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2007/01/23 14:37

사람이 대인관계를 맺는 기본적인 태도를 연구한 에릭번(Eric Berne) 박사는 교류분석의 이론을 정립하면서 사람들의 인생태도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그에 의하면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가장 어릴때 갖는 태도는 '나는 틀렸고 너는 옳다(I am not OK, You are OK) 태도라는 것이다. 어릴때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수동적인 행동을 취한다지만 성년기때에도 이런 모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자기자신을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자기자신은 아무것도 할 수 없으므로 늘 좌절감 속에서 생활하게 되며, 무순 일이든 쉽게 포기하며, 다른 사람들을 쉽게 신뢰하지 않는다.

두번째로
나는 옳다, 너는 옳지 않다(I am OK, You are not OK)
주로 청소년기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왜냐하면 '나는 틀렸다, 너는 옳다'라는 태도만으로는 도저히 자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한 불가피한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가 성인기까지 이어지면 건방지고, 자기중심적이다 란 을 받는데
이런 사람들은 사람을 심하게 불신하고 경계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끊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또한 타인을 엄격하게 감독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사람은 권위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세번째로
나는 옳다, 너도 옳다(I am OK, You are  OK)
이며 가장 성숙한 태도라 볼 수 있다.
이런 사람들의 유형은 굉장히 긍정적이며, 낙천적이며, 자기 개방적이다.
나는 나대로의 가치가 있고, 당신도 또한 나름대로의 가치가 있는 다양성을 인정할 줄 아는 성숙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런 사람들은 대인관계를 갖기 위해 시간을 투자할 줄 알며,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줄 아는 자기 조절을 할 줄 아는 성숙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성숙한 사람이란 대부분 사람들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고, 편안함,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네번째로
옳지 않다, 너는 옳지 않다.(I am not, you are not OK)
이런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보다 유능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며, 자신 또한 항상 운이 나쁜편이며, 인생을 체념하는 태도로 살아간다.
이런 사람들은 무기력함에 빠져있으며, 항상 허탈하고, 폐쇄적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1/23 14:37 2007/01/23 14:37
TAG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soist/trackback/98