙에 기반해 있다. 아아 블루 노트의 도회적 세련미... 피드백 직전 뭐라고 속삭이고 있었을까?

                                                        16 Eight Days A Week : 크리스마스 4집 앨범 Beatles for Sale 중의 1위곡. 폴의 작곡인데 존이 리드 보컬을 맡은게 특이하다. 전형적인 초기 비틀즈 롹 패턴 작곡이다. 이 시기 비틀매니아 열풍에 당사자 주인공들은 완전히 Knock Out된다(Beatles for sale 앨범은 가장 아름다운 커버 아트의 앨범으로 알려져 있는데 얼굴들에 피곤한 기색이 역력하다). 

                                                        17 Ticket To Ride : 중기 비틀즈를 알리는 묵직한 사운드의 곡으로 링고의 드럼 테크닉이 뛰어나다(실제 이곡은 모든 드러머들이 좋아하는 곡이기도 하다). 작곡자 존은 이 곡의 헤비 메틀의 원형이라고 자랑스러워 했는데 65년 중순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오바다.

                                                        18 Help! : 비틀즈 영화 제2탄의 타이틀 송으로 여름을 강타했다. 비틀매니아 열풍에 지친 존은 이곡을 자전적인 애절한 블루스 곡으로 만들고자 했으나 싱글 발매 스케쥴에 쫓겨 결국 롹으로 편곡했다. 그 염원은 80년 존의 암살 후 티나 터너의 헌정을 통해 실현되는데 작곡 자체를 원채 잘해서 어느 버전에서나 빛을 발한다. independence, insocure 등 3음절 이상의 단어들이 등장하며 존의 사색적 가사쓰기로의 변화의 시도를 잘 보여주는 곡이다(65년 중반 비틀즈 5집 Help 앨범은 ticket to ride, help, yesterday 등 3곡의 빌보드 1위곡을 담고있으나 비틀즈 앨범 중 가장 맥이 빠진 앨범으로 평가된다).

                                                        19 Yesterday : 미국에서만 발표된 싱글. 2500여 차례 커버되어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많이 리메이크된 곡. 이 곡으로 폴 매카트니는 25세 이전에 빌보드 1위곡을 10곡 이상 보유한 아티스트라는 대기록 또한 세운다. 프로듀서 George Martin의 권유로 사상 최초의 현악 4중주를 어시스트했는데 처음에 폴은 만토바니(Mantovani)식으로 될까봐 거절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좋았고 향후 비틀즈가 기타 2대, 베이스, 드럼 식의 고전 롹큰롤 패턴에서 자유로워지는 계기가 된다. 이곡은 현악없는 take1이다. 가사가 쫌 다르지. 현악을 입혀 정식 발매된 트랙은 take2이다. 폴 혼자만 녹음했기에 최초로 비틀즈 해산설이 나돌도록 한 곡(좌우간 기자 새끼들이란...).

                                                        20 Day Tripper : 65년말 Rubber Soul 앨범과 동시에 발매된 이 싱글은 폴의 We Can Work It Out'과 함께 양면 A싱글이었으며 시원한 기타 리프가 돋보이는 곡이다. 서로 A면을 차지하려 경쟁하며 존과 폴의 경쟁심이 처음으로 노출됨(원래 불씨는 처음 만났을 때부터 있었슴. 10대의 존의 밴드에 얼굴도 엘비스 같고 노래도 잘하며 또한 작곡도 잘하는 놈이 들어왔을 때 존의 입장에서 과연 이놈을 받아들여 말어)

                                                        21   Drive My Car : 이하 65년말 Rubber Soul 앨범 수록곡을 쭉 7곡 배치한다. rolling stones 잡지의 평대로 아마도 가장 위대한 앨범일지도 모르는 Rubber Soul은 66년 차기작 Revolver와 함께 초기 비틀즈의 정수로 평가된다. 듣고 춤추기 위한 노래집이 아니라 본격적인 감상용 앨범에 도전했으면 이 음반을 들은 밥딜런은 '이제 귀엽게 보이고 싶지 않다는 말이군'이라고 반응했다고 한다. Help! 앨범의 연장선상에서 Rubber Soul 앨범은 포크록적인 따뜻한 느낌을 주며 반면 후기 Sgt.Pepper의 가교격인 Revolver 앨범은 차가운 일렉트릭 느낌이다. 그러나 어느 앨범도 단 한곡도 버릴 것 없이 포진되어 있다는 것은 공통점이다(마치 전곡이 히트곡집을 연상케하는 듯한). 더벅버리를 벗어버린 앨범 커버도 Beatles for sale에 견줄 수 있을 만큼 참 아름답다.

                                                        동시발매된 싱글 Day Tripper의 연장선상이자 앨범의 첫곡인 Drive My Car는 록큰롤임에도 불구하고 폴의 불협화음 작곡 그리고 leg time 연주 등의 변화하는 비틀즈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22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 존의 혼외정사에 관한 블랙 유머이다. 드라이한 가사가 바로 무라카미 하루끼의 동명 소설의 모티브가 되었다. 막상 이곡이 음악사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리드 기타리스트 George Harrison이 도입한 인도악기 시타 연주에 있다. 향후 이러한 움직임을 Raga Rock이라고 부른다. 조지외 비틀즈 멤버들은 사상적으로도 인도 철학에 심취했으며 차기 Revolver에서 인도악기 도입은 더욱 전면화된다. 본 트랙은 96년 anthology에 담긴 데모 버젼으로 시타 연주가 더 전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23   Nowhere Man : 비틀매니아 열풍 속에서 존의 상실에 관한 곡! 싱글 컷되어 빌보드 4위에 올랐으며 존,폴,조지의 3중창이 아름다운 곡이다. 차기 Revolver의 사이키델릭 I'm only sleeping은 연장작이다.   

                                                        24   Michelle : 폴이 샹송에 도전한다. 싱글 컷되지도 않았고 차트에 오르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래미상을 수상한 폴 작곡의 절정! 막상 가사 면에서는 단지 감상적일 뿐이라고 비난을 좀 받은 바 있다.

                                                        25   Girl : 이번에는 존의 발라드이다. 국내에서 특히 인기를 얻었던 트랙으로 이 곡 또한 존의 블랙 유머로 가득차있다(아름다운 멜로디와 대비해). 여기서 girl은 기실 소녀가 아니다. 홍역을 치룬 '지금 비틀즈는 그리스도보다 인기있다' 발언 연장 선상에서 봐야한다. 노래 중 숨을 내쉬는 부분은 마리화나 흡입에서 따왔다. 배킹 보컬 중 tit, tit, tit, tit은 우리 말로 '찌찌'되겠다(전속 프로듀서 George Martin이 물었다. 너네들 tit이라고 그랬지? 비틀즈 왈 '아니요, dit이라고 그랬어요').

                                                        26   Think for yourself : 미국 데뷔 앨범인 2집 With the Beatles에서 최초의 작곡을 선보인 George Harrison의 2곡의 작곡 중 하나이다. 전작 Help앨범의 숨겨진 보물인 You like me too much의 연장 선상의 멜로디이다. 폴의 fuzz bass가 참신한데 막상 폴은 이후에 fuzz bass를 더이상 쓰는 것을 매우 싫어했다. 앨범 중 George의 또다른 작곡인 징글쟁글 기타곡 If I needed Someone도 3화음이 매우 뛰어난 러버소울 앨범 백미 중의 하나이다.

                                                        27   In My Life : 이제는 묘비명이 된 존의 자전적인 곡! 가사도 깊을 뿐더러 중간의 George Martin의 하프시코드 어시스트는 완벽한 실내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자전적 경향은 67년 존의 Strawberry Fields Forever/ 폴의 Penny Lane에서 계속된다.

                                                        28 Paperback Writer : 66년 중순 7집 Revolver 앨범과 동시에 발매된 싱글로 영미 동시 차트 1위. Revolver의 다이나믹함을 대변하는 곡. 반면에 코러스 하모니는 그 나름대로 비치보이즈 수준 이상을 보여주었다. 링고의 드럼이 빛을 발하는 싱글 B면의 존의 Rain 또한 비틀즈의 가장 뛰어난 싱글 B면으로 평가받음.

                                                        29   Eleanor Rigby : 이하 록 역사상 가장 혁명적인 66년 Revolver 앨범의 수록곡을 쭉 5곡 배치한다. 앨범 수록곡으로 영국에서는 양면 싱글 'Yellow Submarine'과 함께 1위에 올랐으나 미국에서는 뒷면에 실려 11위에 머물렀다. 폴의 작곡으로 연전의 Yesterday에서 현악 4중주를 배치한 폴은 이곡에서 전면적인 현악4중주 곡을 선보여 나오자마자 작곡자들이 격찬해마지 않은 곡. 이제는 완벽한 하나의 실내악이다. 소외에 대해 다룬 가사마저 뛰어나다. 이 트랙은 98년에 나온 중기 비틀즈 모음 OST인 Yellow Submarine Songtrack 수록 리믹스곡으로써 앞의 파란 시디 수록곡이 오리지날 4트랙이어서 폴의 보컬이 왼쪽으로 치우친 반면 이곡은 16트랙 리믹스로 폴의 보컬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30   Yellow Submarine : 동명의 애니메이션 영화(비틀즈는 정말 안한 게 없다!) 테마 곡으로 영국에선 'Eleanor Rigby'와 양면 싱글로 발표되어 등정(登頂)했으나 미국에서는 아깝게 2위. 폴이 링고를 위해 만들어준 곡으로 동요이나 중요한 것은 당시로써 혁명적인 사운드 테크닉! 당시에는 컴퓨터가 없을 때이며 모두 수작업으로 연출했다. 이 트랙은 anthology에 수록된 redux 버젼으로 사운드 이펙트가 더 거칠고 전면적이다.

                                                        31   Taxman : 리드 기타리스트 George Harrison의 작곡 롹큰롤로 앨범의 오프닝을 장식하고 있다. 이어지다가 끊어지는 리듬이 참신하며 이 곡 외에 조지는 앨범에 두 곡을 더 수록하였는데 사이키델릭한 I want to tell you 외 본격적인 raga rock인 Love you to가 백미이다. 영국의 고율 조세 제도를 비판하고 있으며 가사 중에 당시 보수당 당수인 Edward Heath와 노동당 당수인 Harold Wilson의 실명이 모두 등장한다. 맨 앞의 세무원이 돈세는 부분의 고양이 소리도 사운드 이펙트이다.

                                                        32   Got to get you into my life : 앨범 중의 폴의 작곡(링고 보컬의 yellow submarine 포함 총 여섯곡)은 모두 뛰어나다. 이 곡에서 비틀즈는 brass rock까지 도입하였다. 70년에 해산한 비틀즈의 편집 앨범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조지 마틴이 직접 선곡한 76년 Rock and Roll music vol.1&2 편집 앨범으로 평가되는데 앨범이 빌보드 2위를 차지할 때 동시에 싱글 발매되어 차트 7위에 오른 걸작이다(싱글의 뒷면은 최초의 헤비메틀 Helter Skelter-white album 수록곡).

                                                        33   Tomorrow never knows : Revolver 앨범의 맨 마지막 곡으로 향후 어떻게 될지 모르는 John의 서전이다(예컨대 67년 Sgt.Pepper, 68년 white album...). 63년 본격 활동하여 예/예/예를 외치던 애송이들이 불과 3년만에 이 경지까지 왔다. 어떻게 3년전 밴드와 같은 밴드 음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곡의 가사는 티벳 고전인 '사자의 서'에서 빌어왔으며 C장조 한 화음을 바탕으로 당시의 첨단 사운드 이펙트가 총동원되었다(예컨데 싱글 Rain의 뒷부분 테잎 역회전 효과의 전면화). 애초 john의 프로듀서 George Martin에 대한 요청 '불교승 수백명이 경전을 읊는 배경 효과를 만들어주세요'에 못미칠지는 모르겠지만(당시 시대적 기술적 한계로 인해...) 66년 이정도의 이펙트는 사상 최초의 사이키델릭/프로그레시브 롹의 효시로 자리매김되는데 부족하지 않다. 이후 67년 Sgt.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에서 이런 사운드 이펙트는 더 전면화된다(리볼버 앨범 수록곡 중 직접적인 마약LSD 복용의 고백인 She said She said도 유사한 분위기의 곡이다).

                                                        -------------------------------------------------------------------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1962-1966 (Digital Remaster)

                                                        제작사 : EMI
                                                        발행일 : 1993
                                                        장르 : Rock / Metal
                                                        형태 : 2 CD
                                                        제조국가 : Holland


                                                        01   Love Me Do 

                                                        02   Please Please Me 

                                                        03   From Me To You 


                                                        04   She Loves You 

                                                        05   I Want To Hold Your Hand 

                                                        06   All My Loving 


                                                        07   Can't Buy Me Love 

                                                        08   A Hard Day's Night 

                                                        09   And I Love Her 


                                                        10   Eight Days A Week 

                                                        11   I Feel Fine 


                                                        12   Ticket To Ride 

                                                        13   Yesterday 

                                                        01   Help! 

                                                        02   You've Got To Hide Your Love Away 


                                                        03   We Can Work It Out 

                                                        04   Day Tripper 

                                                        05   Drive My Car 

                                                        06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 

                                                        07   Nowhere Man 

                                                        08   Michelle 

                                                        09   In My Life 

                                                        10   Girl 

                                                        11   Paperback Writer 

                                                        12   Eleanor Rigby 

                                                        13   Yellow Submarine 

                                                         

                                                         

                                                        출처:http://izm.co.kr 임진모

                                                        The Beatles/1962-1966(1973) / Beatles

                                                        The Beatles/1962-1966비틀스가 영국에서 '비틀마니아'를 야기하기 전 영국은 내각을 들쑤신 이른바 '프로퓨모 스캔들'이라는 정계 추문에 시달리고 있었다. 한 명의 매춘부에 의해 근엄한 의회가 농락당한 이 사건으로 영국인들은 정치에 깊은 회의에 빠졌다. 누군가 이 분위기를 전환해야 했다.

                                                        미국도 곤란을 겪기는 마찬가지였다. 민주화의 거대한 우산이 돼주었던 케네디 대통령이 63년 12월 괴한의 총격에 암살되었다. 공민권운동과 반전운동에 힘을 모았던 대학생과 지성인 등 민주세력은 걷잡을 수 없는 무력감과 절망 속으로 빠져들어갔다. 이제 미국의 정치와 사회는 그들에게 희망과 기대를 줄 수 없었다.

                                                        비틀스는 양국의 이런 슬럼프 시점에, 어떤 사람도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얘기하지는 못하던 시점에 불쑥 등장했다.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의 이 네 마리 영국 리버풀 출신 딱정벌레는 사회적 분위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즐거운 이야기들 그리고 신나는 음악을 뿌려댔다. 유쾌한 자들이라곤 그들 밖에 없어 보였다.

                                                        하지만 곧 양국 전체가 이 '근사한 4인'(Fab Four)의 일거수 일투족을 쫒으면서 침묵에서 깨어나 흥분과 함성을 회복했다. 애초에는 10대 소녀들의 집단 히스테리로 시작됐으나 잠시 후엔 전 세대와 계층이 비틀마니아에 포위되었다. 영국은 63년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3개월 사이 하루 걸러 한번 정도로 그들의 기사가 전국의 일간지 1면을 장식했다. 64년 3월 미국에 가서 마이애미를 거쳐 뉴욕에 당도했을 때 비틀스는 존슨 대통령마저 압도했다. 당시의 빌보드지 보도.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지난 주말 이 곳을 방문했지만 그의 도착 기사는 비틀스 공습에 가리워지고 말았다. 아무도 대통령의 방문은 몰랐지만 영국의 비틀스가 뉴욕에 왔다는 사실을 놓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비틀스는 단순한 음악적 현상이 아닌 '사회적 현상'이었다. 그러나 언론과 지식인들은 이런 측면에만 접근했으며 그들의 실력은 다소 과소평가한 점이 없지 않았다. '네 손을 잡고싶어'(I want to hold your hand)가 평지풍파의 회오리를 일으켰어도, 그들의 곡이 64년 4월 4일자 빌보드 차트의 1위부터 5위까지를 잠식했어도 제도권의 지배적 의견은 비틀마니아가 반짝으로 끝나리라는 것이었다(이 때 차트 순위는 1위 'Can't buy me love', 2위 'Twist and shout', 3위 'She loves you', 4위 'I want to hold your hand', 5위 'Please please me'였다).

                                                        초기의 단순한 로큰롤은 사회적 폭발에 눌린 탓에 큰 음악적 주목은 받지 못했다. 그러나 그들의 음악은 이제까지 미국인들이 접해보지 않은 독특하고 개성적인 로큰롤이었다. 거기에는 영국 특유의 셔플 감각이 뒤섞여 있었으며 무엇보다 '젊은 피'로 가득했다. 그리고 아주 신선했다.

                                                        사실 음악 수요자들은 처음으로 '밴드'가 연주하는 로큰롤을 접하게 된 것이었다. 이전의 로큰롤 스타들은 거의가 솔로 아티스트들이었다. 넷이서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드럼을 울려대며 '헬프'(Help!)'고된 날의 밤'(A hard day's night)을 연주하는 것은 엄청난 중량과 파괴력을 발할 수 밖에 없었다. 심지어 '뉴욕 타임스'는 “소녀들이 비틀스의 격렬한 몸짓과 포효에 묘한 성적 매력을 느낀다”고 분석했다.

                                                        비틀스 팬들 중에는 의외로 나중의 예술성이 강한 작품보다는 초기의 순수한 로큰롤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바로 이 앨범이 그런 비틀스의 순수한 폭발력을 간직한 곡들의 집체다. 예상보다 뛰어난 연주 앙상블과 곡 감각(단순한 코드로 좋은 곡을 쓰기란 더 어렵다)을 들려주는 초기 작품들은 어떻게 그들이 '록 르네상스'를 주도한 그룹으로 평가되는지를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롤링 스톤'지는 이 앨범을 명반으로 선정하면서 “이즈음 비틀스가 만들어낸 노래들은 좋지 않은 것이 단 한 곡도 없다”고 했다.

                                                        비틀스의 경이로운 승전보는 그들 내부에서 모든 발표곡을 주조해냈다는 점 때문에 더욱 가치를 발한다. 그들이 리버풀의 캐번 클럽과 독일 함부르크를 오가며 웅지(雄志)를 키우던 시절에는 남의 곡을 많이 연주했다. 하지만 그들은 곧 모방의 틀에서 벗어나 창조의 세계로 들어갔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 컴비라고 일컬어지는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그 창조의 주역이었다.

                                                        이 두 장 짜리 CD의 스물 여섯 곡 모조리 존과 폴이 공작(共作)해냈다. 의도적으로 남의 곡을 불러 히트시킨 곡 예를 들면 '트위스트 앤드 샤우트'나 '슬로 다운'(Slow down) 그리고 팀 동료 조지 해리슨의 노래로 차트 2위까지 오른 곡'비밀을 알고싶나요'(Do you want to know a secret)는 배제하고 존과 폴의 작품들로만 꾸민 것이다. 오로지 존과 폴의 초기 음악세계를 전달하자는 의도다.

                                                        두 사람은 설령 혼자 곡을 다 썼다고 하더라도 무조건 '레논 앤드 매카트니'의 작사.작곡으로 내거는 계약을 맺었다. 사실 CD2의 '갈 곳 없는 인간'(Nowhere man)은 존의 곡이고 '페이퍼백 라이터'(Paperback writer)는 전적으로 폴이 썼지만 발표는 둘의 공동 작품으로 했다. 그러나 '네 손을 잡고싶어'나 '우리는 해낼 수 있어'(We can work it out)는 명실상부하게 두 사람이 함께 만들어 컴비 플레이의 진수를 시범하고 있다.

                                                        비틀스는 존과 폴의 전작(全作)이라는 패턴을 확립함으로써 많은 동시대의 뮤지션들에게 '컴비 작업'의 필요성과 효율성(작사와 작곡의 로열티 배당에 따른 갈등이 비교적 적다)을 일깨웠다. 롤링 스톤스도 믹 재거와 키스 리차드 커플, 후도 로저 달트리와 피트 타운센드 컴비 그리고 훗날 이글스도 돈 헨리와 글렌 프라이 컴비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비틀스의 업적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들이 미국을 정복하면서 롤링 스톤스, 후, 데이브 클락 파이브, 허먼스 허미츠, 애니멀스 등 무수한 영국의 로큰롤 그룹들이 대서양을 건너와 미국을 마치 자기네 땅처럼 요리했다. 팝 음악 관계자들은 그 현상을 영국의 침공(British Invasion)이라 불렀다.

                                                        비틀스는 62년과 66년 사이 쉴 새 없이 히트포격을 가하면서 록이 단지 미국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으며 또한 단순한 로큰롤만 할 줄 알았던 더벅머리들이 고품격의 예술도 한다는 사실을 웅변했다. CD2의 앨범 <러버 소울>(Rubber Soul)에서 골라낸 '여자'(Girl) '미셸'(Michelle)'내 인생의 길목에서'(In my life)와 같은 곡은 이미 인기 스타가 아니라 아티스트로 성숙했음을 알리고 있다. 그들이 록의 원시성에만 매달리지 않고 더 높은 곳으로 향한 천재들이란 사실은 '예스터데이'(Yesterday)'엘리너 리그비'(Eleanor Rigby) 등 클래시컬한 곡에 나타난다.

                                                        대중음악의 제반 측면에서 흔히 록은 비틀스에 의해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앨범은 그들의 음악이 초창기부터 얼마나 새로운 것이었는가를 뚜렷이 제시하는 역사적인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과연 이것이 사실인지는 60년대의 다른 그룹들의 베스트 앨범을 같이 들어보면 수긍하게 될 것이다.


                                                        Rubber Soul/ Revolver 66

                                                        자켓사진 - 음악창고
                                                        자켓사진 - 음악창고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Abbey Road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White Album - 30th Anniversary Limited Edition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Yellow Submarine,Songtrack


                                                        Sgt. Pepper's 67/ Magical Mystery Tour 67

                                                        자켓사진 - 음악창고
                                                        자켓사진 - 음악창고
                                                         

                                                         

                                                        With the Beatles 63/ Beatles for sale 64

                                                        자켓사진 - 음악창고
                                                        자켓사진 - 음악창고
                                                         

                                                         

                                                        Let it be 70 ... Naked 00

                                                        자켓사진 - 음악창고
                                                        자켓사진 - 음악창고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Live At The Bbc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비틀즈 앨범자켓의 비밀

                                                        http://www.youtube.com/watch?v=Sv6RRBeR0Ko&search=beatles

                                                        [MV] the beatles - i'm down

                                                        Watch this video with our new Video Player

                                                        Average (8 votes)
                                                        0 ratings
                                                        Rate this video!
                                                        0 ratings

                                                         

                                                        아 이런 것도 브레이킹 뉴스가 되는구나! 피곤한 얼굴 help!

                                                         

                                                         

                                                         

                                                        자켓사진 - 음악창고
                                                        Beatles, The / Help!

                                                         



                                                        No. : 1 Date : 2005.05.11 [ 지난뉴스 보기 ]
                                                        비틀즈 앨범자켓의 비밀

                                                        비틀즈의 65년 앨범 Help의 커버에 대한 팬들 간의 논란이 종지부를 찍게 됐다.

                                                        이 앨범 커버는 그간 비틀즈 팬들 사이에서 오스트리아의 한 명소에서 촬영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있어왔으나 사실은 영국의 한 자동차 주자장을 배경으로 삼은 것으로 밝혀졌다.

                                                        영국매체 토마스크로스비는 10일, 비틀즈 연구가 키스배드맨의 말을 인용해 이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사실을 밝힌 키스 배드맨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대부분 비틀즈 팬들은 Help 앨범 커버가 오스트리아에서 촬영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실제 촬영지는 영국의 유명한 럭비전용구장인 튀케남(Twickenham)의 주차장의 흰 배경을 찍은 것"이라고 말했다. ⓒ changgo.com

                                                        - "네티즌의 음악평, 음반정보가 있는 곳" 창고닷컴 changgo.com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Rolling Stones

                                                        http://www.youtube.com/watch?v=QjOM8JzUX3g&search=sympathy%20for

                                                        Sympathy for the Devil Live Altamont

                                                        Watch this video with our new Video Player

                                                         


                                                        록음악을 좋아하는 음악팬치고 롤링 스톤즈(Rolling Stones)의 음반 한두장쯤 소장하지 않은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60년대에 비틀즈(Beatles)와 더불어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의 주역이었던 롤링 스톤즈.
                                                        개성강한 보컬 믹 재거(Mick Jager)와 기타리스트 키쓰 리차드(Keith Richards)를 구심점으로 한 이들은 정치적인 노선을 뚜렷하게 표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파격적인 언행과 퇴폐적인 이미지, 난폭한 무대 매너, 뜨겁게 발산되는 록에너지의 괴팍한 합성물로서 기성 세대로부터는 저주섞인 지탄을, 젊은이들에게는 열정적인 숭배를 받아왔다.
                                                        비틀즈가 필연적인 해체를 맞이한 이후에도 '가장 위대한 록밴드(The Greatest Rock Band)'의 전설을 37년째 이어오고 있는 롤링 스톤즈의 지난 세기를 돌아보고자 한다.
                                                        열렬한 록음악 팬뿐만 아니라 록음악의 입문자에게도 롤링 스톤즈는 한번은 넘어야할 거대한 산일 터. 데뷔작에서부터 최근작까지 이들의 대표적인 앨범을 살펴보는 것은 남다른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ROLLING STONES (64)
                                                        ♬ 롤링 스톤즈의 역사적인 첫 행보. 데뷔앨범치고는 리메이크작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 로큰롤과 브리티시 블루스를 주재료로 당시의 시대 경향인 사이키델릭한 맛도 상당히 가미.

                                                        12X5 (64)
                                                        ♬ 키쓰 리차드와 믹 재거의 작곡 능력이 서서히 발휘되기 시작한 앨범. 올타임 리퀘스트 넘버인 'Time Is On My Side'를 비롯해 척 베리(Chuck Berry)의 고전 'Around And Around'와 'It's All Over Now' 등이 특히 사랑받았으며 블루스 인스트루멘틀 넘버인 '2120 South Michigan Avenue'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악동' 롤링 스톤즈의 이미지보다는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던 비틀즈(Beatles)의 스타일을 모방하고 있는 듯 하다.

                                                        THE ROLLING STONES NOW! (65)
                                                        ♬ 롤링 스톤즈는 65년경부터 비틀즈의 뒤를 쫒는 대신 독자적인 스타일과 노선을 걷기 시작한다. R&B의 영향이 강해진 본작에서 'Heart Of Stone'이 미국 차트 20위에 올라 롤링 스톤즈의 미국 침공 깃발이 올랐다. 이제 천하는 비틀즈와 롤링 스톤즈가 반쪽씩 나눠먹는 시대.

                                                        AFTERMATH (66)
                                                        ♬ 영국 차트 1위. 팝적인 느낌의 강화. 믹 재거와 키쓰 리차드의 작곡이 불을 뿜는 롤링 스톤즈 최초의 '진짜 오리지널' , '물 안 탄 액기스' 앨범.

                                                        FLOWERS (67)
                                                        ♬ [Aftermath]와 [Between The Buttons]의 대표곡들과 66년∼67년에 발표한 싱글들을 묶은 앨범. 희귀곡들이 담겨있는 콜렉터스 아이템.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 (67)
                                                        ♬ 비틀즈의 [Sgt.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를 다분히 의식한 작품. 클래시컬(?)한 롤링 스톤즈 사운드는 많은 팬들을 당혹시켰으나 사이키델릭한 당대의 시대감각에는 시의적절.

                                                        BEGGARS BANQUET (68)
                                                        ♬ 사이키델릭한 전작과 달리 롤링 스톤즈의 본류인 블루스로 회귀. 델타 블루스의 영향을 받은 슬라이드 기타 사운드가 일품. 재기발랄, 에너제틱, 무르익은 명성.

                                                        LET IT BLEED (69)
                                                        ♬ 브라이언 존스의 사망과 믹 테일러의 영입 등 혼란한 시기에 오히려 가장 뛰어난 수작을 내놓은 아니러니(?). 70년대를 향한 롤링 스톤즈의 거침없는 진군. 화려한 게스트. 이것이 바로 롤링 스톤즈다!

                                                        STICKY FINGERS (71)
                                                        ♬ 브라이언 존스의 뒤를 이은 믹 테일러의 기타가 불을 뿜는 역작. 영국과 미국 공히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앤디 워홀이 디자인한 진짜 지퍼가 달린 LP판의 재킷도 화제거리였다. 반사회적 약물 송가의 승리.


                                                         

                                                        EXILE ON MAIN STREET (72)
                                                        ♬ 대단한 싱글은 나오지 않았으나 앨범 전체적으로 뛰어난 통일감을 이룬 작품. 전작들에 비해 비교적 스탠더드하지만 로큰롤, 블루스, 소울 등에 기반한 롤링 스톤즈 사운드가 완숙미의 정점을 터득한 하드록 명반이다.

                                                        HOT ROCKS 1964-1971 (72)
                                                        ♬ 수십장에 이르는 롤링 스톤즈 앨범을 콜렉션으로 갖추려면 비명부터 나오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결론은 'Hot Rocks!!'. 롤링 스톤즈의 메가히트곡만을 엄선한 베스트 오브 베스트다.

                                                        MORE HOT ROCKS (BIG COOKIES) HITS & FAZED (72)
                                                        ♬ 타이틀 그대로 [Hot Rocks 1964-1971]의 속편. [Hot Rocks]보다는 소폭 히트했던 곡들이 수록돼 있으나 질적인 면에서 결코 뒤지지 않는다. 정규앨범에서 들을 수 없는 B-Side곡도 담겨있는 콜렉터스 아이템.

                                                        SOME GIRLS (78)
                                                        ♬ 시대적 조류에 맞춰 변신을 거듭했던 롤링 스톤즈가 이번엔 디스코와 펑크로 옷을 갈아입었다. 롤링 스톤즈 특유의 하드한 사운드를 기대한 사람들의 뒤통수를 친 대단히 파퓰러하면서 생동감 넘치는 스매쉬 히트 앨범. 미국과 영국에서 모두 앨범차트 1위를 차지했다.

                                                        TATTOO YOU (81)
                                                        ♬ 역동적인 로큰롤 에너지와 부드러운 발라드의 조화로운 공존. 소울풀한 보컬과 사운드가 블랙뮤직적인 성향으로의 변신을 감지케 하는 명반.

                                                        JUMP BACK: THE BEST OF.... 1971-1993 (93)
                                                        [Hot Rocks 1964-1971]에 이어 71년부터 93년까지의 대표곡들을 모은 또하나의 베스트 앨범이다. 블루스, 로큰롤, 소울, 포크록까지 롤링 스톤즈의 다양한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VOODOO LOUNGE (94)
                                                        ♬ 밴드 연륜 30여년에 다다른 노장 밴드의 세련미와 70년대 전성기 시절 생동감의 결합. 전설은 사라지지 않고 돌은 계속 굴러간다.

                                                        ROLLING STONES ROCK & ROLL CIRCUS[BOX](96)
                                                        ♬ [Rock & Roll Circus]라는 영화를 찍으며 함께 제작한 앨범. 존 레논(John Lennon), 더 후(The Who), 타지마할(Taj Mahal) 등 영화 촬영에 참여한 밴드들의 노래도 앨범에 함께 삽입되어 있는 콜렉터스 아이템.

                                                        BRIDGES TO BABYLON (97)
                                                        ♬ 이들이 과연 50대란 말인가? 변한 게 있다면 좀 더 세련돼 졌다는 것. 롤링 스톤즈 입문자라면 이 앨범으로 시작해도 나쁠 것 없다.

                                                        NO SECURITY (98)
                                                        데이브 매튜스(Dave Mattews), 타지마할(Taj Mahal), 조슈아 레드먼(Joshua Redman), 그리고 라이브 연주. 초호화 게스트가 출연한 롤링 스톤즈의 20세기 마지막 라이브 앨범. 60-70년대 히트곡들을 담았던 이전 라이브 앨범들과 달리 90년대에 발표한 앨범의 대표곡들을 수록했다.
                                                         

                                                        ☞ 글 | 이기연(popper@changgo.com

                                                         

                                                         


                                                        Rolling Stones / Let It Bleed
                                                        01   Let It Bleed 
                                                        02   Love In Vain 
                                                        03   Midnight Rambler 
                                                        04   Gimmie Shelter 
                                                        05   You Got The Silver 
                                                        06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07   Live With Me 
                                                        08   Monkey Man 
                                                        09   Country Honk 

                                                        Rolling Stones / Get Yer Ya-Ya`S Out! (Live)
                                                        01   Jumpin` Jack Flash 
                                                        02   Carol 
                                                        03   Stray Cat Blues 
                                                        04   Love In Vain 
                                                        05   Midnight Rambler 
                                                        06   Sympathy For The Devil 
                                                        07   Live With Me 
                                                        08   Little Queenie 
                                                        09   Honky Tonk Women 
                                                        10   Street Fighting Man 

                                                         

                                                        이 앨범은 레온 러셀, 알 쿠퍼, 라이 쿠더, 지미 밀러 등 롤링 스톤즈 앨범 사상 가장 화려한 게스트들이 등장하는 수작이다.
                                                        또 하나의 롤링 스톤즈다운 명곡으로 기억될 'Gimme Shelter'에서는 소울적인 뉘앙스도 감지되고 있는데, 코러스 부분에서 이들은 살인과 능욕, 그리고 사랑 등을 매우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라이 쿠더가 만돌린을 연주하고 있는 'Love In Vain', 피들 연주가 시골적인 풍경을 잘 표현해주는 'Country Honk', 키쓰 리처드의 베이스와 레온 러셀의 피아노, 그리고 바비 키스(Bobby Keys)의 테너 색소폰 연주 등을 들을 수 있는 경쾌한 'Live With Me' -레온 러셀의 혼 어레인지도 좋다-, 이안 스튜어트의 피아노가 사이드 곳곳에서 빛을 발하며 키스의 슬라이드 기타 솔로 역시 구수하게 다가오는 타이틀곡 'Let It Bleed', 브라이언 존스가 퍼커션을 연주한 폭력적인 남녀차별주의적 송가 'Midnight Rambler' -리듬이 점차적으로 빨라지며 흥분도를 더하는 것이 인상적-, 키쓰 리처드가 보컬과 기타를 함께 맡고 있는 'You Got The Silver', 탬버린과 비브라폰 등을 삽입하고 있는 재즈적 업템포의 'Monkey Man', 그리고 CF에 삽입되어 익숙한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Version 2)'에서는 알 쿠퍼가 피아노부터 프렌치 혼, 오르간까지 도맡아 연주하고 있으며 런던 바흐 성가대까지 가세시키고 있는 것이 돋보인다.
                                                        한편 이 앨범이 공개될 즈음 이미 비틀즈는 와해와 해체의 조짐을 보이고 있어 롤링 스톤즈는 세계 최고의 로큰롤 밴드로 올라서게 되었다.
                                                        이 앨범을 끝으로 브라이언 존스가 그룹을 떠난다. 그는 멤버들과의, 더 정확히는 믹 재거 및 키스와의 음악적 견해 차이가 두드러져 결국 팀을 떠나고 만 것이다. 그는 밴드를 탈퇴한지 불과 한 달만에 죽고 말아 주변을 가슴아프게 하기도 했다. 


                                                        첫 포문을 여는 전미 챠트 1위 곡 brown Suger는 이들의 라이브시 항상 마지막을 장식하는 명곡으로(이들의 공연을 보면 이 곡이 나올 때 가장 화려한 스테이지가 연출된다) Keith Richards의 발군의 리듬기타 베킹을 중심으로 어쿠스틱 기타, 섹스폰, 피아노가 혼연일체를 이루며 흥겨운 로큰롤을 만들어 낸다. 이어지는 sway는 brown sugar보다 템포가 한층 느려지긴 했지만 흑인 블루스의 향취가 그윽한 곡으로 특히 곡 후반부 Mick Taylor의 발군의 기타 솔로를 들을 수 있다. Pearl Jam 의 alive의 후반부 기타솔로와 비견될 만하다. Rolling Stones의 곡치고는 너무나 아름다운(사실은 Rolling Stones이기 때문에 가능한) 록발라드 wild horses는 필자가 이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트랙이다. 노을이 비껴가는 저녁하늘을 바라보며 느끼는 이유 모를 서글픔이 밀려오는 듯한 여운을 주는 곡이랄까. 공격적이고 거칠 것만 같은, 록 역사상 최고의 보컬 연출자 Mick Jagger의 보컬 역량을 이 곡에서 명백히 확인할 수 있다. 이어지는 또 다른 명곡 can’t you here me knocking은 록큰롤풍으로 흐르다가 곡 중반부부터 B. keyes의 흐느적거리는 섹스폰이 재즈적 빚깔이 내는가 싶더니 이내 Mick Taylor의 진득한 블루스 기타톤이 끼어든다. 기타와 섹스폰이 섞여 마치 서로를 애무하는 듯한 모양새로 곡을 마친다. 이 곡 중반부를 들을 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성적 무드를 연상케 하는 곡이다. 이어지는 곡 you gotta move는 블루스 풍의 한층 느려지고 단순해진 사운드의 곡으로 뭔가에 도취된 듯한 보컬과 슬라이더 기타가 절묘한 어우러짐을 연출해 낸다. 분위기를 또 다시 바꿔 이어지는 btich는 터프하고 거칠 것 없는 전형적인 Rolling Stones표 음악이다. 보컬, 관악기, 슬라이더 기타, 그리고 타악기가 이렇게 촘촘히 잘 짜여지면서 익사이팅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은 Rolling Stones가 왜 록큰롤의 천재인가를 말해준다. Mick Jagger의 호소력 짙은 보컬이 돋보이는 l got the blues는 브라스의 반복적인 멜로디라인이 가히 일품으로 곡 중간 Billy Preston의 하몬드 오르간 연주는 곡을 더욱 맛깔스럽게 만들어 준다. 거장 Ry Cooder가 참여해 멋드러진 슬라이더 기타 연주를 선보인 sister morphine은 일설에 의하면 당시 Mick Jagger와 연인으로 마약에 찌들어 있던 Marianne Faithful을 염두에 두고 만든 곡이라 한다. 상큼한 컨트리풍의 곡 dead flower는 이 앨범 전체를 지배하던 흑인 블루스 필이 완전히 가신 곡으로 블루스에 거부감을 느끼는 국내 팬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을 듯 한 곡이다. 곡이 경쾌하고 부담이 없다. 마지막 곡 moonlight mile은 Stones팬들에게 she’s rainbow나 2000 light years from home과 함께 이들 최고의 사이키델릭록으로 받드는 곡이다. 특히 후반부의 웅장한 스케일의 현악연주는 아트록과 클레식의 느낌마저 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